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206A -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206A
KR20170107206A KR1020160030833A KR20160030833A KR20170107206A KR 20170107206 A KR20170107206 A KR 20170107206A KR 1020160030833 A KR1020160030833 A KR 1020160030833A KR 20160030833 A KR20160030833 A KR 20160030833A KR 20170107206 A KR20170107206 A KR 2017010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tate
capacitance
road surfac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오시스
Priority to KR102016003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206A/ko
Publication of KR2017010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9/0079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5B33/0842
    • H05B37/02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노면의 상태를 파악하고,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표면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안개나 빗물, 결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ROAD STUD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ROAD}
본 발명은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노면의 상태를 파악하고,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로표지병은 도로의 표면에 매립 설치되어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차선이나 위험구간, 노면상태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는 내부에 설치된 발광수단과 전원공급수단을 이용하여 야간이나 흐린날에 빛을 비춰서 차선을 뚜렷하게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향성이 있는 조명을 발산하여 자동차의 안전한 진행방향을 표시해주기도 하며, 통신수단을 구비하여 원격지의 정보센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도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시스템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도로표지병과 교통정보시스템과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종래기술의 도로표지병(100)은 매설되었을 때 노면으로 헤드부가 노출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발광수단으로서 발광다이오드(11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로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0)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30)를 구비한다.
또한 중심부에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도로에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전기를 축전하는 자가발전기(150)가 내장된다.
그리고 자가발전기(150), 발광다이오드(110), 온/습도 센서(120, 130) 및 내장된 송/수신안테나(141)를 제어통제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142), 송/수신회로(143) 및 신호전처리부(144)로 구성된 제어박스(140)로 구성되어 있다.
온도센서(120) 및 습도센서(130)는 도로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도로(610)가 눈 또는 비로 인해 노면 상태가 미끄러울 경우에 발광다이오드(110)를 발광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한편, 지능형교통시스템(ITS :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을 운용함에 있어서, 각 도로에 매설된 도로표지병(100)은 송/수신 안테나(141)에 의하여 도로표지병 간의 통신, 도로표지병(100)과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가 장착된 자동차(620), 그리고 도로표지병(100)과 중계장치(630)와 통신에 의하여 교통을 모니터링 할 수가 있다.
측정된 데이터는 교통정보시스템(640)에서 처리하여 각 도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하여 교통정체, 기상상태 또는 기상정보 등을 자동차(620)에 장착된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인터넷(650)에 연결된 유선인터넷 사용자(660) 또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670)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런 시스템에 사용되는 도로표지병(100)은 온도센서(120)와 습도센서(130)를 사용하여 노면의 개략적인 상태는 파악할 수 있지만, 상세한 상태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습도가 높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안개가 낀 상태와 빗물이 고인 상태, 얼음이 언 상태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노면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5-0106900 A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 표면에 매립되는 도로표지병의 내부에 정전용량센서를 구비하고, 노면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노면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노면의 상태를 파악하여 교통정보시스템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자동차가 진행하는 방향에 있는 다른 도로표지병에 노면의 상태에 맞는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을 미리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도로 표면의 상태를 확인하는 도로표지병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도로(610)에 형성된 장착홈(61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02)와;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PCB(206)와;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체(208)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센서(210)와; 제어부(218)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여 상기 몸체(202)의 바깥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212)와; 지그비 방식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각각 송수신하는 지그비모듈(224) 및 블루투스모듈(226)과; 상기 정전용량센서(210)와 상기 LED(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6);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210)는 상기 전원공급부(216)의 양극(+)과 음극(-)이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02)의 윗면의 상태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정전용량센서(210)가 생성한 정전용량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습기"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2기준값을 초과하고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젖음"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3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빙"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비모듈(224) 및 블루투스모듈(226)은 상기 제어부(218)가 결정한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중계장치(630)에 전송하며, 상기 중계장치(630)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시스템(64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깔의 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LED(2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주기에 따라 점멸하도록 상기 LED(2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지그비모듈(224) 또는 상기 블루투스모듈(226)을 제어하여 다른 도로표지병(200)에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표면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안개나 빗물, 결빙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시스템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도로표지병과 교통정보시스템과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설치상태와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로표지병을 노면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로표지병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정전용량센서와 LED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로표지병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도로표지병을 이용하여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이하, '도로표지병'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설치상태와 연결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도로표지병을 노면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로표지병(200)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도로(610)의 표면에 매립 설치된다. 통상적으로는 노면에 그려진 차선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과속방지턱이나 중앙분리대, 인도경계석 등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로(610)의 표면에 형성된 장착홈(611)에 도로표지병(200)을 삽입하고, 도로표지병(200)의 윗면이 노면과 거의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로표지병(200)이 장착홈(61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장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로표지병(200)은 도로(610) 주변에 설치된 중계장치(630)를 통해 교통정보시스템(640)과 연결된다. 도로표지병(200)은 분석한 노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시스템(640)으로 전달한다. 교통정보시스템(640)은 수집된 도로 정보를 도로(610) 주변에 설치된 정보표시장치(680)에 전달하여 영상이나 문자로 표시한다. 또한 도로(610) 위를 운행하는 자동차(620)의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자동차(620)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단말기나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하여 운전자가 자동차(620) 내부에서 직접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로표지병(200)은 교통정보시스템(640)을 통하지 않고 정보표시장치(680)에 직접 노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정보표시장치(680)는 안개가 자주 끼거나 결빙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설치되는데, 주변 위험지역에 설치된 도로표지병(200)으로부터 직접 정보를 받아서 신속하게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로표지병(200)의 구조와 동작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로표지병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정전용량센서와 LED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로표지병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로표지병(200)은 상하로 긴 원통형의 몸체(202)를 가지며, 몸체(202)의 하부에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충격흡수재(204)가 부착된다. 몸체(202)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자동차(620)의 무게와 충격을 견디고, 온도 변화에 따른 형상이나 크기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재질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격흡수재(204)는 탄성이 있거나 충격과 무게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위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폰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2)와 충격흡수재(204)는 외부에서 침투하는 물이나 습기를 막을 수 있도록 방수 구조가 적용될 필요가 있다.
몸체(202)와 충격흡수재(204)의 형상과 크기는 도로(610)의 사정과 장착홈(611)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몸체(202)의 내부에는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202) 내부에는 PCB(206)가 설치된다. PCB(206)에는 구성요소의 동작과 신호변환을 담당하는 제어부(2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무선통신부가 설치된다.
몸체(202) 내부의 최상단에는 판 형태의 절연체(208)가 설치되고, 절연체(208)의 위쪽 표면에는 정전용량센서(210)가 설치된다. 정전용량센서(210)는 두 개의 전극을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게 절연체(208)의 표면에 인쇄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통상적으로 구리 재질로 만들어지는 두 개의 전극은 전기적으로 서로 차단되어있지만, 이격된 공간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로 인해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갖게 된다. 좌우의 두 개의 전극에 각각 양극(+)과 음극(-)의 전원을 연결함으로써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정전용량센서(210)의 위쪽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커버를 덮어서 정전용량센서(210)를 보호한다.
절연체(208)의 위쪽 표면에는 LED(212)가 설치된다. LED(212)는 제어부(218)의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하며, 백색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깔의 빛을 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LED(212)에서 발생한 빛은 운전자에게 도달하여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PCB(206)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부(지그비모듈(224), 블루투스모듈(226))가 설치된다. 그리고 PCB(206)에 설치된 안테나(214)는 몸체(202)의 위쪽 표면으로 연장되어 무선통신신호를 중계장치(630)로 전송한다. 지그비모듈(224)과 블루투스모듈(226)은 각각 지그비 방식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PCB(206)에는 조도센서(220)와 온도센서(222)가 추가로 설치된다.
조도센서(220)와 온도센서(222)는 각각 외부의 밝기와 온도를 측정하여 노면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정전용량센서(210)가 측정한 값을 통해 노면이 얼어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온도센서(222)로부터 측정된 온도가 상당히 높다면, 얼음이 아닌 다른 이유에 의해서 정전용량이 변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노면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위해서 다양한 정보를 사용한다.
전원공급부(216)는 도로표지병(2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16)의 양극(+)과 음극(-)은 정전용량센서(210)의 두 개의 전극에 각각 연결되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함으로써 노면의 상태를 파악한다.
도 8은 도로표지병을 이용하여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상세한 동작 내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로(610)의 표면에 형성된 장착홈(611)에 도로표지병(200)을 설치한다.(S102)
도로표지병(200)의 제어부(218)는 전원공급부(216)에 저장된 직류전원을 정전용량센서(210)에 공급하면서 정전용량을 측정한다.(S104) 측정되는 정전용량은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된다. 정전용량센서(210)는 도로표지병(200)의 제일 윗부분에 설치되며, 가장 외측의 폴리카보네이트 커버와 근접하기 때문에 도로표지병(200)의 외부 윗면의 상태에 따라서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즉, 도로표지병(200) 표면의 수분상태에 따라서 유전율이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전용량이 변한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에 습도가 가장 낮아서 건조한 제1상태, 안개 등으로 인해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상태, 비로 인해 표면이 젖어있는 제3상태, 저온으로 인해 표면에 얼음이 얼어있는 제4상태를 구분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노면이 건조한 상태에서는 정전용량이 작아지게 되는데, 정전용량센서(210)가 측정한 정전용량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 상태로 결정하고, 제어부(218)는 내외부 수단을 이용하여 "건조" 상태를 표시한다.(S106, S108)
안개가 끼거나 습도가 높아져서 정전용량이 커지면 정전용량 측정값도 함께 커진다. 측정값이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218)가 노면의 상태를 "습기" 상태로 표시한다.(S110, S112)
비가 와서 물이 도로표지병(200)의 표면에 고인 경우에는 정전용량이 더 커지는데, 측정값이 제2기준값을 초과하고,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218)는 "젖음" 상태로 표시한다.(S114, S116)
그리고 도로표지병(200) 표면의 물이 저온으로 인해 얼어있는 경우에는 "결빙" 상태로 표시한다.(S118) "결빙" 상태는 정전용량 측정값이 제3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한다.
제어부(218)는 노면의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깔의 빛이 발산되도록 LED(21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건조" 상태인 경우에는 LED(212)를 끄거나 제1색깔로 발광되도록 하고, "습기", "젖음", "결빙" 상태에 따라서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이 발광되도록 한다.
제어부(218)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LED(212)의 발광주기를 다르게 조절하여 경고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조한 상태에서는 LED(212)가 계속해서 켜져있도록 하고, 빗물이 고인 상태에서는 긴 주기로 점멸되도록 하고, 결빙된 상태에서는 짧은 주기로 점멸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어부(218)는 정전용량센서(210) 외에도 조도센서(220)와 온도센서(222)가 각각 측정한 조도와 온도를 참조하여 정확한 노면의 상태를 파악한다.
제어부(218)는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통신부의 지그비모듈(224) 또는 블루투스모듈(226)을 통해 교통정보시스템(640)에 전송한다.(S120)
교통정보시스템(640)은 도로(610) 주변에 설치된 정보표시장치(680)에 노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도로(610)를 지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자동차(620)의 운전자에게 노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미리 표시해준다.
또한 주변에 있는 다른 도로표지병(200)에게 지그비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LED(212)의 발광이나 기타 방법으로 노면 상태를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122)
본 발명에서는 노면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정전용량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노면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이 미리 정해진 특정 값일 수도 있지만, 최초에 정해진 측정값에서 일정한 비율만큼 변했을 때를 기준으로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로표지병(200)의 크기와 모양, 정전용량센서(210)의 구조와 전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제1기준값 내지 제3기준값을 각각 1㎊, 2㎊, 3㎊으로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용량 측정값이 1㎊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 1㎊ 보다 크고 2㎊ 보다 작은 경우에는 "습기", 2㎊ 보다 크고 3㎊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젖음", 3㎊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결빙" 상태로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기준값을 1㎊으로 정하고, 정전용량 측정값이 제1기준값에 비해 10% 이하로 변한 경우에는 "건조", 10% 초과 및 20% 미만으로 변한 경우에는 "습기", 20% 초과 및 30% 미만으로 변한 경우에는 "젖음", 30% 이상 변한 경우에는 "결빙" 등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을 사용하든 각각의 기준값을 경계로 하여 해당되는 구간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교통정보시스템(640)은 노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 구간의 도로(610)를 지나는 자동차(620)에 정보를 전송하여 운전자가 자동차(620)의 내부에서 도로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나 블랙박스,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에 정보를 전달하고, 영상이나 음성 등으로 운전자가 직접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도로표지병 202 : 몸체
204 : 충격흡수재 206 : PCB
208 : 절연체 210 : 정전용량센서
212 : LED 214 : 안테나
216 : 전원공급부 218 : 제어부
220 : 조도센서 222 : 온도센서
224 : 지그비모듈 226 : 블루투스모듈

Claims (6)

  1.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도로 표면의 상태를 확인하는 도로표지병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도로(610)에 형성된 장착홈(611)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몸체(202)와;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PCB(206)와;
    상기 몸체(202)의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체(208)의 표면에 설치되어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정전용량센서(210)와;
    제어부(218)의 제어에 따라 발광하여 상기 몸체(202)의 바깥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212)와;
    지그비 방식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각각 송수신하는 지그비모듈(224) 및 블루투스모듈(226)과;
    상기 정전용량센서(210)와 상기 LED(21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6);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용량센서(210)는 상기 전원공급부(216)의 양극(+)과 음극(-)이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02)의 윗면의 상태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정전용량센서(210)가 생성한 정전용량 측정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정전용량 측정값이
    제1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1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습기"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2기준값을 초과하고 제3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젖음"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고,
    제3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빙" 상태로 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비모듈(224) 및 블루투스모듈(226)은 상기 제어부(218)가 결정한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중계장치(630)에 전송하며, 상기 중계장치(630)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시스템(64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깔의 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LED(2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주기에 따라 점멸하도록 상기 LED(21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지그비모듈(224) 또는 상기 블루투스모듈(226)을 제어하여 다른 도로표지병(200)에 상기 도로 표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KR1020160030833A 2016-03-15 2016-03-15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KR20170107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33A KR20170107206A (ko) 2016-03-15 2016-03-15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33A KR20170107206A (ko) 2016-03-15 2016-03-15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206A true KR20170107206A (ko) 2017-09-25

Family

ID=600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33A KR20170107206A (ko) 2016-03-15 2016-03-15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2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6587A (zh) * 2018-11-15 2019-03-01 中电共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埋入式道路结冰传感器
CN110514702A (zh) * 2019-08-08 2019-11-29 中电共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道路路面状态监测装置、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20200026573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붕괴된 터널 내에서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17966B1 (ko) * 2019-11-15 2020-06-02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노면의 액체 및 온도 감지기능을 갖는 염수살포시스템
KR102289918B1 (ko) * 2020-03-27 2021-08-13 김형근 차선표시 및 블랙아이스 방지장치
KR20220115384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나루테크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KR20240062725A (ko) *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리트코 도로 노면의 결빙(블랙아이스/살얼음/동결)이나 강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초절전 스노우멜팅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73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붕괴된 터널 내에서 자동차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406587A (zh) * 2018-11-15 2019-03-01 中电共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埋入式道路结冰传感器
CN109406587B (zh) * 2018-11-15 2024-07-05 中电共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埋入式道路结冰传感器
CN110514702A (zh) * 2019-08-08 2019-11-29 中电共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道路路面状态监测装置、预警系统及预警方法
KR102117966B1 (ko) * 2019-11-15 2020-06-02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노면의 액체 및 온도 감지기능을 갖는 염수살포시스템
WO2021096080A1 (ko) * 2019-11-15 2021-05-20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 노면의 액체 및 온도 감지기능을 갖는 염수살포시스템
KR102289918B1 (ko) * 2020-03-27 2021-08-13 김형근 차선표시 및 블랙아이스 방지장치
KR20220115384A (ko)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나루테크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KR20240062725A (ko) * 2022-11-02 2024-05-09 주식회사 리트코 도로 노면의 결빙(블랙아이스/살얼음/동결)이나 강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초절전 스노우멜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7206A (ko) 노면상태를 파악하는 도로표지병
KR102027086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제한 속도가 변경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시스템
US20080266138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individual parking positions
KR100909077B1 (ko) 무선통신 및 태양광 led를 이용한 차량정지선 표시 시스템
WO2020123131A1 (en) Road sensor system
CN109029954A (zh) 一种螺丝松动报警装置及系统
KR101621891B1 (ko) 복지 카드를 이용한 승차 알림 서비스 장치, 승차 알림 차량단말 및 이를 이용한 승차 알림 시스템
KR101099390B1 (ko) 엘이디형 교량표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325128B1 (ko) 주변 환경요인에 따라 내용이 변하는 스마트 led 도로표지판 시스템
CN110599802A (zh) 一种人行横道预警实施方法及预警系统
GB2430787A (en) Automatic ice warning road sign
JP6818750B2 (ja) 導電性車線区画線および導電性車線区画線を備える道路
CN210691603U (zh) 一种车辆超速超载的智能研判系统
KR101634368B1 (ko) 신호등 점등 센싱 장치
CN210777188U (zh) 一种无信号控制人行横道预警系统
US10431085B2 (en) Parking space monitoring system
KR20170089680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WO2009010060A1 (en) A light emitting device using a woven fabric, a pole unit, and a system for using such
KR20150025336A (ko) 선박간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KR20160054110A (ko) 송전선로 감시센서
CN207582346U (zh) 一种用于斑马线人行道的道钉指示灯
CN106652538A (zh) 一种智能公交电子站牌控制系统
KR20120009304A (ko) 위치추적 기능을 갖는 골프장용 홀컵의 조명장치 및 조명 제어방법
KR102672740B1 (ko) 교차로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교차로 상의 스마트 교통신호 표출 시스템
KR20170093527A (ko) 안개측정수단을 구비하는 발광형 도로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