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568A - 수레 - Google Patents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568A
KR20170108568A KR1020160032679A KR20160032679A KR20170108568A KR 20170108568 A KR20170108568 A KR 20170108568A KR 1020160032679 A KR1020160032679 A KR 1020160032679A KR 20160032679 A KR20160032679 A KR 20160032679A KR 20170108568 A KR20170108568 A KR 2017010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andle
cylinder
op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도형
Original Assignee
심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도형 filed Critical 심도형
Priority to KR102016003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568A/ko
Priority to PCT/KR2017/001845 priority patent/WO2017160002A1/ko
Publication of KR2017010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45C13/021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7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other hand or travelling article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부에 펌프 구조를 적용하여 공기 압축이 가능하고, 손잡이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수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퀴(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장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흡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로 토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토출유로에 장착되어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하단개폐밸브(130)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가 인출된 높이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하단개폐밸브(130)를 닫아 상기 손잡이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레{HANDCART}
본 발명은 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수레로 사용하고, 튜브나 여행가방의 내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펌프가 손잡이로 사용되고, 손잡이의 높낮이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레는 물건을 간편하게 운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와, 프레임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적재부로 구성되고, 적재부에 많은 양의 짐을 실어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수레에 여행가방이나 짐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어렵고, 흔히 사용되는 캐리어의 경우에도 걸림쇠가 형성된 높이에서만 단계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수레에 튜브나 구명조끼 등을 가방에 담아서 물놀이를 위해 여행을 가는 경우, 여행지에 도착해서 가방을 열어 튜브나 구명조끼를 꺼내고 물놀이용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기주입장치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실0115527호(수레가 구비된 물통)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튜브형 여행 가방에 공기주입이 용이하고, 별도의 공기펌프를 준비하지 않아도 공기주입이 가능한 펌프 일체형 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행 가방이나 물놀이용 튜브를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다목적 수레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흡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로 토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토출유로에 장착되어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하단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인출된 높이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하단개폐밸브를 닫아 상기 손잡이의 높이를 고정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가 인출된 높이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손잡이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로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상단개폐밸브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 일측은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유로가 중심을 따라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가 중심을 따라 연장 형성된 상기 손잡이;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흡입유로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외부와 연통된 상기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상기 상단개폐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개폐밸브는 상기 손잡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간부에 상기 유로와 일시적으로 연통되는 개폐홀이 구비된 개폐축; 상기 개폐축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손잡이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 일측은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개폐밸브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개폐밸브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구비된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상기 피스톤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단개폐밸브와 상기 상단개폐밸브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단개폐밸브에는 제1체크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하단개폐밸브에는 제2체크밸브가 장착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 일측은 상기 제1피스톤에 연결되고 관통공이 중심을 따라 형성된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손잡이;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장착된 밀폐링; 상기 밀폐링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과 간격을 두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밀폐링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이 구비된 제2피스톤; 일측은 상기 제2피스톤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관통공을 따라 연장된 개폐축; 상기 개폐축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손잡이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 일측은 상기 가압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비대칭형으로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밀폐링; 상기 제1밀폐링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밀폐링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이 구비된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틈새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구비된 제2밀폐링; 상기 제2밀폐링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밀폐링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이 구비된 제3피스톤; 일측은 상기 제3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과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피스톤 로드; 및 상기 피스톤 로드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전달받아 팽창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튜브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개폐부;을 포함하는 가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과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 측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체크밸브;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컵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체크밸브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주머니가 구비된 바구니;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어깨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2체크밸브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주머니가 구비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공기주머니와 연통되고 압축된 공기를 배출을 제어하는 공기마개가 더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레는 펌프를 이루는 손잡이부의 내부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손잡이의 높이 고정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흡입유로와 배출유로에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손잡이의 높이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펌프로 이루어져 별도의 펌프를 준비하지 않아도 튜브나 가방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레는 튜브형 여행 가방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여행 가방으로 사용하여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고, 물놀이 시에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튜브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수레에 여행 가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개폐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개폐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여행 가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인 여행 가방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개폐밸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흡입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흡입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손잡이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수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1)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개략적인 것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2) 도면은 관찰자의 시선으로 도시되기 때문에 도면을 설명하는 방향이나 위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3) 도면 번호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4)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5) 단수로 설명되는 경우 다수로도 해석될 수 있다. 6) 형상, 크기의 비교, 위치 관계 등이 '약, 실질적' 등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통상의 오차 범위가 포함되도록 해석된다. 7) '~후, ~전, 이어서, 후속하여, 이때' 등의 용어가 사용되더라도 시간적 위치를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8)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순히 구분의 편의를 위해 선택적, 교환적 또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한정적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9)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측면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가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10) 부분들이 '~또는'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뿐만 아니라 조합도 포함되게 해석되나, '~또는, ~중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부분들 단독으로만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수레에 여행 가방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개폐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개폐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여행 가방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인 여행 가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튜브형 여행 가방이 장착된 수레는 펌프형상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가 설치된 수레(30)와, 수레(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가방부(40)로 구성된다.
수레(30)는 가방부(40)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사각의 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축(32)의 양 끝단에 설치되는 바퀴(33)와, 프레임(31)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가방부(4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사각의 틀 형상을 이루는 받침대(34)와, 프레임(31)에 설치되는 손잡이부(20)로 구성된다. 바퀴(33)는 축(32)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레임(31)의 중간부에는 고정축(35)이 설치된다.
손잡이부(10)는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압축공간을 이루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실린더(15)와, 실린더(15)의 내부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로 구성된다.
핸들부는 실린더(15)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13)과, 피스톤(13)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12)와, 피스톤 로드(12)의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11)와, 손잡이(11)에 설치된 개폐밸브(20)로 구성된다.
실린더(15)는 일측은 고정축(35)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31)의 상단에 고정된다. 실린더(15)의 일측 끝단에는 압축된 공기를 외부방향으로만 배출시키는 노즐(16)이 설치된다. 노즐(16)의 내부에는 후술한 제2개폐밸브가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노즐(16)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를 작동시켜 노즐(16)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노즐(16)에는 후술할 제2체크밸브가 추가로 장착되어 내부의 압축된 공기는 배출되고, 외부 공기는 실린더(15) 내부로 인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피스톤(13)은 실린더(15)의 내부 공간을 따라 왕복하며 공기를 압축한다. 피스톤(13)에는 피스톤 로드(12)가 연결되고, 피스톤(13)에서 시작되어 실린더(15)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로(12a)는 피스톤 로드(12)의 중심을 따라 손잡이(11)까지 연장된다. 유로(12a)의 일측 끝단부에는 제1체크밸브(14)가 설치된다. 제1체크밸브(14)는 유로(12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실린더(15) 내부로 인입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손잡이(11)에는 유로(12a)를 개폐하는 상단개폐밸브(20)가 장착된다. 상단개폐밸브(20)는 손잡이(1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유로(12a)를 개폐하는 개폐축(22)과, 개폐축(22)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21)와, 가압부(2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로 구성된다.
개폐축(22)은 유로(12a)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축 형상을 가지며, 개폐축(22)의 중간부위에는 유로(12a)와 일시적으로 연통되는 개폐홀(24)이 관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축(22)이 인입되면 개폐홀(24)은 유로(12a)와 연통되고, 개폐축(23)이 인출되면 개폐홀(24)의 위치가 이동되면서 유로(12a)가 닫힌다.
가압부(21)는 개폐축(22)이 연결된 면과 대향된 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가압부(21)의 일측에는 가압부(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1a)이 형성된다. 손잡이(11)에는 개폐밸브(20)가 설치되는 안착홈이 구비되고, 걸림턱(21a)은 안착홈의 입구부측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개폐밸브(20)의 이탈을 방지한다. 가압부(21)는 손잡이(11)의 후면에 장착된 구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압부(21)의 위치는 상면, 하면, 전면 등 다양한 방향에 설치가 가능하다.
탄성부재(23)는 개폐축(22)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일측은 손잡이(11)에 형성된 안착홈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타측은 가압부(21)에 접촉된다. 탄성부재(23)는 가압부(21)를 외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유로(12a)를 열기 위해서는 가압부(21)를 손으로 가압하여 인입시켜야 한다. 가압부(21)가 인입되면 개폐축(22)이 이동되면서 유로(12a)와 개폐홀(24)이 연통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1)를 손으로 잡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1)를 가압하여 유로(12a)를 열고, 손잡이(11)를 하강시키면, 피스톤(13)이 작동되어 실린더(15) 내부 공기를 압축한다. 이때 제1체크밸브(14)가 작동되어 실린더(15)의 내부에서 압축된 공기가 유로(12a)를 통해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고, 압축된 공기는 노즐(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손잡이(11)를 상승시키면, 제1체크밸브(14)가 열리면서 유로(12a)를 통해 외부공기가 실린더(15)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손잡이(11)의 상승과 하강을 통해 손잡이부(10)가 작동되며, 손잡이부(10)에 의해 압축된 공기는 노즐(16)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손잡이(11)의 높이 조절도 가능하다. 손잡이(11)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부(21)를 가압했던 압력을 제거하면 가압부(21)가 인출되면서 유로(12a)가 닫힌다. 그리고 노즐(16)에 설치된 하단개폐밸브를 닫으면 실린더(15) 내부는 공기의 인입 및 인출이 차단되므로 피스톤(13)의 위치가 고정된다.
피스톤(13)의 위치가 공기압력에 의해 고정되면 손잡이(11)의 높이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그 상태에서 상단개폐밸브(20)를 작동시킴으로써 손잡이(11)의 높이를 재조정할 수도 있다.
가방부(40)는 수레(30)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41)와, 케이스(41)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43)로 구성된다.
케이스(41)는 수레(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측에 어깨끈(46)이 장착된다. 어깨끈(46)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어깨끈(46)을 프레임(31)의 상단과 고정축(35)에 감으면 케이스(41)가 프레임(31)에 고정된다. 케이스(41)를 프레임(31)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어깨끈(46) 이외의 구조물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 벨크로 테이프, 암수로 이루어진 커플러, 등의 적용도 가능하다.
케이스(41)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육면체 이외에도 원기둥형상, 사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41)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캐릭터 형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41)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디즈니 캐릭터나, 만화 캐릭터, 공룡, 로봇 등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41)에는 손잡이부(20)의 노즐(16)에 연결되는 주입구(44)가 형성된다. 노즐(16)은 주입구(44)에 끼워 고정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주입구(44)는 케이스(41)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전달한다. 주입구(44)에는 제3체크밸브(45)가 장착된다. 주입구(44)를 통해 케이스(41) 내부공간에 주입된 압축공기는 제3체크밸브(45)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개폐부(43)는 일측이 개구된 케이스(41)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케이스(41)의 내부공간을 개폐한다.
케이스(41)의 내면에는 제3체크밸브(45)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전달받는 바구니(42)가 설치된다. 바구니(42)는 연필이나 기타 작은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케이스(41) 내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제3체크밸브(45)와 연통되는 공기주머니(42a)가 구비된다. 주입구(44)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 중 일부는 분기되어 공기주머니(42a)로 주입된다. 바구니(42)에는 공기주머니(42a)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마개가 설치된다.
주입구(44) 통해 주입된 압축공기는 제3체크밸브(45)를 거쳐 공기주머니(42a)와 내부공간(41a)에 채워진다. 이때 개폐부(43)는 닫힌상태를 유지한다.
그 상태에서 개폐부(43)를 열면 내부공간(41a)에 채워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내부공간(41a)에 물건을 채운 상태에서, 개폐부(43)를 닫고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케이스(41)는 부풀어 올라 원형 상태로 복귀된다. 개폐부(43)는 지퍼백 구조를 적용한다. 지퍼백 구조 이외에도 내부공간(41a)을 밀폐된 공간으로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개폐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밀폐도를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지퍼 구조와 지퍼백 구조를 이중으로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수레에 장착되는 튜브형 여행 가방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41)의 내부에 제3체크밸브(45)와 연결되는 공기주머니(41a)가 구비된다. 케이스(41)에는 공기주머니(41a)와 연통되는 공기마개(47)가 형성된다.
케이스(41)의 공기주머니(41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되는 다수개의 공기 유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착을 통해 케이스(41)의 공기주머니(41a)에 다수개의 연통된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체크밸브(45)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일부는 케이스(41)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튜브형 여행 가방부는 평상시에는 수레(30)에 가방부(40)를 장착한 형태의 캐리어로 사용하고, 물놀이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레(30)에서 가방부(40)를 분리한 상태로 손잡이부(10)를 작동시켜 가방부(4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물놀이용 튜브로 사용한다.
가방부(4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채워 물놀이용 튜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레(30)에서 가방부를 분리하고, 주입구(44)에 노즐(16)을 연결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1)를 작동시켜 가방부(40)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공기주입이 완료되면 가방부(40)를 분리시켜 물놀이용 튜브로 사용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공기주입 펌프나, 자전거용 펌프 등을 이용하여 압축공기의 주입도 가능하다. 이때 주입구(44)는 사용되는 펌프나 자전거용 펌프에 맞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방부(4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한 상태로 어깨끈(46)을 조절하여 가방부(40)를 등에 매거나, 배에 걸치면 구명조끼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수레(30)에 가방부(40)를 고정하여 캐리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방부(40)의 개폐부(43)를 열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한 다음, 주입구(44)에 노즐(16)을 연결한다. 그리고 손잡이부(10)의 손잡이(11)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시키면 피스톤(13)이 실린더(15)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기를 압축한다. 압축된 공기는 노즐(16)을 통해 케이스(41)의 내부 공간이나, 공기주머니(42a)에 채워진다. 압축공기를 가방부(40) 내부에 채우면 가방부(40)는 내부에 물건이 채워진 상태로 부풀어 올라 원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또한 케이스(41)를 캐릭터 형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아이들이 인형처럼 수레부(30)를 끌고 다니며 놀이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가방부(40)의 사용을 완료한 이후에는 개폐부(43)를 열고 공기마개를 열어 가방부(40)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배출하여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수레부(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1)에 설치된 상단개폐밸브(20)를 작동시켜 손잡이(11)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단개폐밸브(20)의 가압부(21)를 눌러 유로(12a)와 개폐홀(24)을 연통시키면 유로(12a)가 열리면서 손잡이(11)의 이동이 가능하다.
손잡이(11)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부(21)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가압부(21)가 인출되면서 유로(12a)가 닫힌다. 그리고 노즐(16)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닫으면 실린더(15)의 내부는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므로 피스톤(13)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11)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수레에 장착되는 손잡이부(110)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압축공간을 이루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실린더(115)와, 실린더(115)의 내부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로 구성된다.
핸들부는 실린더(115)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113)과, 피스톤(113)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112)와, 피스톤 로드(112)의 끝단에 설치된 손잡이(111)와, 피스톤(113)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에 접하도록 피스톤(113)의 하단측에 장착되는 하단개폐밸브(130) 및 상단개폐밸브(120)와, 상단개폐밸브(120)에 장착되는 제1체크밸브(114)와, 하단개폐밸브(130)에 장착되는 제2체크밸브(116)로 구성된다.
실린더(115)는 일측은 고정축(35)에 고정되고 타측은 프레임(31)의 상단에 고정된다. 실린더(115)의 일측 끝단에 설치된 하단개폐밸브(130)에는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노즐(16)이 설치된다.
하단개폐밸브(130)는 실린더(115)의 하단 일측에 장착되고 토출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132a)가 구비된 고정부(132)와, 고정부(132)의 상면에 겹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131)로 구성된다. 고정부(132)와 회전부(131)의 원형의 다이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131)에는 회전되면서 제1관통공(132a)와 일시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131a)이 형성된다. 고정부(132)의 내측면에는 제2체크밸브(116)가 장착된다. 제2체크밸브(116)는 외부공기가 제1관통공(132a)와 제2관통공(131a)을 통해 실린더 내부로 인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제1관통공(132a)와 제2관통공(131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은 차단한다.
상단개폐밸브(120)는 실린더(115)의 하단 타측에 장착되고 흡입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122a)가 구비된 고정부(122)와, 고정부(122)의 상면에 겹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121)로 구성된다. 고정부(122)와 회전부(121)의 원형의 다이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121)에는 회전되면서 제1관통공(122a)와 일시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고정부(122)의 내측면에는 제1체크밸브(114)가 장착된다. 제1체크밸브(114)는 실린더 내부 공기가 제1관통공(122a)와 제2관통공(121a)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외부 공기가 제1관통공(122a)와 제2관통공(121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은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110)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단개폐밸브(120)와 하단개폐밸브(130)를 모두 오픈한 상태에서, 손잡이(111)를 하강시키면, 실린더(115) 내부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1체크밸브(114)는 닫히고 제2체크밸브(116)은 열린다. 그리고 압축공기는 제1관통공(132a)과 제2관통공(131a)을 통해 배출된다. 압축공기의 배출이 완료되고 다시 손잡이(111)를 상승시키면, 제1체크밸브(114)는 열리고 제2체크밸브(116)은 닫히면서 외부공기가 제1관통공(122a)과 제2관통공(121a)를 통해 흡입된다.
또한 손잡이(111)의 인출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111)를 적당한 길이로 인출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체크밸브(130)의 회전부(131)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31)가 회전하면서 제2관통공(131a)의 위치가 이동되고, 제1관통공(132a)은 막힌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단체크밸브(120)의 회전부(121)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21)가 회전하면서 제2관통공(121a)의 위치가 이동되고, 제1관통공(122a)는 막힌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상단체크밸브(120)가 닫히면서 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유입이 차단되고, 하단체크밸브(130)가 닫히면서 토출유로를 통한 공기토출이 차단되면, 실린더(115)의 내부 압축공간은 밀폐상태가 되고, 피스톤(113)의 이동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피스톤(113)의 위치가 고정되면 피스톤(113)과 연결된 손잡이(111)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손잡이(111)의 높이를 재조절하거나,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체크밸브(20)와 하단체크밸브(130)를 열어 외부공기의 유입과 압축공기의 유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즉 하단체크밸브(130)의 회전부(131)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31)가 회전하면서 제2관통공(131a)의 위치가 이동되고, 제1관통공(132a)과 연통된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상단체크밸브(120)의 회전부(121)를 회전시킨다. 회전부(121)가 회전하면서 제2관통공(121a)의 위치가 이동되고, 제1관통공(122a)과 연통된 상태로 전환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수레에 장착되는 손잡이부(21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압축공간을 이루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실린더(215)와, 실린더(215)의 내부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부는 실린더(215)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215)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213)과, 일측은 제1피스톤(213)에 연결되고 실린더(215)의 외부로 연장되며 관통공이 중심을 따라 형성된 피스톤 로드(212)와, 피스톤 로드(212)의 타측에 연결된 손잡이(211)와, 제1피스톤(213)과 실린더(215)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장착된 밀폐링(214)과, 밀폐링(214)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제1피스톤(213)과 간격을 두고 실린더(215)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215)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밀폐링(214)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215e)이 구비된 제2피스톤(215a)과, 일측은 제2피스톤(215a)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212)의 관통공을 따라 연장된 개폐축(215b)과, 개폐축(215b)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손잡이(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215c)와, 일측은 가압부(215c)에 접촉되고 타측은 손잡이(211)에 지지되어 가압부(215c)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15d)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210)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상단개폐밸브(120)와 하단개폐밸브(130)를 모두 오픈한 상태에서, 가압부(215c)를 가압한 상태로 손잡이(211)를 하강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밀폐링(214)이 상승되면서 제1피스톤(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틈새를 막는다. 밀폐링(214)에 의해 제1피스톤(213)과 실린더(215) 내면 사이의 틈새가 막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손잡이(211)의 하강이 지속되면 실린더(215) 내부 압축공간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1관통공(132a)과 제2관통공(131a)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1체크밸브(114)와 제2체크밸브(116)는 모두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공기가 배출되면서 동시에, 외부공기는 흡입유로를 통해 피스톤을 기준으로 실린더(215) 상단에 구비된 흡입공간으로 유입된다. 압축공기의 배출이 완료되고 다시 손잡이(211)를 상승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밀폐링(214)이 하강되면서 제1피스톤(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틈새가 열린다. 또한 제1체크밸브(114)와 제2체크밸브(116)는 모두 닫히면서 흡입공간에 있던 공기는 제1피스톤(213)의 틈새와 관통공(215e)을 통해 압축공간으로 이동된다.
흡입공간에서 압축공간으로 내부 공기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손잡이(211)을 하강시켜 공기압축을 재실시한다.
또한 손잡이(211)의 인출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211)를 적당한 길이로 인출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체크밸브(130)와 상단체크밸브(120)를 닫는다.
상단체크밸브(120)가 닫히면서 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유입이 차단되고, 하단체크밸브(130)가 닫히면서 토출유로를 통한 공기토출이 차단되면, 실린더(215)의 내부 압축공간은 밀폐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가압부(215c)를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가압부(215c)가 돌출되면서 제2피스톤(215a)이 상승된다. 상승된 제2피스톤(215a)은 밀폐링(214)을 가압하고, 가압된 밀폐링(214)은 제1피스톤(213)과 실린더(215) 사이의 틈새를 막는다. 즉, 가압부(215c)가 돌출되면서 제2피스톤(215a)이 상승되면 제1피스톤(213)과 제2피스톤(215a)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밀폐링(214)이 제1피스톤(213)과 실린더(215) 내벽 사이의 틈새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밀폐링(214)이 제1피스톤(213)의 둘레부 틈새를 막으면, 흡입공간과 압축공간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므로 손잡이(211)는 돌출된 높이를 유지한다.
손잡이(211)의 높이를 재조절하거나,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체크밸브(120)와 하단체크밸브(130)를 열어 외부공기의 유입과 압축공기의 유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가압부(215c)를 손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손잡이(211)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실시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수레에 장착되는 손잡이부(31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압축공간을 이루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실린더(315)와, 실린더(315)의 내부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로 구성된다.
핸들부는 실린더(315)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실린더(315)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비대칭형으로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313b)과, 제1피스톤(313b)과 실린더(315) 내면의 일측(도 12에 도시된 좌측)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제1피스톤(313b)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밀폐링(316)과, 제1밀폐링(316)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실린더(315)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315)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제1밀폐링(316)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313e)이 구비된 제2피스톤(313c)과, 제1피스톤(313b)과 실린더(315)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제1피스톤(313b)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틈새와 연통되는 연통홀(314a)이 구비된 제2밀폐링(314)과, 제2밀폐링(314)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실린더(315)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315)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제2밀폐링(316)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313d)이 구비된 제3피스톤(313a)과, 일측은 제3피스톤(313a) 제1피스톤(313b) 및 상기 제2피스톤(313c)과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피스톤 로드(312)와, 피스톤 로드(212)의 타측에 연결된 손잡이(311)로 구성된다.
제1피스톤(313b)는 도 12에 도시된 좌측부에 틈새(313f)가 구비되도록 비대칭 형상의 둘레면을 갖는다. 즉, 제1피스톤(313b)은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면의 절반 미만 영역에 홈을 두어 틈새(313f)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밀폐링(314)은 오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면의 절반 미만 영역에 연통홀(31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밀폐링(314)은 회전이 불가하도록 장착된다. 즉 주변의 피스톤들이 회전하더라도 제2밀폐링(314)는 회전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제2밀폐링(314)이 회전되지 않도록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315)의 내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제2밀폐링(314)에 형성함으로써, 제2밀폐링(314)의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를 적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인 수레의 손잡이부(310)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상단개폐밸브(120)와 하단개폐밸브(130)를 모두 오픈한 상태에서, 손잡이(311)를 하강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제1밀폐링(314)와 제2밀폐링(316)이 상승되면서 제1피스톤(313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일측(도시된 좌측) 틈새(313f)를 막는다. 제1밀폐링(316)에 의해 제1피스톤(313b)과 실린더(315) 내면 사이의 틈새(313f)가 막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손잡이(311)의 하강이 지속되면 실린더(315) 내부 압축공간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1관통공(132a)과 제2관통공(131a)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제1체크밸브(114)와 제2체크밸브(116)는 모두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공기가 배출되면서 동시에, 외부공기는 흡입유로를 통해 피스톤을 기준으로 실린더(315) 상단에 구비된 흡입공간으로 유입된다. 압축공기의 배출이 완료되고 다시 손잡이(311)를 상승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에 의해
제1밀폐링(316)과 제2밀폐링(314)이 하강되면서 제1피스톤(313b)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틈새(313f)가 열린다. 즉, 제1피스톤(313b)의 틈새(313f)에 제2밀폐링(314)의 연통홀(314a)이 연통된 상태에서 공기는 연통홀(314a)과 틈새(313f)를 통해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1체크밸브(114)와 제2체크밸브(116)는 모두 닫히면서 흡입공간에 있던 공기는 관통공(313d)과 연통홀(314a)과 제1피스톤(313b)의 틈새(313f)와 관통공(313e)을 통해 압축공간으로 이동된다.
흡입공간에서 압축공간으로 내부 공기의 이동이 완료되면, 다시 손잡이(311)을 하강시켜 공기압축을 재실시한다.
또한 손잡이(311)의 인출된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311)를 적당한 길이로 인출한 상태에서 하단체크밸브(130)와 상단체크밸브(120)을 닫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체크밸브(120)가 닫히면서 흡입유로를 통한 공기유입이 차단되고, 하단체크밸브(130)가 닫히면서 토출유로를 통한 공기토출이 차단되면, 실린더(315)의 내부 압축공간은 밀폐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311)를 180도 회전시키면, 제1피스톤(313b)이 회전하면서 틈새(313f)가 도시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밀폐링(314)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손잡이(311)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제2밀폐링(314)이 틈새(313f)를 막아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손잡이(311)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제1밀폐링(316)이 틈새(313f)를 막아 공기의 이동을 차단한다.
제1밀폐링(316)이나 제2밀폐링(314)에 의해 제1피스톤(313b)의 틈새(313f)가 막히면, 흡입공간과 압축공간 간의 공기 이동이 차단되므로 손잡이(311)는 돌출된 높이를 유지한다.
손잡이(311)의 높이를 재조절하거나,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상단체크밸브(120)와 하단체크밸브(130)를 열어 외부공기의 유입과 압축공기의 유출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손잡이(311)를 원래 방향으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11)의 상승과 하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레는 손잡이부에 펌프구조를 적용하여 손쉽게 튜브나 에어백 등의 내부에 압축공기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여행용 캐리어나 짐 운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펌프 내부의 공기흐름을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인출된 손잡이의 높이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손잡이부 11 : 손잡이
12 : 피스톤 로드 13 : 피스톤
14 : 체크밸브 15 : 실린더
16 : 노즐 20 : 개폐밸브
21 : 가압부 22 : 개폐축
23 : 탄성부재 24 : 개폐홀
30 : 수레부 31 : 프레임
32 : 축 33 : 바퀴
34 : 받침대 35 : 고정축
40 : 가방부 41 : 케이스
42 : 바구니 43 : 개폐부
45 : 제3체크밸브 46 : 어깨끈
47 : 공기마개

Claims (13)

  1. 바퀴(3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장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고, 흡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핸들부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로 토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토출유로에 장착되어 토출유로를 개폐하는 하단개폐밸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인출된 높이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하단개폐밸브(130)를 닫아 상기 손잡이의 높이를 고정하는 수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인출된 높이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손잡이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유로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상단개폐밸브가 더 포함되는 수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13);
    일측은 상기 피스톤(13)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13)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유로(12a)가 중심을 따라 형성된 피스톤 로드(12);
    상기 피스톤 로드(12)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12a)가 중심을 따라 연장 형성된 상기 손잡이(11);
    상기 피스톤 로드(12)의 상기 흡입유로(12a)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14); 및
    상기 손잡이(11)에 설치되고, 외부와 연통된 상기 흡입유로(12a)를 개폐하는 상기 상단개폐밸브(20);를 포함하는 수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개폐밸브(20)는
    상기 손잡이(1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간부에 상기 유로(12a)와 일시적으로 연통되는 개폐홀(24)이 구비된 개폐축(22);
    상기 개폐축(22)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손잡이(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21);
    일측은 상기 가압부(21)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11)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2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는 수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개폐밸브(130)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132a)이 구비된 고정부(132); 및
    상기 고정부(1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관통공(132a)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131a)이 구비된 회전부(131);를 포함하는 수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개폐밸브(120)는
    상기 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유로를 이루는 제1관통공(122a)이 구비된 고정부(122); 및
    상기 고정부(1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관통공(122a)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121a)이 구비된 회전부(121);를 포함하는 수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상기 피스톤(113)이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단개폐밸브(130)와 상기 상단개폐밸브(120)는 상기 피스톤(113)에 의해 공기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단개폐밸브(120)에는 제1체크밸브(114)가 장착되고, 상기 하단개폐밸브(130)에는 제2체크밸브(116)가 장착되는 수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213);
    일측은 상기 제1피스톤(213)에 연결되고 관통공이 중심을 따라 형성된 피스톤 로드(212);
    상기 피스톤 로드(212)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손잡이(211);
    상기 제1피스톤(213)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장착된 밀폐링(214);
    상기 밀폐링(214)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213)과 간격을 두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밀폐링(214)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215e)이 구비된 제2피스톤(215a);
    일측은 상기 제2피스톤(215a)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12)의 관통공을 따라 연장된 개폐축(215b);
    상기 개폐축(215b)의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손잡이(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215c);
    일측은 상기 가압부(215c)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손잡이(211)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215c)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15d)를 포함하는 수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틈새를 이루도록 비대칭형으로 확장된 단면을 갖는 제1피스톤(313b);
    상기 제1피스톤(313b)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313b)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1밀폐링(316);
    상기 제1밀폐링(316)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밀폐링(316)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313e)이 구비된 제2피스톤(313c);
    상기 제1피스톤(313b)과 상기 실린더 내면의 틈새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제1피스톤(313b)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틈새와 연통되는 연통홀(314a)이 구비된 제2밀폐링(314);
    상기 제2밀폐링(314)의 이동구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밀폐링(316)과 접하지 않는 위치에 관통공(313d)이 구비된 제3피스톤(313a);
    일측은 상기 제3피스톤(313a), 상기 제1피스톤(313b), 상기 제2피스톤(313c)과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피스톤 로드(312); 및
    상기 피스톤 로드(212)의 타측에 연결된 상기 손잡이(311);를 포함하는 수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레(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전달받아 팽창하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튜브형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시키는 개폐부(43);을 포함하는 가방부(40)를 더 포함하는 수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부(40)는
    상기 케이스(4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16)과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주입구(44);
    상기 주입구(44)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41)의 내부공간(41a) 측으로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체크밸브(45);
    상기 케이스(41)의 내면에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컵 형상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체크밸브(45)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주머니(42a)가 구비된 바구니(42); 및
    상기 케이스(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31)에 상기 케이스(41)를 고정시키는 어깨끈(46);을 더 포함하는 수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의 내부에는 상기 제2체크밸브(45)에 연결되어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주머니(41a)가 구비되는 수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공기주머니(41a)와 연통되고 압축된 공기를 배출을 제어하는 공기마개(47)가 더 포함되는 수레.

KR1020160032679A 2016-03-18 2016-03-18 수레 KR20170108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79A KR20170108568A (ko) 2016-03-18 2016-03-18 수레
PCT/KR2017/001845 WO2017160002A1 (ko) 2016-03-18 2017-02-20 에어 펌핑이 가능한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79A KR20170108568A (ko) 2016-03-18 2016-03-18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68A true KR20170108568A (ko) 2017-09-27

Family

ID=5985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79A KR20170108568A (ko) 2016-03-18 2016-03-18 수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08568A (ko)
WO (1) WO201716000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IT201800005200A1 (it) * 2018-05-09 2019-11-09 Telaio di trasporto, carrello e relativo trolley
KR102140619B1 (ko) * 2019-06-19 2020-08-03 이찬하 에어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76254U (en) * 2000-04-21 2002-02-11 Chaw Khong Technology Co Ltd Hydraulic luggage draw bar device
US20020101065A1 (en) * 2001-01-31 2002-08-01 Mccollum Jim Wheeled, portable, collapsible athletic equipment carrier
US7735643B2 (en) * 2005-01-29 2010-06-15 David Sanches Inflatable shipp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nd using same
CA2808758C (en) * 2010-04-29 2018-02-06 Marguerite Wytenhove Luggage comprising a vacuum device
CN205512919U (zh) * 2016-03-22 2016-08-31 李雪明 一种具有称重功能的旅行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5200A1 (it) * 2018-05-09 2019-11-09 Telaio di trasporto, carrello e relativo trolley
WO2019215529A1 (en) * 2018-05-09 2019-11-14 Valextra Spa Transport frame, carriage and trolley
KR102040875B1 (ko) * 2019-05-20 2019-11-06 신현옥 에어펌프를 구비한 캐리어
KR102140619B1 (ko) * 2019-06-19 2020-08-03 이찬하 에어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0002A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8568A (ko) 수레
US20210037806A1 (en) Spraying apparatus
KR101378719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CN109068827A (zh) 粉体吐出容器
US9488164B2 (en) Combination water amusement and drinking device
EP3479724A2 (en) Cosmetic container with double discharge means
WO2015018202A1 (zh) 一种便携式手工操作咖啡机
CN103419754B (zh) 一种软体水囊电动洗车器
KR101963794B1 (ko) 하이브리드 농약 분무장치
US20190277272A1 (en) Manual dual-directional inflating device
CN209258726U (zh) 一种弹簧外置式泵头及泡沫泵
WO2007111454A1 (en) Trigger type sprayer
US10508646B2 (en) Manual dual-directional inflating device
CN207283642U (zh) 一种手机壳
KR102463403B1 (ko) 휴대용 압축식 분무기
CN210198198U (zh) 一种儿童玩具水枪
CN207622605U (zh) 快速大流量取水的玩具枪
CN215456101U (zh) 一种可用作头盔的背包
CN206518228U (zh) 一种上开口扩容拉杆箱
KR101053686B1 (ko)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CN219223496U (zh) 一种背包便携式水枪
KR20050032534A (ko) 공기주입식 자동 우산
CN109108937A (zh) 一种真空固持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186443U (zh) 一种儿童玩具水枪
CN209628888U (zh) 一种拉杆箱用透明拉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