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558A -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 Google Patents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558A
KR20170108558A KR1020160032654A KR20160032654A KR20170108558A KR 20170108558 A KR20170108558 A KR 20170108558A KR 1020160032654 A KR1020160032654 A KR 1020160032654A KR 20160032654 A KR20160032654 A KR 20160032654A KR 20170108558 A KR20170108558 A KR 2017010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hot melt
sho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이미화
박의진
강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소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소재
Priority to KR1020160032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558A/ko
Publication of KR2017010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32B7/04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43B23/022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with waterproof breath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성 신발은 갑피의 내부에 투습방수 필름층을 구비하여 투습방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습방수 필름층과 직물과의 사이에 접착층을 두되, 신발에 부위에 따라 굽힘 강도,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요구되는 부분과 투습방수성이 요구되는 부분을 나누고, 각 부분에 맞는 패턴을 가지는 접착층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신발 또는 원단과는 달리 신발의 각 부분에 요구되는 내구성 및 투습방수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vapor-permeable frame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for shoe including thereof and shoe having waterproof vapor-permeable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의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단 제조 시 투습방수 필름을 접착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층에 의한 투습성 저하를 방지하고, 동시에 기계적인 강도를 크게 향상시켜 신발용 원단(갑피)의 수명을 늘린 투습방수 신발 및 상기 투습방수 신발용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해온 신발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각종 새로운 소재 및 구조가 개발되면서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맞는 여러 형태의 신발이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생활환경 변화에 따라 레저 산업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관련 산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신발 분야도 예외가 아니며, 각종 기후조건에서 인체를 보호하고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물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물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운동 중에 발생하는 땀을 발산하고, 외부에서의 수분 침투를 막아 체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동시에 위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한편, 통상의 신발류 물품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요 요소들, 신발용 원단(갑피)와 밑창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갑피는 밑창 구조에 고정되며 발을 안락하고 안전하게 수용하도록 신발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밑창 구조는 갑피의 하부 영역에 고정되며, 이에 의해 보행자의 발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발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조와 같이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기능과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상부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갑피에 의해 발을 감싸는 신발 내부 공간이 밀폐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신발을 신고 벗는 부분을 제외하고 갑피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밑창의 테두리를 따라 틈새 없이 결합되며, 신발창의 내면과 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쿠션을 주기 위하여 밑창의 내면에 실내창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신발을 착용하게 되면 밀폐된 신발 내부에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어 발에서 다량의 땀이 발생하게 되고, 신발 내부와 발에서 여러 가지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따뜻하고 습윤한 환경을 조장하게 된다. 이는 신발 내부 및 발에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무좀과 같은 피부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의 악취나 무좀 등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활성탄이나 녹차 성분 등의 특정 물질이나 성분을 함유한 재료를 포함하는 실내창을 제조하기도 하나, 그러한 실내창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신발 내부의 통기성을 직접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발의 중족 내측면부에 1 내지 2개의 소구경 통기구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가 신발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신발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통기구를 통하여 신발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갑피를 다층의 형태로 제조하고, 이중 하나의 층을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필름으로 적층한 형태도 제시하고 있으나,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필름과 갑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직물과의 접착을 위해 접착층을 도입하여야 하며, 상기 접착층이 방수성은 발현할 수는 있으나, 투습성이 없어 투습방수 필름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접착층의 면적을 줄이게 되면 투습성은 증대될 수 있으나, 접착 강도 및 굽힘 강도가 저하하여 결국 갑피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발의 투습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많은 기술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투습방수성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신발 또는 신발 갑피의 개발은 요원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2489 (2015년 04월 16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08293 (2015년 09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습방수 필름층의 일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적층하여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접착층이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투습방수성을 유지하면서도 접착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투습방수 부재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투습방수 부재에 외층, 제 2 접착층 및 내층을 더 적층하여 형성되는 신발용 원단(갑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상기 제 1 접착층 또는 제 2접착층이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굽힘 강도, 접착 강도 등의 내구성 및 투습방수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투습방수 신발 및 상기 투습방수 신발용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투습방수 필름층의 일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적층하여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패턴을 가지거나 웹(web)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비결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및 불소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습기경화형 핫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접착층은 20 내지 70 면적%의 표면피복률 및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a)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 부재를 외층용 기재와 접착하는 단계;
b) 상기 투습방수 부재 표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적층하여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내층용 기재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핫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층용 기재 또는 내층용 기재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면섬유, 마섬유, 모섬유, 견섬유,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전족 내측, 전족 외측 및 후족 후단부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중족 내측 및 중족 외측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어골형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웹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전족 전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 접착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성 신발은 신발용 원단(갑피)의 내부에 투습방수 필름층을 구비하여 투습방수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습방수 필름층과 직물과의 사이에 접착층을 두되, 신발에 부위에 따라 굽힘 강도,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인 물성이 요구되는 부분과 투습방수성이 요구되는 부분을 나누고, 각 부분에 맞는 패턴을 가지는 접착층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신발 또는 원단과는 달리 신발의 각 부분에 요구되는 내구성 및 투습방수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제조된 신발용 원단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갑피를 각 부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중 도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중 사각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중 육망성(hexagram)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중 역원형(reverse circle)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중 어골형(fish bone)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신발’은 사람의 발에 착용되어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사용되는 물건을 통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발바닥과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밑창과, 상기 밑창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발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밑창과 결합하여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신발용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은 야구화, 농구화, 축구화, 테니스화, 워킹화, 운동화, 하이킹부츠 등의 운동용 신발뿐만 아니라, 드레스 슈즈, 로퍼, 샌들 및 작업화 등의 비운동용 신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신발용 원단’은 상기 밑창 구조에 고정되며 발을 안락하고 안전하게 수용하도록 신발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발바닥을 제외한 발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갑피’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하는 신발용 원단의 구성요소는 신발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의복(셔츠, 팬츠, 양말, 아우터, 속옷 등), 운동용품(야구 및 축구 글로브, 축구공 등), 가방, 가구(의자 시트 등), 커버, 타올, 텐트, 돛, 낙하산, 필터, 의학용 직물, 사면 보강용 직물, 작물 보호용 직물 및 기타 산업용 직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밑창 은 상기 갑피와 결합되며, 발바닥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지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중창, 아웃솔 및 깔창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표면피복률’은 어느 한 기재에 적층체가 적층되었을 때, 상기 적층체에 의해 기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가려지는 면적(d)을 기재의 전체 면적(D)으로 나눈 비율((d/D))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층 또는 내층 상부에 적층된 접착층의 도포 면적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피복률 계산 시 면적은 반복되는 패턴이 내접(內接)하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핫멜트 접착제’는 물이나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여 점착 부여제 및 용융 시 점도를 저하시켜 도포성을 좋게 하는 왁스류의 주요 성분에 산화 방지제, 충전재 등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가열 용융상태에서 피착체 표면에 도포 및 접착한 후 냉각하면 고화되어 접착력이 발휘되는 열융합형 접착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웹(web)형’은 섬유 형태의 조성물을 부직포와 같이 일정한 형태 또는 패턴을 갖지 않는 무정형의 시트 상으로 제조한 집합체를 통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투습방수 신발이 투습방수 필름층과 접착층이 공존함에 따라 기계적인 물성과 투습방수성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던 중, 신발을 착용하였을 때 기계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과, 투습방수성이 요구되는 부분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갑피 중 기계적인 강도가 요구되는 부분과, 투습방수성이 요구되는 부분의 접착층 형성 패턴을 달리함으로써 신발에 요구되는 투습방수성을 만족함과 동시에 접착층의 접착 강도 및 갑피의 굽힘 강도를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부재는 도 1과 같이 투습방수 필름층(110)의 일면에 적층된 제 1 접착층(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원단(갑피, 200)은 상기 투습방수 부재에 외층, 제 2 접착층 및 내층이 더 적층된 형태로, 상기 갑피(200)는 도 2와 같이 제 1 접착층(120), 투습방수 필름층(110)으로 이루어진 투습방수 부재(100)와,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타면에 적층된 제 2 접착층(210), 제 1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외층(220) 및 상기 제 2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된 내층(2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접착층(120) 또는 제 2 접착층(210)은 도트형 패턴을 가지거나 웹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에 포함되는 갑피는 도 3과 같이 위치에 따라 명칭을 달리할 수 있다. 먼저 ‘전족’은 신발에서 착용자의 지골과, 상기 지골 및 중족골을 연결하는 조인트 및 발의 토우(toe)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후족’은 신발에서 착용자의 발꿈치뼈와 아킬래스건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중족’은 상기 전족과 후족 사이에 위치하며, 착용자의 발 아치에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신발을 기준으로 다른 신발과 마주보는 면을 ‘내측’내측의 반대 면을 ‘외측’이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전족에서 발가락이 직접 닿는 부분을 ‘전단’상기 후족에서 뒤꿈치와 직접 닿는 부분을 ‘후단’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여 본 발명에서의 갑피는 위치에 따라 전족 전단(201), 전족 내측(202), 전족 외측(203), 중족 내측(204), 중족 외측(205), 후족 후단(206), 후족 내측(207), 후족 외측(208) 등으로 각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피는 각 부분과 별개로 일반적인 신발의 위치에 따라 구비되는 신발의 혀 및 신발끈이 위치하는 부분인 설포(tongue, 300) 및 발이 들어가는 부분인 발투입구(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신발의 영역들은 신발의 정확한 영역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기 위한 신발의 일반적인 영역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밑창은 상기 갑피에 고정되며, 신발을 착용할 때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밑창은 상기와 같이 중창, 아웃솔 및 깔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창은 갑피의 저면에 고정되고,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의 압축 가능한 재질이 발포된 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창은 걷기, 달리기 또는 다른 야외 활동 중에 지면과 발 사이에서 압출될 때 지면에서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창은 안정성을 증진시키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플레이트, 완충, 유체 충전 챔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솔(outsole)은 중창의 저면에 고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수축을 부여하기 위한 조직으로 충전된 챔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깔창은 상기 중창의 상면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에 직접 닿는 위치에 형성되며, 착용자에게 안락함을 주기 위한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갑피 및 제조되는 신발의 용도에 따라 통상의 또는 비통상적인 다양한 재질, 구성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갑피는 상기 밑창과 결합하여 발을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신발 속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지는 않으나, 상기 갑피에는 일반적인 신발에 포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신발끈, 신발끈 구멍, 신발 혀, 힐 카운터, 토 카드, 상표, 로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부재를 층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1) 투습방수 필름층
본 발명에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상기 갑피에 투습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내부로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신발 내부의 땀은 신발 외부로 방출하여 신발 내부의 환경을 더 쾌적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투습방수 필름이 요구되는 물성, 즉, 빗방울보다 작고 수증기보다 큰 공극인 0.0004㎛ 내지 100㎛의 기공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질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의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부텐 등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PO)계 수지; 환형 폴리올레핀 등의 비결정 폴리올레핀(APO)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아릴레이트(PAR)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12, 공중합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PA); 폴리비닐알콜(PVA) 수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등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우레탄(PU)계 수지; 폴리이미드(PI)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수지 등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PS)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PES) 수지 등의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3불화 염화에틸렌(PFA), 4불화 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FEP), 불화 비닐리덴(PVF), 퍼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비닐에테르-공중합체(EPA) 등 불소계 수지;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제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올레핀계가, 투습방수성 측면에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불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장기 내구성의 관점에서 융점이 100 내지 140℃의 범위인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직쇄형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폴리프로필렌 수지(PP)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투습방수 필름층의 평균 두께는, 5 내지 150㎛가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20 내지 40㎛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평균 두께가 5㎛ 미만일 경우 연신 시에 필름의 성형이 곤란하고,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투습방수 필름층의 평균 두께가 150㎛를 초과하는 경우 필러의 직경이 그만큼 커져야하므로 필름층에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상기와 같이 필름층에 형성되는 공극의 직경이 0.0004㎛ 내지 100㎛일 수 있다. 0.0004㎛ 미만인 경우 신발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우며, 100㎛ 초과인 경우 방수성을 만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다공성 필름 제조 시 통상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이라면 종류에 관계없다. 일예로, 상기 베이스 수지의 마스터배치, 비금속 필러, 기타 첨가제를 헨셀 믹서, 슈퍼 믹서, 텀블러형 믹서 등을 이용해서 혼합한 후, 1축 또는 2축 스크류형 압출기를 이용해서 혼련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한다. 그리고 이들 펠릿을 상기 베이스 수지의 융점보다 20℃ 이상 분해 온도 미만의 온도 범위에서 T 다이 성형기, 인플레이션 성형기, 캘린더법, 다층 성형법, 콤마 코터, 나이프 코터 등의 공지의 성형기를 이용해서 용융 제막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펠릿화하지 않고 직접 압출기로 제막할 수도 있다.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제조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팅 실런더에서 일정 압력을 가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히팅 실린더의 온도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나 20 내지 70℃일 수 있으며, 3 내지 5㎏/㎠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제막된 투습방수 필름은, 롤법, 텐터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온 내지 상기 베이스 수지 연화점(KS M ISO 306에 규정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값)에서,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을 수행하여, 수지와 비금속 필러와의 계면 박리를 일으키게 함으로써 다공질 필름을 제조한다. 연신은 다단계로 나누어 수행해도 좋다.
2) 제 1 접착층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신발용 원단 제조 시 상기 제 1 접착층의 일면에 외층을 적층하여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과 상기 외층을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핫멜트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고체상의 물질로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지 않고 100% 고형분만을 열에 의해 용해, 도포한 후 피착체나 주위에 열을 발산함으로써 냉각, 고화 되는 과정을 통해 짧은 시간에 접착을 나타내는 접착제이다. 이러한 접착제는 타 용제형 접착제나 수분산형 접착제 등에 비해 건조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공간이 작고, 접착속도가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피혁, 필름, 시트 등에 접착의 용도로 통상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의 재질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주성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용융온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150℃ 이하인 것이 작업의 용이성 및 공정 조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지수(melt index)는 5 내지 500 ㎤/10min인 것이 좋다. 특히 용융지수가 5 ㎤/10min이하인 경우 외층 또는 내층과 투습방수성 필름간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0 ㎤/10min 초과인 경우 용융된 핫멜트형 접착제가 외층, 내층 또는 투습방수성 필름으로 침투하여 투습방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접착층은 습기경화형 핫멜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즉, 외층과 가까운 제 1 접착층은 외층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기 용이하므로, 공기 중 또는 피착체 표면의 수분과 말단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이 진행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 접착층의 접착력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포 시 두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0.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 미만인 경우 접착력이 낮아져 갑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수 있으며, 1.0 ㎜ 초과인 경우 접착력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접착층이 구비된 신발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투습방수 필름층의 투습방수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투습방수 필름층과 외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패턴 또는 적층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패턴을 가지거나 웹(web)형으로 적층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제 1 접착층의 패턴을 도트형으로 형성하거나 무정형의 웹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외층과 투습방수성 필름층 간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켜 외층이 투습방수성 필름층과 박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부재는 도트형 또는 웹형의 접착층의 단점인 낮은 기계적 물성을 해소하기 위해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어텍스(gore tex)와 같은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직물의 경우, 외층, 내층과의 사이에 투습방수성 필름이 구비된다. 문제는 투습방수성 필름과 이를 감싸는 외층, 내층 간에 친화성이 부족하여 이들을 반드시 접착하여야 한다.
둘 이상의 시트 형태의 기재를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접착공정 없이 기재를 적층한 후 이를 압착하거나, 기재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를 부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재가 아닌 투습방수성 필름을 접착하기에는 두 방법 모두 부적당하다. 적층 후 압착하는 방법으로는 투습방수성 필름에 형성된 미세 기공이 압착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며, 접착제로 부착할 경우, 접착제에 의해 투습방수성 필름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어 투습방수성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제를 도트형 패턴으로 형성하여 기재와 투습방수성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면접착이 아닌 점접착 형태를 띠게 되므로 접착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갑피에 형성된 제 1 접착층의 패턴을 위치에 따라 서로 달리함으로써 투습방수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높은 기계적 물성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갑피는 위치에 따라 전족 전단, 전족 내측, 전족 외측, 중족 내측, 중족 외측, 후족 후단,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부분별로 서로 상이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8에 투습방수 필름층(110) 및 제 1 접착층(120)의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상기 접착 패턴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접착층(120)은 투습방수 필름층(110)의 일면에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서로 혼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패턴 형태 중 도트형을 도시한 것으로, 접착층의 적층 면적이 갑피의 다른 부분에 비해 적어 투습방수성이 보다 요구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일반적으로 발에서 가장 땀이 많이 나는 부분은 발가락과 그 사이이므로, 발가락과 가까운 부분인 전족 전단은 접착층이 상기와 같은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와는 반대로 신발 착용 시 굽힘이나 인장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은 도트형 접착층으로는 갑피에 부여되는 인장부하 또는 피로강도를 버티지 못하여 투습방수 필름층과 내층 또는 외층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접착층이 도트형보다는 많은 적층 면적을 가지는 것이 좋다.
특히 도트형과 유사하게 최대한 적층 면적을 줄이면서도, 동시에 접착층의 패턴이 각 도형간에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좋다. 즉, 접착층의 패턴인 각 도형에서 각각 모서리가 서로 접했을 때 일정한 형태로 연결되는 패턴을 가짐으로써, 접착층의 적층 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동시에 투습방수성의 발현을 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도트형에 비해 접착 후에도 기계적인 물성이 발현될 수 있는 패턴 형태로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 등을 들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상기와 같은 물성 및 형태를 가지는 접착층 패턴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5는 상기 패턴 형태 중 사각형 패턴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접착층은 도트형 패턴과 유사하게 접착층이 적층된 부분과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교호로 반복되어 체크무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트형과 다른 부분은 사각형 패턴의 모서리가 다른 사각형 패턴의 모서리와 직접 닿아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접착층 형성용 핫멜트 조성물 도포 시 몰드를 설치하거나, 롤러를 이용한 코팅 시 롤러의 음각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인 갑피의 기계적 물성 및 투습방수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각각 육망성형 및 역원형 접착층 패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사각형 패턴과 유사하게 접착층이 적층된 부분과 적층되지 않는 부분이 교호로 반복되며, 패턴을 이루는 도형이 각각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어골형 접착층 패턴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패턴 형태에 비해 접착층의 적층 면적은 더 늘어난 형태이나, 패턴의 반복단위가 서로 연결된 형태는 아니다. 상기와 같은 어골형 패턴은 다수 개의 띠 형상이 결합된 형태로 접착층의 면적이 더 늘어났기 때문에 다른 패턴 형태에 비해 투습방수성이 일부 저하될 수는 있으나, 그만큼 접착력이 우수하여 굽힘강도 또는 인장강도가 요구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어골형 이외에 빗(comb)형 패턴도 상기 어골형 패턴과 유사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갑피 중 신발 착용 시 가장 많이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부분인 전족 내측, 전족 외측 및 후족 후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많이 요구되므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중족 내측 및 중족 외측의 경우에도 갑피의 다른 부분에 비해 신장(伸張)이 많이 발생하므로, 다른 패턴에 비해 인장강도가 강한 어골형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갑피 중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의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인 강도나 투습방수성이 크게 요구되는 부분은 아니므로, 도트형, 웹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접착층의 패턴은 제 1 접착층 및 후술할 제 2 접착층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같은 부분에서 서로 상이한 접착 패턴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일예로 전족 내측에서 제 1 접착층은 사각형 패턴을 가지며, 동시에 제 2 접착층은 육각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표면피복률을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접착층은 표면피복률이 각각 20 내지 70 면적%일 수 있다. 접착층의 표면피복률이 20 면적% 미만인 경우 접착층의 지지면적 하락에 의한 접착력 저하로 기계적인 물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70 면적% 초과인 경우 기계적인 물성은 만족할 수는 있으나 지지면적의 증가로 인해 갑피의 투습방수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핫멜트 조성물을 가열, 용융시켜 투습방수 필름층에 코팅하거나, 이형성 기재 상에 먼저 코팅한 후, 핫멜트 조성물의 도포면과 외층용 기재와 접합시켜 숙성한 후, 상기 이형성 기재를 박리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온도 제어가 가능한 도포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일예로 60 내지 170℃ 범위로 온도 제어가 가능한 그라비아 롤 코터, 스프레이 코터, 슬롯다이 코터, 커튼 코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기경화형 핫멜트 조성물은 패턴이 형성되도록 외층용 기재 상에 몰드를 먼저 구비한 후 도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몰드는 상기 습기경화형 핫멜트 조성물이 다양한 패턴 형태로 적층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기재의 원하는 부분에 원하는 형태의 접착층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몰드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접착층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몰드의 형태는 상기 제 1 접착층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패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몰드의 재질을 한정치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몰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핫멜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접착층은 두께가 0.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에서 원하는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갑피의 유연성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접착층 조성물은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 이외에도 저분자량의 접착증강제 및 연화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접착증강제의 경우 접착층과 다른 기재와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갑피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접착증강제의 예를 들면 석유계 수지(C5 석유 수지, C5/C9 석유 수지, C9 석유 수지, 수첨 C5 석유 수지, 수첨 C5/C9 석유 수지, 수첨 C9 석유 수지 등), 테르펜계 수지(수첨 페놀화 테르펜 수지, 페놀화 테르펜 수지, 수첨 테르펜 수지 등), 로진계 수지(로진 수지, 수첨 로진 수지, 에스테르화 로진 수지, 수첨 에스테르화 로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화 오일의 예를 들면 방향족계 오일(aromatic base oil), 나프텐계 오일, 파라핀계 오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조성비는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 40 내지 60 중량%, 접착증강제 30 내지 50 중량% 및 연화 오일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투습방수 필름층에 제 1 접착층을 적층한 후, 상기 제 1 접착층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숙성 조건으로서는, 환경 온도가 20 내지 40℃, 상대습도가 50 내지 80%, 숙성 기간이 1 내지 7일간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숙성 조건이면 습기경화형 핫멜트 조성물에 존재하는 관능기와 물과의 반응이 완료되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신발용 원단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습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용 원단은
a)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 부재를 외층용 기재와 접착하는 단계;
b) 상기 투습방수 부재 표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적층하여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내층용 기재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습방수 부재는 외층용 기재와 접착하기 전에 상기 신발의 부분에 맞추어 여러 형태로 절단한 후 접착할 수 있다. 이는 갑피 제조 시 각 부분별로 제조한 후 이를 봉제하는 기존의 신발용 갑피와는 달리, 다른 봉제 공정이 필요 없이 상기 투습방수 부재만을 신발의 모양 및 각 부분에 맞게 일부 제단한 후, 상기 외층과 접착함으로써 완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 및 원사 사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신발의 중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층용 기재는 상기 갑피에서 가장 바깥쪽(발이 위치하는 부분의 반대편, 외층(220))에 형성되는 층의 원료로, 상기 외층은 신발 외부에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발에 안락함을 주며, 보온 역할 및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층은 신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시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등의 가죽류, 면섬유, 마섬유, 모섬유, 견섬유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 등의 반합성섬유,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층의 섬유의 집속체 형태일 경우, 상기 외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제직물, 편직물, 부직포, 필름 형태 등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2차 가공될 수도 있다. 다만, 제조되는 신발의 투습방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직, 편직, 부직포 등의 제조방법을 적용한 시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층이 제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과 같이 섬유의 집속체 형태인 경우, 상기 섬유는 섬도 또는 섬유의 단면 형태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카드 직기로 제조된 편성물인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외층의 형태는 제조되는 신발의 사용 목적, 제조 방법, 각 층의 두께 및 기타 추가적인 효과를 부여함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조건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외층은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을 더 발현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물 또는 후가공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외층은 필요에 따라 외부 오염원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불소계 수지 및 코팅액을 포함하는 방오코팅용 조성물을 외층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 불소계 수지는 주쇄가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의 수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불소원자로 치환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가능한 불소계 수지를 제한하지 않으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상기 불소계 수지의 용제로써 상호 촉매작용을 하여 그로인해 발생하는 용해열로 자체 증발될 수 있는 유용성 용제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으며, 일예로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및 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층을 구성하는 섬유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니켈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의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유기 니켈(Ni)계, 입체장애(hindered) 피페리딘계, 입체장애 아민계를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 상기한 것 외에 예를 들면 페놀계, 인계, 유황계, 블렌드계, 포스파이트(phosphite)계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상기 첨가제로 더 포함해도 좋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방오코팅용 조성물과 같이 섬유 또는 제직물 등의 표면에 코팅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섬유의 방사용액에 상기 첨가제를 혼합한 후 방사하는 방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외층은 사용 목적에 따라 보온 패드, 충격 흡수용 패드, 갑피 관통 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투습방수 부재와 외층을 접착한 후, b) 단계와 같이 상기 투습방수 부재 표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적층하여 제 2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물, 적층 방식, 패턴 형태, 형성 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상기 제 1 접착층과 같이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핫멜트인 것이 좋다. 제 2 접착층의 경우, 외층, 제 1 접착층 및 투습방수 필름층에 의해 외부 환경과 차단되어 있어 수분과의 접촉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일반 열가소성 핫멜트를 이용하여 가열 및 냉각에 의해 접착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2 접착층은 도포 시 두께가 제 1 접착층과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접착층과 유사하게 투습방수 필름층의 투습방수 효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투습방수 필름층과 내층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착층은 동일 위치에서 제 1 접착층과 상이한 패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같은 부분에서 서로 상이한 접착 패턴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일예로 전족 내측에서 제 1 접착층은 사각형 패턴을 가지며, 동시에 제 2 접착층은 육각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접착층의 표면피복률도 제 1 접착층의 표면피복률 범위와 동일 범위를 가지는 것이 좋으나, 원단의 동일 위치에서 제 1 접착층과 제 2 접착층이 동일한 표면피복률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일예로, 신발의 전족 전단에서 제 1 접착층의 표면피복률이 40 면적%라 한다면, 제 2 접착층의 표면피복률은 50 면적%일수도, 30 면적%일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접착층을 적층한 후, 내층용 기재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착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내층용 기재는 상기 갑피의 가장 안쪽(발이 위치하는 부분, 내층(150))에 형성되는 층의 원재료로써, 발에 안락함을 주며, 보온 역할 및 상기 투습방수용 필름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층용 기재는 상기 외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 제조방법, 두께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을 더 발현하기 위해 다양한 첨가물 또는 후가공을 부여할 수 있다. 일예로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섬유원료와는 별개로 레이온, 마, 코코넛피, 아몬드피, 사탕수수, 대나무섬유, 옥수수섬유, 카제인섬유 및 키토산섬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균성 섬유를 더 첨가하여 제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나트륨염, 에리토빈산, 에리토빈산 나트륨염, 라이코펜 및 케르세틴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 고분자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천연 고분자 성분은 아교 등의 천연 접착제를 포함하는 코팅액과 혼합하여 섬유 형태 또는 상기 섬유의 집속체 형태에 직접 코팅하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상기 내층용 기재는 상기 외층용 기재와 유사하게 사용 목적에 따라 보온 패드, 충격 흡수용 패드, 갑피 관통 홀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내층용 기재를 제 2 접착층 표면에 올려놓은 후 압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접착층과 내층용 기재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내층용 기재를 적층한 후, 한 쌍의 프레스 롤 사이로 통과시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발에 포함되는 상기 원단은 신발의 위치에 따라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의 패턴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신발의 전족 내측, 전족 외측 및 후족 후단부에 해당하는 원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의 중족 내측 및 중족 외측에 해당하는 원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어골형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의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에 해당하는 원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의 전족 전단에 해당하는 원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발에서 가장 땀이 많이 나는 부분은 발가락과 그 사이이므로, 발가락과 가까운 부분인 전족 전단은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이 도트형 또는 웹형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으며, 이와는 반대로 신발 착용 시 굽힘이나 인장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상기와 같은 도트형 접착층으로는 갑피에 부여되는 인장부하 또는 피로강도를 버티지 못하여 투습방수 필름층과 내층 또는 외층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접착층이 도트형보다는 많은 적층 면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신발 착용 시 가장 많이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부분인 전족 내측, 전족 외측 및 후족 후단은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많이 요구되므로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중족 내측 및 중족 외측의 경우에도 갑피의 다른 부분에 비해 신장(伸張)이 많이 발생하므로, 다른 패턴에 비해 인장강도가 강한 어골형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신발용 원단 중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의 경우 다른 부분에 비해 기계적인 강도나 투습방수성이 크게 요구되는 부분은 아니므로, 도트형, 웹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투습방수 부재
110 : 투습방수 필름층
120 : 제 1 접착층
200 : 신발용 원단
210 : 제 2 접착층
220 : 외층
230 : 내층
201 : 전족 전단
202 : 전족 내측
203 : 전족 외측
204 : 중족 내측
205 : 중족 외측
206 : 후족 후단
207 : 후족 내측
208 : 후족 외측
300 : 설포
400 : 발투입구

Claims (14)

  1. 투습방수 필름층의 일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적층하여 제 1 접착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패턴을 가지거나 웹(web)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부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방수 필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비결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및 불소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투습방수 부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투습방수 부재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습기경화형 핫멜트인 투습방수 부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를 가지는 투습방수 부재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20 내지 70 면적%의 표면피복률을 가지는 투습방수 부재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층은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투습방수 부재의 제조방법.
  8. a) 제 1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항에 따라 제조된 투습방수 부재를 외층용 기재와 접착하는 단계;
    b) 상기 투습방수 부재 표면에 핫멜트 조성물을 도트형 패턴 또는 웹형으로 적층하여 제 2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내층용 기재를 상기 제 2 접착층과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핫멜트, 폴리에스테르 핫멜트, 폴리우레탄 핫멜트, 폴리올레핀 핫멜트, 폴리스티렌 핫멜트, 에틸렌-아크릴 공중합체 핫멜트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핫멜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조성물은 열가소성 핫멜트인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과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fish bone), 오망성형, 육망성형, 역원형(reverse circl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이 혼재된 형태인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용 기재 또는 내층용 기재는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면섬유, 마섬유, 모섬유, 견섬유, 레이온,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2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전족 내측, 전족 외측 및 후족 후단부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중족 내측 및 중족 외측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어골형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후족 내측 및 후족 외측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웹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어골형, 오망성형, 육망성형 및 역원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 패턴을 가지며;
    상기 신발용 원단 중 전족 전단의 제 1 접착층 또는 제 2 접착층은 도트형 또는 웹형 접착 패턴을 가지는 것인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KR1020160032654A 2016-03-18 2016-03-18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KR20170108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54A KR20170108558A (ko) 2016-03-18 2016-03-18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54A KR20170108558A (ko) 2016-03-18 2016-03-18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58A true KR20170108558A (ko) 2017-09-27

Family

ID=6003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54A KR20170108558A (ko) 2016-03-18 2016-03-18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5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79B1 (ko) * 2018-10-31 2019-10-31 (주)브리즈텍스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2439731B1 (ko) * 2022-01-18 2022-09-02 주식회사 어드레스8 방수투습성 원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779B1 (ko) * 2018-10-31 2019-10-31 (주)브리즈텍스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1349A1 (ko) * 2018-10-31 2020-05-07 주식회사 실론 열접착이 가능한 투습방수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2439731B1 (ko) * 2022-01-18 2022-09-02 주식회사 어드레스8 방수투습성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7587A1 (en) Soft shell boots and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composites and liner for in-line skates, ice-skates, hockey skates, snowboard boots, ap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JP5785278B2 (ja) 靴底複合材、それにより構成された靴製品およびそのような靴製品の製造方法
RU2440895C2 (ru) Самозакрывающаяс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вставка (варианты), применени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вставки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5129555A1 (ja)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DK2742820T3 (en) Monofilament footwear lining
HRP20151042T1 (hr) Tkanina, osobito za odjevne predmete i obuä†u
KR20140135807A (ko) 신장가능한 인솔
JP2009528105A5 (ko)
TW201603738A (zh) 後踵護片及鞋子
CN104540484B (zh) 一次性穿戴品
US20210401119A1 (en) Laminate Panel with Auxetic Layer
TWM504702U (zh) 透氣彈性的三明治複合布
KR880000944B1 (ko) 양말 및 신발류(Footwear articles)용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적층품
KR20170108558A (ko) 투습 방수 부재 제조방법, 상기 투습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용 원단 제조방법 및 상기 신발용 원단을 포함하는 투습방수성을 가지는 신발
JP2008012101A (ja) 足裏マッサージ用シートまたはシート積層物
NZ527369A (en) Laminate material for the protection of body parts and device comprising such laminate
KR101656412B1 (ko) 통기성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KR102103566B1 (ko) 투습방수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6007B1 (ko) 한지를 이용한 신발용 갑피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용 갑피
EP1562740A1 (en) Moisture transpiration composite and products therefrom
CN101589861A (zh) 纳米抗菌除臭鞋
WO2010044657A2 (en) Laminate material for producing footwear, and device produced therefrom
CN218418662U (zh) 一种排湿清凉的抑菌飞织鞋面
US20240164484A1 (en) Method of Making Laminate Panel with Auxetic Layer
KR101530771B1 (ko) 신발 깔창용 패드의 라미네이션 방법 및 그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