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392A -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392A
KR20170108392A KR1020160032207A KR20160032207A KR20170108392A KR 20170108392 A KR20170108392 A KR 20170108392A KR 1020160032207 A KR1020160032207 A KR 1020160032207A KR 20160032207 A KR20160032207 A KR 20160032207A KR 20170108392 A KR20170108392 A KR 20170108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dule
lens
unit
camera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영상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영상기술(주) filed Critical 한국영상기술(주)
Priority to KR102016003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392A/ko
Publication of KR2017010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카메라 렌즈모듈을 분해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렌즈들이 이격하여 적층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판단에 따라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불량 유무를 판별할 렌즈모듈을 위치시키는 렌즈모듈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한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렌즈 중 촬영하고자 하는 렌즈의 표면 또는 상기 렌즈모듈 하우징 각각에 초점을 포커싱하고, 포커싱된 렌즈표면 또는 하우징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에 초점을 포커싱하면 해당 위치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에 상기 렌즈모듈이 위치하면,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여 상기 렌즈모듈에 초점을 포커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상부의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상부가 포커싱한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광을 켜도록 제어하며,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lens module of camera use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렌즈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카메라 렌즈모듈을 분해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휴대단말기가 음성통화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재생 및 생성함에 따라 고성능의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는 소형화되고 고성능화된 휴대단말기의 특성상 다수의 렌즈들 및 렌즈들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하우징이 매우 정밀하게 결합된 형태(이하 “렌즈모듈”이라 함)로 제공된다.
이러한 렌즈모듈의 제작이 완료되면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렌즈의 상태가 양호한지 검사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렌즈모듈 검사공정에서는, 제조공정 전반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렌즈표면의 스크래치나 이물질의 유무, 조립공정에서 본딩(bonding)용 에폭시의 과다유입으로 인한 렌즈주변의 에폭시 넘침 등을 검사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의 렌즈모듈은 초소형이고 박형이기 때문에, 제조가 완료된 렌즈모듈에 대하여,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렌즈표면과 렌즈주변의 이상유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하는데 매우 큰 어려움이 있어왔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확대수단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에 따라 이상유무에 대한 검사기준이 변동될 수 있어, 정확하고 신속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5-0114199 A (2015.10.12. 공개) KR 10-1192331 B1 (2012.10.11. 등록) KR 10-1580595 B1 (2015.12.21. 등록) KR 10-1580177 B1 (2015.12.18. 등록)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통합된 검사장치에서 다수개의 렌즈들이 소정 간격으로 적층된 렌즈모듈을 분해하지 않고 각각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초소형이고 박형이며 서로 밀접하게 적층된 각각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정밀하게 포커싱하고 적절한 조명을 제공하여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복수개의 렌즈들이 이격하여 적층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판단에 따라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불량 유무를 판별할 렌즈모듈을 위치시키는 렌즈모듈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한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렌즈 중 촬영하고자 하는 렌즈의 표면 또는 상기 렌즈모듈 하우징 각각에 초점을 포커싱하고, 포커싱된 렌즈표면 또는 하우징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에 초점을 포커싱하면 해당 위치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에 상기 렌즈모듈이 위치하면,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여 상기 렌즈모듈에 초점을 포커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상부의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상부가 포커싱한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광을 켜도록 제어하며,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렌즈모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렌즈모듈의 촬영영상에 대한 배율을 지정하고 초점을 포커싱하는 고정배율렌즈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고정배율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과의 초점을 정밀 포커싱하는 가변초점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초점렌즈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면 렌즈의 곡률반경이 변화하는 액체렌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링형상으로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상층부 렌즈들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1조명과,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하층부 렌즈들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2조명 및 상기 제1조명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조명과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하우징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상면에 대하여 사선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3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소형이고 박형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의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렌즈표면과 렌즈주변의 이상유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통합 검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 및 검사대상에 적합한 효율적인 조명광을 각각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렌즈들이 밀접 적층된 렌즈모듈을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렌즈모듈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장치의 조작과 제어가 자동으로 수행됨으로써 조작자 및 검사자의 업무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렌즈모듈의 전수조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블록구조도,
도 3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의 블록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렌즈 검사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서 촬영된 조명별 영상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사시도로서 검사장치의 주요부만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를 블록구조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100)는 촬상부(110)와, 조명부(120)와, 렌즈모듈 거치부(130) 및 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촬상부(110)는 카메라(111)와, 가변초점렌즈(112) 및 고정배율렌즈(113)로 구성된다. 특히, 렌즈모듈(10)에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렌즈들이 매우 얇고 작기 때문에, 상기 촬상부(110)는 렌즈별로 표면과 주변을 각각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오토포커싱(Auto Focusing)을 수행할 수 있는 가변초점렌즈(112)를 사용한다. 상기 가변초점렌즈(112)는 전류를 인가하면 렌즈의 곡률반경이 변화하는 액체렌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고정배율렌즈(113)가 렌즈모듈(10)과 정렬한 후 렌즈표면 또는 렌즈주변에 포커싱이 되고, 이어 가변초점렌즈(112)에 의하여 세밀하게 렌즈표면 또는 렌즈주변에 포커싱되면, 카메라(111)는 각각의 렌즈표면 또는 렌즈주변을 촬영한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서버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검사자가 촬영된 영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 또는 서버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정도로 확대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1)에 의한 렌즈표면 또는 렌즈주변의 촬영 영상이 렌즈의 위치 및 구조에 따라 명확이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부(120)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3개의 조명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부(120)는 촬상부(110)가 촬영할 렌즈표면 또는 렌즈주변에 포커싱을 수행하여 렌즈모듈(10)의 촬영준비를 마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현재 포커싱된 렌즈에 대응하여 제1, 2, 3조명(121, 122, 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을 온(ON)하고, 촬영 종료신호에 따라 해당 조명을 오프(OFF)한다.
상기 조명부(120)의 구성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제1조명(121)은 링형(Ring type) 조명으로서, 상기 촬상부(110)가 거치부(130)에 놓여진 렌즈모듈(10)의 중간층에 위치한 렌즈들을 촬영할 시 요구되는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렌즈모듈(10)의 내부에 위치한 렌즈에 좁은 각도로 빛을 제공한다.
제3조명(123)은 제1조명(1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조명(121)과 유사하게 링형 조명으로 제공되어, 렌즈모듈(10)의 상층부에 위치한 렌즈들의 표면 및 주변을 촬영할 시 필요한 조명광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렌즈모듈(10)의 상부에 넓은 각도로 조명광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제3조명(123)은 제1조명(121)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2조명(122)은 돔형(Dome type) 조명으로서, 렌즈모듈(10)의 하층부에 위치한 렌즈들에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거치부(13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검사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의 블록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의 렌즈 검사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에서 촬영된 조명별 영상사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검사장치에 의하여 검사를 받는 렌즈모듈(10)은 다수개의 개별렌즈(L1 내지 L6)와 이들의 위치와 간격을 지지하는 하우징(H)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별렌즈들을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서대로 식별번호를 부여하였다. 예를 들어, 가장 하부에 위치한 렌즈는 L1이고, 가장 상부에 위치한 렌즈는 L6이다.
도 4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렌즈6 내지 3(L6-L3)을 검사하도록 촬상부(110)의 초점을 포커싱하고, 제1조명(121)을 온(ON)시키며, 카메라(111)로 하여금 해당 렌즈(L6-L3)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111)에서 촬영된 영상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201단계에서 검사하는 렌즈가 4매이므로 201단계는 4회 반복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촬상부(110)의 가변초점렌즈(112)를 제어하여 각각의 렌즈에 대한 포커싱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10)은 면적 대비 깊이가 깊고, 상부의 렌즈를 하나 이상 통과하여 하부의 렌즈를 검사하기 때문에, 조명부(120)에서 조명광의 각도를 비교적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해야만 렌즈모듈(10)의 내부까지 충분한 조명광이 도달할 수 있다. 또한, 피검사물과 배경의 밝기차(명암비)를 충분히 높여 주어야만 선명한 피검사물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201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조명(121)은 조명광의 조사각도가 수직으로 세워진 링 형태의 조명으로서, 렌즈모듈(10)을 구성하는 렌즈가 6매인 경우에 제1조명(121)은 렌즈6 내지 3(L6-L3)까지 조명광이 도달한다.
도 5에 제1조명(121)의 조명광 하에서 촬영된 렌즈6 내지 렌즈3(L6-L3)의 원영상 및 확대영상을 도시하였다. 렌즈표면에 있는 파티클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3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렌즈2 및 1(L2-L1)를 검사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촬상부(110)의 초점을 포커싱하고, 제1조명(121)을 오프(OFF)한 후 제2조명(122)을 온(ON)시키며, 카메라(111)로 하여금 해당 렌즈(L2-L1)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111)에서 촬영된 영상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203단계에서 검사하는 렌즈가 2개 이므로 203단계는 2회 반복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촬상부(110)의 가변초점렌즈(112)를 제어하여 각각의 렌즈에 대한 포커싱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렌즈모듈(10)의 하층부에 위치한 렌즈2 및 1(L2-L1)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거치대(130) 하부에 위치하는 돔 형태의 제2조명(122)을 사용한다.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10)은 면적 대비 깊이가 깊고, 상부의 렌즈를 하나 이상 통과하여 하부의 렌즈를 검사하기 때문에, 조명부(120)에서 조명광의 각도를 비교적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해야만 렌즈모듈(10)의 내부까지 충분한 조명광이 도달할 수 있으므로, 제2조명(122)은 조명광을 렌즈2 및 1(L2-L1)에 모아줄 수 있도록 반사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검사물과 배경의 밝기차(명암비)를 충분히 높여주어 선명한 피검사물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제2조명(122)의 조명광 하에서 촬영된 렌즈2 내지 렌즈1(L2-L1)의 원영상 및 확대영상을 도시하였다. 렌즈표면에 있는 파티클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5단계에서, 제어부(140)는 렌즈모듈(10)의 코팅불량이나 본딩용 에폭시가 렌즈 영역으로 넘쳐흘러 유입된 유효영역 침범에러 등을 검사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촬상부(110)의 초점을 렌즈모듈(10)의 상부 하우징(H)에 포커싱하고, 제2조명(122)을 오프(OFF)한 후 제3조명(123)을 온(ON)시키며, 카메라(111)로 하여금 렌즈모듈(10)의 상부 렌즈표면 및 하우징(H)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카메라(111)에서 촬영된 영상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렌즈모듈(10)의 상부 및 하우징(H)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제1조명(121) 하부에 위치하는 제3조명(123)을 사용한다. 에폭시 범람이나 렌즈코팅 불량을 촬상부(110)가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해서는 에폭시나 코팅재의 광학특성을 고려하여 조명광이 수직이 아닌 사선으로 측면에서 조사되어야 한다.
상술한 201 내지 205단계의 검사가 종료되면, 제어부(140)는 207단계에서 제3조명(123)을 오프(OFF)하고, 촬영한 영상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된 영상에 의하여 검사한 렌즈모듈(10)의 양호 또는 불량 판정이 있으면, 판정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종료한다.
도 5에 제3조명(123)의 조명광 하에서 촬영된 에폭시 넘침이 확인된 원영상 및 확대영상을 도시하였다. 렌즈주변에 흘러 넘친 에폭시의 흔적을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하나의 통합된 검사장치에서 다수개의 렌즈들이 소정 간격으로 적층된 렌즈모듈을 분해하지 않고 각각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정밀한 오토포커싱과 적절한 조명을 자동으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는 초소형이고 박형인 휴대단말기용 카메라의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각각의 렌즈표면과 렌즈주변의 이상유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복수개의 렌즈들이 이격하여 적층되어 있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의 렌즈표면 및 렌즈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의 판단에 따라 렌즈모듈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불량 유무를 판별할 렌즈모듈을 위치시키는 렌즈모듈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한 렌즈모듈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렌즈 중 촬영하고자 하는 렌즈의 표면 또는 상기 렌즈모듈 하우징 각각에 초점을 포커싱하고, 포커싱된 렌즈표면 또는 하우징을 촬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에 초점을 포커싱하면 해당 위치에 조명광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에 상기 렌즈모듈이 위치하면, 상기 촬상부를 제어하여 상기 렌즈모듈에 초점을 포커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상부의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여 상기 촬상부가 포커싱한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광을 켜도록 제어하며, 상기 촬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렌즈모듈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렌즈모듈의 촬영영상에 대한 배율을 지정하고 초점을 포커싱하는 고정배율렌즈 및
    상기 카메라와 상기 고정배율렌즈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과의 초점을 정밀 포커싱하는 가변초점렌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초점렌즈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류가 인가되면 렌즈의 곡률반경이 변화하는 액체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링형상으로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상층부 렌즈들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1조명과,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하층부 렌즈들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2조명 및
    상기 제1조명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조명과 상기 렌즈모듈 거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렌즈모듈의 하우징을 촬영할 시, 상기 촬상부의 초점 포커싱이 완료되면 상기 렌즈모듈의 상면에 대하여 사선으로 조명광을 제공하는 제3조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KR1020160032207A 2016-03-17 2016-03-17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KR20170108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07A KR20170108392A (ko) 2016-03-17 2016-03-17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207A KR20170108392A (ko) 2016-03-17 2016-03-17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92A true KR20170108392A (ko) 2017-09-27

Family

ID=6003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207A KR20170108392A (ko) 2016-03-17 2016-03-17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39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091A (ko) 2019-03-15 2020-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헬륨가스 검출 방식의 렌즈 모듈의 고장 검출 방법
KR20200110089A (ko) 2019-03-15 2020-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기포 검출 방식의 렌즈 모듈의 고장 검출 방법
KR102273585B1 (ko) 2020-05-18 2021-07-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카메라 모듈의 얼룩 불량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4434A (ko) 2021-04-19 2022-10-27 (주)이즈미디어 영상 프레임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그래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20144433A (ko) 2021-04-19 2022-10-27 (주)이즈미디어 영상 프레임과 함께 주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그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30006245A (ko) * 2021-07-02 2023-01-10 훈민솔루션 주식회사 광 소자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소자 검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091A (ko) 2019-03-15 2020-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헬륨가스 검출 방식의 렌즈 모듈의 고장 검출 방법
KR20200110089A (ko) 2019-03-15 2020-09-23 한국세라믹기술원 기포 검출 방식의 렌즈 모듈의 고장 검출 방법
KR102273585B1 (ko) 2020-05-18 2021-07-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카메라 모듈의 얼룩 불량 검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44434A (ko) 2021-04-19 2022-10-27 (주)이즈미디어 영상 프레임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제어신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그래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20144433A (ko) 2021-04-19 2022-10-27 (주)이즈미디어 영상 프레임과 함께 주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그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검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230006245A (ko) * 2021-07-02 2023-01-10 훈민솔루션 주식회사 광 소자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소자 검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8392A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모듈 검사장치
KR101207198B1 (ko) 기판 검사장치
US8982457B2 (en) Microscope system and illumination intensity adjusting method
KR10107360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장치
EP2752638A2 (en) Contactless component-inspecting apparatus and component-inspecting method
JP2981941B2 (ja) ボンデイングワイヤ検査装置
KR101105679B1 (ko) 비전검사장치
JP2015227793A (ja) 光学部品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20160031109A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US20200096455A1 (en) Automated optical inspection equipment with adjustable image capturing combination and image capturing combination adjusting method
JP6425972B2 (ja) 管材の内面検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検査方法
KR101796931B1 (ko) 렌즈 어셈블리 결함 검사장치
JP5580121B2 (ja) 基板検査装置
CN111198190A (zh) 光学检测系统
KR101099392B1 (ko) 비전검사장치
JP2007103787A (ja) 固体撮像素子の検査装置
JP2009236760A (ja) 画像検出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2009014696A (ja) 照度可変照明部及び撮像部の独立可動における外観検査装置
JP2017102078A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JP7266514B2 (ja) 撮像装置及び表面検査装置
KR101123051B1 (ko) 비전검사장치
KR20160127377A (ko) 카메라 렌즈 모듈 검사 장치
KR20100066679A (ko) 이물 검사 방법
JP2006177730A (ja) 撮像検査装置および方法
KR102278395B1 (ko) 다초점 조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전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