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916A -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916A
KR20170109916A KR1020160034123A KR20160034123A KR20170109916A KR 20170109916 A KR20170109916 A KR 20170109916A KR 1020160034123 A KR1020160034123 A KR 1020160034123A KR 20160034123 A KR20160034123 A KR 20160034123A KR 20170109916 A KR20170109916 A KR 20170109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uni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677B1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엔
Priority to KR102016003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6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관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차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무선 관제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59)와; 주차면에 설치되며 태그(59)에 저장된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센서(52)와; 감지센서(52)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통신유닛(58)과; 통신유닛(5)으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차량 출입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차장 데이터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주차현황와, 거주자 우선 구역의 주차차량 혹은 장애인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서버(7)와; 관리서버(7)로부터 주차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9)와; 그리고 차량 식별결과 거주자 혹은 장애차량이 아닌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부(5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Wireless car parking guidance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applying IOT Element Technologies and algorithms and analytics techniques for big data}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주차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형 무선주차센서 기술의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 IQP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분석기법을 통해 도심지의 혼잡한 주차장내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운전자에게 자동으로 안내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및 장애인 주차구역에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더욱이 도심지에서는 출,퇴근 시간, 주말 등에 교통량이 집중됨으로써 교통정체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이 도심에서 주차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주차 가능한 주차장을 알 수 없어 원하는 주차장을 이용하지 못해 목적지 주변을 배회운행함으로써 약속시간에 늦거나, 배회운행으로 인한 도심지 혼잡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교통생활 환경을 저해하고 이에 따른 탄소배출 증가로 지구 온난화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관제 시스템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그 일 예로서 대형 백화점 및 할인마트의 옥내 주차장 입구나 내부에 LED 문자판 등을 설치하여 주차정보를 문자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옥외주차장에는 주차장의 구조적 문제 및 방수, 온도차 등의 기술적, 기능적, 기구적인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과도한 투자비가 소요되어 실내의 대형주차장에 설치된 주차유도시스템 및 주차관리시스템을 설치할 수 없다.
관제 시스템의 다른 예로서,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주차 관련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주차장 정보를 안내받아, 주차장을 찾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주차장 안내 방식은 운전자가 주차장 찾기용 앱 운용서비스를 이용하여 목적지 주차장 인근의 주차장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앱 어플리케이션상에서는 단순히 주차장의 위치만 안내하고 있어 운전자들이 원하는 비어 있는 여유 주차장을 찾을 수 없다.
또한 실제 주차장에 도착해 보면 애플리케이션 상의 주차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당황하는 경우가 발생, 즉 애플리케이션 상에는 해당 주차장이 비어 있는 것으로 나와있는데, 실제는 만차이거나, 빈 자리를 안내받지 못하여 운전자는 해당 주차장에 도착해서도 주차장 내를 수분 내지 수십분 동안 계속 배회운행 하거나, 다시 주차장을 나와 인근 도로 및 빌딩 주변에 주차장을 찾기 위해 계속 목적지 인근을 맴도는 배회운행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부 대형 백화점 등에서는 영상카메라 및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주차장내의 비어 있는 주차장 안내를 받을 수 있으나, 이는 주차장에 도착한 후 주차장 내부에서 비어있는 자리를 안내받는 방식으로서, 주차장에 도착전에 사전에 비어있는 주차장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도심지의 혼잡한 도시 교통생활 환경은 더욱 심각해지며, 운전자는 시간에 쫓기는 경우 부득이 불법주차를 하고 이에 따른 과태료를 부과받게 되거나 견인으로 사회적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또한, 장애인 불법주차 및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의 불법주차로 인한 이웃간 다툼으로 인명에 손상을 초래하거나 민,형사상의 사건으로 확대되어 소송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낭비가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2006-104478호(명칭: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특허출원 제 10-2008-121452호(명칭: 주차관리 시스템, 센서 노드 및 그 주차관리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용이하게 빈 주차장을 검색하여 주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불법주차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웃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는 거주자 우선주차에 관한 해결을 무선센서기술 및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시간 위치 추적 알고리즘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바,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59)와;
주차면에 설치되며 태그(59)에 저장된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센서(52)와;
감지센서(52)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통신유닛(58)과;
통신유닛(5)으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차량 출입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차장 데이터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주차현황와, 거주자 우선 구역의 주차차량 혹은 장애인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서버(7)와;
관리서버(7)로부터 주차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9)와; 그리고
차량 식별결과 거주자 혹은 장애차량이 아닌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부(54)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주차장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차량 입출입 상황을 파악하여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 1단계(S100)와;
판단된 주차 가능여부를 통신유닛(5)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관리서버(7)는 주차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가능여부, 주차비 등의 관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9)로 전송하거나 주차장 입구의 표시판(13)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제 3단계(S120)와; 그리고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주차장을 선택하여 주차하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하며,
제 3단계(S120)는, 관리서버의 제 5연산부(70)가 감지센서(52,62) 및 통신유닛(58,68)을 통하여 수신된 차량의 태그(59,69)의 차량 식별정보를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혹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단계(S180)와;
정당한 주차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경고부(54,6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경고방송 혹은 램프 점멸을 실시하는 제 10단계(S190)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주차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유도시스템 및 무선주차관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주차장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비어 있는 주차장을 쉽게 안내받아 주차할 수 있고, 주차장 사업자는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
둘째,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혹은 장애인 주차구역에 무선 관제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정당한 주차자가 아닌 경우 경고를 함으로써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거주자 우선 주차 무선관제시스템을 통한 이웃간 소통문화를 개선함으로써 새로운 교통질서 문화를 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옥외 및 옥내의 주차장 입구 및 실내 바닥에 무선센서를 설치하여 출입하는 차량을 카운팅함으로써 주차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때 무선센서는 지자계 및 IR센서, RF 레이더 센서 방식을 복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우천이나 강설시 혹은 보행자와 차량을 구분하는데 혼선이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함으로써 주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무선센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RF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400MHz ~ 900MHz)를 사용하여 주차유도 전광판으로 무선으로 송신함으로써 주차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섯째, 주차장 이용자의 주차 패턴을 분석하여 빅데이터화함으로써 향후 주차 안내에 적용할 수 있으며, 주차 수요가 줄어드는 경우 주차요금을 할인하고,주차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주차 요금을 인상하는 등 주차요금을 탄력적으로 운용함으로써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여섯째, 관제 시스템에 Open API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공공 시설 등에 이미 구축된 ICT 인프라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계하기 위하여 주차 데이터를 개방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유도할 수 있다.
일곱째, 주차장 이용 패턴을 빅데이터화함으로써 주차 패턴에 따라 안내할 수 있어서 주차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특히, 주차 요금을 계절별,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여덟째, 도심지 혼잡한 주차질서 확립을 통한 교통생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비어 있는 주차장을 못 찾아 목적지 주변을 맴도는 배회운행 회수를 크게 줄여 년간 약 600억원의 탄소배출 절감효과를 창출할 수 있어 국가 창조경제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제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센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지센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로서 RFID 센서가 구비된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감지센서가 주차구역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리서버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 5연산부가 구비된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관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 관리 시스템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혹은 장애인 주차 구역에 적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무선 관제 시스템이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적용되어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무선 관제 시스템이 실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무선 관제 시스템이 장애인 주차 구역에 적용되어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장애인 주차 구역에 무선 관제 시스템이 실제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오픈 API 서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오픈 API 서버를 이용하여 개발자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1)은 주차장에 배치되어 차량 감지 신호를 발신하는 감지센서(3)와; 감지센서(3)로부터 송신된 감지신호를 중계하는 통신유닛(5)과; 통신유닛(5)으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차량 출입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차장 데이터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주차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서버(Server;7)와; 관리서버(7)로부터 주차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9)와; 관리서버(7)와 연계하여 주차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유도하는 API서버(11)와; 관리서버(7)로부터 출력된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판(13)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무선 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감지센서(3)는 주차장의 입구 혹은 각 주차면(15)에 설치됨으로써 출입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이러한 감지센서(3)는 적외선과, 자기장과, 주파수를 복합적으로 결합한 방식을 적용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지센서(3)는 주차장 입구 혹은 주차면(15)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케이스(Case;17)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외선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19)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21)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주파수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23)와; 적외선, 자기장, 주파수 감지부(23)와 연동하여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출입여부를 연산하는 제어모듈(25)과; 각종 신호에 대한 기준값 및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제어모듈(25)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를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29)와; 전원부(27)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센서(3)에 있어서, 적외선 감지부(19)는 적외선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일정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발산하는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발광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은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고, 수광부에서는 이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차량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감지부(21)는 차량이 감지센서(3)의 상부를 통과할 때 자기장의 세기가 변동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장 감지부(21)는 자기장 또는 자력선의 크기와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반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대해 수직으로 자기장을 걸면 전압이 발생하는 홀효과(Hall effect)나, 자기장의 영향으로 전기저항이 증대하는 자기저항효과 등을 이용한다. 특히, 홀 소자를 이용한 자기장 센서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자기장 감지부(21)는 차량이 상부를 통과할 때 주위 자기장의 변동으로 인한 전압값을 제어모듈(25)로 송신하고, 제어모듈(25)는 이 신호에 의하여 전압값의 변동량을 연산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주파수 감지부(23)는 차량의 고유 진동수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여부를 파악한다. 이러한 주파수 감지부(23)는 차량과 같은 진동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특정 대역의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며, RF 레이더 센서(RF rader sensor)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파수 감지부(23)는 센서의 전단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외부 진동이 전달될 때 와전류가 왜곡됨으로써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는 바 이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감지부(23)는 진동원의 종류에 따라 해당 진동원의 진동만 감지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감지부(23)가 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를 차량의 진동수에 맞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지센서(3)의 상부로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차량 고유의 주파수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을 인식할 수 있고, 반면에 보행자가 통과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인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과, 자기장과, 주파수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되, 이들을 서로 복합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선만으로 감지하는 경우, 비나 눈이 오거나, 야간 등 기후변화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자기장만으로 감지하는 경우, 차량 이외의 다른 물체도 감지될 수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고, 주파수 감지부(23)는 차량 이외의 잡음이 전달될 때 오작동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외선과, 자기장과, 주파수를 복합적으로 연계하여 적용함으로써 차량만을 인식하도록 하여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상기한 제어모듈(2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제어모듈(25)이 차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먼저 적외선 신호와, 자기장 신호와, 주파수 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3가지의 신호중 1가지 혹은 2가지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거나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나머지 1가지 혹은 2가지 신호에 의하여 차량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값이 해당 신호의 기 설정된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한다. 즉, 적외선 신호의 경우 적외선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의 변동폭이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차량이 아니라 보행자 혹은 다른 이동체로 판단한다.
자기장 신호의 경우, 자기장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의 변동폭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파수 신호의 경우, 주파수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의 변동폭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여부가 확인되면, 주파수 신호를 분석하여 차종별로 분류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의 엔진음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므로 차종별 주파수 대역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입력된 주파수 대역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비교함으로써 감지된 차량을 차종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장의 주차구역은 경차, 소형, 중형차, 대형차로 구분되어 있는 바, 각 차량은 해당 주차구역에 주차하게 된다.
이러한 차종별 주차정보는 관리서버(7)로 전송되며, 주차장의 빈자리에 대한 정보가 1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추가로 각 주차구역별로 빈 자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써 3가지 신호 중 유효한 신호에 의하여 차량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및 자기장 신호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음으로, 주파수 감지부(23)에 의하여 차량의 엔진음을 감지함으로써 차량 인식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감지센서(3)는 주차장의 입출구 바닥에 설치되고, 또한 각 주차면(15)의 바닥에 설치된다.
따라서, 단순히 차량의 출입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빈 자리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다.
한편, 상기한 감지센서(3)로부터 차량 입출입 정보를 수신한 상기 통신유닛(5)은 이 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유닛(5)은 다양한 종류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라우터(R)와, 통신기(M)로 구성될 수 있다.
라우터(R)는 주차장 출입구의 감지센서(3) 인접위치에 설치되며 감지센서(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통신기(M) 및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제소의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러한 라우터(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송신정보(패킷:packet)에 담긴 수신처의 IP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근거리통신망(랜;LAN)을 중계하거나 근거리통신망을 광역통신망(WAN)에 연결할 때 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라우터(R)는 소정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라우터(R)는 통상적인 구조의 라우터(R)와 같은 구조, 예를 들면, 무선 송수신부(29), LED, 스위치, 채널 스위치, 통신부, 전원부(27),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라우터(R)는 감지센서(3)로부터 차량 입출입 신호가 전송되면 이 신호를 통신기(M)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기(M)는 라우터(R)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제소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기(M)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기(M)가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00MHz대 RF Tx/Rx방식이며, WiFi, 3G, 4G 등의 통신환경에서 에그(egg) 등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기(M)는 제어부와, 송수신부(29)와, 스위치와, 채널 스위치와, LED와, 통신부, 전원부(27)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 주차센서 네트워크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가 구분되어 있다.
예들 들면, UHF방식은 433, 910MHz, 마이크로파 2.4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5m 내지 10m 범위 이내이다. 430MHz는 주로 능동형 태그에 사용되며, 910MHz는 수동형 태그에 사용된다. 이 UHF 방식은 데이터 리딩 거리가 길어서 물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된다.
그리고, HF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1cm 내지 3cm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HF방식은 보안과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 교통카드, 신용카드용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에서는 통신유닛(5)으로서 라우터(R)와 통신기(M)가 연동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기만을 적용하거나 라우터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주차면에 감지센서(3)가 배치되고, 차량에 통신유닛(5)이 장착되어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는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차면에는 감지센서(3)가 설치되고, 차량이 감지센서(3)에 의하여 감지되면 감지센서(3)는 차량의 통신유닛(5)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유닛(5)은 서버에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는 탑재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통신유닛은 셀룰라 모뎀기능이 있으며, 400MHz/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탑재된 프로그램은 IQP 매니지먼트 분석 기법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각 주차면별로 차량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감지센서가 주차장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대한 주차 관리시스템(50)은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59)와; 주차면에 설치되며 태그(59)에 저장된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센서(52)와; 감지센서(52)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통신유닛(58)과; 차량 식별결과 거주자가 아닌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부(54)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59)는 차량에 부착되며, 차량정보가 저장된 태그로서 예를 들면 RFID 방식의 태그를 의미한다. 이러한 태그(59)에는 차량번호, 소유주, 운전자, 지정주차구역 번호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3)에 RFID 센서(24)가 추가로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적외선 센서와, 자기장 센서와, 주파수 감지 센서로 구성된 감지센서(3)에 차량에 장착된 태그(59)의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RFID 센서(24)가 추가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하면, 감지센서(52)가 이를 감지하고, 태그(59)를 리딩하여 통신유닛(58)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감지센서(62)는 주차 계수기와 연동함으로써 주차 차량의 계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58)은 태그(59)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7)로 전송하며, 서버는 수신된 식별정보에 의하여 해당 차량이 해당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정당 주차자가 아니라면, 경고부(5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피커(56)를 통하여 주차를 금지하는 방송을 하거나, 램프를 점멸하게 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장애인 주차구역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자 주차구역에 대한 주차 관리시스템(60)은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69)와; 주차면에 설치되며 태그(69)에 저장된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센서(62)와; 감지센서(62)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통신유닛(68)과; 차량 식별결과 장애자가 아닌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부(64)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69)는 차량에 부착되며, 차량정보가 저장된 태그로서 예를 들면 RFID 방식의 태그를 의미한다. 이러한 태그(69)에는 장애차량 여부, 차량번호, 소유주, 운전자 등이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에 RFID 센서(24)가 추가로 장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적외선 센서와, 자기장 센서와, 주파수 감지 센서로 구성된 감지센서(2)에 차량에 장착된 태그(69)의 정보를 리딩할 수 있는 RFID 센서가 추가된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하면, 감지센서(62)가 이를 감지하고, 태그(69)를 리딩하여 통신유닛(68)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감지센서(62)는 주차 계수기와 연동함으로써 주차 차량의 계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68)은 태그(69)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7)로 전송하며 관리서버(7)는 수신된 식별정보에 의하여 해당 차량이 장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정당 주차자가 아니라면, 경고부(6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스피커(66)를 통하여 주차를 금지하는 방송을 하거나, 램프를 점멸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차량 입출입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거주자 혹은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거나, 주차정보를 표시부에 전송하거나,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관리서버(7)는 차량 입출입 정보에 의하여 현재 주차현황을 연산하는 제 1연산부(40)와;
파악된 주차정보를 분석하여 차종별 주차 가능대수를 연산하는 제 2연산부(42)와;
일정 기간의 주차 현황을 분석하여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는 제 3연산부(44)와;
주차 현황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제공하는 출력부(49)와;
제 1 및 제 2연산부(42)에 의하여 연산된 데이터에 의하여 주차면(15)별로 차등된 주차비용을 연산하는 제 4연산부(46)와;
주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4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관리서버(7)에 있어서, 제 1연산부(40)는 주차장 입출구 및 주차면(15)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현재 주차 현황을 연산한다. 즉,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입차 대수를 파악하고, 출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출차대수를 파악한다. 그리고, 입차 대수와 출차대수에 의하여 현재 주차된 차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주차면수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면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주차 가능 대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파됨으로써 운전자들은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여부를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연산부(42)는 제 1연산부(40)에 의하여 연산된 주차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종별로 주차 가능한 대수를 연산한다.
즉, 주차장에 입차된 대수와 출차된 대수를 연산할 때, 주파수 감지부(23)의 신호에 의하여 해당 차량이 경차, 소형, 중형, 대형인지도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감지부(23)는 각 차량의 엔진 주파수에 대한 데이터를 DB화함으로써 차량의 입출차 여부 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의 차종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연산부(42)는 해당 차량의 차종을 구분하고, 또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도 파악함으로써 현재 주차가능 여부 뿐만 아니라, 차종별 주차가능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러한 구체적인 주차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으로 주차가능한 주차장 뿐만 아니라, 해당 차종의 주차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연산부(44)는 제 1연산부(40)에 의하여 파악된 주차 정보를 일정 기간 누계하여 빅테이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게 된다.
즉, 1주일중 주차 차량 대수가 가장 많은 요일과 적은 요일 등 요일별로 분석한다. 혹은 하루중 시간대별로 주차 현황을 분석한다. 물론, 계절별 또는 지역별로도 주차 현황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3연산부(44)가 계절별, 요일별, 시간별 주차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데이터를 향후 주차장 운영 등에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주차장 관리를 할 수 있다.
더욱이, 제 3연산부(44)의 이러한 분석 데이터는 제 4연산부(46)와 상호 연동함으로써 주차비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즉, 주차비를 종래와 같이 소형, 중형, 대형 등 차종별로만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주차장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차비를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달리 책정하는 방식이다.
즉, 교통량이 많은 월요일 혹은 금요일, 주말의 경우에는 주차를 하려는 차량이 주차면수 보다 많음으로 주차장에 차량들이 몰리게 되며, 다른 요일에는 차량이 적어서 주차면수가 남게 된다.
또한, 하루중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주차장이 복잡하고, 다른 시간대에는 한가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 상황들을 빅데이터화함으로써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1차적으로는 주차장이 복잡한 시간과 한가한 시간을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복잡한 시간을 피하여 운행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4연산부(46)는 이러한 주차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비를 차등화함으로써 2차적으로는 주차장 광고에 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즉, 주차비가 저렴한 요일, 시간대를 운전자들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를 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저렴하게 주차할 수 있는 해당 주차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비를 차등함으로써 운전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주차할 수 있고, 주차장 관리자는 한가한 시간대의 잉여 주차면수를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주차장 매출액을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주차비 차등화에 따른 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즉, 한가한 시간대에 방문한 운전자들에게는 저렴한 주차비 뿐만 아니라, 쿠폰을 추가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주차비 할인 등의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쿠폰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발행될 수도 있고, 오픈라인인 주차장 현장에서 직접 발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차현황을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파악하여 주차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함으로써 더 많은 운전자들을 주차장으로 이끌어서 주차 수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7)는 거주차 우선 주차구역의 주차자 혹은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는 제 5연산부(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연산부(70)는 감지센서(52,62)가 차량의 태그(59,69)를 리딩하고, 리딩된 차량 식별정보를 통신유닛(58,68)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혹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정당한 주차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경고부(54,6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경고방송 혹은 램프 점멸을 실시한다.
한편, 상기 출력부(49)는 관리서버(7)에 의하여 연산된 주차정보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관리서버(7)는 출력부(49)를 통하여 주차 정보를 주차장의 앱 운영자 서버로 전송하고, 앱 운영자 서버는 해당 주차 정보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현재 주차가능한 주차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차종의 주차 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복잡한지 여부도 알 수 있어서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 혹은 장애인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인이 정당하게 주차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주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48)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제공부(48)는 DB화된 주차정보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open API 통계분석 도구 등 사용 개발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에게 편리한 공공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오픈 API 분석도구는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즉, 오픈 API 분석도구는 개발자 포털과 오픈 API 서버로 구성된다.
그리고 개발자 포털은 API 메뉼얼과, 접속로그, 분석도구로 구성됨으로써, 개발자들은 포털에 접속하여 DB화된 주차정보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오픈 API 서버는 API 등록, 인증관리, 트래픽 제어, 통계관리, 보안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픈 API 서버는 공공 주차장이나 민간 주차장과 연계함으로써 주차 정보를 DB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오픈 API 서버는 개발자들이 스토어 플랫폼에 개발자 등록을 하고, 승인을 받은 후 API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API 정보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배포하거나 서버에 등록한다.
사용자는 API를 호출하여 인증을 거친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오픈 API 서버는 주차관제센터의 리소스 서버와 연동함으로써 주차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픈 API는 개발자들에게 공공 데이터를 개방함으로써 공공시설 등에 구축된 ICT 인프라를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 들과 같이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주차 관제서비스의 효용가치를 향상시키고, 비어있는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입출구에 배치된 표시판(13)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판(13)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ED를 이용한 전광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광판에는 현재 주차대수와, 빈 자리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무선 관제 시스템에 의하여 주차장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방법은 주차장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차량 입출입 상황을 파악하여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 1단계(S100)와;
판단된 주차 가능여부를 통신유닛(5)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관리서버(7)는 주차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가능여부, 주차비 등의 관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9)로 전송하거나 주차장 입구의 표시판(13)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제 3단계(S120)와;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주차장을 선택하여 주차하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로 진행되는 무선 주차 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감지센서(3)를 이용하여 주차 가능 구역을 감지하게 된다.
즉, 감지센서(3)는 주차장의 입구 혹은 각 주차면(15)에 설치되며, 적외선과, 자기장과, 주파수를 복합적으로 결합한 방식을 적용한다.
그리고, 적외선 감지부(19)는 발광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이 차량에 부딪혀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여 차량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자기장 감지부(21)는 차량이 상부를 통과할 때 주위 자기장의 변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출입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주파수 감지부(23)는 차종별로 고유한 진동수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여부를 파악하고, 또한 차종별로도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센서(3)는 3가지 방식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차량의 입출입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 바, 먼저 적외선 신호와, 자기장 신호와, 주파수 신호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3가지의 신호중 1가지 혹은 2가지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거나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나머지 1가지 혹은 2가지 신호에 의하여 차량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입력된 신호값이 해당 신호의 기 설정된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한다. 즉, 적외선 신호의 경우 적외선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 변동폭이 설정된 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하고,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차량이 아니라 보행자 혹은 다른 이동체로 판단한다.
자기장 신호의 경우, 자기장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의 변동폭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주파수 신호의 경우, 주파수의 변동에 따른 전압값의 변동폭이 설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여부가 확인되면, 주파수 신호를 분석하여 차종별로 분류하는 단계가 추가로 진행될 수 있다. 즉, 경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의 엔진음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므로 차종별 주파수 대역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입력된 주파수 대역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비교함으로써 감지된 차량을 차종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단계(S110)에서는 각 감지센서(3)는 라우터(R) 및 통신유닛(5)을 통하여 유, 무선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서버(7)로 주차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 3단계(S120)에서는 관리서버(7)가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주차정보에 의하여 빈자리 및 주차 관련한 데이터를 연산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리서버(7)는 차량 입출입 정보에 의하여 제 1연산부(40)가 현재 주차현황을 연산하는 제 5단계(S140)와;
파악된 주차정보를 분석하여 제 2연산부(42)가 차종별 주차 가능대수를 연산하는 제 6단계(S150)와;
제 3연산부(44)가 일정 기간의 주차 현황을 분석하여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는 제 7단계(S160)와;
제 1 및 제 2연산부(42)에 의하여 연산된 데이터에 의하여 주차면(15)별로 차등된 주차비용을 제 4연산부(46)에 의하여 연산하는 제 8단계(S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주차 방법에 있어서, 제 5단계(S140)에서는 제 1연산부(40)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입차 대수를 파악하고, 출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출차대수를 파악한다.
그리고, 입차대수와 출차대수에 의하여 현재 주차된 차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주차면수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면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주차 가능 대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파됨으로써 운전자들은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여부를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 6단계(S150)에서는 제 2연산부(42)가 연산된 주차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종별로 주차 가능한 대수를 연산한다.
즉, 주차장에 입차된 대수와 출차된 대수를 연산할 때, 주파수 감지부(23)의 신호에 의하여 해당 차량이 경차, 소형, 중형, 대형인지도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감지부(23)는 각 차량의 엔진 주파수에 대한 데이터를 DB화함으로써 차량의 입출차 여부 뿐만 아니라 해당 차량의 차종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연산부(42)는 해당 차량의 차종을 구분하고, 또한 해당 차량이 주차된 구역도 파악함으로써 현재 주차가능 여부 뿐만 아니라, 차종별 주차가능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러한 구체적인 주차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으로 주차가능한 주차장 뿐만 아니라, 해당 차종의 주차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7단계(S160)에서는, 제 3연산부(44)가 제 1연산부(40)에 의하여 파악된 주차 정보를 일정 기간 누계하여 빅테이터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게 된다.
즉, 1주일중 주차 차량 대수가 가장 많은 요일과 적은 요일 등 요일별로 분석한다. 혹은 하루중 시간대별로 주차 현황을 분석한다. 물론, 계절별 또는 지역별로도 주차 현황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3연산부(44)가 계절별, 요일별, 시간별 주차 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이러한 데이터를 향후 주차장 운영 등에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주차장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8단계(S170)에서는, 제 4연산부(46)가 제 3연산부(44)와 상호 연동함으로써 주차비를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차비를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달리 책정하는 방식이다.
즉, 교통량이 많은 월요일 혹은 금요일, 주말의 경우에는 주차를 하려는 차량이 주차면수 보다 많음으로 주차장에 차량들이 몰리게 되며, 다른 요일에는 차량이 적어서 주차면수가 남게 된다.
또한, 하루중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주차장이 복잡하고, 다른 시간대에는 한가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 상황들을 빅데이터화함으로써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1차적으로는 주차장이 복잡한 시간과 한가한 시간을 구분하여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복잡한 시간을 피하여 운행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4연산부(46)는 이러한 주차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비를 차등화함으로써 2차적으로는 주차장 광고에 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즉, 주차비가 저렴한 요일, 시간대를 운전자들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를 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저렴하게 주차할 수 있는 해당 주차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비를 차등함으로써 운전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주차할 수 있고, 주차장 관리자는 한가한 시간대의 잉여 주차면수를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 주차장 매출액을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주차비 차등화에 따른 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즉, 한가한 시간대에 방문한 운전자들에게는 저렴한 주차비 뿐만 아니라, 쿠폰을 추가적으로 발행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주차비 할인 등의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쿠폰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온라인으로 발행될 수도 있고, 오픈라인인 주차장 현장에서 직접 발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차현황을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파악하여 주차비를 차등적으로 책정함으로써 더 많은 운전자들을 주차장으로 이끌어서 주차 수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 3단계(S120)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7)가 거주차 우선 주차구역의 주차자 혹은 장애인 여부를 판단하는 제 9단계(S180) 및 제 10단계(S190)를 추가로 포함한다.
즉, 상기 제 9단계(S180)에서는, 제 5연산부(70)는 감지센서(52,62)가 차량의 태그(59,69)를 리딩하고, 리딩된 차량 식별정보를 통신유닛(58,68)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혹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만약 정당한 주차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경고부(54,6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경고방송 혹은 램프 점멸을 실시하는 제 10단계(S190)를 진행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3단계(S120)에서 관리서버(7)는 연산된 주차정보를 출력부(49)를 통하여 운전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관리서버(7)는 출력부(49)를 통하여 주차 정보를 주차장의 앱 운영자 서버로 전송하고, 앱 운영자 서버는 해당 주차 정보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들은 4단계와 같이, 현재 주차가능한 주차장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차종의 주차 가능 여부도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복잡한지 여부도 알 수 있어서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유도시스템 및 무선주차관제시스템 개발을 통해 주차장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비어 있는 주차장을 쉽게 안내받아 주차할 수 있고, 주차장 사업자는 효율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59)와;
    주차면에 설치되며 태그(59)에 저장된 차량 인식 정보를 판독하는 감지센서(52)와;
    감지센서(52)로부터 전송된 차량정보를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통신유닛(58)과;
    통신유닛(5)으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의하여 차량 출입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주차장 데이터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주차현황와, 거주자 우선 구역의 주차차량 혹은 장애인 차량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관리서버(7)와;
    관리서버(7)로부터 주차현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9)와; 그리고
    차량 식별결과 거주자 혹은 장애차량이 아닌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부(54)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3)는 주차장 입구 혹은 주차면(15)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케이스(17)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적외선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19)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장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자기장 감지부(21)와; 케이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주파수에 의하여 차량을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23)와; 상기 태그의 데이터를 리딩하는 RFID 센서(24)와; 적외선, 자기장, 주파수 감지부(23), RFID센서(24)와 연동하여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출입여부를 연산하는 제어모듈(25)과; 각종 신호에 대한 기준값 및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제어모듈(25)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를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29)와; 전원부(27)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감지부(23)는 차량의 주파수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통과유무와, 차량을 차종별로 구분하고, 이러한 차종별 정보는 관리서버(7)에 의하여 DB화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7)는 차량 입출입 정보에 의하여 현재 주차현황을 연산하는 제 1연산부(40)와; 파악된 주차정보를 분석하여 차종별 주차 가능대수를 연산하는 제 2연산부(42)와; 일정 기간의 주차 현황을 분석하여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는 제 3연산부(44)와; 주차 현황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운전자들에게 제공하는 출력부(49)와; 제 1 및 제 2연산부(42)에 의하여 연산된 데이터에 의하여 주차면(15)별로 차등된 주차비용을 연산하는 제 4연산부(46)와; 감지센서(52,62)가 차량의 태그(59,69)를 리딩하고, 리딩된 차량 식별정보를 통신유닛(58,68)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혹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연산부(70)와; 주차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48)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제 4연산부(46)는 제 1연산부(40)에 의하여 연산된 주차 정보와, 제 3연산부(44)에 의하여 연산된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여, 주차 빈도가 낮은 시간대의 주차비를 낮게 책정하고, 주차 빈도가 높은 시간대의 주차비는 높게 책정함으로써 주차비를 차등 책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광고를 함으로써 운전자들이 저렴하게 주차할 수 있는 해당 주차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무선 관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7)와 연계하여 주차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분석하고, 데이터를 공개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유도하는 API서버(11)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
  7. 주차장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차량 입출입 상황을 파악하여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 1단계(S100)와;
    판단된 주차 가능여부를 통신유닛(5)을 통하여 관리서버(7)로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관리서버(7)는 주차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가능여부, 주차비 등의 관련 정보를 운전자의 단말기(9)로 전송하거나 주차장 입구의 표시판(13)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제 3단계(S120)와; 그리고
    운전자가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주차장을 선택하여 주차하는 제 4단계(S130)를 포함하며,
    제 3단계(S120)는, 관리서버의 제 5연산부(70)가 감지센서(52,62) 및 통신유닛(58,68)을 통하여 수신된 차량의 태그(59,69)의 차량 식별정보를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차량이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정당한 주차자인지 혹은 장애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9단계(S180)와;
    정당한 주차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경고부(54,64)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경고방송 혹은 램프 점멸을 실시하는 제 10단계(S190)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제 3단계(S120)는, 관리서버(7)가 차량 입출입 정보에 의하여 제 1연산부(40)가 현재 주차현황을 연산하는 제 5단계(S140)와;
    파악된 주차정보를 분석하여 제 2연산부(42)가 차종별 주차 가능대수를 연산하는 제 6단계(S150)와;
    제 3연산부(44)가 일정 기간의 주차 현황을 분석하여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을 분석하는 제 7단계(S160)와;
    제 1 및 제 2연산부(42)에 의하여 연산된 데이터에 의하여 주차면(15)별로 차등된 주차비용을 제 4연산부(46)에 의하여 연산하는 제 8단계(S170)를 포함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 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제 5단계(S140)에서는 제 1연산부(40)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입차 대수를 파악하고, 출구에 설치된 감지센서(3)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의하여 출차대수를 파악함으로써 입차대수와 출차대수에 의하여 현재 주차된 차수를 연산하여 현재 주차 가능한 주차면수를 파악할 수 있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8단계(S170)에서는, 제 4연산부(46)가 제 3연산부(44)에 의하여 연산된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 주차 패턴에 의하여 계절별, 요일별, 시간대별로 주차비를 차등 책정하는 무선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


KR1020160034123A 2016-03-22 2016-03-22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KR101830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23A KR101830677B1 (ko) 2016-03-22 2016-03-22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123A KR101830677B1 (ko) 2016-03-22 2016-03-22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16A true KR20170109916A (ko) 2017-10-10
KR101830677B1 KR101830677B1 (ko) 2018-02-21

Family

ID=6019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123A KR101830677B1 (ko) 2016-03-22 2016-03-22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6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5858A (zh) * 2018-09-07 2018-12-18 桂东县三联智能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停车场智能化管理系统
CN109979207A (zh) * 2017-12-27 2019-07-05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确定地块车流量的方法
KR20200008807A (ko) * 2018-07-17 2020-01-29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200080B1 (ko) * 2019-08-14 2021-01-08 한국공항공사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시스템 및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방법
KR102268178B1 (ko) * 2021-02-02 2021-06-22 (주)그린아이티코리아 감지영역 지정 구조를 가진 자기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CN113269966A (zh) * 2021-07-21 2021-08-17 广东新中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磁大数据软硬件结合的时空态势感知模型
WO2021230825A1 (en) * 2020-05-11 2021-11-18 GOSPACE Tech s. r. o. Method for detection of presence of a motor vehicle in a monitored zone with identification of its engine type and detec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15B1 (ko) * 2019-04-22 2020-05-04 설진길 주차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596A (ja) * 2000-09-29 2002-06-21 Joho Kagaku Kenkyusho:Kk 駐車場自動管理設備と自動空車情報通知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207A (zh) * 2017-12-27 2019-07-05 北京清华同衡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确定地块车流量的方法
KR20200008807A (ko) * 2018-07-17 2020-01-29 (주)다온텍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CN109035858A (zh) * 2018-09-07 2018-12-18 桂东县三联智能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停车场智能化管理系统
KR102200080B1 (ko) * 2019-08-14 2021-01-08 한국공항공사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시스템 및 관제통신장비 통합 알람 방법
WO2021230825A1 (en) * 2020-05-11 2021-11-18 GOSPACE Tech s. r. o. Method for detection of presence of a motor vehicle in a monitored zone with identification of its engine type and detection device
KR102268178B1 (ko) * 2021-02-02 2021-06-22 (주)그린아이티코리아 감지영역 지정 구조를 가진 자기 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CN113269966A (zh) * 2021-07-21 2021-08-17 广东新中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磁大数据软硬件结合的时空态势感知模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677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677B1 (ko)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US11477872B2 (en) Application framework for interactive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170104868A (ko)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유도시스템
US201601408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on Location Tracking
Idris et al. Car park system: A review of smart parking system and its technology
CA2843287C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US5488360A (en) Vehicl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KR101676363B1 (ko) 주차장 관리용 공유주차 관리시스템
US20150356498A1 (en) Wirelessly managing parking
JP4461977B2 (ja) 道路混雑度予測システムおよび道路混雑度予測装置
WO2015004325A1 (en) Parking system
US2020029654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monitoring system
US119782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parking management and invitation-based permitting
Vital et al. Survey on intelligent truck parking: Issues and approaches
KR20040021745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Someswar et al. Design & development of an autonomic integrated car parking system
KR101527206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8926A1 (en) Eliminating use of a mobile printing device in issuing a record of transaction activity information
KR102105864B1 (ko) 비콘을 이용한 유휴 주차장 스마트 예약 및 이용 시스템
KR20190119945A (ko) 스마트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Mujčić et al. Smart Parking System Based on Arduino SD Card Ajax Web Server
Kotb Smart Parking: Guidance, Monitoring and Reservations
KR20020008252A (ko)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Shavrova Logistical process optimization for the handling of historical vehicles in relation to automated Track and T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