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547A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547A
KR20170108547A KR1020160032628A KR20160032628A KR20170108547A KR 20170108547 A KR20170108547 A KR 20170108547A KR 1020160032628 A KR1020160032628 A KR 1020160032628A KR 20160032628 A KR20160032628 A KR 20160032628A KR 20170108547 A KR20170108547 A KR 20170108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lastic
connection
connection bracket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249B1 (ko
Inventor
이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신오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오이앤티 filed Critical (주)신오이앤티
Priority to KR102016003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1912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 E04B2001/1915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entral cubical connecting element with strut engaging means at the edges of the cube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며, 수직부재에 수평부재가 조립된 구조체의 잔류응력 발생과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수직부재의 측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이고, 수직부재에 지지되는 베이스브라켓과, 수직부재와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와,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고 수평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과, 수평부재와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나사 및 연결브라켓에 장착되고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탄성나사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CONNECTING MODULE AND CONNECTING METHOD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며, 수직부재에 수평부재가 조립된 구조체의 잔류응력 발생과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분야에서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기둥과 보 등과 같은 구조부재들을 단위 부재화하고 현장에서 이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일예로,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보의 접합은 철골제작공장 또는 현장에서 보의 일부를 절단하여 기둥 부위에 용접 접합하고, 기둥에 접합된 보의 일부와 보의 나머지 부분을 고력볼트 접합하는 형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철골부재를 조립하는 경우, 구조부재(기둥, 보 등)의 중요 부위에 대해서는 현장용접을 가능한 피하고 엄격한 관리 아래 공장용접을 권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응력집중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접합부에 대한 다양한 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접합 방식은 용접시공불량 혹은 용접부에서의 응력집중 현상 등에 의해 기둥과 보의 연결 부위에서 파괴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둥에 보를 용접하여 접합할 경우, 용접열의 영향에 의해 기둥과 보를 구성하는 소재의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고, 응력집중 부위가 발생하는 등 건축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많은 요소들이 산재한다. 또한, 용접 접합을 위한 고급기술자의 시공 능력이 요구되는 등 시공상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장용접을 피하기 위해 일부 구조부재를 공장에서 용접하여 현장으로 운반할 경우, 기둥과 보의 대형화에 따라 차량에 적재하고 운송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역 운반 시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20444호(발명의 명칭 : 철골건축물의 기둥과 H형강 보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방법, 2004. 03. 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며, 수직부재에 수평부재가 조립된 구조체의 잔류응력 발생과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수직부재의 측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이고, 상기 수직부재에 지지되는 베이스브라켓;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나사;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탄성나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는,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걸림 결합되는 볼트머리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머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나사부가 포함된 고정볼트부; 상기 볼트나사부가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에 지지되는 탄성조작블럭;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너트부;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나사부와 상기 탄성너트부의 나사 결합에 따라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간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조작블럭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걸림 지지되는 체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제1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밀착부재가 밀착되고, 단부에 제1밀착걸림부가 구비되는 밀착브라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밀착브라켓부에 지지되는 밀착판부; 상기 연결브라켓을 감싸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판부에서 연장되는 밀착날개부; 및 상기 제1밀착걸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밀착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밀착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는, 상기 수직부재를 감싸도록 수직부재지지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뚜껑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은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수직부재의 측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이고, 상기 수직부재에 베이스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나사조립체를 상기 연결브라켓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수평부재에 상기 연결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를 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연결브라켓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탄성부재와 탄성너트부가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나사부가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조작블럭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나사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머리부와 상기 탄성조작블럭 사이에 간격브라켓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간격브라켓이 상기 탄성조작블럭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며, 수직부재에 수평부재가 조립된 구조체의 잔류응력 발생과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용접 부위를 없애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조립됨으로써, 현장 또는 공장에서 용접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치수 변화를 흡수하여 구조체에 잔류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층간변위에 따른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 용접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며, 열 변형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예방하고, 간편하게 현장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연결 고정시키고, 수직부재에서 수평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에서 연결모듈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탄성나사조립체를 구현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연결브라켓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하여 베이스브라켓에서 연결브라켓이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과 볼트머리부 사이의 유격거리를 확보하고, 탄성너트부가 볼트나사부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나사 결합에 따라 탄성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부와 머리지지부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재의 이동량을 제한하고, 볼트나사부와 탄성너트부의 나사 결합 한계를 설정하며, 볼트나사부와 탄성너트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의 결합에 있어서, 베이스브라켓에서 연결브라켓의 정위치가 편리하고, 탄성나사조립체의 결합 동작에 앞서 베이스브라켓에 연결브라켓을 1차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과 밀착부재와 수평부재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연결브라켓에서 수평부재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가조립 상태에서 연결브라켓에서 수평부재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에서 베이스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수직부재에서 베이스브라켓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수직부재와 베이스브라켓 사이에서 이종 금속에 따른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수직부재와 베이스브라켓의 결합에 따라 발생되는 편차를 보정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부재와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연결브라켓에서 수평부재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연결브라켓과 수평부재 사이에서 이종 금속에 따른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연결브라켓과 수평부재의 결합에 따라 발생되는 편차를 보정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에서 베이스브라켓을 정위치시키고, 체결부재를 통한 수직부재와 베이스브라켓의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부재에서 수평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결합 부위 및 결합 구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부위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건설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며, 건설 생상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간단한 조립(나사 결합, 끼움 결합, 탄성 지지)으로 현장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에 의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연결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밀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에 의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연결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밀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수직부재(100)의 측면에 수평부재(200)를 연결시키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베이스브라켓(10)과, 체결부재(20)와, 연결브라켓(30)과, 체결나사(50)와, 탄성나사조립체(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100)에는 상기 체결부재(20)의 관통을 위한 제1관통공(10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200)에는 상기 체결나사(50)의 관통을 위한 제2관통공(20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상기 수직부재(100)의 일측면 또는 상기 수직부재(100)의 양측면 또는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이웃하는 두 측면에 상기 수평부재(200)를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기 수직부재(100)에 지지된다.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 또는 상기 수직부재(100)에 지지되는 체결머리부(21)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머리부(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부(22)와,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체결나사부(22)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너트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는 상기 체결나사부(22)가 관통하는 체결와셔(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와셔(24)는 상기 체결머리부(21) 측과 상기 체결너트부(23) 측에 설치되어 나사 결합에 따른 압력을 분산시켜 나사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수평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는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장착된다.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을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과 함께 조립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밀착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를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나사(50)는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를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 체결나사(50)는 상기 수평부재(200)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브라켓(3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는 고정볼트부(41)와, 탄성조작블럭(42)과, 탄성너트부(43)와, 탄성부재(44)와, 간격브라켓(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과 볼트머리부(411, 상기 고정볼트부(41)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걸림 결합되는 부분)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탄성조작블럭(42)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부(41)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걸림 결합되는 볼트머리부(411)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머리부(4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0)을 관통하는 볼트나사부(412)가 포함된다.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은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지지된다.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은 상기 연결브라켓(30)에 구비되는 조절공간(31)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은 상기 연결브라켓(30)에 구비되는 조절공간(31)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에서 탈부착 되어도 된다.
상기 탄성너트부(43)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탄성너트부(43)는 중공의 링 형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나사부(41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4)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탄성너트부(43)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상기 탄성너트부(43)가 상기 볼트나사부(41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의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함은 물론 부여되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볼트머리부(411)가 삽입 지지되는 머리지지부(11)가 구비된다. 상기 머리지지부(11)에는 상기 볼트머리부(411)가 삽입되는 머리삽입부(111)와,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삽입되는 나사삽입부(112)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상기 머리지지부(11)에서 상기 볼트머리부(411)는 회전되기도 하고,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를 이격시킨다.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4)가 나사 결합되더라도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의 유격거리를 확보하고, 상기 고정볼트부(41)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상기 머리지지부(11)에 결합될 때,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간격브라켓(46)에는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삽입되는 간격형성홈(46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브라켓(46)에는 판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탈안내리브(46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브라켓(46)에는 파지를 위한 간격파지부(46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브라켓(46)의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30)에는 상기 간격브라켓(46)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는 탄성지지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재(45)는 상기 탄성부재(44)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재(44)와 상기 탄성너트부(43)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은 중공의 통 형상으로 상기 탄성부재(44)와 상기 탄성너트부(43)와 상기 탄성지지부재(45)가 삽입되는 탄성공간부(421)를 형성한다.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의 나사 결합에서 상기 탄성너트부(43)는 상기 탄성공간부(421)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성공간부(421)에는 상기 탄성지지부재(45)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탄성제한부(42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제한부(422)는 상기 탄성지지부재(45)의 이동량을 제한하고,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의 나사 결합 한계를 설정하며,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수직부재(10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체결부재(20)의 단부가 걸림 지지되는 체결지지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지지부(12)에는 상기 체결나사부(22)가 관통하면서 상기 체결머리부(21)가 걸림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지지부(12)에는 상기 체결나사부(22)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수직부재(100)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체결부재(20)의 단부가 걸림 지지되는 체결지지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지지부(12)에는 상기 체결나사부(22)가 관통하면서 상기 체결머리부(21)가 걸림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지지부(12)에는 상기 체결나사부(22)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1차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연결브라켓(30)과의 연결을 위해 제1걸림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30)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13)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0)에는 상기 체결나사(5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체결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30)에는 상기 수평부재(200)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는 삽입제한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제한부(35)는 상기 연결브라켓(30)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수직부재(100)를 감싸도록 수직부재지지부(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지지부(15)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수직부재(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체결지지부(12)에 관통 형성되는 구멍과 상기 제1관통공(101)을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밀착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재(60)는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 사이에 밀착 삽입된다. 상기 밀착부재(60)는 상기 연결브라켓(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재(200)에 밀착 지지된다. 상기 밀착부재(60)는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60)가 상기 연결브라켓(30)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연결브라켓(30)에는 단부에 제1밀착걸림부(361)가 구비되는 밀착브라켓부(36)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브라켓부(36)는 상기 밀착부재(60)가 밀착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부재(60)는 상기 밀착브라켓부(36)에 지지되는 밀착판부(61)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을 감싸도록 상기 수평부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판부(61)에서 연장되는 밀착날개부(62)와, 상기 제1밀착걸림부(361)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판부(61)에서 연장되는 제2밀착걸림부(63)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밀착판부(61)는 상기 밀착브라켓부(36)에 밀착되고, 상기 제2밀착걸림부(63)는 상기 밀착판부(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밀착걸림부(361)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밀착걸림부(361)에 걸림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날개부(62)는 상기 밀착판부(61)에서 구부러져 상기 연결브라켓(30)을 감싸도록 연장됨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상기 수평부재(200)가 결합될 때, 상기 밀착날개부(62)가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20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재(60)는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 사이에 상기 밀착부재(60)가 밀착 삽입됨에 따라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종 금속인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밀착가스켓(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가스켓(70)은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 사이에 밀착 삽입된다. 상기 밀착가스켓(70)은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가스켓고정홈(1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밀착가스켓(70)에는 상기 가스켓고정홈(14)에 삽입되는 가스켓고정돌기(7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밀착가스켓(70)을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서 상기 밀착가스켓(70)을 정위치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재(10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가스켓(70)은 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 사이에 상기 밀착가스켓(70)이 밀착 삽입됨에 따라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종 금속인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은 체결뚜껑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뚜껑부(8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를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결뚜껑부(80)는 상기 머리지지부(11)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지지부(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뚜껑부(80)는 상기 머리지지부(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판부(81)와, 상기 뚜껑판부(81)에서 연장되는 개폐걸림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지지부(11)에는 상기 개폐걸림부(82)가 걸림 결합되는 뚜껑걸림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뚜껑부(8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 또는 상기 연결브라켓(30) 또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의 개구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브라켓(10) 또는 상기 연결브라켓(30) 또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체결뚜껑부(8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 또는 상기 연결브라켓(30) 또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2)에서 노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결합 과정은 후술하는 제1단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고정돌기(71)를 상기 가스켓고정홈(1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재지지부(15)를 매개로 상기 체결지지부(12)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제1관통공(101)을 일치시키고, 상기 체결부재(20)를 통해 상기 수직부재(100)에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결합 고정시킨다. 이러한 결합 공정은 제조 공장 또는 설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의 장착 과정은 후술하는 제2단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너트부(43)와 상기 탄성부재(44)와 상기 탄성지지부재(45)를 상기 탄성공간부(4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나사부(412)는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너트부(43)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트머리부(411)와 상기 연결브라켓(30) 사이에는 상기 간격브라켓(46)이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브라켓부(36)에는 상기 밀착부재(60)가 결합 지지된다. 이러한 장착 공정은 제조 공장 또는 설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의 결합 과정은 후술하는 제3단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60)가 결합된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수평부재(200)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나사(50)가 상기 제2관통공(201)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체결부(3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200)를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공정은 제조 공장 또는 설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결합 과정은 후술하는 제4단계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13)와 상기 제2걸림부(33)가 1차로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볼트머리부(411)는 상기 머리삽입부(1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간격브라켓(46)은 상기 볼트머리부(411)와 상기 연결브라켓(30) 사이에서 이탈되고, 상기 볼트머리부(411)는 상기 머리삽입부(111)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공정은 설치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은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100)의 측면에 상기 수평부재(200)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은 상기 수직부재(100)에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부재(2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를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장착하는 제2단계와, 상기 수평부재(200)에 상기 연결브라켓(30)이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나사(50)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를 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밀착력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조작블럭(42)에 상기 탄성부재(44)와 상기 탄성너트부(43)가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탄성조작블럭(42)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너트부(43)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나사부(412)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볼트머리부(411)와 상기 탄성조작블럭(42) 사이에 상기 간격브라켓(46)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간격브라켓(46)이 상기 탄성조작블럭(42)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 대한 변형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에서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상기 수직부재지지부(15)를 제외하고 상기 머리지지부(11)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었으나, 제1변형예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기 머리지지부(11)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상기 체결지지부(12)와 상기 제1걸림부(13)가 추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변형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부재(100)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수직부재(100)에 적용되어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이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관통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었으나, 제1변형에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관통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나사체결부(34)가 추가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변형예에 따른 상기 연결브라켓(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부재(200)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상기 수평부재(200)에 적용되어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이 상기 수직부재지지부(15)를 제외하고 상기 머리지지부(11)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었으나, 제2변형예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은 상기 머리지지부(11)를 중심으로 일측이 축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는 일측의 상기 체결지지부(12)와, 상기 제1걸림부(13)와, 상기 가스켓고정홈(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지지부(15)도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이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관통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었으나, 제2변형에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은 상기 볼트나사부(412)가 관통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일측이 축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상기 제2걸림부(33)와, 상기 나사체결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에 따르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호 분리된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용접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며, 상기 수직부재(100)에 상기 수평부재(200)가 조립된 구조체의 잔류응력 발생과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에 용접 부위를 없애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가 조립됨으로써, 현장 또는 공장에서 용접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치수 변화를 흡수하여 구조체에 잔류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층간변위에 따른 구조체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에 용접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에서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며, 열 변형에 따른 응력집중 현상을 예방하고, 간편하게 현장에서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를 연결 고정시키고,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수평부재(200)에서 연결모듈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화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를 구현하고, 상기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이 상기 연결브라켓(30)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이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볼트머리부(411) 사이의 유격거리를 확보하고, 상기 탄성너트부(43)가 상기 볼트나사부(41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나사 결합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44)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부(41)와 상기 머리지지부(11)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부재(45)의 이동량을 제한하고,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의 나사 결합 한계를 설정하며, 상기 볼트나사부(412)와 상기 탄성너트부(43)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브라켓(10)과 상기 연결브라켓(30)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의 정위치가 편리하고, 상기 탄성나사조립체(40)의 결합 동작에 앞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에 상기 연결브라켓(30)을 1차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밀착부재(60)와 상기 수평부재(2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3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가조립 상태에서 상기 연결브라켓(3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 사이에서 이종 금속에 따른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결합에 따라 발생되는 편차를 보정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200)와 상기 연결브라켓(3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연결브라켓(3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의 고정 상태를 안정화시키며,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 사이에서 이종 금속에 따른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기 연결브라켓(30)과 상기 수평부재(200)의 결합에 따라 발생되는 편차를 보정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을 정위치시키고, 상기 체결부재(20)를 통한 상기 수직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브라켓(10)의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100)에서 상기 수평부재(200)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결합 부위 및 결합 구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 부위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 공기를 단축시키고, 건설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며, 건설 생상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간단한 조립(나사 결합, 끼움 결합, 탄성 지지)으로 현장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수직부재 101: 제1관통공 200: 수평부재
201: 제2관통공 300: 렌치 301: 제3관통공
10: 베이스브라켓 11: 머리지지부 111: 머리삽입부
112: 나사삽입부 113: 뚜껑걸림부 12: 체결지지부
13: 제1걸림부 14: 가스켓고정홈 15: 수직부재지지부
20: 체결부재 21: 체결머리부 22: 체결나사부
23: 체결너트부 24: 체결와셔 30: 연결브라켓
31: 조절공간 33: 제2걸림부 34: 나사체결부
35: 삽입제한부 36: 밀착브라켓부 361: 제1밀착걸림부
37: 가이드리브 40: 탄성나사조립체 41: 고정볼트부
411: 볼트머리부 412: 볼트나사부 42: 탄성조작블럭
421: 탄성공간부 422: 탄성제한부 43: 탄성너트부
44: 탄성부재 45: 탄성지지부재 46: 간격브라켓
461: 간격형성홈 462: 삽탈안내리브 463: 간격파지부
50: 체결나사 60: 밀착부재 61: 밀착판부
62: 밀착날개부 63: 제2밀착걸림부 70: 밀착가스켓
71: 가스켓고정돌기 80: 체결뚜껑부 81: 뚜껑판부
82: 개폐걸림부

Claims (10)

  1. 수직부재의 측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모듈이고,
    상기 수직부재에 지지되는 베이스브라켓;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나사; 및
    상기 연결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탄성나사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는,
    상기 연결브라켓과 함께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걸림 결합되는 볼트머리부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머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나사부가 포함된 고정볼트부;
    상기 볼트나사부가 관통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브라켓에 지지되는 탄성조작블럭;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볼트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탄성너트부; 및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삽입되고, 상기 볼트나사부와 상기 탄성너트부의 나사 결합에 따라 탄성력이 부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간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조작블럭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걸림 지지되는 체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재와의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제1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수평부재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에는,
    상기 밀착부재가 밀착되고, 단부에 제1밀착걸림부가 구비되는 밀착브라켓부;가 구비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밀착브라켓부에 지지되는 밀착판부;
    상기 연결브라켓을 감싸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밀착판부에서 연장되는 밀착날개부; 및
    상기 제1밀착걸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판부에서 연장되는 제2밀착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 사이에 밀착 삽입되는 밀착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에는,
    상기 수직부재를 감싸도록 수직부재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의 결합에 따라 상기 베이스브라켓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를 고정시키는 체결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9. 연결모듈을 이용하여 수직부재의 측면에 수평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이고,
    상기 수직부재에 베이스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탄성나사조립체를 상기 연결브라켓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수평부재에 상기 연결브라켓이 고정되도록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연결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를 조립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나사조립체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나사조립체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연결브라켓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조작블럭에 탄성부재와 탄성너트부가 삽입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나사부가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탄성조작블럭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너트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트나사부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볼트머리부와 상기 탄성조작블럭 사이에 간격브라켓이 삽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볼트머리부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간격브라켓이 상기 탄성조작블럭과 상기 볼트머리부 사이에서 이탈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부여되는 탄성력으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KR1020160032628A 2016-03-18 2016-03-18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KR10187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28A KR101876249B1 (ko) 2016-03-18 2016-03-18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628A KR101876249B1 (ko) 2016-03-18 2016-03-18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547A true KR20170108547A (ko) 2017-09-27
KR101876249B1 KR101876249B1 (ko) 2018-07-09

Family

ID=6003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628A KR101876249B1 (ko) 2016-03-18 2016-03-18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42B1 (ko) * 2021-01-19 2021-10-13 김인식 각파이프 조립구조
WO2021167281A3 (ko) * 2020-02-21 2021-10-14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KR102496417B1 (ko) * 2022-02-18 2023-02-06 원경의 내진성이 우수하면서 내진에 의한 유리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커튼월 구조
KR102505990B1 (ko) * 2022-02-18 2023-03-03 원경의 유리 추락 방지용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내진성이 우수하면서 내진에 의한 유리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커튼월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99907U (zh) * 2011-05-03 2012-01-04 北京天易幕墙工程有限公司 铝合金幕墙横梁连接件
CN203320773U (zh) * 2013-06-27 2013-12-0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横梁与立柱连接节点构造
KR101368692B1 (ko) * 2013-03-14 2014-03-0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2826U (zh) * 2010-08-04 2011-01-26 中建三局装饰有限公司 闭腔横梁自锁幕墙系统
KR101321740B1 (ko) * 2012-06-11 2013-10-28 주식회사금강건설 커튼월 고정용 착탈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커튼월 결합구조
KR101311682B1 (ko) * 2013-04-24 2013-09-25 (주)비앤씨판넬 Lsp 조립식 칸막이
JP2015218448A (ja) * 2014-05-14 2015-12-07 義憲 大倉 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99907U (zh) * 2011-05-03 2012-01-04 北京天易幕墙工程有限公司 铝合金幕墙横梁连接件
KR101368692B1 (ko) * 2013-03-14 2014-03-0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건축용 커튼월 구조
CN203320773U (zh) * 2013-06-27 2013-12-04 中国建筑股份有限公司 一种横梁与立柱连接节点构造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281A3 (ko) * 2020-02-21 2021-10-14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US11608626B2 (en) 2020-02-21 2023-03-21 Seung Il Kim Prefabricated post assembly
KR102312342B1 (ko) * 2021-01-19 2021-10-13 김인식 각파이프 조립구조
KR102496417B1 (ko) * 2022-02-18 2023-02-06 원경의 내진성이 우수하면서 내진에 의한 유리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커튼월 구조
KR102505990B1 (ko) * 2022-02-18 2023-03-03 원경의 유리 추락 방지용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내진성이 우수하면서 내진에 의한 유리의 추락방지가 가능한 커튼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249B1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4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US10047513B2 (en) Beam frame assembly having joint device
JP2012207463A (ja) 鋼製の杭と構造物の接合構造
KR101876244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모듈 및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연결방법
WO1999051828A1 (fr) Structure servant a monter un panneau sur la surface d'une paroi de l'ossature d'une construction
KR20180001758A (ko) 건축용 고정부재
JP2006348658A (ja) 柱及び梁と梁及び筋交いの接合構造
JP4936470B2 (ja) 木製柱と梁の接続用金具
JP5559102B2 (ja) 軸組材の接合装置
KR102270802B1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JP2009281423A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JP4298763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支保工固定構造
JP2021138523A (ja) 三方枠及び三方枠の組み立て方法
JP5178245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6945701B1 (ja) 連結金具
JP6461877B2 (ja) 外壁パネル固定具及び外壁パネル固定方法
JP2000192550A (ja) 軸組部材の接合金物及び接合部構造
JPH0849345A (ja) 梁の補強部材
JP2005320773A (ja) 柱梁用接合構造
JP2006104774A (ja) 建築部材の接合構造
JP4770708B2 (ja) 住宅における窓等の開口部のサイズ変更方法
JP2008075432A (ja) 木造建築物等に於ける軸組材等構造部材の接合部を構成する接合金物
KR101571689B1 (ko) 변압기 덮개용 고정구
JP2023039064A (ja) 胴縁固定具
KR200436525Y1 (ko) 바닥 구조물용 지지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