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206B1 -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206B1
KR101527206B1 KR1020140102562A KR20140102562A KR101527206B1 KR 101527206 B1 KR101527206 B1 KR 101527206B1 KR 1020140102562 A KR1020140102562 A KR 1020140102562A KR 20140102562 A KR20140102562 A KR 20140102562A KR 101527206 B1 KR101527206 B1 KR 10152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sensor
rada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자
Original Assignee
(주)미래엔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엔씨티 filed Critical (주)미래엔씨티
Priority to KR102014010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센서노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dmittance to parking place}
본 발명은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병원, 공항, 백화점, 쇼핑몰, 관공서, 아파트, 오피스텔 등 대형 주차장에서는 해당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중앙의 관리실(또는 관제실)이나 출구의 정산소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주차장의 만차 여부, 주차 가능 대수 등을 운전자에게 표시하고,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매우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각 단위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또는 공차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루프코일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루프코일 방식은 단위 주차 공간의 콘크리트 바닥 밑에 루프코일을 매설한 후 차량의 진입 여부에 따라 변화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루프코일 방식은 기존 주차장의 경우 콘크리트를 커팅한 후 루프코일을 매설하고 표면을 재코팅해야 하는 등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비가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루프코일 방식은 주차 공간의 관리를 지능화하는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또 다른 방식은 각 단위 주차 공간의 천장에 부착되는 초음파 센서에서 바닥을 향해 초음파를 주사되여 바닥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함으로서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초음파는 기후와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차량뿐만 아니라 다른 사물이나 사람도 감지할 수 있어서 차량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없다. 나아가 초음파 센서 부착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해 설치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1: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9403호: 주차 안내 및 관리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주차 면에 부착이 가능하며 현재 차량이 주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장출입구에 부착하는 센서로 차량의 입·출입 시 차량 대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의 현재 상태를 주차장의 내부 지도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주차장에서 측정된 주차 면수 및 주차 비율 결과를 취합하여 네비게이션 지도와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는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센서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제1센서부는 유전체공진기(DR, dielectric resonator)를 사용한 CW(continuous wave) 레이더일 수 있다.
상기 센서노드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센서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센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차장 내의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며,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의 출입시 차량 수를 카운트하는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또는 상기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장치,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차 관련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주차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주차 공간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레이더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련 정보는 센서 노드로부터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로부터의 주차장 출입 차량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주차장에 대한 맵 정보, 실시간 주차장 정보, 상기 맵 정보에 기반으로 생성되는 주차장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주차 면에 부착이 가능하며 현재 차량이 주차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주차장출입구에 부착하는 센서로 차량의 입·출입 시 차량 대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현재 상태를 주차장의 내부 지도와 함께 제공하거나, 각 주차장에서 측정된 주차 면수 및 주차 비율 결과를 취합하여 네비게이션 지도와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주차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정보의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주차장에 진입하기 위해 대기하는 차량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교통 혼잡(Traffic Jam)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목적지를 향해 가는 과정에서 목적지 근처의 주차 공간들 중에서 가장 가깝고 주차 가능한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파악하여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위치와 현재 상태, 그리고 가격 정보를 함께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법 주차의 비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으로 주차장의 현재 상황을 관찰 및 관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주차장주 또는 건물소유주 입장에서는 그동안 현금 결제와 직원 비리로 관리되지 않았던 추가 수익들을 창출할 수 있고, 국가 입장에서는 추가적인 세금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센서 노드의 CW 레이더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100),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 중계장치(300), 주차관리서버(400), 클라이언트 단말(500)을 포함한다.
센서 노드(100)는 주차장 내의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며,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센서 노드(100)는 송수신된 RF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레이더는 유전체공진기(DR, dielectric resonator)를 사용한 CW(continuous wave) 레이더 일 수 있다.
센서 노드(100)는 주차장 내부의 각 면마다 부착되어, 현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정보를 주차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 장치(300)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주차장의 주차면 센싱은 다수의 센서노드(100)가 필수이며 공간적으로는 비교적 원거리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센서노드(100)는 예컨대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중계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센서 노드(100)는 레이더 방식을 이용하므로, 온도, 습도, 바람, 눈, 비, 직사광선, 소음, 조명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차량을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노드(100)는 극초단파의 레이더 기술과 무선통신과 배터리 내장으로 IoT(사물 인터넷)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전기와 통신 인입을 위한 Raceway 구축 등 일체의 부대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노드(100)는 주차 공간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노드(100)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 레이더를 동작시키고,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레이더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므로, 센서 노드(100)의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센서 노드(100)는 온도 센서를 통해 주차 공간 또는 주차장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를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를 근거로 레이더 동작 신호 또는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 화재 발생 온도 범위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범위일 수 있고, 화재 발생 온도 범위는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노드(100)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에 속하면, 레이더 동작 신호를 발생하여 레이더에 전압을 인가 및 레이더를 동작시켜 차량 주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화재 발생 온도 범위에 속하면, 센서 노드(100)는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화재 발생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센서 노드(100)는 화재 감지 신호를 중계장치(300)를 통해 주차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중계장치(300)는 화재 발생을 알리거나, 주차장에 구비된 별도의 알람장치(미도시)를 통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노드(100)는 예컨대, 레이더 센서일 수 있고, 센서 노드(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는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의 출입시 차량 수를 카운트한다.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는 주차장 출입구에 부착하는 센서로 차량의 입·출입 시 차량 대수를 카운트한다.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를 통한 결과 값은 주차장 내부에 차량 비율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준다. 주차 면을 지키지 않고 주차한 차량의 경우 주차 면에 부착된 센서 노드(100)만으로도 판별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를 통해 이중으로 주차장 내부 상황을 파악한다.
중계 장치(300)는 센서 노드(100) 또는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주차 관련 정보는 차량 주차 유무 정보, 주차장 출입 차량 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 주차 유무 정보는 해당 센서 노드에 부여된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계장치(300)는 예컨대, 게이트웨이, 라우터, 리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장치(300)는 근거리 통신 예컨대, 지그비를 이용하여 센서노드(100) 또는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차 관리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중계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주차 관련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실시간 주차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주차 현황 정보는 주차장별로 생성되고, 맵 정보, 실시간 주차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중계 장치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를 취합하고, 주차장의 현재 상태를 숫자와 지도로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주차 관리 서버(400)는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지도를 기반으로 주차장의 위치 및 실시간 주차 면수를 포함한 주차장 정보들을 제공한다. 주차 현황 정보(주차장 현재 상태)는 주차장 외부에 위치한 표시 장치(미도시) 등을 통해서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차량 네비게이션 또는 실시간 네비게이션 시스템 또는 텔레매틱스 시스템과 연계하여 주차장의 현재 상태를 보여준다. 즉, 운전자가 목적지를 설정할 경우, 주차 관리 서버(400)는 목적지에서 가장 가깝고 현재 주차가 가능한 주차장을 선택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운전자가 주차장 선택 시 주차장을 목적지로 안내하도록 변경하고 주차장에 새로운 사용자의 예약을 알린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중계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주차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가공하여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주차장 운영자에게도 실시간으로 주차정보를 제공하며, 각종 통계정보를 제공하여 주변도로와 주차장들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실시간 주차 공간을 안내하고, 예약 주차 및 주차료 정산까지 클라이언트 단말(500)을 이용하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중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구역 별 주차 여부 정보를 해당 주차구역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주차구역의 식별 정보는 주차구역마다 각각 설치된 센서 노드(100)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주차 관리 서버(400)는 중계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해당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주차구역의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차구역 별 주차 여부 정보와 차량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주차 관리 서버(400)는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서버(400)는 서버(Server)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장치의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서버(300)는 단일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주차장만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주차 관리 서버(400)는 통신망으로 연결 가능한 복수 개의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500)은 웹 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주차 관리 서버(400)로부터 주차장에 대한 맵 정보, 실시간 주차장 정보, 맵 정보에 기반으로 생성되는 주차장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 단말(500)은 웹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 공간들을 보여주고, 주차 가격, 현재 위치부터의 거리, 주차 가능 여부, 가능한 서비스 등을 보여준다. 원하는 주차 자리는 미리 예약할 수 있고, 예약 시 현재 위치로부터 예약된 주차장까지 가야하는 길을 안내해준다.
클라이언트 단말(500)은 주차 관리 서버(400)와 통신이 가능하거나,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 랩톱(laptop) 컴퓨터, 태플릿(tablet) 컴퓨터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공간에서 출차하거나 주차공간에 입차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차량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차를 관리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센서 노드(100) 및 주변장치들을 통하여 주차장의 모든 주차면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취합하고, 관리자에 의해 주차면을 예약한 정보를 표출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기존의 주차관제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차한 시간을 계산하고 주차요금을 부과하는 역할도 가능하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면에 언제 주차를 했고, 언제 출차를 하였는지를 주차 관리 서버에 저장하며, 이 기초자료를 통하여 실시간 주차가능 대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시간에 따른 주차요금 및 통계자료를 추출하여 부가적인 주차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간단한 사례로 ITS(Information Traffic System)과 연동하여 가변정보판(Variable Message Sign)을 통한 주차정보 제공은 물론 네비게이션을 통한 주차면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모든 주차장에서 주차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도로에 있는 운전자에게 주차정보를 제공하고, 운전자가 해당 주차장 내로 이동하면 신속하게 주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한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센서 노드(100)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통해 주차장의 화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노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센서 노드의 CW 레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노드(100)는 제1센서부(110), 제어부(130), 통신부(140),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제1센서부(110)는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1센서부(110)는 유전체공진기(DR, dielectric resonator)를 사용한 CW(continuous wave) 레이더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센서부(110)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센서노드(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30)의 판단결과(즉, 차량 주차 유무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방식 예컨대,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중계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전원부(150)는 센서노드(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센서 노드(100)는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부(120)는 예컨대,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제2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제1센서부(110)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1센서부(110)를 동작시키고, 제1센서부(110)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한다.
즉, 제1센서부(110)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가, 제2센서부(12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이면, 전원부(150)가 제2센서부(12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센서부(110)는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어부(130)는 제1센서부(110)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한다.
이 경우의 제1센서부(110) 즉, CW 레이더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CW 레이더(110)는 전원이 인가되면 Tx(송신부)를 통해 RF(전파)를 송신한다. 송신된 RF 신호는 차량에 반사되어 Rx(수신부)를 통해 돌아오고, 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출력은 Rx된 신호를 통신부(140)로 연결하는 부분이고, 전원부(150)는 레이더 전체 전원일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high(+3.3V)로 될 때, 레이더가 동작하는 부분이다. 제2센서부(온도센서)(110)는 제어부(130)에 연결하고,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 되면, 전원을 인가한다.
이러한 CW 레이더(110)는 발진기(Oscillator)를 IC로 구성하지 않고, DR을 이용하여 저렴하고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DR에 전원이 인가되면 발진 주파수가 f0, f1, f2의 형태로 고조파 성분이 발생한다. 이때, X-band외 영역의 고조파 성분은 노이즈가 되므로, 간단한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필터(microstrip line filter)를 구성하여 제거할 수 있다. Tx된 신호가 Rx로 되돌아 온 후, OP-Amp를 이용하여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유무를 판단한다.
CW 레이더(110)는 차량이 진입하여 온도가 기 설정된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만 CW(RF) 신호를 발사하고, 이로 인해 전체 시스템 전력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센서 노드(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 노드(100)는 대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온도 센서(120)의 온도변화로 제1센서부(레이더)(110)에 전압이 인가되면, 레이더(110)가 동작한다. 레이더(110)는 RF 신호를 송신하고, 그 결과로 RF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RF 신호는 아날로그이므로, 제어부(130)는 아날로그 형태의 RF 신호를 디지털 신호 즉, 펄스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펄스 신호를 통신부(140)의 인터럽트 핀에 입력한다. 그러면, 통신부(140)가 동작하여 펄스 신호를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펄스 신호는 주차 관련 정보일 수 있고,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장치는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관련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주차 관리 서버는 고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센서 노드가 설치된 주차 공간의 주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센서노드 110: 제1센서부
120 : 제2센서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부 150 : 전원부
200 :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 300 : 중계장치
400 : 주차관리서버 5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7)

  1.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센서부;
    온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부는 유전체공진기(DR, dielectric resonator)를 사용한 CW(continuous wave) 레이더이며, 상기 CW 레이더는 상기 유전체공진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며,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샘플링을 통해 차량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인 경우, 상기 제1센서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1센서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된 RF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보다 높은 화재 발생 온도 범위인 경우, 화재 감지를 판단하고 주차 관리 서버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노드.
  2. 삭제
  3. 삭제
  4. 주차장 내의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며,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의 출입시 차량 수를 카운트하는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노드 또는 상기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로부터 주차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주차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중계장치; 및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차 관련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주차 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주차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노드는, 유전체공진기(DR, dielectric resonator)를 사용한 CW(continuous wave) 레이더이며, 상기 CW 레이더는 상기 유전체공진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며,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샘플링을 통해 차량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주차 공간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인 경우, 상기 레이더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상기 레이더에서 송수신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주차 공간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레이더 동작 온도 범위보다 높은 화재 발생 온도 범위인 경우, 화재 감지를 판단하고 주차 관리 서버로 화재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련 정보는 센서 노드로부터의 차량 주차 유무 정보, 차량 출입 카운트 센서로부터의 주차장 출입 차량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주차장에 대한 맵 정보, 실시간 주차장 정보, 상기 맵 정보에 기반으로 생성되는 주차장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
KR1020140102562A 2014-08-08 2014-08-08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2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62A KR101527206B1 (ko) 2014-08-08 2014-08-08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562A KR101527206B1 (ko) 2014-08-08 2014-08-08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206B1 true KR101527206B1 (ko) 2015-06-10

Family

ID=5350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562A KR101527206B1 (ko) 2014-08-08 2014-08-08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02A (ko) * 2016-09-13 2018-03-21 문형자 전자파를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45174A (ko) * 2016-10-25 2018-05-04 (주)와이파이브 차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스토퍼
CN110249363A (zh) * 2017-12-11 2019-09-17 Jvc建伍株式会社 停车位管理系统、停车位管理方法以及程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020A (ko) * 2009-02-05 2010-08-13 (주)비투젠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실시간 주차면 관리와 3차원 가시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120126739A (ko) * 2011-05-12 2012-11-21 정철호 레이더가 형성된 센서노드 및 센서노드를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KR101300833B1 (ko) * 2011-12-09 2013-08-30 이도연 온도인식에 따른 전원제어가 가능한 이어폰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020A (ko) * 2009-02-05 2010-08-13 (주)비투젠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실시간 주차면 관리와 3차원 가시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120126739A (ko) * 2011-05-12 2012-11-21 정철호 레이더가 형성된 센서노드 및 센서노드를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KR101300833B1 (ko) * 2011-12-09 2013-08-30 이도연 온도인식에 따른 전원제어가 가능한 이어폰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02A (ko) * 2016-09-13 2018-03-21 문형자 전자파를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11713B1 (ko) 2016-09-13 2018-12-28 (주)미래엔씨티 전자파를 이용한 주차 차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45174A (ko) * 2016-10-25 2018-05-04 (주)와이파이브 차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스토퍼
KR102174378B1 (ko) 2016-10-25 2020-11-04 (주)와이파이브 차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스토퍼
CN110249363A (zh) * 2017-12-11 2019-09-17 Jvc建伍株式会社 停车位管理系统、停车位管理方法以及程序
CN110249363B (zh) * 2017-12-11 2023-02-03 Jvc建伍株式会社 停车位管理系统、停车位管理方法以及存储有程序的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vathi et al. Smart parking systems and sensors: A survey
Paidi et al. Smart parking sensor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for open parking lots: a review
CN107155407B (zh) 用于交互式光传感器网络的照明节点和系统
Patil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and RFID for smart parking system
Lee et al. Smart park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Idris et al. Car park system: A review of smart parking system and its technology
US9262921B2 (en) Route computation for navigation system using data exchanged with ticket vending machines
US20150356498A1 (en) Wirelessly managing parking
KR101830677B1 (ko)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관제시스템
JP2020523675A (ja) 駐車オブジェクト検出システム
US8854218B1 (en) Detection system
CN104952245A (zh) 一种智能停车系统
KR101929290B1 (ko) IoT를 이용한 신속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816155U (zh) 能够提供公交车行驶信息的服务器及公交车站牌
KR100991477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을 이용한 건물의 공동 편의시설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KR101527206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4868A (ko) Iot 요소기술 및 빅데이터 알고리즘 분석기법을 이용한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무선주차유도시스템
WO2015004325A1 (en) Parking system
Paidi et al. Smart parking tools suitability for open parking lots: A review
KR100956308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위치인식 모듈을 이용한 주차 안내시스템 및 안내 방법
WO2019221612A1 (en) A parking system and method
Mujčić et al. Smart Parking System Based on Arduino SD Card Ajax Web Server
TWI619097B (zh) 停車場管理系統
Reddy et al. Intelligent Parking Monitoring And Autonomous Billing System
Singh et al. Radio Frequency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real-time vehicle pa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