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686B1 -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86B1
KR101053686B1 KR1020080138753A KR20080138753A KR101053686B1 KR 101053686 B1 KR101053686 B1 KR 101053686B1 KR 1020080138753 A KR1020080138753 A KR 1020080138753A KR 20080138753 A KR20080138753 A KR 20080138753A KR 101053686 B1 KR101053686 B1 KR 10105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sprayer
cylind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121A (ko
Inventor
박수황
Original Assignee
박수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황 filed Critical 박수황
Priority to KR102008013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5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 B05B11/1008Piston pumps with means for adjusting or modifying pump stroke by adjusting or modifying the pump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7Portable atomisers, e.g. knaps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작동하는 소형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선택밸브(280)의 조작으로, 용기(100)의 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움켜쥔 상태에서,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구(211a)를 통해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거나, 용기(100)의 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움켜진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211b)를 통해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용기(100)와 분무기(200)의 기울어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분무기, 밸브, 편이성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Sprayer}
본 발명은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무할 액체가 보관된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형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분무기는 잡초나 해충을 화학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세기 후반부터 고도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로, 손으로 작동시키는 작은 모형으로부터 수평 붐에 일정한 간격의 분사구멍을 내고 대형 트랙터나 트레일러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모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서 화초를 가꾸는 가정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서 휴대가 간편한 소형 분무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소형 분무기 역시도 이미 다양한 구조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 소형 분무기 중에서 하나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 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종래 분무기(200)는,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라인(211)과, 유입라인(211)과 연통되어 유입라인(211)으로부터의 유체(F)를 임시 보관하는 실린더(212)와, 실린더(212)에 연통되어 실린더(212)로부터의 유체(F)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라인(213)을 갖추고서, 용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무기 본체(210)와 ; 분무기 본체(210)의 실린더(212)에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피스톤부재(220)와 ; 실린더(212)에 내설되어 피스톤부재(220)를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230)과 ; 분무기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212)에 삽입 고정된 피스톤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스톤부재(2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레버(240)와 ; 유입라인(211)에 설치되어,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250)와 ; 유출라인(211)에 설치되어,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외부 공기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260)와 ; 분무구(270a)를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체크밸브(26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 캡(270)으로 구성된다.
이의 작동 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무기(200)와 용기(100)의 목부분을 잡고서, 레버(240)를 감싸고 있던 손에 힘을 가해서 레버(240)를 움켜쥐면, 스프링(230)이 가해진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50)는 닫혀져서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제2체크밸브(260)는 열려지므로, 실린더(212)의 유체(F)는 유출라인(213)을 통해서 제2체크밸브(260)를 통과한 후, 분무 캡(270)을 통해서 외부로 분사된다.
이후, 상기 레버(240)를 움켜쥐고 있던 손에 힘을 빼면,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로부터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레버(24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60)는 열려지고, 제2체크밸브(260)는 닫혀져서 외부 공기가 실린더(212)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출라인(213)을 차단하므로,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강제 유입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한다.
한편, 상기 분무기(200)가 용기(100) 내부의 유체(F)를 남김없이 빨아들여서 분무할 수 있도록, 유입라인(212)의 유입구(211a)를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분무기(200)는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는 하나의 유 입구(211a)만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꺼꾸로 뒤집거나 기울여서, 용기(100)의 바닥이 윗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분무기(200)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용기(100)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 유입라인(212)의 유입구(211a)를 통해서 용기(100) 내부 공기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어, 용기(100)의 유체(F)가 외부로 분무되지 못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이성이 크게 저하되고, 분무기(200)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분무기와 용기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도 용기 내부의 유체를 만족스럽게 분무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라인과, 유입라인과 연통되어 유입라인으로부터의 유체를 임시 보관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연통되어 실린더로부터의 유체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라인을 갖추고서,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무기 본체와 ; 분무기 본체의 실린더에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피스톤부재와 ; 분무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에 삽입 고정된 피스톤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스톤부재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레버와 ; 분무기 본체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재 또는 레버를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과 ; 유입라인에 설치되어,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유입라인을 통해서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실린더의 유체가 유입라인을 통해서 용기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와 ; 유출라인에 설치되어, 실린더의 유체가 유출라인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외부 공기가 유출라인을 통해서 실린더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와 ; 분무구를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체크밸브를 통해서 외부 로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 캡을 갖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에 용기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구와, 용기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가 구비되는 한편 ; 분무기 본체에 설치되어,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제1체크밸브에 연결하는 유입구선택밸브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구선택밸브의 조작으로, 용기의 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용기와 분무기를 움켜쥔 상태에서, 용기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구를 통해서 용기의 유체를 외부로 분무하거나, 용기의 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용기와 분무기를 움켜진 상태에서, 용기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를 통해서 용기의 유체를 외부로 분무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용기와 분무기의 기울어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2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200)는, 용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무기 본체(210)와,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되는 피스톤부재(220), 스프링(230), 레버(240), 제1·2체크밸브(250, 260), 분무 캡(270), 유입구선택밸브(280)로 구성된다.
상기 분무기 본체(210)는,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라인(211)과, 유입라인(211)과 연통되어 유입라인(211)으로부터의 유체(F)를 임시 보관하는 실린더(212)와, 실린더(212)에 연통되어 실린더(212)로부터의 유체(F)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라인(213)을 갖추고서, 용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피스톤부재(220)는, 분무기 본체(210)의 실린더(212)에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230)은, 실린더(212)에 내설되어 피스톤부재(220)를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한다.
상기 레버(240)는, 분무기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212)에 삽입 고정된 피스톤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스톤부재(2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제1체크밸브(250)는, 유입라인(211)에 설치되어,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260)는, 유출라인(211)에 설치되어, 실린더(212)의 유 체(F)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외부 공기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한다.
상기 분무 캡(270)은, 분무구(270a)를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체크밸브(26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유입라인(211)에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구(211a)와, 용기(100)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211b)가 구비되는 한편,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되어,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를 선택적으로 제1체크밸브(250)에 연결하는 유입구선택밸브(280)가 보강 구비된 구조를 이룬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입구선택밸브(28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1·2유입구(211a, 211b)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안내구멍(281a)을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회전드럼(281)과 ; 회전드럼(28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무기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손잡이(282a, 282b)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무기(2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용기(100)와 분무기(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100)에 분무 할 유체(F)를 채워넣은 후, 용기(100)의 목부분에 형성된 체결부(100a)에 분무기(200)의 체결부(210a)를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하여,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기(200)를 용기(100)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선택밸브(28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구멍(280a)이 제1유입구(211a)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분무기(200)와 용기(100)의 목부분을 잡고서, 레버(240)를 감싸고 있던 손에 힘을 가해서 레버(240)를 움켜쥐면, 스프링(230)이 가해진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50)는 닫혀져서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제2체크밸브(260)는 열려지므로, 실린더(212)의 유체(F)는 유출라인(213)을 통해서 제2체크밸브(260)를 통과한 후, 분무 캡(270)을 통해서 외부로 분사된다.
이후, 상기 레버(240)를 움켜쥐고 있던 손에 힘을 빼면,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로부터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레버(24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60)는 열려지고, 제2체크밸브(260)는 닫혀져서 외부 공기가 실린더(212)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출라인(213)을 차단하므로,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의 제1유입구(211a)로 유입된 후에 제1유입구(211a) → 유입구선택밸브(280)의 안내구멍(281a) → 제1체크밸브(250) → 실린더(212)로 유동되어 실린더(212)로 강제 유입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한다.
또한, 상기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꺼꾸로 뒤집거나 기울여서, 용기(100)의 바닥이 윗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분무기(200)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우선 유입구선택밸브(280)의 회전손잡이(282a, 282b)를 회전시켜서, 안내구멍(280a)이 제2유입구(211b)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꺼꾸로 뒤집거나 기울여서, 용기(100)의 바닥이 윗쪽을 향하도록 하면, 용기(100)내의 유체(F)가 아래를 향하고 있는 용기(100)의 목부분에 채워지고, 제1유입구(211a)는 용기(10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레버(240)를 감싸고 있던 손에 힘을 가해서 레버(240)를 움켜쥐면, 스프링(230)이 가해진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50)는 닫혀져서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고, 제2체크밸브(260)는 열려지므로, 실린더(212)의 유체(F)는 유출라인(213)을 통해서 제2체크밸브(260)를 통과한 후, 분무 캡(270)을 통해서 외부로 분사된다.
이후, 상기 레버(240)를 움켜쥐고 있던 손에 힘을 빼면, 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로부터 외부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에 연동되는 레버(240)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제1체크밸브(260)는 열려지고, 제2체크밸브(260)는 닫혀져서 외부 공기가 실린더(212)로 유입되지 않도록 유출라인(213)을 차단하므로, 용기(100) 내부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의 제2유입구(211b)로 유입된 후에 제2유입구(211b) → 유입구선택밸브(280)의 안내구멍(281a) → 제1체크밸브(250) → 실린더(212)로 유동되어 실린더(212)로 강제 유입된다.
이후,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구선택밸브(280)의 조작으로, 용기(100)의 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움켜쥔 상태에서,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구(211a)를 통해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거나, 용기(100)의 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를 움켜진 상태에서, 용기(100)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211b)를 통해서 용기(100)의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용기(100)와 분무기(200)의 기울어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200)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은 용기(100)의 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가 똑 바로 세워진 상태를, 도 9는 용기(100)의 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용기(100)와 분무기(200)가 뒤집혀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유입구선택밸브(280)는,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1유입구(211a)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안내구멍(283a)과,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2유입구(211b)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안내구멍(283b)을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블록(283)과 ; 이동블록(28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무기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284a, 28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사용자가 누름버튼(284a, 284b)을 수조작하여 이동블록(283)을 이동시켜서 밸브의 연결 방향을 전환한다는 동작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작동 관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본 발명에 따른 유입구선택밸브(280)는, 제1·2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되어,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를 선택적으로 제1체크밸브(250)에 연결할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것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프링(230)을 실린더(212)에 내설해서, 피스톤부재(220)가 실린더(212)에 내설된 스프링(230)에 의해서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되도록 하였지만, 스프링(230)을 실린더(212)에 내설하지 않고, 실린더(212) 외부의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해서, 피스톤부재(220) 또는 레버(240)를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토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피스톤부재(220)는 실린더(212)에 긴밀하게 끼워져 이동되는 피스톤(221)과, 레버(240)의 푸쉬부가 연동가능하게 끼워지는 홈부를 갖추고서 실린더(212)에 고정되는 피스톤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하였지만, 피스톤부재(220)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레버(240)와의 연동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조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분무기 본체(210)의 체결부(210a)를 분무기 본체(210)와는 다른 별물로 제작해서, 별물 제작된 체결부(210a)를 분무기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분무기 본체(210)와 체결부(210a)를 단품으로 일체 성형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무기의 좌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무기의 좌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로서, 유입구선택밸브 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유입구선택밸브 부분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대한 대응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대한 대응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무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 ; 용기, 100a ; 체결부,
200 ; 분무기, 210 ; 분무기 본체,
210a ; 체결부, 211 ; 유입라인,
211a ; 제1유입구, 211b ; 제2유입구,
212 ; 실린더, 213 ; 유출라인,
220 ; 피스톤부재, 221 ; 피스톤,
230 ; 스프링, 240 ; 레버,
250 ; 제1체크밸브, 260 ; 제2체크밸브,
270 ; 분무 캡, 270a ; 분무구,
280 ; 유입구선택밸브, 281 ; 회전드럼,
281a ; 안내구멍, 282a, 282b ; 회전손잡이,
283 ; 이동블록, 283a ; 제1안내구멍,
283b ; 제2안내구멍, 284a, 284b ; 누름버튼,
H ; 힌지축.

Claims (3)

  1.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되는 유입라인(211)과, 유입라인(211)과 연통되어 유입라인(211)으로부터의 유체(F)를 임시 보관하는 실린더(212)와, 실린더(212)에 연통되어 실린더(212)로부터의 유체(F)를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라인(213)을 갖추고서, 용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무기 본체(210)와 ; 분무기 본체(210)의 실린더(212)에 직선 왕복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피스톤부재(220)와 ; 분무기 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실린더(212)에 삽입 고정된 피스톤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피스톤부재(220)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레버(240)와 ;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되어 피스톤부재(220) 또는 레버(240)를 외측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스프링(230)과 ; 유입라인(211)에 설치되어, 용기(100)에 저장된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입라인(211)을 통해서 용기(100)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250)와 ; 유출라인(211)에 설치되어, 실린더(212)의 유체(F)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고, 외부 공기가 유출라인(211)을 통해서 실린더(212)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260)와 ; 분무구(270a)를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체크밸브(26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F)를 외부로 분무하는 분무 캡(270)을 갖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라인(211)에 용기(100)의 바닥에 인접하게 개구되는 제1유입 구(211a)와, 용기(100)의 상단 목부분으로 개구되는 제2유입구(211b)가 구비되는 한편 ; 분무기 본체(210)에 설치되어, 제1유입구(211a)와 제2유입구(211b)를 선택적으로 제1체크밸브(250)에 연결하는 유입구선택밸브(280)가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선택밸브(280)는,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1·2유입구(211a, 211b)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안내구멍(281a)을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회전드럼(281)과 ; 회전드럼(28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무기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손잡이(282a, 28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선택밸브(280)는,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1유입구(211a)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1안내구멍(283a)과, 한쪽 선단이 제1체크밸브(250)에 연통되면서 다른 한쪽 선단이 제2유입구(211b)에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안내구멍(283b)을 갖추고서, 분무기 본체(210)에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블록(283)과 ; 이동블록(28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분무기 본체(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284a, 28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KR1020080138753A 2008-12-31 2008-12-31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KR101053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753A KR101053686B1 (ko) 2008-12-31 2008-12-31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753A KR101053686B1 (ko) 2008-12-31 2008-12-31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21A KR20100080121A (ko) 2010-07-08
KR101053686B1 true KR101053686B1 (ko) 2011-08-03

Family

ID=4264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753A KR101053686B1 (ko) 2008-12-31 2008-12-31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807A (ko) * 2013-08-29 2015-03-11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분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59Y1 (ko) * 2014-10-07 2015-05-28 이은식 향 발산 겸용 분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785B1 (en) 2000-08-30 2002-04-30 Saint-Gobain Calmar Inc. Hose-end aspiration-type spr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8785B1 (en) 2000-08-30 2002-04-30 Saint-Gobain Calmar Inc. Hose-end aspiration-type spra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807A (ko) * 2013-08-29 2015-03-11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분무기
KR102284635B1 (ko) 2013-08-29 2021-07-30 야마호고오교오가부시기가이샤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2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2657A1 (en) Portable agricultural sprayer
US4700892A (en) Misting and watering can
KR200282746Y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US20020186996A1 (en) Dispenser
KR101053686B1 (ko)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AU8942198A (en) Upright/inverted sprayer
US7325752B2 (en) Single valve ready to use hose end sprayer
EP2846927B1 (de) Tragbares sprühgerät
US3207387A (en) Portable sprayer
US20090308896A1 (en) Venting System for Battery Operated Sprayer
US20070045447A1 (en) Handgrip powered pressurized air sprayer
DE19948462A1 (de) Flasche mit handhebelbetätigbarer Sprühpumpe
US7677416B2 (en) In-line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US20040217134A1 (en) Ergonomic trigger for a trigger sprayer
US5816454A (en) Pump unit
KR20100128650A (ko) 사용이 편리한 분무기
CN209222429U (zh) 枪式液体喷射装置
JPH0224792Y2 (ko)
US2026234A (en) Portable dispensing device
US3840184A (en) Spray gun
KR200387233Y1 (ko) 수동 분무기
US3957208A (en) Spray gun
US5944258A (en) Spray gun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ejection of a mixture of water
KR102613251B1 (ko) 에어건용 밸브어셈블리
KR20230138967A (ko) 분무 기능을 구비하는 물뿌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