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211A -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211A
KR20170109211A KR1020170034554A KR20170034554A KR20170109211A KR 20170109211 A KR20170109211 A KR 20170109211A KR 1020170034554 A KR1020170034554 A KR 1020170034554A KR 20170034554 A KR20170034554 A KR 20170034554A KR 20170109211 A KR20170109211 A KR 20170109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coated paper
powder
adhesive layer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
조환석
백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
Publication of KR2017010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스프레이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2mm 미만 두께로 적층한 유도가열분말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 또는 유도가열분말층 또는 열전도성접착층은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의 용기본체 또는 바닥판 내,외측면에 기존의 알루미늄 금속판을 대체하는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인서트된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판 또는 용기본체를 제작함으로써 즉석 조리되는 음식물과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유도가열부재가 발열을 하더라고 그 표면으로부터 중금속 성분이 방출되지 않아 음식물에 혼합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열전도성은 그대로 유지되며, 특히 귀사문석이나 토르말린과 같은 천연광물 분말이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작용을 통하여 조리 과정에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면서 신속한 유도 가열 조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Induction Heating Fabric, Induction Cooking Container Using 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덕션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 바닥에 금속판을 대체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바닥판 및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금속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음식물에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조리용기는 대부분 유도 코일의 자기장에 반응을 위하여 금속(철)성분을 포함해야 한다. 최근에는 즉석식품을 가열하여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즉석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즉석식품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금속판을 가진 일회용 종이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와 관련된 제1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5417호 유도가열 조리가 가능한 종이용기가 있으며, 제2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89800호 인덕션 레인지용 일회용 조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1선행기술에 의한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는 금속판이 종이용기 바닥면에 부착되는 형태이고, 제2선행기술은 금속판 가장자리가 밑판과 측판이 조립될 때 그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선행기술은 금속판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담겨지는 식품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유도 가열에 의한 발열이 이루어짐으로써 금속판 표면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유출되어 식품에 함유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이재질로 된 일회용 종이용기는 저렴한 제조단가를 유지하기 위해 비교적 위생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 소재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단가가 저렴한 철 성분이 함유된 알루미늄 합금판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알루미늄으로부터 중금속 성분이 많이 유출될 수 밖에 없으며, 즉석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인덕션 가열 용 조리용기를 대량 생산하기 위한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5417호(2015.04.28) 한국등록특허 제10-1489800호(2015.01.2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 바닥에 금속판을 대체하는 유도가열분말층 또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인서트된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용기본체를 제작하여 인덕션 가열용 종이용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기존의 금속판이 발열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성분이 음식물에 혼합되지 않으면서도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과정에서 1차 조리 후 냉동 보관된 상태의 음식물의 영양소를 최소한으로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신속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리용기를 다 사용한 후에는 유도가열분말층 또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인서트된 원단으로 제작된 바닥판을 쉽게 분리하여 분리 수거 하고 금속 성분과 용기본체의 재료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스프레이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2mm 미만 두께로 적층한 유도가열분말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가열분말층은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 2mm 미만 두께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스프레이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크기 보다 작은 외경 크기로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포함된 유도가열분말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유도가열분말층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유도가열분말층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는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함유된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코팅지 및 하부코팅지 사이로 인써트 된 후 상기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4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함유된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코팅 원단으로 제조된 인덕션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코팅원단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코팅지 및 하부코팅지 사이에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진 가요성 금속박판을 가압 및 가열 융착 방식으로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 외곽 라인에는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절단안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원단으로 제작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하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조립되는 바닥판; 상기 용기본체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밴딩처리되거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융착 처리되어 밀폐되게 조립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는 코팅원단에 인서트 되기 위한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에는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판은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절곡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고,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7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접착층또는 열가소성 융착층을 가진 상부코팅지와 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2mm 두께의 가요성 금속박판을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드럼인쇄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가공 방식에 의해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인서트 한 후 열처리하여 가압하는 단계로 제작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에 사용되는 원단의 가장자리는 조리용기 본체 하단부와 열융착하기 위한 성형부를 제외하는 형태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코팅지 또는 상부코팅지 최상부의 방수층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덕션 조리용 종이용기의 용기본체 또는 바닥판 내,외측면에 기존의 알루미늄 금속판을 대체하는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인서트된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판 또는 용기본체를 제작함으로써 즉석 조리되는 음식물과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유도가열부재가 발열을 하더라고 그 표면으로부터 중금속 성분이 방출되지 않아 음식물에 혼합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열전도성은 그대로 유지되며, 특히 귀사문석이나 토르말린과 같은 천연광물 분말이 함유되어 있어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작용을 통하여 조리 과정에서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면서 신속한 유도 가열 조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다 사용한 후에는 유도가열분말층 또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인서트된 원단으로 제작된 바닥판을 절단안내선을 따라 쉽게 분리하여 분리수거하여 금속 성분과 용기본체의 재료를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재활용 가능한 일회용 조리용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구비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의 단면도와 요부확대도.
도 2 내지 도 5는 가요성 유도가열부재가 구비된 원단 구조와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조리용기를 만들기 위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은 크게 코팅층 형성방식과 박판을 가압 융착하는 방식으로 대별된다.
<인덕션 가열원단 코팅층 형성 방식>
먼저, 인덕션 가열원단 코팅층 형성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스프레이 또는 드럼인쇄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으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2mm 미만 두께로 적층된 유도가열분말층;을 포함한다.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는 서로 동일한 종이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투명 보호층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투명 보호층이 열에 의해서 용융되면서 서로 견실하게 열 접착되면서 서로 일체화될 수 있ㅇ으며, 조리식품이 가열되는 동안 국물이나 양념이 종이로 스며들지 않는 방수층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전성접착층은 일반 접착층 성분에 유도가열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유도가열분말층은 0.2mm 내지 0.7mm 형성될 수 있고, 인덕션 가열 대상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고성능 발열이 요구되는 경우 1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분말층에는 원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 성분에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기 유도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유도가열분말층을 형성한 다음 원단과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에는 유도가열분말층에서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원단쪽으로 열전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에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열전도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분말층은 도체로서 철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400계열 SUS와 같은 스테인레스 또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로서 귀사문석 분말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는 1.0mm 이상의 두께로 구비되는 경우 발열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0m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유도가열분말층의 두께는 0.007mm 이하이면, 열효율이 저하되고 열변형될 수 있고, 0.3mm 이상이면 가열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은 있지만 발열체의 전체무게가 증가되고 소재사용량 및 소재비중이 높아져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기 때문에 0.007 ~ 0.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전도성접착층은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의 이면 또는 양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것으로서, 실리콘접착제,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및 무기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고온의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성분은 상기 유도가열분말층에 일정두께로 실리콘접착제,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및 무기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유도가열분말층이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와 접착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판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조리 용기 바닥판은 상기 유도가열분말층이 내부에 인서트되어 있고,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는 용기본체 하단과 조립되기 위한 절곡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는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며,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와,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 2mm 미만의 두께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크기 보다 작은 외경 크기로 유도가열분말층을 적층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가열분말층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유도가열분말층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가열분말층을 원단 사이에 인서트 하면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롤 단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기존과 같이 사전제작된 조리용기 바닥면 별도의 융착 가공에 의해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 대량의 자동 생산이 가능해지며, 기존의 조리용기 생산 라인에 본 발명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해지므로 인덕션 가열에 의해 즉석 식품 제조 및 판매 사업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 사용한 조리용기의 유도가열분말층은 재활용을 위해 절단안내선을 따라 용기본체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분리수거가 가능해지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유도가열박판 가압열융착방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가열박판을 인써트하는 방식의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제공한다.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인서트되어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은 0.2mm 내지 0.7mm 형성될 수 있고, 인덕션 가열 대상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고성능 발열이 요구되는 경우 1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에는 원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 성분에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기 유도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원단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인서트 한 후 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에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에서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원단쪽으로 열전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에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분말이 혼합될 수 있다.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는 서로 동일한 종이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폴리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투명 보호층이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투명 보호층이 열에 의해서 용융되면서 서로 견실하게 열 접착되면서 서로 일체화될 수 있ㅇ으며, 조리식품이 가열되는 동안 국물이나 양념이 종이로 스며들지 않는 방수층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열전성접착층은 일반 접착층 성분에 유도가열이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유도가열박판은 0.2mm 내지 0.7mm 형성될 수 있고, 인덕션 가열 대상 즉석식품에 대응하여 고성능 발열이 요구되는 경우 1mm 이상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박판에는 원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접착제 성분에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기 유도 분말이 더 혼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유도가열박판을 원단과의 사이에 인써트 한 다음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압성형틀에 넣어 가압한 후 일체로 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접착제에는 유도가열박판에서 유도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이 원단쪽으로 열전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접착제에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분말이 혼합되어 열전도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박판은 도체로서 철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400계열 SUS와 같은 스테인레스 또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구리와 같은 비철금속을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로서 귀사문석 분말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는 1.0mm 이상의 두께로 구비되는 경우 발열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1.0mm 이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유도가열박판의 두께는 0.007mm 이하이면, 열효율이 저하되고 열변형될 수 있고, 0.3mm 이상이면 가열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은 있지만 발열체의 전체무게가 증가되고 소재사용량 및 소재비중이 높아져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기 때문에 0.007 ~ 0.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전도성접착층은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의 이면 또는 양면에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것으로서, 실리콘접착제,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및 무기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고온의 내열성을 갖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성분은 상기 유도가열박판에 일정두께로 실리콘접착제, 우레탄접착제, 에폭시접착제 및 무기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유도가열분말층이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와 일체로 접착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의 바닥판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조리 용기 바닥판은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이 내부에 인서트되어 있고,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는 용기본체 하단과 조립되기 위한 절곡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는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며,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본체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장치(미도시)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가열분말층을 원단 사이에 인서트 하면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롤 단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므로 기존과 같이 사전제작된 조리용기 바닥면 별도의 융착 가공에 의해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 대량의 자동 생산이 가능해지며, 기존의 조리용기 생산 라인에 본 발명의 원단을 사용하여 제조가 가능해지므로 인덕션 가열에 의해 즉석 식품 제조 및 판매 사업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 사용한 조리용기의 유도가열박판이 인써트된 용기 바닥판은 재활용을 위해 절단안내선을 따라 용기본체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분리수거가 가능해지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석식품 조리에 적합한 일회용 조리용기를 예를 들면,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하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조립되는 바닥판; 상기 용기본체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밴딩처리되거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융착 처리되어 밀폐되게 조립되는 뚜껑;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 또는 바닥판은 인덕션 가열용 원단 즉, 유도자기장에 의해 자체 발열하는 금속, 비금속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성분이 함유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포함하는 원단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는, 코팅원단으로 제조된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코팅원단은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2mm 두께의 가요성 금속박판을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드럼인쇄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으로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바닥판 일측면에는 유도가열부재를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절단안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절단안내선은 유도가열분말층 외곽라인을 따라 형성되어 다 사용한 조리용기 바닥판을 분리하여 재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는 코팅원단에 인서트 되기 위한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에는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기 유도 분말이 혼합되어 바닥판에 얹혀있는 즉석식품 쪽을 열전달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판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절곡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고,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상부코팅지와 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2mm 두께의 가요성 금속박판을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드럼인쇄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가공 방식으로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인서트한 후 열처리하여 가압하는 단계로 제작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판용에 사용되는 원단의 가장자리는 조리용기 본체 하단부와 열융착하기 위한 성형부를 제외하는 형태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는 원단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열전도성 접착층에는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자기 유도 분말이 혼합되어 조리용기의 바닥판으로 적용될 때 바닥면 내측면에서 유도 발열 현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의 원단에 인서트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는 상기 바닥판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과 상기 용기본체가 이루는 모서리에서 1mm 내지 10mm 이격된 영역을 제외한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은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절곡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유도가열부재를 포함한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며,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되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은 음이온을 다량 방출하는 토르말린 또는 귀사문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르말린과 귀사문석은 천연광물 중에서 자성을 가장 많이 띠는 광물로서,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열 작용이 탁월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코팅지 또는 상부코팅지의 방수층에 혼합할 수 있고, 유도가열분말층, 유도가열박판, 유도가열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토르말린은 전기석으로서 가열시 음이온 성분이 다량 방출되어 냉동 보관 중인 즉석식품에 음이온이 작용하는 경우 항균 및 살균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체라는 것은 전기장에 놓으면 전기분극이 생겨서 표면에 전하를 띄는 물질이지만 외부로부터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처음부터 전기분극을 갖고 있는 결정이 있는데, 이를 극성결정체라하며, 토르말린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토르말린은 약 1만년이상 전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화산폭발에 의해 용출된 마그마가 고온 고압에서 결정체를 이루면서 생성된 천연광물로서, 토르말린 결정에는 끊임없이 0.06mA의 미약전류가 흐른다는 사실을 밝혀졌고, 토르말린은 아무리 작게 분쇄하여도 각각 그 결정의 양단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존재하고 있으며 1000°C 가까이 가열하지 않는 한 영구히 감쇠하지 않는 전극을 갖는 특성이 있다.
토르말린의 전류, 즉 전자의 흐름은 태양에서 지구로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는데, 토르말린의 플러스(+) 성질을 가진 쪽은 끊임없이 태양의 마이너스(-) 전자를 빨아들이고 반대쪽에서는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토르말린의 결정은 0.06mA의 전류는 토르말린 결정에 수분(H2O)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며, 또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H2O)에도 작용하여 전기분해를 일으킵니다. 이때 물은 전기분해되고 물분자(H2O)는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로 분리되며, 분리된 수소이온(H+)은 마이너스(-)전극에 끌려서 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와 결합되어 중화되고 수소가스(H2)가 되어 증발합니다. 즉, 즉석식품에 함유된 물이 알카리 이온화가 됨으로써 즉석식품 고유의 맛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산이온(OH-)은 주변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히드록실(H3O2) 음(-)이온이라고 하는 계면활성물질이 발생되는 이 물질은 세정, 세탁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인덕션 가열시 발생하는 수분의 물분자와 결합을 통하여 인덕션 가열 조리부(미도시)에 적층되는 수분(물때)으로 인한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토르말인의 미약전류에 따른 토르말린의 전기분해의 물리작용은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질을 약알칼리화합니다. 인체의 경우에는 산성화된 체질을 알칼리화하며 신체 이온의 균형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건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유용한 작용이 즉석식품에 작용하면 식품 내부의 수분을 알칼리화하여 부드럽고 담백한 맛을 제공하며, 계면활성효과가 있기 때문에 세정효과를 향상시켜서 조리용기 내면의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토르말린은 즉석식품 냉동 보관시 탈취(소취), 항균, 부패방지등에서 매우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토르말린은 공기중 냄새를 토르말린에 의해 발생하는 음(-)이온 의해 냉동 보관되는 다양한 종류의 즉식 식품 냄새를 분해하거나 중화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그리고, 토르말린 성분이 함유된 원단은 인덕션 가열에 의해 음이온이 더욱 다량으로 방출됨으로써 즉석식품이 담겨진 조리용기 바닥판에 적용하는 경우 음(-)이온이 즉석식품 냉동 보관 중이나 인덕션 가열시 다량 침투하게 되고, 이러한 즉석식품을 취식하여 체내에 들어오면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면서 면역기능(살균능력, 항균능력)이 향상되고, 혈액을 정화하고,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토르말린에 의해 즉석식품을 취식한 사용자는 인체내에 음(-)이온이 증가됨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하여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면서 질병의 회복을 빠르게 해줄 뿐만아니라 내장, 혈관등을 자동 콘트롤하는 신경기능이 향상되어 조혈 작용도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방사율이 65%~70%정도인데 이에비해 토르말린은 98%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을 보이면서 방사체로서의 최고의 고효율성과 적합성을 나타내므로 토르말린이 내는 원적외선은 “육성광선”이라는 별명과 같이 인체의 자율신경 및 내분비에 작용하게 된다. 육성광선은 사람의 신체와 같은 생체의 발육과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원적외선 중에서도 가장 강력하며 4~14마이크론의 파장을 나타내며, 특히 인체나 공기, 물, 기타 물질과 공명공진하면서 음(-)이온을 발생합니다.
토르말린의 원적외선 발생량은 경이적으로 높은 수치로 나타내며, 강력한 열효과와 높은 침투력으로 인체에 혈액순환촉진 및 혈전용해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토르말린이 가열되면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즉석식품이 인덕션 가열 조리되므로 이러한 즉석식품을 장기간 섭취하면 혈액순환 활성화로 상처회복 및 면역성이 증대되고, 근육회복 및 통증을 완화하며, 체내 중금속, 독성물질, 노폐물을 배설하며, 피부미용과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귀사문석은 우리나라 부여, 공주 지역에서 나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희귀보광석으로서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철분, 규소등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천연기석으로서 마그네슘이 풍부하여 자성을 띠는 성질이 있으므로 자석에 붙는 것이 특징이며, 유도 코일에 의한 자기장에 의해 금속 또는 비금속에 비해 발열 작용이 매우 양호한 소재이다.
이러한 귀사문석은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며, 탁월한 항균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기타 효능을 살펴보면 동물이나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수면장애개선이나 전자파 및 수맥 차단 기능이 있으며, 특히, 음이온이 다량 발생하여 쾌활한 신체 리듬감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귀사문석은 한국건자재시험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상생원리선양회를 통해 99.5%의 항균 효과와 면역력 강화를 촉진하는 음이온 방사 기능, 또 생육 촉진 효능 등을 입증받은 광물이다.
이러한 귀사문석이 열전도성접착층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이나 후술된 유도가열박판 및 유도가열부재에 포함됨으로써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1차 조리된 후 냉동 보관 중인 조리식품에서 서식할 수 있는 유해 세균을 살균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조리과정에서는 유도코일에 의해 가열되면 그 발열작용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량이 극대화됨으로써 조리용기에 담겨진 냉동된 식품의 내부까지 원적외선이 신속히 전달됨으로써 즉석식품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켜 식품 고유의 영양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신속한 인덕션 즉석 조리가 가능하게 하여 1차 조리된 즉석식품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조리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스프레이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2mm 미만 두께로 적층한 유도가열분말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 또는 유도가열분말층 또는 열전도성접착층은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2. 제 1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 2mm 미만 두께로 유도가열반응 분말소재를 스프레이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크기 보다 작은 외경 크기로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포함된 유도가열분말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유도가열분말층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유도가열분말층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4. 인덕션 가열용 원단에 있어서,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
    이면에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는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함유된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코팅지 및 하부코팅지 사이로 인써트 된 후 상기 열전도성접착층과 가압 및 가열에 의해 융착되는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5. 제 4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전도성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를 공급하는 단계;
    열전도성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상부코팅지와 대향되게 공급하는 단계;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함유된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진 2mm 미만 두께의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덕션 조리용기 바닥면 외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박판을 인서트한 후 히팅프레스 장치에 의해 열처리 및 가압하여 인써트 성형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 폭으로 어레이 시킨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가요성 유도가열박판 외형 라인을 따라 절단안내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제조방법.
  7. 코팅 원단으로 제조된 인덕션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코팅원단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상부코팅지와, 이면에 열전도성 접착층이 형성된 하부코팅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코팅지 및 하부코팅지 사이에 2mm 미만 두께로 이루어진 가요성 금속박판을 가압 및 가열 융착 방식으로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방식으로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 외곽 라인에는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절단안내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부가 개방된 용기본체;
    상기 원단으로 제작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하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조립되는 바닥판;
    상기 용기본체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 상단부와 가장자리가 실링되게 밴딩처리되거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융착 처리되어 밀폐되게 조립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는 코팅원단에 인서트 되기 위한 열전도성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성 접착층에는 유도 자기장에 반응하여 자체 발열하는 도체로서 은, 구리, 알루미늄, 철 분말, 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도가열분말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판은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 부위에 절곡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표면에 방수층(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코팅되고, 펄프 단층지를 둥글게 말아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외측으로 말아 밴딩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 하단 내측에는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와 열에 의해 접착되면서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바닥면으로부터 3mm 내지 6mm 이내로 절곡된 융착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12. 제 7 항에 따른 인덕션 가열용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열전도성접착층 또는 열가소성 융착층을 가진 상부코팅지와 접착층을 가진 하부코팅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코팅지 표면에는 2mm 두께의 가요성 금속박판을 개재되거나 또는 유도가열분말층을 스프레이 또는 드럼인쇄 또는 스탬프 방식 또는 자력식 중에서 선택된 가공 방식에 의해 적층되며 조리용기 바닥면 형상에 대응하여 인써트 성형된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코팅지와 하부코팅지 사이에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인서트 한 후 열처리하여 가압하는 단계로 제작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사용되는 원단의 가장자리는 조리용기 본체 하단부와 열융착하기 위한 성형부를 제외하는 형태로 상기 가요성 유도가열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을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제조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팅지 또는 상부코팅지 최상부의 방수층에는 자성을 띠는 천연광물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광물은 토르말린 또는 귀사문석 분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34554A 2016-03-18 2017-03-20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09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90 2016-03-18
KR20160032490 2016-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211A true KR20170109211A (ko) 2017-09-28

Family

ID=60035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554A KR20170109211A (ko) 2016-03-18 2017-03-20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2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8A (ko) * 2018-01-29 2019-08-08 (주)이루미소프트 조리 용기
CN110575063A (zh) * 2018-06-11 2019-12-17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盖体和烹饪器具
KR20210032122A (ko) 2019-09-16 2021-03-24 청도원견공고집단유한공사 음식 용기
KR20220013033A (ko) 2020-07-24 2022-02-04 황해성 인덕션 렌지용 일회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648A (ko) * 2018-01-29 2019-08-08 (주)이루미소프트 조리 용기
CN110575063A (zh) * 2018-06-11 2019-12-17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盖体和烹饪器具
KR20210032122A (ko) 2019-09-16 2021-03-24 청도원견공고집단유한공사 음식 용기
KR20220013033A (ko) 2020-07-24 2022-02-04 황해성 인덕션 렌지용 일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211A (ko)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인덕션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3128671U (ja) 加熱保温用二重容器
WO2009092619A3 (en) Flexible and porous large-area electrode for heating
CN203208541U (zh) 磁疗器
CN202425073U (zh) 一种加热组件
CN208479968U (zh) 一种保健发热板
KR200264068Y1 (ko) 원적외선 온열매트
KR200402144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발열체
CN204998238U (zh) 一种理疗画
KR200407522Y1 (ko) 향소금이 함유된 전기찜질매트
KR20030062749A (ko) 전기매트용 방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4799A (ko) 가공 분쇄물이 삽입된 공기튜브단위체를 갖는 의료용전기매트
CN213665029U (zh) 一种杀菌、杀病毒马桶垫
KR20030062748A (ko) 전기매트용 방열판, 그것을 사용한 전기매트 및 방열판의제조방법
CN210095220U (zh) 一种砭石磁疗床垫
CN201171550Y (zh) 一种褥垫
KR100478336B1 (ko) 음이온 발생 건강매트
CN202820926U (zh) 水加热容器
KR101454213B1 (ko) 침대용 온열보료의 제조방법
KR20170141496A (ko) 전기석이 구비된 고무장갑
KR960005131Y1 (ko) 원적외선바이오세라믹 침대매트
CN211215004U (zh) 一种多功能磁疗热帖
KR101908271B1 (ko) 플라즈마 이온 살균장치가 구비된 단말용 케이스
KR20170109147A (ko) 인덕션 가열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492079B1 (ko) 액체 파동용 조절기를 구비한 건강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