KR20170110203A -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203A
KR20170110203A KR1020160033949A KR20160033949A KR20170110203A KR 20170110203 A KR20170110203 A KR 20170110203A KR 1020160033949 A KR1020160033949 A KR 1020160033949A KR 20160033949 A KR20160033949 A KR 20160033949A KR 20170110203 A KR20170110203 A KR 20170110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rage box
shape
cov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463B1 (ko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프
Priority to KR102016003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semi-rigid container folded up from one or more blanks

Abstract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는, 발포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로서, 다수의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띠형 절첩 연결구를 통해 이웃하는 판재들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의 본체 및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서 측면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좌측덮개와 우측덮개를 포함하며, 다수의 판재 중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판재가 제1 개방상판과 제2 개방상판으로 분할 형성되고,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재의 마주하는 면에는 다각형의 보조수납부가 각각 형성되며, 보조수납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의 공간구획패널이 상기 보조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Folding type storage box}
본 발명은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에 유리한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품 포장 및 안전한 이송을 위해 발포 포장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발포 포장재는 다른 포장재 예컨대, 일반 종이재질의 포장재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완충효과가 우수하여 상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송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종이재질의 일반 포장재에 비해 큰 부피로 인하여 보관과 이동에 있어 불리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06516호에는 절첩식 이송용 상자라는 제목으로 발포 성형된 패널형 포장재를 이용해 포장상자를 접이식으로 구현하여, 포장에 이용하기 전 포장상자를 접어 부피를 최대한 줄인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보관 및 이동에 있어 유리함을 확보하고자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이식 발포 포장재는, 두 판재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음부 구조가 복잡해 전체적으로 조립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대량 생산에 불리한 구조이며, 제조단가가 비싸 가격 경쟁력을 확보함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6516호(공개일자 2009. 1. 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형태로 변경이 자유로우며, 이음부 구성이 단순하여 제품의 생산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발포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있어서,
전개 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사각형 판재(10, 12, 14, 16)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판재끼리는 띠형 절첩 연결구를 통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 및
상기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서 측면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좌측덮개와 우측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판재 중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판재가 제1 개방상판과 제2 개방상판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판재 중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판재의 마주하는 면에는 다각형의 보조수납부가 각각 형성되며,
보조수납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의 공간구획패널이 상기 보조수납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를 이루는 다수의 판재는 폴딩 시 이웃하는 판재가 상하로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띠형 절첩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고, 박스 전환 시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부의 하부 단턱 폭(W)은 박스 내 공간 분할 시 상기 하부 단턱에 안착 고정되는 상기 공간구획패널 양단의 거치날개 높이(H)에 비해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방상판과 제2 개방상판의 좌우 양 측면에 반구형 돌기가 형성되고, 좌측덮개와 우측덮개 일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구형 돌기에 대응하여 반구형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덮개와 우측덮개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본체로부터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이탈되지 않도록 두 덮개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덮개와 우측덮개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핸드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따르면, 판재 간 이음부에 대한 기밀성과 밀폐성이 우수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접이식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박스 형태로 변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납상자에 비해 이음부 구성이 단순하여 제품의 조립성 향상과 더불어, 대량 생산에 있어 유리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발포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벼우면서도 단열성을 만족시킬 수 있어, 이동이 매우 편리하고 보온 단열박스나 피크닉 박스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수직판재의 보조수납부로부터 공간구획패널을 분리시키고, 분리시킨 공간구획패널을 이용하여 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분리 구획할 수 있는 구조로서, 공간구획을 위한 패널을 수납상자와는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공간구획패널을 통한 수납공간의 분할을 통해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물품 수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본체의 전개도.
도 5는 본체를 폴딩(FOLDING)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내부 수납공간을 공간구획패널을 이용해 분리 구획시킨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정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정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본체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체를 폴딩(FOLDING)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는 크게, 본체(1), 그리고 본체(1) 양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측덮개(2L) 및 우측덮개(2R)로 구성된다. 본체(1)와 덮개(2L, 2R)의 재질은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일 수 있으며, 발포폴리프로필렌을 고온환경에서 가압하여 판상 형태로 압축시킨 구성일 수 있다.
본체(1)는 도 4와 같이 전개 시 동일 평면상에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판재(10, 12, 14, 16)로 구성된다. 다수의 판재(10, 12, 14, 16)는 폴딩 시 이웃하는 판재가 상하로 겹쳐질 수 있도록 띠형 절첩 연결구(11)를 통해 연결되며, 이처럼 띠형 절첩 연결구(11)로 연결된 다수의 판재로 구성된 본체(1)는 도 2와 같은 박스 형태로 전환 시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쳐질 수 있다.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는, 상기 본체(1)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좌측 측면 개방부와 우측 측면 개방부를 덮도록 본체(1) 양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에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를 결합하여 내부에 물품 수납공간을 형성시킨 박스 형태에서, 상기 본체(1)를 구성하는 판재의 일부(상판재)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박스를 개방할 수 있다.
본체(1)는 구체적으로, 상판재(10), 하판재(12), 제1 수직판재(14), 제2 수직판재(16)가 상호 띠형 절첩 연결구(11)를 통해 절접 가능하게 연결된 구성을 이룬다. 이때 본체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판재(10)는 다시, 제1 수직판재(14)와 제2 수직판재(16)에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개방상판(10a)과 제2 개방상판(10b)으로 구분된다.
제1 수직판재(14)는 사각형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며, 좌우 양 변에 결속테(102)가 형성된다. 제2 수직판재(16)는 상기 제1 수직판재(14)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으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좌우 양 변에 결속테(102)가 형성된다. 하판재(14) 또한 사각형 판재 모양으로 형성되고, 결속테(102)를 구비하며, 폴딩 시 상기 제1 수직판재(14) 또는 제2 수직판재(16)와 겹쳐진다(도 5 참조).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제1 수직판재(14) 및 제2 수직판재(16)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다각형의 보조수납부(140)(160)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수납부(140)(160)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의 공간구획패널(17)(18)이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공간구획패널(17)(18)은 상기 제1, 제2 수직판재(14)(16)와 같은 재질(EPP)일 수 있다.
하판재(12), 제1 수직판재(14), 제2 수직판재(16) 각각의 좌우 양단 결속테(102)에 대응하여,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의 면 중 각 판재를 함체 형상으로 펼쳤을 때 각 판재의 좌우 측 변과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속요홈(20)이 형성되며, 박스 형태로 전환 시 상기 결속요홈(20)에 결속테(102)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속된다.
하판재(12), 제1 수직판재(14), 제2 수직판재(16)의 결속테(102) 측면에 요부(104)를 구비하며,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는 상기 요부(104)에 대응되는 뒤틀림 방지돌기(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결속테(102)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뒤틀림 방지돌기(22) 안쪽으로 사각 링 모양으로 연속되며 박스로 전환 시 상기 결속테(102)의 내단 측이 접하는 내측 지지돌부(24)가 돌출 형성된다.
뒤틀림 방지돌기(22) 및 사각 링 모양으로 연속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상기 내측 지지돌부(24)에 의하여 그 사이에 상기 각 판재 양 변의 상기 결속테(102)가 결속되는 결속요홈(20)이 형성되며, 상기 좌측덮개(2L) 및 우측덮개(2R)의 일면에는 컵 받침이나 컵 쟁반 등으로 개별 사용 가능하도록 컵 안착홈(26)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내부 수납공간을 공간구획패널을 이용해 분리 구획시킨 모습을 나타낸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수직판재(14)(16)의 보조수납부(140)(160)에서 각각 분리된 공간구획패널(17)(18)은 박스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수납박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분할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두 공간구획패널(17)(18)의 일측과 타측의 거치날개(170)(180)가 상기 보조수납부(140)(160) 하부 단턱(142)(162)에 안착 고정되어 평면 상의 배치를 이루도록 정렬될 수 있다.
하나의 보조수납부(140 또는 160)의 하부 단턱(142 또는 162) 상에 두 개의 공간구획패널(17)(18) 거치날개(170)(18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하나의 평면 상의 배치를 이루도록,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에 형성된 하부 단턱(142)(162)은 그 폭(W)이 상기 공간구획패널(170)(180) 양단의 거치날개 높이(H)에 비해 2배 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공간부획패널(17)(18)을 도 6과 같이 배치시킨 상태에서의 상기 거치날개(170)(180) 상부의 형성되는 보조수납부(140)(160)의 여유공간 또는 공간구획패널(17)(18)을 박스로부터 완전히 탈거한 뒤 공간구획패널(17)(18)이 자리하던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에는 아이스 박스로 사용 시 아이스 팩(Icepack)을 실장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납박스는, 제1, 제2 개방상판(10a)(10b)의 경계부 중앙에 형성된 홈(109)을 통해 각각의 개방상판에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위쪽으로 들어올려 박스를 손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개방상태에서 제1, 제2 개방상판(10a)(10b)을 닫힘 위치로 회동시켜 수납박스를 밀폐시킬 수 있다.
앞선 첨부도면 도 2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108과, 28은 제1, 제2 개방상판(10a)(10b)의 임의 개방을 구속하는 수단으로서, 108은 제1, 제2 개방상판의 가동단부 좌우 양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 돌기이며, 28은 상기 반구형 돌기(108)에 대응하여 상기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의 일면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반구형 요홈을 가리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의 정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의 제2 실시 예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좌측과 우측덮개(2L)(2R)가 본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두 덮개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밴드(3)를 더 포함한다. 이때 탄성밴드(3)의 재질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탄성밴드(3)의 양측 끝이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 각각 고정됨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탄성밴드(3)가 삽입 가능한 폭과 길이로 슬릿형 관통홀(202)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형 관통홀(202)에 탄성밴드(3)를 삽입한 후 박스 내측에서 탄성밴드(3) 끝에 클립을 연결하거나, 매듭을 묶어 빠지지 않게 하는 등 공지된 모든 형태의 고정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핸드 스트랩(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드 스트랩(4) 역시 마찬가지로, 슬릿형 관통홀(204)에 핸드 스트랩(4)을 삽입한 후 박스 내측에서 그 끝에 클립을 연결하거나, 핸드 스트랩(4) 자체를 매듭 묶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따르면, 판재 간 이음부에 대한 기밀성과 밀폐성이 우수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 보관에 유리한 형태로 부피를 최대한 축소시킬 수 있고, 휴대 보관에 유리한 접이식 형태에서 내용물 수납에 유리한 박스 형태로 변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납상자에 비해 이음부 구성이 단순하여 제품의 조립성 향상과 더불어, 대량 생산에 있어 유리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발포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벼우면서도 단열성을 만족시킬 수 있어, 이동이 매우 편리하고 보온 단열박스나 피크닉 박스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수직판재의 보조수납부로부터 공간구획패널을 분리시키고, 분리시킨 공간구획패널을 이용하여 박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분리 구획할 수 있는 구조로서, 공간구획을 위한 패널을 수납상자와는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되고, 공간구획패널을 통한 수납공간의 분할을 통해 효율적인 공간활용과 물품 수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본체 2L : 좌측덮개
2R : 우측덮개 3 : 탄성밴드
4 : 핸드 스트랩 10 : 상판재
10a : 제1 개방상판 10b : 제2 개방상판
11 : 띠형 절첩 연결구 12 : 하판재
14 : 제1 수직판재 16 : 제2 수직판재
17, 18 : 공간구획패널
20 : 결속요홈 22 : 뒤틀림 방지돌기
24 : 지지돌부 26 : 컵 안착홈
28 : 반구형 요홈 30 : 밴드 설치홈
102 : 결속테 104 : 요부
108 : 반구형 돌기 140, 160 : 보조수납부
142, 162 : 하부 단턱 170, 180 : 거치날개
202, 204 : 슬릿형 관통홀

Claims (6)

  1. 발포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에 있어서,
    전개 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사각형 판재(10, 12, 14, 16)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판재(10, 12, 14, 16)끼리는 띠형 절첩 연결구(11)를 통해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1); 및
    상기 본체(1)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양 측면 개방부를 덮도록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서 결합되는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판재(10, 12, 14, 16) 중 본체(1)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판재(10)가 제1 개방상판(10a)과 제2 개방상판(10b)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판재(10, 12, 14, 16) 중 본체(1)를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쳤을 때 대향되는 한 쌍의 수직판재(14, 16)의 마주하는 면에 다각형의 보조수납부(140)(16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에 대응되는 크기와 모양의 공간구획패널(17)(18)이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이루는 다수의 판재(10, 12, 14, 16)는 폴딩 시 이웃하는 판재가 상하로 겹쳐질 수 있도록 상기 띠형 절첩 연결구(11)를 통해 연결되고, 박스 전환 시 4각 함체 모양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140)(160)의 하부 단턱(142)(162) 폭(W)이 박스 내 공간 분할 시 상기 하부 단턱(142)(162)에 안착 고정되는 상기 공간구획패널(17)(18) 양단의 거치날개(170)(180) 높이(H)에 비해 2배 이상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상판(10a)과 제2 개방상판(10b)의 좌우 양 측면에 반구형 돌기(108)가 형성되고,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반구형 돌기(108)에 대응하여 반구형 요홈(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본체(1)로부터 좌측덮개와 우측덮개가 이탈되지 않도록 두 덮개 사이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밴드(3);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덮개(2L)와 우측덮개(2R)에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핸드 스트랩(4);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KR1020160033949A 2016-03-22 2016-03-22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KR10186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49A KR101867463B1 (ko) 2016-03-22 2016-03-22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949A KR101867463B1 (ko) 2016-03-22 2016-03-22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203A true KR20170110203A (ko) 2017-10-11
KR101867463B1 KR101867463B1 (ko) 2018-06-18

Family

ID=6013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949A KR101867463B1 (ko) 2016-03-22 2016-03-22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5011A (zh) * 2018-02-28 2018-08-28 顺丰科技有限公司 可折叠箱及可折叠保温箱
WO2024050558A1 (en) * 2022-09-03 2024-03-07 Foam Llc Soft and flexible portable coo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444B1 (ko) 2022-04-13 2022-12-08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다기능 멀티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727Y1 (ko) *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삼각기계 탈, 부착식 측판을 갖는 적층식 수납박스
JP2005035604A (ja) * 2003-07-14 2005-02-10 Nobuhiko Motomura 折り畳み容器
KR20090006516A (ko) 2007-07-12 2009-01-15 지피에스코리아(주) 접철식 이송용 상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4414C (zh) * 2002-11-01 2006-05-03 梅里兰德产品有限公司 可折叠搬运箱
US8708178B2 (en) * 2011-07-26 2014-04-29 Diversified Fixtures, Inc. Contain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727Y1 (ko) * 2001-07-18 2001-11-17 주식회사 삼각기계 탈, 부착식 측판을 갖는 적층식 수납박스
JP2005035604A (ja) * 2003-07-14 2005-02-10 Nobuhiko Motomura 折り畳み容器
KR20090006516A (ko) 2007-07-12 2009-01-15 지피에스코리아(주) 접철식 이송용 상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5011A (zh) * 2018-02-28 2018-08-28 顺丰科技有限公司 可折叠箱及可折叠保温箱
CN108455011B (zh) * 2018-02-28 2023-12-01 顺启和(深圳)科技有限公司 可折叠箱及可折叠保温箱
WO2024050558A1 (en) * 2022-09-03 2024-03-07 Foam Llc Soft and flexible portable coo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463B1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10308409B2 (en) Customizable caddy
KR101867463B1 (ko) 접이식 다용도 수납박스
US9463915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JP2008230677A (ja) 折り畳み型保冷ボックス
KR102187130B1 (ko) 컵홀더 및 핸드-홀을 갖는 트레이
CN110525763A (zh) 可折叠箱
CN112810966A (zh) 保温容器
KR102023451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KR101987449B1 (ko) 받침판이 고정되는 케익 포장용 상자
KR101311186B1 (ko) 접이식 보온단열박스
KR200475933Y1 (ko) 과일 보관용 상자
KR200467958Y1 (ko) 식품 포장용 가방
CN211568573U (zh) 可折叠箱
KR101319158B1 (ko)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플라스틱 골판지 박스
CN110356678A (zh) 可折叠箱
KR200476323Y1 (ko) 피자 박스
KR101439743B1 (ko) 아이스 버킷으로 이용 가능한 주류 용기 포장용 케이스
KR101572778B1 (ko) 조립식 상자
KR101490849B1 (ko) 접이식 보관용기
KR101330655B1 (ko) 고자립성 및 고밀폐성을 갖는 발포수지 재질의 절첩식 상자
US20090032422A1 (en) Packaging
KR101850858B1 (ko) 보온 보냉용 박스
KR200484858Y1 (ko) 다중 연결형 수납함
KR200480432Y1 (ko) 피자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