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266A -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266A
KR20170108266A KR1020160031877A KR20160031877A KR20170108266A KR 20170108266 A KR20170108266 A KR 20170108266A KR 1020160031877 A KR1020160031877 A KR 1020160031877A KR 20160031877 A KR20160031877 A KR 20160031877A KR 20170108266 A KR20170108266 A KR 2017010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data
patient
unit
web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신택균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266A/ko
Publication of KR2017010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4Determining bladder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Q5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채뇨백(111)에 수집된 환자의 소변량을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제1센서와, 수집된 소변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10)와,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연산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부(120)와, 1차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하는 송신부(130)를 포함하는 측정유닛(101)과; 상기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된 1차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자별로 소변데이터를 생성해 표시하고 소변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애플리케이션(141)과,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 서버부(140)를 포함하는 분석유닛(102)으로 이루어지고; 관리자(103)는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파악 및 관리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관리자가 환자별 채뇨백을 매번 직접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환자의 소변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REAL TIME URINATION AMOUNT MEASUREMENT AND TEST SYSTEM, AND ITS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착용 중인 채뇨백에 수집되는 소변의 양과 화학적 성분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검사하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간호사 등의 관리자가 환자별 채뇨백을 직접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소변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는 증상에 따라서 치료 상태 혹은 병증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 위해 수시로 소변 검사(검뇨)를 시행하게 된다.
소변은 혈액이 신장을 통과하면서 혈액 내 노폐물이 여과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다. 소변은 비교적 샘플 채취가 용이하고 검사방법이 간단하며 소변 검사를 통해서 소변을 생성하는 신장을 비롯한 비뇨기뿐만 아니라 내분비계, 대사성 질환 등 전신적인 질환의 선별 검사가 가능하다.
기본적인 소변 검사는 소변의 육안적 색조, 혼탁도와 같은 물리적 성상 검사와 소변으로 배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노폐물로부터 산도(pH), 비중, 요단백, 요당, 요잠혈 등의 화학적 성분의 농도를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검사를 통해 정상치와 비교하여 병적인 경우를 구분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병원에서 시행하는 소변 검사의 과정 역시 환자로부터 채취한 소변 샘플을 채뇨용 컵이나 별도 용기를 이용해 관리자가 육안으로 소변량 및 소변의 물리적 성상을 관측한 후, 요시험지봉 등을 이용한 화학적 검사를 통해 소변의 상태를 파악하고 병원 전산상에 기록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비교적 증세가 양호한 환자의 경우에는 채뇨용 컵을 이용해 환자 또는 간병인이 직접 채뇨를 시행하여 관리자에게 제출할 수 있으나, 소변 검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중증 환자는 거동이 불편하여 직접 채뇨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관리자는 환자의 요로에 튜브 형태의 도뇨관을 삽입하고 채뇨백(Urine bag)을 연결하여 일일이 환자의 병실을 방문하면서 소변을 수집, 검사해야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소변 수집을 위한 채뇨백은 이미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일례로서 공지된 등록특허 제10-1220592호를 통해 그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환자의 소변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상부에 환자의 소변이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와 연통되도록 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의 내부에 저장된 환자의 소변을 몸체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제 10 - 1220592 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470398 호 등록특허 제 10 - 1405856 호 등록특허 제 10 - 1213221 호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변 검사 방식은 관리자가 환자별로 하루 수차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채뇨한 소변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소변의 물리적 성상을 관측하고 화학적 검사를 시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환자가 착용하도록 구비되어 소변을 수집하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채뇨백은 PVC재질의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자의 요로에 삽입된 도뇨관으로부터 채뇨백의 주입부를 착탈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실질적으로 사용이 미숙한 환자 및 보호자나 간병인이 채뇨백을 분리 및 재착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자칫 소변이 누출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배정된 환자들을 하루에도 수차례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일일이 환자의 병실을 방문하면서 채뇨백으로부터 소변을 수집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최근 간호업무와 간병업무가 병행 실시되고 있는 추세의 당해 업계의 근무 여건을 고려할 때 관리자의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정확한 소변 검사 일정을 소화하는 것에는 심각한 고충이 따르게 된다.
특히, 소변을 구성하는 각종 성분은 체외로 배출된 후에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채취 후 1~2시간 이내에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가 소변을 배출 시마다 관리자가 일일이 소변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검사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채뇨백(111)에 수집된 환자의 소변량을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제1센서와, 수집된 소변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연산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부(120)와,
상기 1차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하는 송신부(130)를 포함하는 측정유닛(101)과;
상기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된 1차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자별로 소변데이터를 생성해 표시하고 소변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애플리케이션(141)과, 상기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 서버부(140)를 포함하는 분석유닛(102)으로 이루어지고;
관리자(103)는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파악 및 관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IoT 기반 기술의 적용으로 종래의 소변 검사 방식을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환자의 소변을 수집하는 채뇨백의 일측에 센서부를 포함한 측정유닛을 구성하여 간이 검뇨를 시행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분석유닛과 연계하여 측정 결과를 데이터화함에 따라 관리자가 웹 또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소변 상태를 간편하게 파악 및 관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기반 기술의 적용으로 소변 검사를 효율화함에 따라 관리자가 직접 환자별로 일일이 소변 검사를 시행해야 했던 종래 소변 검사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육안 관측으로 인한 부정확한 측정 및 그에 따른 폐단을 해소함은 물론, 관리자의 업무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환자 관리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더 나아가 의료비의 경감 효과를 도출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은 환자가 착용 중인 채뇨백(111)에 수집되는 소변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소변량의 측정 및 검뇨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관리자(103)가 환자별 채뇨백(111)을 매번 직접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환자의 소변 상태를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10) 및 계측부(120)와, 송신부(130)를 포함하는 측정유닛(101)과, 웹애플리케이션(141)과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 서버부(140)를 포함하는 분석유닛(102)으로 이루어지며,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센서부(110)는 채뇨백(111)에 수집된 환자의 소변량을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제1센서와, 수집된 소변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센서는 채뇨백(111)의 일측에 구비되어 환자의 체외로 소변이 배출되면 소변의 양을 측정한다. 예컨대, 제1센서에 감지되는 소변의 유량 또는 무게를 환산하여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센서는 소변을 통해 배출되는 노폐물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 각각의 농도를 반정량적으로 검출하여 항목별로 수치화한다. 예컨대, 일반적인 소변의 화학적 검사에 적용되는 항목인 소변의 산도(pH), 소변 내에 혈액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잠혈, 그 밖에 요단백, 요당, 케톤, 아질산염, 백혈구,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등의 항목을 검사할 수 있는 시약이 함유된 반응부가 구비되어 해당 항목별 결과값을 판독, 검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계측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연산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측정, 검출한 결과값을 해당 항목별 기준단위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연산처리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송신부(130)는 1차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부(110), 계측부(120), 및 송신부(130)를 포함하는 측정유닛(101) 일체는 환자가 착용중인 채뇨백(111)을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므로 환자와 관리자(103) 간의 거리 및 동선 등을 고려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Zigbee), 및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iBeacon)과 같은 수십 미터 내외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송신부(130)에 탑재하여 상기 서버부(14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반적인 TCP/IP 프로토콜 기반의 유선 통신 모듈을 함께 탑재하여 유·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서버부(140)는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된 1차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자별로 소변데이터를 생성해 표시하고 소변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애플리케이션(141)과, 상기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1차데이터는 채뇨로부터 검출된 각종 항목에 대한 단순 수치값에 불과하므로, 상기 웹애플리케이션(141)은 관리자(103)가 1차데이터를 근거로 환자의 소변 상태를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는 형태의 소변데이터로 가공하여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웹애플리케이션(141)이 생성한 소변데이터는 서버부(14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여 환자별 병력 관리 등의 자료로 활용하거나, 아울러 레거시 시스템, 예컨대 환자의 임상진료에 관한 모든 정보가 저장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과 연계하여 원격진료, 병원 간 협력 등 다양한 목적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103)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100)을 통해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관리자(103)용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용이하게 파악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애플리케이션(141)에는 환자별 특이사항에 따른 소변 검사 결과에 대한 정상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간호사 등의 관리자(103)가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부(140)에는 실제 측정된 환자별 소변데이터와 상기 정상치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범주를 벗어날 경우 웹애플리케이션(141)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앱(151)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보를 생성하는 알림부(14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관리자(103)가 환자별 소변데이터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일일이 정상치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업무를 간소화하고 업무상의 실수나 누락에 따른 의료과실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의 진행 과정은 크게 소변량측정단계(S10), 검뇨단계(S20), 계측단계(S30), 송신단계(S40), 소변데이터생성단계(S50), DB생성단계(S60), 및 관리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소변량측정단계(S10)는 채뇨백(111)에 수집되는 환자의 소변량을 제1센서가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환자가 소변을 배출 시마다 제1센서에서 자동으로 소변의 유량 또는 무게를 환산하여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뇨단계(S20)는 채뇨백(111)에 수집된 소변 샘플을 이용해 제2센서가 산도(pH), 잠혈, 요단백, 요당을 포함한 항목별 화학적 성분 농도를 간이 측정하여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계측단계(S30)는 소변량측정단계(S10) 및 검뇨단계(S20)를 통해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계측부(120)를 통해 연산처리하여 가용 데이터, 즉 1차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송신단계(S40)는 1차데이터를 송신부(13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변데이터생성단계(S50)는 서버부(140)에 전송된 상기 1차데이터를 웹애플리케이션(141)을 통해 소변의 상태를 파악하고 관리 가능한 형태로 가공한 환자별 소변데이터를 생성하고 웹애플리케이션(141)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DB생성단계(S60)는 상기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서버부(14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함으로써 환자의 병력 관리 등의 자료로서 DB를 활용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리단계(S70)는 관리자(103)가 유·무선 통신 기반의 환경에서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통해 서버부(140)에 접속하여 환자별 소변데이터를 파악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상기 소변데이터생성단계(S50)에서는 관리자(103)가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해놓은 환자별 특이사항에 따른 소변 검사 결과에 대한 정상치데이터와 상기 소변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범주를 벗어날 경우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앱(151)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보를 발행하는 알림단계(S51)를 포함한다.
따라서, 관리자(103)는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은 환자의 소변을 수집하도록 착용하는 채뇨백(111)의 일측에 센서부(110)를 포함한 측정유닛(101)을 구성하여 소변량의 측정 및 간이 검뇨를 시행하고, 근거리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분석유닛(102)과 연계하여 소변데이터를 생성 및 표시함에 따라 관리자(103)가 웹 또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소변 상태를 체계적으로 파악 및 관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서 종래의 수동적인 소변 검사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육안 관측에 따른 정확도의 저하 및 그로 인한 각종 폐단을 해소함은 물론, 관리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하고 더 나아가 환자 관리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기대된다.
100: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101: 측정유닛 102: 분석유닛
103: 관리자 110: 센서부
111: 채뇨백 120: 계측부
130: 송신부 140: 서버부
141: 웹애플리케이션 142: 데이터베이스
151: 모바일앱 S10: 소변량측정단계
S20: 검뇨단계 S30: 계측단계
S40: 송신단계 S50: 소변데이터생성단계
S51: 알림단계 S60: DB생성단계
S70: 관리단계

Claims (3)

  1. 채뇨백(111)에 수집된 환자의 소변량을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제1센서와, 수집된 소변에 함유된 화학적 성분을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제2센서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10)와,
    상기 센서부(11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연산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부(120)와,
    상기 1차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하는 송신부(130)를 포함하는 측정유닛(101)과;
    상기 송신부(130)로부터 전송된 1차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자별로 소변데이터를 생성해 표시하고 소변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애플리케이션(141)과, 상기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2)로 이루어진 서버부(140)를 포함하는 분석유닛(102)으로 이루어지고;
    관리자(103)는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직접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파악 및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2. 채뇨백(111)에 수집되는 환자의 소변량을 일정 주기로 측정하는 소변량측정단계(S10)와,
    상기 채뇨백에 수집된 소변 샘플을 이용해 산도(pH), 잠혈, 요단백, 요당을 포함한 항목별 화학적 성분 농도를 간이 측정하여 반정량적으로 검출하는 검뇨단계(S20)와,
    상기 측정 결과값을 연산하여 1차데이터를 생성하는 계측단계(S30)와,
    상기 1차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40)에 전송하는 송신단계(S40)과,
    전송된 상기 1차데이터를 웹애플리케이션(141)을 통해 가공하여 환자별 소변데이터를 생성하고 웹애플리케이션(141)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소변데이터생성단계(S50)와,
    상기 소변데이터를 환자별로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는 DB생성단계(S60)와,
    관리자(103)가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통해 환자별 소변데이터를 파악 및 관리하는 관리단계(S70)를 포함하고;
    상기 소변데이터생성단계(S50)에서는, 관리자(103)가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해놓은 환자별 특이사항에 따른 소변 검사 결과에 대한 정상치데이터와 상기 소변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범주를 벗어날 경우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앱(151)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보를 발행하는 알림단계(S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관리자(103)는 환자별 채뇨백(111)을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상기 소변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웹애플리케이션(141)의 인터페이스 또는 모바일앱(151)을 이용해 파악 및 관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애플리케이션(141)에는 환자별 특이사항에 따른 소변 검사 결과에 대한 정상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부(140)에는 실제 측정된 환자별 소변데이터와 상기 정상치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상범주를 벗어날 경우 웹애플리케이션(141) 인터페이스 및 모바일앱(151)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보를 생성하는 알림부(14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KR1020160031877A 2016-03-17 2016-03-17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KR20170108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77A KR20170108266A (ko) 2016-03-17 2016-03-17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877A KR20170108266A (ko) 2016-03-17 2016-03-17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266A true KR20170108266A (ko) 2017-09-27

Family

ID=6003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877A KR20170108266A (ko) 2016-03-17 2016-03-17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2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234A (ko) 2017-10-25 2019-05-07 천혜정 역류 방지 유린백을 구비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시스템
WO2020178711A1 (en) 2019-03-02 2020-09-10 Staali Amine A multichambered urine collec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234A (ko) 2017-10-25 2019-05-07 천혜정 역류 방지 유린백을 구비하는 실시간 소변량 측정 시스템
WO2020178711A1 (en) 2019-03-02 2020-09-10 Staali Amine A multichambered urine colle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67949B (zh) 一种基层医疗系统
JP4860841B2 (ja) 分析データ提供方法、分析データ提供装置及び分析データ提供プログラム
US20050203707A1 (en) Data measuring device, healthcare data acquiring system, and healthcare data acquiring method
CN106999164A (zh) 用于进行体液的非侵入性分析的系统和方法
CN202776284U (zh) 一种便携式多参数检查一体机
CN105069730A (zh) 基于云计算的健康管理系统与方法
CN103168304B (zh) 用于设备的糖尿病管理系统的元数据标签系统
JP2002312477A (ja) 医療現場の検査室測定データの自動化された評価・品質管理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化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
CN108279298A (zh) 一种智能检测系统
CN105894419A (zh) 一种家庭健康管理系统及其实用方法
KR20190120318A (ko) 상호 운용 질병 관리 시스템
CN109124598A (zh) 健康一体机及其控制方法
CN104730260A (zh) 一种便携移动式血凝分析系统及方法
CN108903926A (zh) 一种智能医疗体检系统及其使用方法
US20190374152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KR20170108266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JP5379102B2 (ja) 臨床検査装置の管理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臨床検査装置の管理システム
CN106021969A (zh) 互联网慢性病管理系统
CN109346141A (zh) 一种便携式健康风险评估系统
EP2094153A2 (en) Telematic system for using diagnostic reagent strips and method for acquiring calibration data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CN103238153A (zh) 支持在糖尿病护理中使用的结构化收集过程的通信协议
CN206063163U (zh) 一种物联网pm2.5超声肺功能检测系统
CN206063143U (zh) 一种物联网pm2.5压差式肺功能检测系统
CN103156575B (zh) 自动无线传输式生理数据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