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470A -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470A
KR20170108470A KR1020160032419A KR20160032419A KR20170108470A KR 20170108470 A KR20170108470 A KR 20170108470A KR 1020160032419 A KR1020160032419 A KR 1020160032419A KR 20160032419 A KR20160032419 A KR 20160032419A KR 20170108470 A KR20170108470 A KR 20170108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addy
chamomil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955B1 (ko
Inventor
김혜진
한우리자랑
민진우
주광식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씨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씨,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지에프씨
Priority to KR102016003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9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UPLAND RICE EXTRACTS}
본 발명은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조직(subcutis)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표피층에는 각질층(stratum corne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유극층(stratum spinosum), 기저층(basal layer)이 존재한다. 멜라닌은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생성 되는데, 이 멜라닌 세포에는 티로시나제 등의 효소가 존재하며, 이들이 함께 작용하여 생체 내에 항상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중합화 하는 산화반응을 통해 흑갈색의 색소인 멜라닌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하여 표피층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각질이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피부에서 같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제거된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거나, 피부노화가 진행되면 기미, 주근깨 또는 점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멜라닌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자외선에 의하여 일어나는 멜라닌 생산의 항진 그리고 이에 따른 멜라닌 침착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멜라닌 침착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에 이용되는 유효성분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티로시나제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 형성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멜라닌 생성 매개체(mediator)의 억제, 기존 멜라닌의 환원 및 광산화 억제, 멜라닌 배설의 촉진 및 자외선 차단 등이다.
한국 및 일본, 중국과 같은 동양권에서는 예로부터 희고 고운 피부가 미의 상징인 동시에 미인을 가늠하는 하나의 기준이었다. 최근 기술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으로 미(美)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면서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 제품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미백제 및 미백 화장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코지산(kojic acid) 및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들,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A, 비타민 C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미백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 제형 내에서의 안전성 문제 및 미백 효과의 불충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주름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피부 세포의 노화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고령화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 노화와 외부환경에 의해 나타나는 내적인 노화로 분류될 수 있다. 자연 노화는 유전자적 요인 등이 많이 관여되기 때문에 제어가 어렵다. 때문에, 자외선,산화,건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환경적 요인은 주로 진피층에 포함된 콜라겐 단백질, 엘라스틴 단백질 등을 파괴하거나 변성을 일으켜 주름을 유발한다. 특히, 태양의 자외선은 피부를 산화 시키고, 활성 산소를 양산하는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이다. 이러한 산화력과 활성 산소는 피부 세포 내의 단백질 파괴, 당의 산화, 유전자 변형 등을 일으켜 피부에 노화 및 주름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도 피부 미백과 주름 방지 효과를 모두 극대화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피부 자극, 세포 독성 등의 위해 요소가 적어 함량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울금(鬱金, Curcumalonga)은 생강과의 한해살이 풀을 말하며, 강황(姜黃/薑黃)이라고도 한다. 근경은 괴상으로 가로로 자른면은 황색을 띠고, 향이 있다. 잎은 크고 길이 30~90cm, 폭은 10~20cm로 잎 끝은 뾰죽하고 기부는 삼각형, 윗면은 푸른색이다. 잎은 타원형이고 4~5개가 모여 난다. 뿌리줄기는 고깔 모양이거나 또는 가지친 둥근 기둥 모양이고 꺾은 면은 감색이다, 꽃은 수상화서로 늦은 봄부터 여름철에 피며 길이 약 30cm, 포편은 엷은 녹색으로 난형, 길이 4~5cm, 화관은 여두 모양의 황색이며 길이 2.5cm, 근경을 울금 또는 천옥금이라고도 한다. 주로 잎이나 꽃등은 쓰지 않고 뿌리 줄기 및 덩이 줄기만을 사용하는데, 맵고 쓴맛을 내어 카레라이스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뿌리 줄기의 색깔은 커큐민이 포함되어 연한 주황색을 띠며 톡 쏘는 냄새가 날 때 가장 좋은 것이며, 대부분 요리에 쓰이지만 인도에서는 약으로 쓰이기도 한다.
캐모마일(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가 50~100cm까지 자란다. 잔털이 거의 없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둥글며 곁가지가 많다. 줄기에는 깃 모양을 한 긴 잎이 뾰족하게 마주난다. 가지 끝에서 너비 1~3cm의 꽃부리가 핀다. 꽃부리는 평평하다가 원추형으로 길어지고, 속이 비어 있는 꽃턱에는 관 모양의 황금색 중심화가 있다. 꽃은 5~9월에 피며, 혀 모양으로 생긴 15개의 흰색 테두리 꽃잎은 꽃턱이 커지면서 뒤로 젖혀진다. 꽃에서는 사과향이 난다.
하수오(何首烏,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상기 하수오는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때때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한방에서는 이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하수오는 강장, 강정, 양혈(養血), 보간, 거풍 및 소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1598호(2010.12.16. 공개, 발명의 명칭: 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효과 및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한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근깨, 잡티 및 염증성 과색소 침착 개선효과가 우수한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적은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벼(Oryza sativa L.) 추출물, 울금(Curcumalonga)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는 상남밭벼 및 농림나1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세포독성이 없고 피부자극이 적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 미백효과 및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주근깨, 잡티 및 염증성 과색소 침착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과 비교할 때 낮은 생산단가 및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세포 활성도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항균 활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밭벼(Oryza sativa L.) 추출물, 울금(Curcumalonga)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밭벼 추출물
밭벼(upland rice, Oryza sativa L.)는 논벼(paddy rice)와는 달리 밭에서 재배되는 벼를 의미한다. 상기 논벼는, 거의 모든 생육기간 동안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물을 가두어 놓은 논에서 재배되어야 한다. 반면에, 상기 밭벼는 생육기간 동안 논벼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양의 물을 소비하므로 밭에서 재배된다. 상기 논벼와 밭벼의 차이점은 오랜 시간에 걸친 진화 또는 육종을 통한 분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논벼 및 밭벼는 1 가지 이상의 성질에 있어 표현형 또는 유전자형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 논벼와 밭벼가 함유하고 있는 활성성분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논벼 및 밭벼는 생태적 특징, 형태적 특징 또는 품종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의 생태적 특징은 밭에서 재배되는 점, 생육기간 동안 논벼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물을 소비하는 점, 가뭄에 잘 견디는 특성을 갖는 점, 내한발성이 강한 점, 잎마름병에 강한 점, 및 염소산칼리(KClO3) 저항성이 강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밭벼의 형태적 특징은 뿌리가 땅속 깊이 내리는 점(심근성 뿌리), 잔뿌리가 많은 점, 논벼에 비하여 잎이 두껍고 기공의 수가 적은 점, 수분 저장능이 높고, 줄기 및 물관이 중간이거나 굵은 점, 이삭이 크고 조밀한 점, 중경이 잘 발달된 점 등이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는 상남밭벼 및 농림나1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품종의 밭벼를 적용시, 후술하는 밭벼 활성성분의 함량이 높아 유효 성분의 추출이 용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은 전초, 뿌리, 잎, 줄기, 및 중경 중에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은 밭벼의 전초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전초”는 추출대상 식물의 이삭 또는 쌀알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밭벼 추출물은 이삭이 수확으로 제거된 밭벼의 전초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추출과정에서 쌀알 또는 이삭에 의한 불순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추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확 후 남은 밭벼의 전초를 사용하는 경우, 밭벼 추출물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제조비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은 밭벼의 뿌리, 잎, 줄기 및 중경 중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밭벼 추출물은 밭벼의 뿌리 및 중경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밭벼 추출물은 밭벼의 줄기 및 잎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밭벼 추출물은 밭벼의 뿌리, 줄기 및 잎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은 티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저해를 통한 피부 미백 효과, 활성산소의 소거를 통한 항산화 효과 및 엘라스테이즈(elastase) 저해를 통한 주름 방지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100㎍/㎖ 이상인 고농도의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염증유발인자를 억제하고, 피부독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활성성분의 함량이 높아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증대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울금 추출물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은 주름생성에 관여하는 엘라스타제(elastase) 및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저해효과 및 주름 개선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Curcumalonga)의 잎, 꽃, 뿌리 및 줄기 부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항산화효과, 미백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캐모마일 추출물
본 발명의 캐모마일은 주름 개선 효과, 항염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캐모마일 추출물은 캐모마일의 잎, 꽃, 뿌리 및 줄기 부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케모마일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효과, 항염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하수오 추출물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의 뿌리 및 줄기 부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세포 독성 및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 미백,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성분들에 포함된 활성 성분 사이의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피부 미백,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또한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1~1:0.1~1:0.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2~0.4:0.1~0.3:0.1~0.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과 비교할 때 낮은 생산단가 및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 또는 착향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구체적으로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를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 추출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3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3 시간 내지 10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여과시,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의 고형물이 용이하게 제거되면서, 포함되는 활성성분의 소실을 최소화 하고,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의 분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 및 고농축물 제조에 유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부위를 사용하여 0.01mm~10cm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기”는, 최대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30~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50℃~10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한 다음, 교반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초임계 추출 중 하나 이상의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농축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를 각각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농축은, 증발농축 또는 감압농축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을 혼합하여,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에 투입하여 농축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농축된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또는, 혼합 추출물이라 한다)을 분획하여, 분획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투입하여 분획하여 분획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을 분액깔대기에 투입하고, 제1 분획용매를 투입하여 활성성분을 추출한다. 그 다음에 제1 분획용매를 이용한 분획추출을 1회~3회 반복한 뒤, 제2 분획용매를 투입하여 활성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획용매 및 제2 분획용매는 목적하는 활성성분의 극성 또는 용해도에 따라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분획용매 및 제2 분획용매로 각각 물, 에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분획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사용하여 분획추출을 2~3회 반복한 다음, 분획된 물 층을 다시 제2 분획용매로 n-부탄올을 사용하여 활성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분획용매 및 제2 분획용매는 분액 깔대기에 포함된 상기 혼합 추출물과 각각 1:0.1 내지 1:10의 부피비로 포함하여 분획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은 각각의 분획물들을 혼합하여, 분획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획 추출물은 농축되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제조된 분획용매로 추출된 분획물들을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분획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 정제단계는, 상기 혼합 추출물을 제1 분획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을 사용하여 분획추출하고, 분획된 물 층은 다시 제2 분획용매로 n-부탄올을 사용하여 활성성분을 추출하고,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로딩하고, 전개용매를 사용하여 정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개용매로는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성용매로는 메탄올 및 아세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용매로는 벤젠, 클로로포름(CHCl3),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혼합비율을 조절하여 극성을 조절하여 복수 회 분취하여 정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정제는, 상기 분획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로딩하고, 제1 전개용매로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전개용매의 극성을 조절하면서 1차 분취하여 분취액을 수득하고, 상기 분취액 중에서 일부를 제2 전개용매로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전개용매의 극성을 조절하면서 2차 분취하여 분취액을 수득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전개용매 및 제2 전개용매로부터 얻어지는 분취액은, 각각 하나 이상 수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1차 분취 및 2차 분취에서 얻어진 각 분취액을 실리카(Si02) 박막 크로마토 그래피(TLC) 및 UV 흡수 양상으로 구조를 확인하여 유사한 부분을 모아 농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된 추출물은, 상기 농축하여 수득된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밭벼: 제주 지역에서 재배된 상남 밭벼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밭벼의 뿌리, 잎 및 줄기 부위를 0.1cm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울금: 울금의 뿌리, 잎 및 줄기 부위를 0.1cm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캐모마일: 캐모마일의 꽃, 잎, 줄기 및 뿌리를 0.1cm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하수오: 하수오 줄기 및 뿌리 부위를 0.1cm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세절된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각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진공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밭벼, 울금, 캐모마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6:0.2:0.2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1:1:1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및 캐모마일 추출물을 1:0.6:0.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밭벼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2:0.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6:0.2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3:0.3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각각 0, 3.125, 6.25, 12.5, 25, 50, 및 100(㎍/㎖)의 농도로 희석하여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1.0 x 104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24 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을 각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 및 5% CO2조건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WST-1 assay solution (ez-cytox)을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2 시간 반응 후 ELISA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혼합 추출물은 100 ㎍/㎖의 고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2) 염증유발인자 억제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Nitric Oxide(NO)를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및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1.0 x 104 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밭벼추출물을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반응시켜 주었다. 이때, NO를 발현 시키는 염증유발인자인 LPS(lipo poly saccharide)를 1㎍/㎖의 농도로 같이 처리하고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주었다. 그 다음에,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Nitric Oxide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배양액 중 100㎖ 를 96 well plate에 취하고 Griess reagent A 50㎕ 및 Griess reagent B 50㎕를 각각 넣어준 뒤 각각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Griess Reagent A: N-1-Naphthylethylenediamine (NEDHC)
Griess Reagent B: Sulfanilamide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4 보다, 농도 의존적으로 Nitric oxide(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자유라디칼 제거 능력 시험
프리라디칼은 활성산소를 말하며, 우리가 호흡한 산소가 에너지를 만들고 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화력이 수 천 배나 높은 물질이다. 동식물의 체내 세포들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스트레스, 광자극, 세균 침투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과량의 활성산소가 체내에 존재하면 정상 세포까지 무차별 공격, 각종 질병과 노화의 주범이 된다. 또한, 외부 자극에 민감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병리적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항산화능을 나타냄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가지는지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DPPH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농도별로, 0.1M DPPH 250㎕(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을 혼합 후 30 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각 sample을 96 well plate에 담아 ELISA reader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량(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1]
자유라디칼소거능(%)=[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2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4 보다 DPPH 소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주름방지 효능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엘라스테이즈(Elastase)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각 농도별로, 10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 (S4760, Sigma) 1.6 mM 농도의 기질과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 Type Ⅳ(E0258, Sigma) 0.4U/mL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 동안 반응한 후 96 well plate에 담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넣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Oleanol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2]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4 보다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5) 미백 효능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멜라닌 억제량을 측정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60ΦPetri dish에 한 dish당 2.0 x 105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얻은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α-MSH 50nM과 함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취하여 배지와 혼합하여 분주하고 60시간 반응시켜준 뒤, 배양액(상층액) 수거하였다.
60시간 반응시킨 배양액(상층액)은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ml을 덜어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하기 식 3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알부틴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3]
멜라닌 생성량(%)=(각 시험물질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Figure pat00004
상기 실시예 1~2의 혼합 추출물은, 비교예 1~4 보다 멜라닌의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6) 항균 활성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혼합 추출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항균 활성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배지의 준비>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항균활성 평가에는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YM 배지(Yeast extract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원형여과지법>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지름 10mm인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약 15~20㎕를 흡수시킨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균주가 접종된 배지 표면상에 밀착시켜 표준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칸디다 알비칸스는 37℃의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페이퍼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3 가지 기준으로 평가(○: 우수, △: 보통, X: 불량)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항균 활성 시험(원형여과지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표 5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는 비교예 1 보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아비칸스 및 녹농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7)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을 각각 적용하여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6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 25℃ 및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또한 일광 조건으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각 5개씩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색 및 분리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밭벼(Oryza sativa L.) 추출물, 울금(Curcumalonga) 추출물,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밭벼는 상남밭벼 및 농림나1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품종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밭벼 추출물, 울금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32419A 2016-03-17 2016-03-17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19A KR101785955B1 (ko) 2016-03-17 2016-03-17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419A KR101785955B1 (ko) 2016-03-17 2016-03-17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470A true KR20170108470A (ko) 2017-09-27
KR101785955B1 KR101785955B1 (ko) 2017-10-18

Family

ID=6003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19A KR101785955B1 (ko) 2016-03-17 2016-03-17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606A1 (ko) * 2017-09-29 2019-04-0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582B1 (ko) * 2019-09-27 2020-05-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누룩 및 밭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680B2 (ja) * 2000-10-26 2006-11-15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606A1 (ko) * 2017-09-29 2019-04-04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US11607437B2 (en) 2017-09-29 2023-03-21 Daebong Ls, Lt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955B1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299B1 (ko) 연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947B1 (ko)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4B1 (ko)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571B1 (ko) 목련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1408B1 (ko) 작약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미백,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7197B1 (ko) 방울 양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3B1 (ko) 아네모네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5B1 (ko)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5847B1 (ko) 보리 추출물 또는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콜라겐 분해 방지 또는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533217B1 (ko) 수련화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5642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375087B2 (ja) 化粧料
KR101662805B1 (ko) 비타민 강화 미강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711B1 (ko)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79244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2870A (ko)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칼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4720A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