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532A -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532A
KR20170107532A KR1020177023567A KR20177023567A KR20170107532A KR 20170107532 A KR20170107532 A KR 20170107532A KR 1020177023567 A KR1020177023567 A KR 1020177023567A KR 20177023567 A KR20177023567 A KR 20177023567A KR 20170107532 A KR20170107532 A KR 2017010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maintenance mode
unit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746B1 (ko
Inventor
하지메 젬부쯔
마요 오오히라
준이찌 고꾸라꾸지
히로까즈 시노자와
요시끼 기꾸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3Performing the actions predefined by failover planning, e.g. switching to standby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2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updates or upgrades of network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to enhance reliability, e.g. reduce down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04L41/0897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by horizontal or vertical scaling of resources, or by migrating entities, e.g. virtual resources or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5Starting, stopping, suspending or resum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91Monitoring or debugg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95Network integration; Enabling network access in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서비스 중단이 제거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관리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메인터넌스 모드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에게 적어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성 제어 유닛, 및 제1 가상화 인프라 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관련 출원들에 대한 교차 참조)
본 발명은 2015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013737호에 기초하며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고,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의 관리와, 오케스트레이션에 적절하게 적용되는 관리 장치, 시스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서버를 조합하여 중복 구성(redundancy configuration)을 실현한 시스템이 사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중화 방식(duplication scheme)에서는, 2개의 동일한 서버 장치가 배열되고, 하나의 서버 장치(액티브 서버)(가동 서버라고도 함)에 장해가 발생하면, 다른 정상 서버 장치(백업 서버)(스탠바이 서버라고도 함)는 결함이 있는 서버 장치의 대체품 역할을 한다. N + 1 중복 방식에서는, 단일 서버 장치가 N 개의 서버 장치들(액티브 서버들)에 대한 공통 스탠바이 서버로서 배열된다.
네트워크 장치들 등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서 실현되는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등이 알려져 있다. NFV에서, 서버의 하드웨어 리소스들(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기능들 등)은 서버 상의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같은 가상화 계층(Virtualization Layer) 상에 구현된 가상 머신들(Virtual Machines)(VMs)에 의해 시각화된다. 예를 들어, NFV는 MANO(Management & Orchestration)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구현된다.
도 1은 비특허문헌 1의 챕터 7에서의 도 4의 인용 버전이며,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SG(Industry Specification Groups)에 의해 정의되는 NFV 참조 아키텍처(NFV reference architectural framework)를 예시한다.
VNF(Virtual Network Function)는 소프트웨어(가상 머신)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능의 예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에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및 P-GW(PDN(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포함한다. VNF마다 EMS(Element Management System)라고 불리는 관리 기능이 규정되어 있다.
NFV 아키텍처에서, NFVI(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는, 예를 들어 컴퓨팅, 스토리지 또는 네트워크 기능들과 같은 물리적 머신(서버)의 하드웨어 리소스들이, 예를 들어 가상 컴퓨팅, 가상 스토리지 또는 가상 네트워크에 대한 가상화된 하드웨어 리소스들로서 유연하게 사용되도록 하이퍼바이저나 컨테이너와 같은 가상화 계층으로 가상화되는 VNF 가상화 인프라구조이다.
NFV-오케스트레이터(NFV-Orchestrator)(NFVO)(본 명세서에서는 "오케스트레이터"라고도 함)는, NFVI 및 VNF들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을 수행하고, NFVI 상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실현한다(VNF로의 리소스 할당 및 VNF들의 관리(예를 들어, 오토 힐링(장해 자동 재구성), 오토 스케일링, 및 VNF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VNF-매니저(VNF-Manager)(VNFM)(본 명세서에서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들"이라고도 함)는, VNF의 라이프사이클 관리(예를 들어, 인스턴스화(instantiation), 업데이트, 질의, 힐링, 스케일링 및 터미네이션(termination)) 및 이벤트 통지를 수행한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는, 가상화 계층을 통해 개별 NFVI를 제어한다(예를 들어, 컴퓨팅, 스토리지 및 네트워킹에 대한 리소스들의 관리, NFV의 실행 인프라구조인 개별 NFVI에 대한 장해 모니터링, 및 리소스 정보의 모니터링).
NVF 프레임워크 외부의 OSS(Operation Support Systems)는, 예를 들어 통신 운영자(캐리어)가 서비스들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시스템들(기기들, 소프트웨어, 메커니즘들 등)을 총칭한 것이다. BSS(Business Service systems)는, 예를 들어 통신 운영자(캐리어)가 이용료, 과금, 청구, 고객 대응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 시스템들(기기들, 소프트웨어, 메커니즘들 등)의 총칭이다.
서비스, VNF 및 인프라구조 기술은 도 1에 예시하지 않은, VNF 기술자(VNF Descriptor)(VNFD), VNF 전송 그래프 기술자(VNF Forwarding Graph Descriptor)(VNFFGD), 가상 링크 기술자(Virtual Link Descriptor), 물리적 네트워크 기능 기술자(Physical Network Function Descriptor)(PNFD) 등을 포함한다.
Os-Ma는, OSS/BSS와 NFV-MAN(Management and Orchestration) 사이의 참조 포인트이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비스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요청들, VNF들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요청들, NFV에 관한 상태 정보의 전송, 폴리시 관리 정보의 교환 등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참조 포인트 Or-Vnfm은 개별 VNFM로부터의 리소스 관련 요청들(예를 들어, 인증, 예약, 할당 등), 개별 VNFM로의 구성 정보의 전송, 및 개별 VNF에 관한 상태 정보의 수집에 사용된다.
참조 포인트 Vi-Vnfm은, 예를 들어 VNFM으로부터의 리소스 할당 요청들, 및 가상 리소스들의 구성 및 상태에 관한 정보의 교환에 사용된다.
참조 포인트 Or-Vi는, 예를 들어 NFVO로부터의 리소스 예약 및 할당 요청들, 및 가상 리소스들의 구성들 및 상태들에 관한 정보의 교환에 사용된다.
참조 포인트 Ve-Vnfm은, 예를 들어 EMS와 개별 VNFM 간의 VNF 라이프사이클 관리 요청들, 및 구성 및 상태 정보의 교환에 사용된다.
참조 포인트 Nf-Vi는, 예를 들어 리소스 할당 요청들, 가상 리소스들에 관한 상태 정보의 전송, 및 하드웨어 리소스들에 관한 구성 및 상태 정보의 교환에 응답하여 가상 리소스들의 할당에 사용된다.
참조 포인트 Se-Ma는, 예를 들어 NFV 배치 템플릿(deployment template), 및 NFV 인프라구조 정보 모델들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데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개별 VNF, VNFC(VNF Component), VDU(Virtualization Deployment Unit), 및 NFVI 사이의 관계의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EPC에서의 SGW(Serving gateway)가 VNF로서 가상화되는 배열(가상화된 SGW)을 도식적으로 예시한다. 즉, 도 2는 SGW를 가상화함으로써 구성된 VNF(가상화된 SGW)의 각각의 논리 인터페이스들마다 VNFC가 설정되는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2에서, VDU는 VNF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배치 및 동작 거동의 기술을 지원하는 정보 모델에 의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VNF의 실행 인프라구조를 제공하는 VNFI는, 하이퍼바이저와 같은 가상화 계층 상에서 각각 가상화되는 가상 컴퓨팅, 가상 스토리지, 가상 네트워킹을 포함한다. 도 2에서, Vn-Nf는 NFVI에 의해 VNF에 제공되는 실행 환경을 나타낸다.
SGW가 VNF로서 가상화되는 도 2에서는, VNFC가 논리 인터페이스마다 설정된다. C-평면(Control-Plane)에 관한 논리 인터페이스들 S11, Gxc 및 S5/S8-C는 통합하여 단일 VDU(VM)로서 정의되고, U-평면(User-Plane)에 관한 논리 인터페이스들 S1U 및 S5/S8-U는 통합하여 단일 VDU(VM)로서 정의된다. EPC에서, S11은 SGW와 MME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 S5/S8은 SGW와 PGW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게다가, S1은 SGW와 eNodeB(evolved NodeB) 사이의 인터페이스, Gxc는 SGW와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이하의 표 1 및 2는 NFV의 요소들을 요약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479930호
[비특허문헌 1] ETSI GS NFV 002 V1.1.1 (2013-10)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NFV); Architectural Framework, pp.13-18, searched on December 25, 2014, Internet <URL: http://www.etsi.org/deliver/etsi_gs/nfv/001_099/002/01.01.01_60/gs_nfv002v010101p.pdf>
이하에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분석을 설명한다.
복수의 컴퓨터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업데이트될 때, 예를 들어 롤링 업데이트 등이 수행된다. 롤링 업데이트시, 시스템을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고,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팅(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업데이팅 또는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서버 장치(물리적 머신) 상의 가상화 계층 상에 구현되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에서는, 롤링 업데이트시 VM 서비스 계속성은 의식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롤링 업데이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생각될 수 있다:
(a) VM이 VM 상에서 동작하는 게스트 OS(Operating System)나 소프트웨어를 정지시키지 않고 다른 물리적 머신으로 이동되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live migration), 및
(b) 액티브(Act) VM 및 스탠바이(SBY) VM이 배열되는 이중화 구성 또는 VM의 N + 1 중복 구성과 같은 중복 구성에서 장해 검출 등을 통한 시스템 스위칭에 의해 구현되는 시스템 스위칭 방식(N 개의 액티브 VM 및 단일 스탠바이 VM이 배열됨).
그러나 상기 NFV 아키텍처에서, 가상 머신 상에 배치된 VDU의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및 시스템 스위칭 방식에 관해서는, NFV-MANO 내의 개별 VIM과 VNF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제공하는 NFVI 사이의 협력(본 발명자들에 의해 얻어진 발견들)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하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이 제안될 것이다. 이 기술은 상기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또는 시스템 스위칭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개별 VIM과 NFVI 간의 효율적인 협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각각이 서비스 중단 등을 억제하기 위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의 준비 및 후-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관리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지 않는 가상 머신에 대해서도 서비스 중단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관리 장치,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관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maintenance mode)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메인터넌스 모드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에게 적어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성 제어 유닛;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리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적어도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는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 및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인프라구조(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0/1); 및
단말 또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의 상위 장치
를 포함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을 지시하고,
VDU가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
제1, 제2 및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의 상위 장치; 및
단말
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상의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s)이 각각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로서 작용함으로써 중복 구성을 형성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할 때,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상위 장치 또는 상기 단말에 상기 천이를 통지하고,
상위 장치 또는 상기 단말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도록 스위칭되고,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이 액티브 시스템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하고,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관리 방법은,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관리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관리 방법은,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이 각각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서 작용하기 위해 스위칭되고,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는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지시 송신 처리;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완료 수신 처리;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처리;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의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처리; 및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는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예를 들어, 반도체 저장 디바이스 또는 자기/광 기록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이나 시스템 스위칭 등이 적용되더라도, 개별 가상화 인프라구조와 관리 장치 사이의 효율적인 협력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의 준비 및 후-처리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서비스 중단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지 않는 가상 머신에 대해서도 서비스 중단없이 시스템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NFV 아키텍처에서의 NFV-MANO를 예시한다(비특허문헌 1에서의 도 4를 인용).
도 2는 VNF, VNFC 및 VDU 간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3은 참고예 1을 예시한다.
도 4는 참고예 2를 예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예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시스템 구성의 예를 예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 1-1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 1-3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른 제어 시퀀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본 모드 1을 예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본 모드 2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기본 모드 1>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본 모드 1을 예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관리 장치(10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101), 메인터넌스 모드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에게 적어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성 제어 유닛(105),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104)을 포함한다. 이동성 제어 유닛(105)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이동 지시 송신 유닛(102), 및 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이동 완료 수신 유닛(103)을 포함한다. 이동 완료 수신 유닛(103)이 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에 대해 메인터넌스가 수행되고,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104)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관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NFV 아키텍처에 NFV-MANO 또는 VIM을 구성한다(도 1 참조). 도 19에서, 개별 유닛의 처리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개별 기능은 컴퓨터(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포함하고, 컴퓨터로 하여금 예시되지 않은 하드 디스크(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반도체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게 함으로써, 개별 유닛의 처리 일부 또는 전부를 실현한다.
기본 모드 1에 따르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는 가상 머신을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기본 모드 1에 따르면, 관리 장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를 구성할 수 있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 장치(100)(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의 관리 및 통합을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VNF)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관리 장치일 수 있다.
전송원으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관리 장치(100)(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 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메인터넌스 단말, 또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또는 OSS(Operations Support Systems)일 수 있다.
관리 장치(100)(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 및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 및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에 의해 송신된 장해 통지를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에 직접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요청의 전송원은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이다.
관리 장치(100)(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요청의 전송원은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이다.
기본 모드 1에 따른 시스템 구성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0/1); 및 단말, 또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의 상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를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로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VDU가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기본 모드 2>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본 모드 2를 예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111);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액티브 시스템)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1) 상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스탠바이 시스템) 사이에서 적어도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는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115); 및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2)로 이동하고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도록 스위칭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114)을 포함한다.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115)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액티브 시스템)으로의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112); 및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의 스위칭,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으로부터 액티브 시스템으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113)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장치(11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의 NFV-MANO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0에서, 개별 유닛의 처리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개별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기본 모드 2는, 예를 들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지 않는 가상 머신이 사용될 때에도 서비스 중단 없이 시스템 스위칭을 실현할 수 있다.
기본 모드 2는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고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및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의 상위 장치일 수 있다.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의 사용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의 사용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위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의 관리 및 통합을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VNF)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일 수 있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의해 송신된 장해 통지의 수신시, 장해 통지를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에 직접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요청의 전송원은 오케스트레이터(NFV 오케스트레이터)이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의해 송신된 장해 통지의 수신시, 장해 통지를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110)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요청의 전송원은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이다.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는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및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가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했다는 통지를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시,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장치(VNFM)는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0)가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했다는 통지를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로부터 수신시, 단말은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으로서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으로서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기본 모드 2에 따른 시스템 구성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실행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 제1, 제2 및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의 상위 장치;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상의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은 각각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의 중복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천이를 상위 장치 또는 단말에 통지할 수 있다.
상위 장치 또는 단말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할 수 있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스위칭되고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이 액티브 시스템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M)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예시적인 기본 모드 1 또는 2가 적용되지 않는 관련 기술들을 참고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참고예 1>
도 3은 상정한 제1 예(참고예 1)에 따른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3에서, 단말(EMS, OSS 등), 오케스트레이터, VNFM, VIM, NFVI0 및 NFVI1은 각각 도 5에서의 단말(40), 오케스트레이터(11), VNFM(12), VIM(13), NFVI0(31) 및 NFVI1(32)에 대응한다. 도 3에서의 시퀀스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한다.
도 3에서의 참고예 1에 따르면, VIM은 VDU0의 NFVI0으로부터 NFVI1로의 이동(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지시한다(1).
VDU0이 NFVI1로 이동한다(2). 그 다음, VDU0은 이동의 완료 통지(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의 완료 통지)를 VIM에 전송한다(3). 그 다음, NFVI0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4).
도 3에 예시된 기술은, 액티브 가상 머신(VM)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정지시키지 않고 VM을 다른 물리적 머신(서버) 등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인,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는 VDU에는 적용할 수 없다. 즉, VDU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하지 않는 한, 도 3에서의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통한 롤링 업데이트는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NFV 사양에서는,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에서 VIM과 NFVI 간의 협력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메인터넌스 타겟 NFVI0으로부터 NFVI1로의 VM의 이동(라이브 마이그레이션)에는 시간이 걸린다. 특히, 메모리 내용의 변경이 빈번하게 행해지는 그런 VM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도 3의 방법에 따르면, VDU가 메인터넌스 타겟 NFVI0으로부터 NFVI1로 이동 중에, 새롭게 생성된 VM은 메인터넌스 타겟 NFVI0에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VM이 할당될 때, 이용 가능한 리소스를 갖는 메인터넌스 타겟 NFVI(도 3에서의 NFVI0)가 VM의 할당 타겟으로서 선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참고예 2>
다음에, 본 발명과는 별도로, 잠정적으로 상정한 제2 예(참고예 2)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참고예 2에 따른 시퀀스를 예시한다(상기 비특허문헌 1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4에서, 단말(EMS, OSS 등), 오케스트레이터, VNFM, VIM, NFVI0, NFVI1 및 NFVI2는 각각 도 6에서의 단말(40), 오케스트레이터(11), VNFM(12), VIM(13), NFVI0(31), NFVI1(32) 및 NFVI2(33)에 대응한다.
도 4에서, NFVI0을 실행 인프라구조로서 갖는 VDU0은 액티브 시스템(Act)이며, NFVI1을 실행 인프라구조로서 갖는 VDU1은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탠바이 시스템(SBY)이다. 액티브 시스템(Act)에서 장해가 검출되면, 원래의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이 각각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 스위칭되는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된다.
시스템 스위칭의 결과로서, NFVI1을 실행 인프라구조로서 갖는 VDU1은 액티브 시스템이 된다. 계속해서, NFVI0 또는 VDU0에서 장해의 검출시, 힐링이 개시된다. 이런 힐링으로서, 장해가 검출될 때, 가상 머신(VM)이 다른 하드웨어 상에서 자동으로 다시 기동하는 자동 힐링 기능(장해 자동 재구성)이 수행될 수 있다. 힐링의 결과로서, VDU0은 NFVI0으부터 NFVI2로 이동되어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도 4에서의 참고예 2는 이하와 같은 문제들이 있다.
- VDU0에서의 장해의 발생으로부터 VDU1의 액티브 시스템(ACT)으로의 천이까지의 시간 간격에 VDU0/VDU1의 세트에 의한 서비스 중단이 야기된다.
- 또한, VDU0이 힐링되고 NFVI2로 이동되어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스위칭될 때까지, VDU1에 의해서만 단일 동작이 수행된다(이중화 등의 중복성이 유지될 수 없다).
- 또한, 도 4의 시퀀스에서와 같은 VIM과 NFVI 간의 협력은 상기 NFV 사양 등에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
<예시적인 실시예 1>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예시한다. 단말(40)은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OSS, 메인터넌스 단말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40)은 도 5에서 "단말(EMS, OSS 등)(40)"로 표현된다. 단말(40)은 후속 도면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될 것이다. 참조 번호 10은 NFV MANO(10)(도 1 참조), 11은 NFV 오케스트레이터(NFVO), 12는 VNF 매니저(VNFM), 13은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 20은 VNF, 21은 VDU0을 지칭한다. VDU0의 실행 인프라구조(Infrastructure)는 NFVI0(31)이다.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 1은 상술한 예시적인 기본 모드 1에 대응하고, VDU0(21)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는다.
도 5에서는, 예를 들어 요소들을 접속하는 라인이 단지 개략적인 표현일 뿐이다. 예를 들어, NFVO(11), VNFM(12) 및 VIM(13)은, 단말(EMS, OSS 등)(40)과 접속되고, 개별로 신호(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NFVO(11), VNFM(12) 및 VIM(13)은 단일 점에서 공통 신호 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NFVI0과 NVFI1의 각각이 VIM(13)과 접속되어 있을지라도, NFVI0과 NVFI1은 단일 점에 공통으로 접속되거나 서로 간에 접속되지는 않는다. 도 6의 대응하는 표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기본 동작>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기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7 및 후속 시퀀스에서는, 도 5에서의 요소들이 이들의 이름으로 참조되고, 참조 번호들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VIM은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NFVI0을 정상 모드로부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1).
VIM은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NFVI에 관한 정보를 상위 NFV 오케스트레이터(NFVO)(이하, "오케스트레이터"라고 말할 것임) 또는 단말 등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VIM은 메인터넌스 타겟 NFVI의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메인터넌스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에 "온"을 설정할 수 있다. VIM은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를 선택 타겟에서 제거한다(VM(들)이 할당될 수 있는 선택 후보(들)에서 제거한다). 즉, VIM은 NFVI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설정 제어 처리 등(정상 모드에서의 설정 또는 제어 처리)을 수행하지 않는다. NFVI가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을 때, VIM은, VIM이 정상 모드 NFVI에 대해 수행하는 VM(들)의 할당과 같은 NFVI에 대한 설정 또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디스에이블 상태).
VIM은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NFVI(이 경우, 메인터넌스 모드로 설정된 NFVI0) 상의 VDU0에게 NFVI1로의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2).
VDU0은 NFVI0으로부터 NFVI1로 이동(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수행한다(3).
NFVI1로 이동한 후, VDU0은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완료 통지를 VIM에 전송한다(4).
다음으로, NFVI0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 이런 메인터넌스는, 예를 들어 NFVI에 대한 장해 관리 메인터넌스 툴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자동 메인터넌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인터넌스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NFVI0에 대한 메인터넌스의 완료시, VI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VIM은 메인터넌스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에 "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NFVI0은 메인터넌스 모드로부터 정상 모드로 복귀하고, VIM은 NFVI0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설정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인에이블 상태).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을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예를 들어 VDU0이 NFVI0으로부터 NFV2로 이동 중에 새로운 VM은 NFVI0에 할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VDU0 이외의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 1-1>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 1-1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1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1에 따르면, 단말(Terminal)들에 대한 메인터넌스 기술자의 조작(들) 등으로,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하는 지시가 VIM에 발행된다. 단말은 EMS, OSS와 같은 메인터넌스 관리 시스템(단말), 또는 외부 모니터링 장치와 같은 노드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Terminal)로부터의 조작 등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VIM에 송신한다(1). 이런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다(2). 또한, 단말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송신한다(7). 이런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8).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7에서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1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수행될 다양한 종류의 처리의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결과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와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설정하는 것은 VIM의 자동 처리에 의해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단말, 또는 예시되지 않는 모니터링 장치와 같은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NFVI는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된다(이점에 대해서는, NVF 사양에 규정되어 있지 않다).
<예시적인 실시예 1-2>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른 시스템 기본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2는, 단말(Terminal)(또는 외부 노드)에 대한 메인터넌스 기술자의 조작(들) 등에 의해, NFVI0을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라 메인터넌스 모드로 또한 천이하는 지시가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VIM에 발행된다는 점에서 예시적인 실시예 1-1과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Terminal)(또는 외부 노드)로부터의 조작 등에 의해,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은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VIM에 전송된다(1).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2). 단말(또는 외부 노드)로부터의 조작 등에 의해,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은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VIM에 전송된다(7).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8).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다양한 종류의 처리에 대한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결과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르면, VIM 제어는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 수행되므로, MANO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요청들을 오케스트레이터에 일원화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2에 따르면, 예약 처리 등을 사용하여, 단말(Terminal)로부터의 지시가 아니라, 오케스트레이터가 시작점이 되어 VIM에 지시를 발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3>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 1-3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3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5의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3에 따르면, NFVI0의 메인터넌스 요인은 NFVI0에서 장해의 발생인 것으로 추정된다. NFVI0으로부터의 장해 통지는 VIM으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에 직접 통지되고,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은 오케스트레이터로부터 VIM에 직접 송신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NFVI0에서 장해가 발생할 때, NFVI0으로부터의 장해 통지(NFVI0)는 VIM에 전송된다(1).
VIM은 장해 통지(NFVI0)를 오케스트레이터에 전송한다(2).
오케스트레이터는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IM에 송신한다(3). NFVI0의 메인터넌스(8)까지의 후속 처리는 도 7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것과 동일하다.
NFVI0의 메인터넌스(8) 후에, NFVI0은 VIM에 장해 복구 통지를 송신한다(9).
VIM은 장해 복구 통지를 오케스트레이터에 송신한다(10).
오케스트레이터는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송신한다(11).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2).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3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수행될 다양한 종류의 처리에 대한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NFVI0에서 장해 발생에 의해 트리거되는, 오케스트레이터를 시작점으로 하는 VIM 제어가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행될 수도 있다.
NFVI0의 장해 통지는 단말에 송신될 수 있고, 단말은 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IM에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4>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예시적인 실시예 1-3과 같이, NFVI0의 메인터넌스 요인은 NFVI0에서 장해의 발생인 것을 추정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NFVI0의 장해 통지는 VNFM을 통해 오케스트레이터에 전송된다.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오케스트레이터로부터의 요청은 VNFM을 통해 VIM에 전송된다. 또한, VIM으로부터 오케스트레이터로의 장해 복구 통지는 VNFM를 통해 전송되고, 오케스트레이터로부터의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요청은 VNFM를 통해 VIM에 전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을 참조하면, NFVI0에서 장해가 발생할 때, NFVI0으로부터의 장해 통지(NFVI0)는 VIM에 전송된다(1).
VIM은 장해 통지(NFVI0)를 VNFM를 통해 오케스트레이터에 전송한다(2).
오케스트레이터는 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IM에 (VNFM을 통하지 않고) 전송한다(3). NFVI0의 메인터넌스(8)까지의 후속 처리는 도 7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것과 동일하다.
NFVI0의 메인터넌스(8) 후에, NFVI0으로부터 VIM에 장해 복구 통지가 전송된다(9).
VIM은 장해 복구 통지를 VNFM을 통해 오케스트레이터에 전송한다(10).
오케스트레이터는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VNFM을 통하지 않고) 전송한다(11).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2).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수행될 다양한 종류의 처리에 대한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NFVI0에서 장해의 발생에 의해 트리거되는, 오케스트레이터를 시작점으로 하는 VIM 제어가 단말을 거치지 않고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NFVI0의 장해는 단말에 통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기술자(또는 외부 노드)의 조작에 의해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이 VIM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4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5>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르면, 단말(또는 외부 노드)에 대한 메인터넌스 기술자의 조작 등에 의해 지시가 VNFM을 통해 VIM에 전송되고, VIM은 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Terminal)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NFM을 통해 VIM에 전송한다(1).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다(2).
또한, 단말로부터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은 VNFM을 통해 VIM에 전송된다(7).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8).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8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르면, VNFM을 통해 VIM 제어가 수행되기 때문에, EMS 및 VNF 등의 동작/이벤트와 협력하여 메인터넌스 모드 스위치 시퀀스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1-5에 따르면, 예약 처리 등을 사용하여 단말로부터의 지시가 아니라, VNFM은 시작점이 되어 VIM에 지시(메인터넌스 모드 천이/해제 요청 등)를 발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6>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르면, NFVI0의 장해 통지는 VIM으로부터 VNFM에 전송되고,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은 VNFM으로부터 VIM에 전송된다. 장해 복구 통지는 NFVI0으로부터 VNFM에 전송되고,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요청도 VNFM으로부터 VNFM을 통해 VIM에 전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을 참조하면, NFVI0에서 장해가 발생할 때, NFVI0으로부터의 장해 통지(NFVI0)는 VIM에 전송된다(1). VIM은 장해 통지(NFVI0)를 VNFM에 전송한다(2).
VNFM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3).
VNFM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4). NFVI0의 메인터넌스(8)까지의 후속 처리는 도 7에서의 예시적인 실시예 1에 따른 것과 동일하다.
NFVI0의 메인터넌스(8)의 후에, NFVI0는 장해 복구 통지를 VIM에 전송된다(9).
VIM은 장해 복구 통지를 VNFM에 전송한다(10).
VNF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11). 이 요청에 응답하여, VIM은 NFVI0의 상태(VIM에 의해 관리됨)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2). 시퀀스에서의 다른 처리는 도 7에서의 것과 동일하게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0은 수행될 다양한 종류의 처리에 대한 NFVI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NFVI0이 VDU0과 다른 임의의 VDU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6에 따르면, 장해가 NFVI0에서 발생할 때, 단말을 통하지 않고 VNFM을 시작점으로 하여 VIM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2>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1과 같이, 단말(Terminal)(40)은 EMS, OSS, 또는 메인터넌스 단말 등일 수 있다. 참조 번호 10은 NFV MANO(도 1 참조), 11은 오케스트레이터(NFVO), 12는 VNF 매니저(VNFM), 13은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 20은 VNF, 21 및 22는 각각 VDU0 및 VDU1을 지칭한다. 도 6에는, 각각의 실행 인프라구조(가상화 인프라구조)로서 NFVI0(31) 및 NFVI1(32)을 갖는 VDU0 및 VDU1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2는, 상술한 예시적인 기본 모드 2에 대응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메인터넌스 타겟인 NFVI0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VDU0과, NFVI1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된다. 또한, NFVI2로 이동한 후에 VDU0은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설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 2는, 가상 머신(VM)이 예시적인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라이브 마이그레이션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도, 서비스 무중단을 실현할 수 있다.
도 6이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중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예시적인 실시예 2는 N 이중화 구성, N+1 중복 구성 등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기본 동작>
도 14는 도 6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른 기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14 및 후속 시퀀스에서, 도 6에서의 요소들은 이들의 이름에 의해 참조되고, 그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생략될 것이다. 또한,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VIM은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1). 이 단계에서, VIM은 메인터넌스 타겟인 NFVI의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메인터넌스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에 "온"을 설정할 수 있다. VIM은 메인터넌스 모드에 있는 NFVI를 선택 타겟으로부터 제거한다(VM(들)이 할당될 수 있는 NFVI로부터 제거한다). 즉, VIM으로부터 NFVI까지의 다양한 종류의 설정 제어 처리 등(정상 모드에서의 설정 또는 제어)은 수행되지 않는다.
VIM은 VDU0을 수용하는 NFVI0이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VNFM에 통지한다(2).
VNFM은 이중화 구성을 형성하는 VDU0과 VDU1 사이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VDU0에 전송한다(3).
다음에,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고(4), VDU1 및 VDU0은 각각 액티브 시스템(ACT) 및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천이된다.
액티브 시스템(ACT)의 VDU1은 메인터넌스 시스템의 스위칭 완료 통지를 VNFM에 전송한다(5).
수동 힐링 또는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0의 이동을 통해, VDU0은 NFV2로 이동된다(6).
NFVI0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7).
그 다음에, VI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8).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NFVI0에 대한 메인터넌스(7)가 수행되는 중에, NFVI1 상의 VDU1은 액티브 시스템으로서 동작하고, NFVI2 상의 VDU0은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동작한다. 즉, NFVI0의 메인터넌스(7)가 수행되고 있을지라도,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에 의해 형성된 이중화 시스템이 기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예 2와 달리, VDU0/VDU1 세트에 의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는 동안 서비스 중단이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기 직전까지 액티브 시스템의 VDU0은 동작하고 있다(서비스를 제공함). 예를 들어, 핫 스탠바이에 기초하는 시스템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1은 액티브 시스템으로 바로 스위칭되고, 액티브 시스템이었던 VDU0의 처리를 넘겨받는다. 또한, NFVI0의 메인터넌스(7) 동안, VDU1 및 VDU0은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의 이중화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반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예 2에 따르면, NFVI0의 메인터넌스(1) 동안, 액티브 시스템의 VDU0은 동작하지 않고, 서비스가 중단되고, 이중화 시스템은 기능하지 않는다. 또한, NFVI1 상의 VDU1은 스탠바이 시스템에 남겨진다. 참고예 2에 따르면, 액티브 시스템에서 장해가 검출될 때,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1은 액티브(ACT) 시스템으로 천이된다. 그러나 NFVI0 또는 VDU0에서 장해의 검출시 힐링이 개시되고, VDU0이 NFVI2로 이동되고, VDU0이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되도록 시작할 때까지, 새로운 액티브 시스템인 VDU1에 의해서만 단일 시스템 동작이 수행된다(이중화 시스템은 동작할 수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수동 힐링(장해로부터의 수동 재구성)(또는 VDU0의 NFVI2로의 이동)을 통해, 장해 검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일 시스템 동작 시간(액티브 시스템의 VDU1만이 동작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2에 따르면, 시퀀스 전체가 VNFM에 의해 집중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3>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6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15에서, 도 6에서의 요소들은 이들의 이름에 의해 참조되고, 그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가 할당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NFVI0을 VIM에 대한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이 전송된다(1). 단말(EMS, OSS 등),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가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을 전송한다.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1-2, 1-3, 1-4 등에 이미 설명되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인지에 따라, 예시적인 실시예 3은 예시적인 실시예 3-1, 3-2, 3-3 등에 각각 전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간략화만을 위해 통합하여 예시적인 실시예 3에서 설명될 것이다.
시퀀스에서 NFVI0의 메인터넌스(8)까지의 후속 처리는 도 14에서의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가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3에 따르면, 수동 힐링(또는 VDU의 이동(move))을 통해, 장해 검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일 시스템만이 동작하는 시간은 짧아진다. 또한, VNFM은 시퀀스 전체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2에서와 같이, VDU0/1 세트에 의한 서비스 중단은 없다.
<예시적인 실시예 4>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6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16에서, 도 6에서의 요소들은 이들의 이름에 의해 참조되고, 그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받는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 2 및 3에 따르면, VIM은 VDU0을 수용하는 NFVI0이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VNFM에 통지하고, VNFM은 관련 시퀀스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한다. 이에 반하여,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르면, VIM은 NFVI0이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오케스트레이터에 통지하고, 오케스트레이터는 관련 시퀀스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NFVI0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은 VIM에 전송된다(1).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은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이다.
VIM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2).
VIM은 VDU0을 수용하는 NFVI0이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오케스트레이터에 통지한다(3).
오케스트레이터는 VM 이동 준비 요청을 VNFM에 송신함으로써, 가상 머신(VM)의 이동의 준비를 VNFM에 대해 요청한다(4).
VM 이동 준비 요청의 수신시, VNFM은 이중화 구성을 형성하는 VDU0과 VDU1 사이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VDU0에 전송한다(5).
다음으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고(6), VDU1 및 VDU0은 액티브 시스템(ACT) 및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각각 천이한다.
액티브 시스템(ACT)의 VDU1은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VNFM에 전송한다(7).
VNFM은 VM 이동 준비의 완료 통지를 오케스트레이터에 송신한다(8).
수동 힐링 또는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의 이동을 통해, VDU0은 NFV2으로 이동된다(9).
NFVI0의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10).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인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는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11).
VI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2).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예 2와는 달리, VDU0/VDU1 세트에 의한 서비스 중단은 없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르면, 수동 힐링(또는 VDU의 이동)을 통해, 장해 검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일 시스템 동작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4에 따르면, 오케스트레이터는 시퀀스 전체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5>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6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17에서, 도 6에서의 요소들은 이들의 이름에 의해 참조되고, 그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받는다.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단말 상의 동작을 통해, NFV-MANO에서의 오케스트레이터는 전체 시퀀스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한다.
NFVI0을 VIM에 대한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이 전송된다(1).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은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이다.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1-2, 1-3, 1-4 등에 이미 설명되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인지에 따라, 예시적인 실시예 5는 예시적인 실시예 5-1, 5-2, 5-3 등에 전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간략화만을 위해 통합하여 예시적인 실시예 5에서 설명될 것이다.
VIM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2).
VNFM은 이동이 필요한 VM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한다(4).
단말은 이중화 구성을 형성하는 VDU0과 VDU1 사이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VDU0에 전송한다(5).
다음으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고(6), VDU1 및 VDU0은 액티브 시스템(ACT) 및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각각 천이한다.
액티브 시스템(ACT)의 VDU1은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단말에 전송한다(7). 이 단계에서, VDU1은 VIM, VNFM 및 오케스트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VDU1은, 예를 들어 단말에 접속되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NFV-MANO를 통하지 않고)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VM 이동 지시를 오케스트레이터에 전송한다(8).
수동 힐링 또는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의 이동을 통해, VDU0은 VNFM으로 이동된다(9).
NFVI0의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10).
오케스트레이터는 VM 이동 완료 통지를 단말에 전송한다(11).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인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는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12).
VI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3).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예 2와는 달리, VDU0/VDU1 세트에 의한 서비스 중단은 없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르면, 수동 힐링(또는 VDU의 이동)을 통해, 장해 검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액티브 시스템의 단일 DVDU1만이 동작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5에 따르면, 단말 상의 동작에 의해, 오케스트레이터는 시퀀스 전체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6>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른 동작 시퀀스를 예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른 기본 시스템 구성은 도 6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18에서, 도 6에서의 요소들은 이들의 이름에 의해 참조되고, 그 요소들의 참조 번호는 생략될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시퀀스는 시퀀스 번호를 부여받는다.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단말 상의 동작에 의해, NFV-MANO에서의 오케스트레이터는 전체 시퀀스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한다.
NFVI0을 VIM에 대한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이 전송된다(1).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은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이다.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1-2, 1-3, 1-4 등에 이미 설명되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이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인지에 따라, 예시적인 실시예 6은 예시적인 실시예 6-1, 6-2, 6-3 등에 각각 전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간략화만을 위해 통합하여 예시적인 실시예 6에서 설명될 것이다.
VIM은 NFVI0을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스위칭)한다(2).
VNFM은 이동이 필요한 VM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한다(4).
단말은 이중화 구성을 형성하는 VDU0과 VDU1 사이의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VDU0에 전송한다(5).
다음으로, 시스템 스위칭이 수행되고(6), VDU1 및 VDU0은 액티브 시스템(ACT) 및 스탠바이 시스템(SBY)으로 각각 천이한다.
액티브 시스템(ACT)의 VDU1은 메인터넌스 시스템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단말에 전송한다(7). 이 단계에서, VDU1은 VIM, VNFM 및 오케스트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VDU1은, 예를 들어 단말에 접속되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NFV-MANO를 통하지 않고) 통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VM 이동 지시를 VNFM에 전송한다(8).
수동 힐링 또는 스탠바이 시스템의 VDU의 이동을 통해, VDU0은 VNFM으로 이동된다(9).
NFVI0의 메인터넌스가 수행된다(10).
VNFM는 VM 이동 완료 통지를 단말에 전송한다(11).
메인터넌스 모드 천이 요청의 전송원인 단말, 오케스트레이터 및 VNFM 중 어느 하나는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VIM에 전송한다(12).
VIM은 NFVI0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13).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르면, 예시적인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참고예 2와는 달리, VDU0/VDU1 세트에 의한 서비스 중단은 없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르면, 수동 힐링(또는 VDU의 이동)을 통해, 장해 검출 처리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단일 시스템 동작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 6에 따르면, 단말 상의 동작에 의해, NVFM은 시퀀스 전체를 집중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 2-5는 중복 구성으로서 이중화 구성(단일 액티브 시스템 및 단일 스탠바이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이들 실시예는 N+1 중복 구성에 대해서도 물론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특허문헌 및 비특허문헌 각각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전체 개시내용(청구항들을 포함함)의 범위 내에서, 또한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예들의 변경 및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시 요소(각각의 청구항들, 예들, 도면들에서의 요소들을 포함함)의 다양한 조합 및 선택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을 포함하는 전체 개시내용 및 기술적 사상에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룰 수 있는 것인 각종 변형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하와 같이 설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부기 1)
관리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메인터넌스 모드(maintenance mode)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메인터넌스 모드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irtualization deployment unit)(VDU)에게 적어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성 제어 유닛;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
을 포함한다.
(부기 2)
부기 1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관리 장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을 구성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 장치(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오케스트레이터(NFVO),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관리 유닛(Virtual Network Function manager)(VNFM)이며,
전송원으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부기 3)
부기 2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단말은 메인터넌스 단말 또는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또는 OSS(Operations Support Systems)이다.
(부기 4)
부기 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와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부기 5)
부기 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와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한다.
(부기 6)
부기 2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송신된 장해 통지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에 직접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통지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이다.
(부기 7)
부기 6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이다.
(부기 8)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이동성 제어 유닛은,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에 송신하는 이동 지시 송신 유닛; 및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이동 완료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부기 9)
관리 장치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적어도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는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
을 포함한다.
(부기 10)
부기 9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간의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액티브 시스템에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에 송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및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의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의 스위칭,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의 액티브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으로부터 수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
을 포함한다.
(부기 11)
부기 10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이 시스템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될 때,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부기 12)
부기 10 또는 11에 따른 관리 장치는,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s)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이며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및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을 포함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의 상위 장치이며,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에 의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된다.
(부기 13)
부기 12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상위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 Orchestrator)(NFVO),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 Manager)(VNFM)이다.
(부기 14)
부기 1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수신한다.
(부기 15)
부기 14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수신한다.
(부기 16)
부기 1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이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장해 통지를 수신할 때,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장해 통지를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에 직접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전송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이다.
(부기 17)
부기 1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이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장해 통지를 수신할 때,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장해 통지를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에 전송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가상 네트워크 기능 유닛(VNFM)이다.
(부기 18)
부기 16 또는 부기 17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은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및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가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에 의해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에 통지할 때,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은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전송한다.
(부기 19)
부기 13에 따른 관리 장치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가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가상화 인프라구조 매니저에 의해 단말에 통지할 때, 단말은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으로서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전송하고,
단말은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으로서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한다.
(부기 2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및
단말 또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의 상위 장치
를 포함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지시하고,
가상화 배치 유닛이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부기 21)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인프라구조(들)(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
제1, 제2 및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의 상위 장치; 및
단말
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상의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s)이 각각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로서 작용함으로써 중복 구성을 형성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할 때,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천이를 상위 장치 또는 상기 단말에 통지하고,
상위 장치 또는 단말은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고,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서 작용하도록 스위칭되고,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이 액티브 시스템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하고,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 후,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는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한다.
(부기 22)
관리 방법은,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irtualization Deployment Unit)(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가 수신되고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에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부기 23)
관리 방법은,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이 각각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서 작용하기 위해 스위칭되고,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부기 24)
부기 23에 따른 관리 방법에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 장치(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상위 장치이며,
단말 또는 상위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가 적어도 수행된다.
(부기 25)
부기 24에 따른 관리 방법에서, 상위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의 관리 및 통합을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매니저이다.
(부기 26)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지시 송신 처리;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완료 수신 처리; 및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한다.
(부기 27)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처리;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의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의 각각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처리; 및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한다.
10 NFV MANO(NFV-MANO)
11 NFV 오케스트레이터(NFVO)
12 VNF 매니저(VNFM)
13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VIM)
20 VNF
21 VDU0
40 단말
31 NFVI0
32 NFVI1
33 NFVI2
100, 110 관리 장치
101, 111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102 이동 지시 송신 유닛
103 이동 완료 수신 유닛
105 이동성 제어 유닛
104, 114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
112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113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
115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

Claims (27)

  1. 관리 장치로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메인터넌스 모드(maintenance mode)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에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irtualization deployment unit)(VDU)에게 적어도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도록 지시하는 이동성 제어 유닛;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리 장치(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오케스트레이터(NFV Orchestrator)(NFVO), 또는 하나 이상의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관리 유닛(VNFM)이며,
    상기 전송원으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메인터넌스 단말,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또는 OSS(Operations Support Systems)인,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와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상기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와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전송된 장해 통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에 직접 또는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통지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인,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인, 관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에 송신하는 이동 지시 송신 유닛; 및
    상기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상기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이동 완료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9. 관리 장치로서,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적어도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는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위칭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상기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간의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및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의 스탠바이 시스템으로의 스위칭, 및 상기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의 액티브 시스템으로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이 상기 시스템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한 후, 스탠바이 시스템의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될 때,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관리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가상화 인프라구조(NFVI)를 제어하는 관리 장치이며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 및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의 상위 장치이며,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 Orchestrator)(NFVO), 또는 하나 이상의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 매니저(VNF Manager)(VNFM)인, 관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 -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단말임 - 을,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 또는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수신하는,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상기 요청 -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단말임 - 을,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 또는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수신하는, 관리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이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장해 통지를 수신할 때,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장해 통지를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에 직접 또는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오케스트레이터(NFVO)인, 관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로부터 장해 통지의 수신시,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장해 통지를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VIM)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의 전송원은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유닛(VNFM)인, 관리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은,
    상기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 및 상기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가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매니저에 의해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에 통지할 때, 상기 가상 네트워크 기능 관리 유닛(VNFM)은 상기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전송하는, 관리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가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한 것을 상기 가상화 인프라구조 매니저에 의해 상기 단말에 통지할 때,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유닛으로서 상기 시스템 스위칭 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유닛으로서 상기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를 수신하는, 관리 장치.
  20.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및
    단말 또는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의 상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irtualization Deployment Unit)(VDU)의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지시하고,
    상기 가상화 배치 유닛이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을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1.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들이 실행되는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제어하는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Virtualized Infrastructure Manager)(VIM);
    제1, 제2 및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의 상위 장치; 및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들 상의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s)이 각각 액티브 및 스탠바이 시스템들의 중복 구성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을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 수신시,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상위 장치 또는 상기 단말에 통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위 장치 또는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스위칭되고 상기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이 액티브 시스템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나타내는 시스템 스위칭 완료 통지의 수신시,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수행된 후, 상기 가상화된 인프라구조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22. 관리 방법으로서,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Infrastructure)(NFVI)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상기 이동의 완료 통지가 수신되고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23. 관리 방법으로서,
    메인터넌스 타겟인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이 각각 상기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 스위칭되고, 스탠바이 시스템의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관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라는 요청,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라는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리 장치(VIM)에 전송하는 전송원은 단말 또는 상위 장치이며,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상위 장치로부터의 상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상기 메인터넌스 모드로의 천이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의 해제가 적어도 수행되는,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의 관리 및 통합을 수행하는 오케스트레이터, 또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들)(VNF)을 관리하는 가상 네트워크 기능(VNF) 관리 장치인, 관리 방법.
  26.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이동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지시 송신 처리;
    상기 가상화 배치 유닛(VDU)의 상기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로의 상기 이동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완료 수신 처리; 및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27.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를 메인터넌스 모드로 천이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설정 처리;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액티브 시스템의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과, 제2 가상화 인프라구조 상의 스탠바이 시스템의 제2 가상화 배치 유닛(VDU1) 사이에서 시스템 스위칭을 위한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지시 송신 처리;
    상기 제1 및 제2 가상화 배치 유닛들((VDU0) 및 (VDU1))의 상기 스탠바이 및 액티브 시스템들로의 각각의 스위칭의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스위칭 완료 수신 처리; 및
    스탠바이 시스템의 상기 제1 가상화 배치 유닛(VDU0)이 제3 가상화 인프라구조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에 대한 메인터넌스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가상화 인프라구조의 메인터넌스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메인터넌스 모드 해제 처리
    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177023567A 2015-01-27 2016-01-26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24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3737 2015-01-27
JPJP-P-2015-013737 2015-01-27
PCT/JP2016/052103 WO2016121728A1 (ja) 2015-01-27 2016-01-26 ネットワーク機能仮想化管理およびオーケストレーション装置とシステムと管理方法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532A true KR20170107532A (ko) 2017-09-25
KR101924746B1 KR101924746B1 (ko) 2019-02-27

Family

ID=5654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567A KR101924746B1 (ko) 2015-01-27 2016-01-26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9869B2 (ko)
EP (1) EP3252607A4 (ko)
JP (1) JP6528784B2 (ko)
KR (1) KR101924746B1 (ko)
CN (1) CN107209709B (ko)
CA (1) CA2975071C (ko)
WO (1) WO2016121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40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머신 프로세서의 원격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7025A (zh) * 2015-01-16 2016-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告警处理方法及装置
US11418383B2 (en) * 2016-01-08 2022-08-16 Apple Inc. Techniques for instantiation and termination of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US10362122B2 (en) * 2016-03-21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lacing a virtual network function in a network service
KR102287280B1 (ko) * 2016-10-13 2021-08-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운영 장치 및 방법
US10491567B2 (en) * 2017-03-17 2019-11-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firewall configuration based on proxy container deployment
EP3605965A4 (en) * 2017-03-29 2020-03-25 Nec Corporation VIRTUAL NETWORK SYSTEM, VIM, VIRTUAL NETWORK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397132B2 (en) * 2017-04-07 2019-08-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granting virtualized network function life cycle management
BR112019025898A2 (pt) 2017-06-09 2020-06-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ara manter um serviço de função de rede virtual e disponibilidade e continuidade de serviço de rede, gerenciador de infraestrutura virtual, e, sistema com base em nuvem
US11003516B2 (en) 2017-07-24 2021-05-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ographical redundancy and dynamic scaling for virtual network functions
CN109756356B (zh) * 2017-11-07 2021-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升级方法及装置
CN108255576B (zh) * 2017-12-08 2021-02-26 未鲲(上海)科技服务有限公司 虚拟机热迁移异常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0764118B1 (en) 2018-01-05 2020-09-01 Open Invention Network Llc EMS resolution of split-brain virtual network function components
CN110166503B (zh) * 2018-02-11 2021-11-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息交互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75756B (zh) * 2018-03-13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虚拟化网元的部署方法以及装置
US11303722B2 (en) 2018-07-30 2022-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chine learning method for adaptive virtual network functions placement and readjustment
US11677622B2 (en) 2018-11-01 2023-06-1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odifying resource allocation or policy responsive to control information from a virtual network function
US11627057B2 (en) * 2018-11-01 2023-04-11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Virtual network function response to a service interruption
WO2020138176A1 (ja) * 2018-12-28 2020-07-0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CN111385181B (zh) * 2018-12-29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例化方法及装置
JP7128419B2 (ja) * 2019-02-14 2022-08-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二重化運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20261412A1 (ja) * 2019-06-26 2020-12-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仮想化基盤制御装置、仮想化基盤制御方法および仮想化基盤制御プログラム
US11288018B2 (en) * 2020-03-25 2022-03-2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deploying a virtual distributed unit on a network device
US11057274B1 (en) * 2020-04-09 2021-07-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on of virtualized network functions
US11748166B2 (en) * 2020-06-26 2023-09-05 EMC IP Holding Compan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allocation of computing resources prior to preparation of physical assets
WO2022003953A1 (ja) * 2020-07-03 2022-01-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仮想化システム、仮想リソース管理装置、仮想リソース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009410A1 (ja) * 2020-07-10 2022-01-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サーバメンテナンス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892A (ja) * 2000-08-09 2002-0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仮想ネットワーク機器システム
JP4479930B2 (ja) 2007-12-21 2010-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ードシステム、サーバ切換え方法、サーバ装置、データ引き継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84332A1 (ja) * 2011-12-08 2013-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の制御方法及び仮想計算機システム
US20140201374A1 (en) * 2013-01-11 2014-07-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for a Network Device
WO2014208661A1 (ja) * 2013-06-27 2014-12-31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マシン配置設計装置及び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39287A (zh) 2008-11-13 2010-06-16 国际商业机器公司 管理虚拟机的装置、系统和方法
US8949431B2 (en) 2011-08-24 2015-02-03 Radware, Ltd. Method for live migration of virtual machines
US8990371B2 (en) 2012-01-31 2015-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connecting data centers for migration of virtual machines
EP2800303B1 (en) * 2012-08-17 2015-11-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witch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irtual application dual machine in cloud environment
US9619258B2 (en) 2013-01-21 2017-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ve virtual machine migration quality of service
US10218622B2 (en) * 2013-05-13 2019-02-26 Vmware, Inc. Placing a network device into a maintenance mode in a virtualized computing environment
JPWO2014208538A1 (ja) * 2013-06-25 2017-02-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と装置と方法とプログラム
EP3117312A1 (en) 2014-03-10 2017-01-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Notification about virtual machine live migration to vnf manager
US9465704B2 (en) * 2014-03-26 2016-10-11 Vmware, Inc. VM availability during management and VM network failures in host computing systems
US9558082B2 (en) * 2014-03-28 2017-01-31 Vmware, Inc. VM availability during migration and VM network failures in host computing systems
WO2015146374A1 (ja) * 2014-03-28 2015-10-01 株式会社Nttドコモ 仮想化資源管理ノード及び仮想マシン移行方法
US10044795B2 (en) * 2014-07-11 2018-08-07 Vmw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ack deployments for virtual computing environments
US20160077854A1 (en) * 2014-09-12 2016-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pediting host maintenance mode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9442742B2 (en) * 2014-09-18 2016-09-13 Arist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evice maintenance
US9594649B2 (en) * 2014-10-13 2017-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virtualization policy management system
US10725883B2 (en) * 2015-08-05 2020-07-28 Vmware, Inc. Externally triggered maintenance of state information of virtual machines for high availablity operatio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892A (ja) * 2000-08-09 2002-02-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及び仮想ネットワーク機器システム
JP4479930B2 (ja) 2007-12-21 2010-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ードシステム、サーバ切換え方法、サーバ装置、データ引き継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84332A1 (ja) * 2011-12-08 2013-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の制御方法及び仮想計算機システム
US20140201374A1 (en) * 2013-01-11 2014-07-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for a Network Device
WO2014208661A1 (ja) * 2013-06-27 2014-12-31 日本電気株式会社 仮想マシン配置設計装置及び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ETSI GS NFV 002 V1.1.1 (2013-10)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NFV); Architectural Framework, pp.13-18, searched on December 25, 2014, Internet <URL: http://www.etsi.org/deliver/etsi_gs/nfv/001_099/002/01.01.01_60/gs_nfv002v010101p.pdf>
ETSI GS NFV-MAN 001 V1.1.1. ‘Network Functions Virtualisation (NFV):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2014.12, pp.1-18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440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머신 프로세서의 원격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607A4 (en) 2018-08-29
KR101924746B1 (ko) 2019-02-27
JP6528784B2 (ja) 2019-06-12
US11099869B2 (en) 2021-08-24
US20180011730A1 (en) 2018-01-11
JPWO2016121728A1 (ja) 2017-11-09
CA2975071A1 (en) 2016-08-04
EP3252607A1 (en) 2017-12-06
CN107209709B (zh) 2021-02-05
CN107209709A (zh) 2017-09-26
CA2975071C (en) 2021-03-23
WO2016121728A1 (ja)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746B1 (ko)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의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장치, 시스템, 관리 방법 및 프로그램
CN107209710B (zh) 节点系统、服务器设备、缩放控制方法和程序
US11093296B2 (en) System, virtualization contro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iza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CN106657173B (zh) 一种nfv架构下软件升级中的业务迁移方法、装置及服务器
JP6729400B2 (ja) データファイル登録管理システム、方法、管理装置とプログラム
US10140112B2 (en) Update management system and update management method
CN107526659B (zh) 用于失效备援的方法和设备
EP3125122B1 (en) Virtualized resource management node and virtual machine migration method
WO2016121834A1 (ja) ネットワーク機能仮想化管理方法とシステムと装置とプログラム
CN106664216B (zh) 一种切换vnf的方法和装置
EP3252600A1 (en) Virtual network function management device, system, healing method, and program
CN111698112B (zh) 一种容器化虚拟网络功能vnf的资源管理方法及装置
EP3206335B1 (en) Virtual network function instance mig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80004563A1 (en) Orchestrator apparatus, system, virtual machine cre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360015B (zh) 切换共享存储的方法和设备
JPWO201611730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