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608A -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608A
KR20170108608A KR1020160032771A KR20160032771A KR20170108608A KR 20170108608 A KR20170108608 A KR 20170108608A KR 1020160032771 A KR1020160032771 A KR 1020160032771A KR 20160032771 A KR20160032771 A KR 20160032771A KR 20170108608 A KR20170108608 A KR 20170108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ucture
flame retardant
fire door
foam cor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표
강길호
김명희
지승욱
박인성
배성재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3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608A/ko
Priority to PCT/KR2017/002794 priority patent/WO2017160077A1/ko
Publication of KR2017010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우수한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는 발포폼 심재; 상기 발포폼 심재의 양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포폼 심재와 합착된 표면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폼 심재는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열경화성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FIREPROOF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우수한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화재는 막대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 결과, 최근에는 계속되는 건축물의 화재로 인해 화재에 대한 전반적인 관련 규정이 강화되고 있다.
방화문은 건축물의 화재시 사람을 대피시켜 인명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의무적으로, 아파트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등의 모든 건축물에서는 방화구역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방화구역의 입구에는 방화문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1시간 이상의 차염성능을 통과하기만 하면 방화문으로 인정받았으나, 최근에는 관련 규정이 강화되어 1시간 이상의 차염성 뿐만 아니라 30분 이상의 차열성을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화문은 단순히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만을 했다면, 최근 법 규정이 강화된 방화문은 대피 이후 인명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방화문은 철제 문 내부에 단열재가 들어가 있지 않거나, 글라스 울이 심재로 들어가 있는 구조인바, 강화된 관련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화문을 제작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072호(2004.06.10.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하니콤에 팽창질석을 삽입하여 제조하는 방화문/패널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우수한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는 발포폼 심재; 상기 발포폼 심재의 양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포폼 심재와 합착된 표면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폼 심재는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열경화성 발포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은 (a) 발포폼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발포폼 심재의 양면에 접착 부재 및 표면 마감재를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경화성 발포폼, 접착 부재 및 표면 마감재를 합착 및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은 발포폼 심재로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발포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염성 1 ~ 2시간 및 차열성 30 ~ 60분의 우수한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제의 첨가를 통해 열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는 무기계 심재를 사용하는 비차열 방화문과 차별되는 열경화성 발포폼을 심재로 적용한 차열 방화문 구조를 가지므로, 점차 강화되는 방화문 규정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55 ~ 100mm로 엄격히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뛰어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100)는 발포폼 심재(120), 접착 부재(140) 및 표면 마감재(160)를 포함한다.
발포폼 심재(120)는 방화문 구조체(100)의 중간에 배치되어 단열재의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포폼 심재(120)로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발포폼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열경화성 발포폼을 발포폼 심재(120)로 이용할 경우, 기존의 허니컴 구조 또는 글라스 울을 사용하는 비차열 방화문 구조체와 달리, 차염성 1 ~ 2시간 및 차열성 30 ~ 60분의 내화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포폼 심재(120)는 40 ~ 10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폼 심재(120)의 두께가 40mm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내화성능의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발포폼 심재(120)의 두께가 100mm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화성능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나, 두께 증가로 인한 무게 상승으로 경량화 추세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발포폼은 본질적으로 유기물이기 때문에 무기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열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였다.
따라서, 발포폼 심재(120)로는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열경화성 발포폼을 이용하였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우레탄, 페놀,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및 할로겐계 난연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계 난연제로는 트리크레질 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질 포스페이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이소옥틸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트리자일렌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디이소옥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구아니딘 포스페이트, 멜라민포스페이트, 멜라민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폴리포스페이트, 모노암모늄포스페이트, 디암모늄포스페이트,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수화물계 난연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칼슘하이드록사이드, 탄산마그네슘-칼슘, 칼슘 알루미네이트 수화물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난연제는 평균 입자 직경이 5 ~ 3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5㎛ 미만일 경우에는 난연제의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난연제의 평균 입자 직경이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발포셀의 파손으로 단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난연제는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 중량부로 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난연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난연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가공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접착 부재(140)는 발포폼 심재(120)의 양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접착 부재(140)는 발포폼 심재(120)와 표면 마감재(16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발포폼 심재(120) 및 표면 마감재(140) 상호 간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접착 부재(140)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EVA(ethylene co-vinyl acetate), PVAc(polyvinyl acetate)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부재(140)가 접착제일 경우에는 그라비아 인쇄 공법, 롤투롤(Roll-to-Roll) 방식의 스크린 인쇄 공법 및 플렉소 인쇄 공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코팅, 롤코팅 등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법을 이용하여 적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 부재(140)의 두께는 10 ~ 1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부재(140)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적정 수준 이상의 접착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접착 부재(140)의 두께가 1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제의 사용량 증가로 제품의 경도가 낮아지며,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표면 마감재(160)는 접착 부재(140)의 양면에 배치되어, 발포폼 심재(120)와 합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100)는 발포폼 심재(120)가 중간에 배치되며, 발포폼 심재(120)의 양면에 접착 부재(140) 및 표면 마감재(160)가 차례로 적층되는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
표면 마감재(160)는 아연도금 강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마감재(160)는 0.5 ~ 1.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표면 마감재(160)의 두께가 0.5mm 미만일 경우에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휘어져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반대로, 표면 마감재(160)의 두께가 1.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며, 방화문의 무게 증가와 가격 증가로 인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는 발포폼 심재로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발포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염성 1 ~ 2시간 및 차열성 30 ~ 60분의 우수한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제의 첨가를 통해 열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는 무기계 심재를 사용하는 비차열 방화문과 차별되는 열경화성 발포폼을 심재로 적용한 차열 방화문 구조를 가지므로, 점차 강화되는 방화문 규정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40 ~ 100mm로 엄격히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뛰어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은 발포폼 심재 형성 단계(S110), 적층 단계(S120) 및 합착/재단 단계(S130)를 포함한다.
발포폼 심재 형성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폼 심재 형성 단계(S110)에서는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 혼련한 후,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켜 발포폼 심재(120)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포폼 심재(120)는 열경화성 수지를 주 원료로 하며,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 중화제 및 발포제를 혼합한 발포성 조성물을 양생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우레탄, 페놀,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메타아크릴이미드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발포폼인 발포폼 심재(120)는 본질적으로 유기물이기 때문에 무기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열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난연제를 첨가하였다.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및 할로겐계 난연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연제는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 중량부로 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난연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난연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가공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발포제는 하이드로 카본 계열,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 카본 계열 및 하이드로플루오로 카본 계열 중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20 중량부의 함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너무 적어 발포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발포제의 첨가량이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발포제의 사용으로 발포셀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적층
적층 단계(S120)에서는 발포폼 심재(120)의 양면에 접착 부재(140) 및 표면 마감재(160)를 차례로 적층한다.
이때, 접착 부재(140)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EVA(ethylene co-vinyl acetate), PVAc(polyvinyl acetate)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접착제 또는 접착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부재(140)가 접착제일 경우에는 그라비아 인쇄 공법, 롤투롤(Roll-to-Roll) 방식의 스크린 인쇄 공법 및 플렉소 인쇄 공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코팅, 롤코팅 등에서 선택된 하나의 공법을 이용하여 적정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하는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마감재(160)는 아연도금 강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마감재(160)는 0.5 ~ 1.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표면 마감재(160)의 두께가 0.5mm 미만일 경우에는 적은 힘으로도 쉽게 휘어져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 반대로, 표면 마감재(160)의 두께가 1.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두께 설계로 인하여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합착/재단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착/재단 단계(S130)에서는 열경화성 발포폼(120), 접착 부재(140) 및 표면 마감재(160)를 합착 및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100)를 형성한다. 이때, 합착은 일 예로 열 프레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과정(S110 ~ S130)에 의해 제조되는 방화문 구조체는 발포폼 심재로 단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및 화재 안전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발포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차염성 1 ~ 2시간 및 차열성 30 ~ 60분의 우수한 내화성능을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연제의 첨가를 통해 열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방화문 구조체는 무기계 심재를 사용하는 비차열 방화문과 차별되는 열경화성 발포폼을 심재로 적용한 차열 방화문 구조를 가지므로, 점차 강화되는 방화문 규정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40 ~ 100mm로 엄격히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해 경량이면서도 화재 안정성이 뛰어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방화문 구조체 제조
실시예 1
열경화성 발포체의 수지를 주 원료로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 중화제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계열 발포제를 혼합하여 발포성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때, 난연제로는 포스페이트계, 무기계 및 보론계 난연제를 혼합하였으며, 첨가 중량은 수지 100g 대비 15g를 첨가하였다. 이후, 발포성 조성물을 70℃에서 1일간 양생(curing time)하여 70 mm 두께의 열경화성 발포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경화성 발포폼의 양면에 0.5 mm 두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0.8mm 두께의 아연도금 강판을 차례로 각각 적층하여 합착한 후, 1m ⅹ 1m의 크기로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열경화성 발포체의 수지를 주 원료로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 중화제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계열 발포제를 혼합하여 발포성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때, 난연제로는 포스페이트계, 무기계 및 보론계 난연제를 혼합하였으며, 첨가 중량은 수지 100g 대비 35g를 첨가하였다. 이후, 발포성 조성물을 70℃에서 1일간 양생(curing time)하여 60 mm 두께의 열경화성 발포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경화성 발포폼의 양면에 0.5 mm 두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0.8mm 두께의 아연도금 강판을 차례로 각각 적층하여 합착한 후, 1m ⅹ 1m의 크기로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열경화성 발포체의 수지를 주 원료로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 중화제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계열 발포제를 혼합하여 발포성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이때, 난연제로는 포스페이트계, 무기계 및 보론계 난연제를 혼합하였으며, 첨가 중량은 수지 100g 대비 35g를 첨가하였다. 이후, 발포성 조성물을 70℃에서 1일간 양생(curing time)하여 50 mm 두께의 열경화성 발포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열경화성 발포폼의 양면에 2 mm 두께의 실리콘계 무기접착제 및 0.8mm 두께의 아연도금 강판을 차례로 각각 적층하여 합착한 후, 1m ⅹ 1m의 크기로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80mm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90mm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70mm 두께의 글라스 울의 양면에 0.5mm 두께의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0.8m 두께의 아연도금 강판을 차례로 각각 적층하여 합착한 후, 1m ⅹ 1m의 크기로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40mm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열경화성 발포폼의 두께를 50mm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화문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3에 따라 제조된 방화문 구조체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내화성능
내화성능 시험은 KS F 2268-1에 따라 차염성 및 차열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차염성 : 가열면의 반대편 면에 10sec 이상의 지속되는 불꽃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함.
차열성 : 가열면의 반대편 면의 온도가 T0 + 140℃(여기서, T0는 초기 온도임.)를 초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함.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에 따라 제조된 방화문 구조체는 목표값이 차염성 1 ~ 2시간 및 차열성 30 ~ 60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글래스 울을 심재로 이용한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차염성은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차열성은 16분에 불과하였다.
또한, 낮은 두께에 비해 첨가된 난연제 함량이 충분하지 않은 비교예 2 ~ 3의 경우에는 차염성은 목표값을 만족하였으나, 차열성이 20min 및 24min에 불과하여 목표값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방화문 구조체
120 : 발포폼 심재
140 : 접착 부재
160 : 표면 마감재
S110 : 발포폼 심재 형성 단계
S120 : 적층 단계
S130 : 합착/재단 단계

Claims (11)

  1. 발포폼 심재;
    상기 발포폼 심재의 양면에 배치된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의 양면에 배치되어, 상기 발포폼 심재와 합착된 표면 마감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폼 심재는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가 첨가된 열경화성 발포폼인 방화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 심재는
    40 ~ 100mm의 두께를 갖는 방화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무기계 난연제,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및 할로겐계 난연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화문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평균 입자 직경이 5 ~ 30㎛를 갖는 방화문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40 중량부로 첨가된 방화문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EVA(ethylene co-vinyl acetate) 및 PVAc(polyvinyl aceta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화문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마감재는
    아연도금 강판인 방화문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마감재는
    0.5 ~ 1.5mm의 두께를 갖는 방화문 구조체.
  9. (a) 발포폼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발포폼 심재의 양면에 접착 부재 및 표면 마감재를 차례로 적층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경화성 발포폼, 접착 부재 및 표면 마감재를 합착 및 재단하여 방화문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열경화성 수지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용융 혼련하는 단계와,
    (a-2) 상기 (a-1)의 결과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켜 발포폼 심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상기 발포제는
    하이드로 카본 계열,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 카본 계열 및 하이드로플루오로 카본 계열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방화문 구조체 제조 방법.
KR1020160032771A 2016-03-18 2016-03-18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08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71A KR20170108608A (ko) 2016-03-18 2016-03-18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7/002794 WO2017160077A1 (ko) 2016-03-18 2017-03-15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771A KR20170108608A (ko) 2016-03-18 2016-03-18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608A true KR20170108608A (ko) 2017-09-27

Family

ID=5985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771A KR20170108608A (ko) 2016-03-18 2016-03-18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08608A (ko)
WO (1) WO20171600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18B1 (ko) 2020-07-23 2021-06-17 장춘기 차열 방화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577B1 (ko) * 2007-08-09 2009-11-06 해원엠에스씨(주)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1762U (ko) * 2007-08-21 2009-02-25 (주)이씨씨비앤피 난연 발포폴리스티로폼을 이용한 방화도어
EP2180130B1 (en) * 2008-10-23 2012-10-10 Jaatimet Oy Fire door comprising a steel frame and adhesively attached panels
KR20130091045A (ko) * 2012-02-07 2013-08-16 주식회사 부광산업 불연 단열성의 세라믹 샌드위치 방화문의 제조 방법
KR101796824B1 (ko) * 2015-05-19 2017-11-13 (주)엘지하우시스 단열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18B1 (ko) 2020-07-23 2021-06-17 장춘기 차열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077A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417B1 (ko) 난연성 단열판넬 및 그 제조방법
US11192332B2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KR101211383B1 (ko) 단열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시공방법
KR102364705B1 (ko) 방화용 고체 복합재 팽창성 구조물
KR101756739B1 (ko) 강도 보강 하이브리드 단열재
KR101963166B1 (ko) 난연성 단열발포폼 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94350A (ja) 耐火壁構造、及びこの耐火壁構造に用いる発泡性耐火シート
KR20160090404A (ko) 피복재
US20160075108A1 (en) Acoustic insulating panel
JP5479690B2 (ja) 耐火性金属折板屋根積層構造体
KR102346217B1 (ko) 내화성과 단열성능이 우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0287A (ko) 난연성이 우수한 경량 패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334380B2 (en) Protected expanded polyalkylidene terephthalates
EP3094483B1 (en) Support layer of an insulation panel for construction
KR20170108608A (ko) 방화문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7007424B2 (ja) 耐火性樹脂組成物、耐火シート及び建具
WO2013004306A1 (en) Fire-resistant laminate
KR20140136251A (ko) 단열성 및 차음성, 방염성이 동시에 강화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39116A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3141B1 (ko) 난연성이 부여된 단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재 제조방법
JP7425435B2 (ja) 積層体
CN110614818A (zh) 一种防火泡沫复合板材及制作方法
KR101622302B1 (ko) 치장목질 마루판용 불연성 열경화성수지 고압화장판
JP2009208355A (ja) 耐火性樹脂発泡積層体
KR100795768B1 (ko) 발포성 코팅을 이용한 내화성 절연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