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544A - Tlif 케이지 - Google Patents

Tlif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544A
KR20170106544A KR1020160028873A KR20160028873A KR20170106544A KR 20170106544 A KR20170106544 A KR 20170106544A KR 1020160028873 A KR1020160028873 A KR 1020160028873A KR 20160028873 A KR20160028873 A KR 20160028873A KR 20170106544 A KR20170106544 A KR 20170106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ing
cage
body portion
tlif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600B1 (ko
Inventor
양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6002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0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2Intervertebral or spinal disc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61F2/447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substantially parallelepipedal, e.g. having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0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screwing complementary threads machined on the par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0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threaded locking member, e.g. a locking screw or a set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667Features concerning 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or a particular use of the prosthesis
    • A61F2002/3071Identification means; Administration of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LIF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내측에 삽입되는 정렬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내측에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중공부와, 바디부의 일측에 바디부의 두께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부와, 바디부의 타측에 바디부의 단부가 절단된 형상의 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탬핑부는, 바디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탬핑부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제2탬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탬핑부는,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탬핑부는, 상기 슬롯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되며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되어, 제1탬핑부를 통해 1차 회전이, 제2탬핑부를 통해 2차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TLIF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TLIF 케이지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Cage}
본 발명은 TLIF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내측에 삽입되는 정렬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내측에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중공부와, 바디부의 일측에 바디부의 두께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부와, 바디부의 타측에 바디부의 단부가 절단된 형상의 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탬핑부는, 바디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탬핑부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제2탬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탬핑부는,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탬핑부는, 상기 슬롯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되며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되어, 제1탬핑부를 통해 1차 회전이, 제2탬핑부를 통해 2차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TLIF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신체 몸통의 종축을 이루는 것으로, 7개의 목뼈(Cervical Vertebra), 12개의 등뼈(Thoracic Vertebra), 5개의 허리뼈(Lumbar Vertebra), 5개의 엉치뼈(Sacrum), 4개의 꼬리뼈(Coccyx)로 구성되는 척추 뼈와; 추간판이라고도 불리며 척추 뼈와 척추 뼈를 이어주는 원반 형태의 연골 구조물인 척추디스크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척추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에서 몸의 하중과 충격을 흡수시켜 주고,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척추 뼈가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 주고, 척추 신경이 압축 당하지 않도록 두 척추 뼈를 분리시켜 척추 관절공의 범위를 원만히 해주며, 척추 뼈 각각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람의 척추디스크는 보통 섬유륜과 수핵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물풍선 속의 물이 수핵이라면, 상기 섬유륜은 물을 담고 있는 고무풍선에 해당한다.
만일 퇴행성 디스크 질병에 걸리게 되면, 섬유륜의 움직임이나 수핵을 담는 능력이 약해지게 되어, 척추디스크의 수분 함유량은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척추 협착증, 골증식체(Osteophyte) 형성, 디스크 탈출증 및 신경 루트 압박 등의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척추디스크와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손상된 인체의 척추 간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본체 사이의 공간을 케이지(Cage)로 대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사람의 신체에 인공디스크를 이식하는 것으로,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 본체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의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지는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의 높이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두께와 인체 해부학적인 형상(Anatomic Type)을 가지며, 홀이 형성되어 사후에 뼈의 생장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도구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구를 갖는 형태를 가진다.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는 척추체 융합술의 하나로서, 후방으로 접근해서 척추체 간에 케이지를 삽입하는 수술방법이다. 즉, 척추근육 양 옆을 따라 작게 절개를 하고 나사못을 고정할 수 있도록 최소한으로 노출시킨 후, 척추관절부위를 신경공이 나오는 방향으로 제거하면서 케이지를 삽입하는 수술로서, 출혈도 적고 수술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어 최근에는 TLIF가 주로 시술된다.
(특허문헌) 제10-1194219호 (2012.10.18.등록) "TLIF용 인공디스크와 그것의 삽입을 위한 어셈블러"
도 1은 TLIF 수술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TLIF 수술법은 환자의 허리 뒤쪽으로 작은 상처를 낸 후, 척추뼈의 돌기 일부를 제거하고,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여, 제거된 디스크 자리에 케이지(91)를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최소 침습을 이유로, 케이지(91)의 일측면을 수술기구(93)로 잡고 타측면을 선두로 척추 뼈 사이에 삽입시킨 뒤, 척추 뼈 사이에서 케이지(91)를 회전시켜 케이지(91)의 정면이 척추 간의 전측면을 향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된 케이지(91)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수술기구(93)와 결합하는 케이지(91)의 홀더부분을 Tamping 해야 하는데, 상기 Tamping을 하는 과정에서 케이지(91)가 서서히 회전함에 따라 Tamping을 가할 수 있는 부분이 좁아지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술의의 시야도 극도로 제한되면서, 수술의가 계획했던 위치상에 케이지(91)를 정확하게 회전시키며 삽입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 되게 된다. 후측 관절 부위에는 각종 인체조직, 특히 신경이 위치하므로, 이들 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도의 시술능력과 시간이 필요한데, TLIF 수술시간이 길어지면 환자의 출혈량이 증가하여 수술에 대한 위험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TLIF 수술법은 수술의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수술의 성패가 좌우된다는 인식이 관련 업계에서 지배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TLIF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 케이지(91)의 형태를 보완하여 1차 Tamping 이후에 2차 Tamping을 전담하는 부분을 따로 두어 정확한 위치상에 케이지(91)를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디부 상에 제1탬핑부와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TLIF 수술시 척추 뼈 사이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계획했던 정위치를 향해 회전시킬 때 회전력을 받는 부분이 점점 좁아지게 되는 문제를, 케이지 상에 별도의 돌기를 구성하여 케이지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탬핑부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TLIF 케이지와 수술기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케이지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1탬핑부를 구성하여, 케이지와 수술기구가 나사결합을 하여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의가 수술 전 계획했던 1차 위치까지 케이지를 용이하게 삽입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롯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된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수술의가 수술 전 계획했던 1차 위치까지 케이지를 삽입했으면, 케이지의 최종 위치까지는 제2탬핑부를 통해 위치이동을 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탬핑부를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하여, 수술기구로부터 외력을 받는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탬핑부를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하여, 케이지의 제2탬핑부와 수술기구가 접하는 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수술기구로부터 케이지에 외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제2탬핑부와 수술기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고정돌기로 구성하여, 정위치에 안착된 케이지가 계획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형성된 제1관통홀을 구성하여, 중공부에 삽입된 환자의 뼈나 인공 뼈를 통한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융합을 더욱더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 상에 제2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정렬마커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를 위치설정시키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위치 추적을 통해 케이지의 현재위치확인과 목표로 하는 최종 위치상의 안착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내측에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중공부와, 바디부의 일측에 바디부의 두께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부와, 바디부의 타측에 바디부의 단부가 절단된 형상의 탬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탬핑부는, 바디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탬핑부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제2탬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탬핑부는,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탬핑부는, 상기 슬롯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탬핑부는,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상면과 하면이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관통홀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케이지는,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정렬마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바디부 상에 제1탬핑부와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TLIF 수술시 척추 뼈 사이에 케이지를 삽입하여 계획했던 정위치를 향해 회전시킬 때 회전력을 받는 부분이 점점 좁아지게 되는 문제를, 케이지 상에 별도의 돌기를 구성하여 케이지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탬핑부와,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TLIF 케이지와 수술기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케이지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는 제1탬핑부를 구성하여, 케이지와 수술기구가 나사결합을 하여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술의가 수술 전 계획했던 1차 위치까지 케이지를 용이하게 삽입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슬롯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된 제2탬핑부를 구성하여, 수술의가 수술 전 계획했던 1차 위치까지 케이지를 삽입했으면, 케이지의 최종 위치까지는 제2탬핑부를 통해 위치이동을 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2탬핑부를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하여, 수술기구로부터 외력을 받는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2탬핑부를 해당 위치의 바디부 두께만큼 형성하여, 케이지의 제2탬핑부와 수술기구가 접하는 면적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수술기구로부터 케이지에 외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제2탬핑부와 수술기구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고정돌기로 구성하여, 정위치에 안착된 케이지가 계획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형성된 제1관통홀을 구성하여, 중공부에 삽입된 환자의 뼈나 인공 뼈를 통한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의 융합을 더욱더 촉진시키기 위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 상에 제2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2관통홀에 정렬마커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를 위치설정시키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위치 추적을 통해 케이지의 현재위치확인과 목표로 하는 최종 위치상의 안착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TLIF 수술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바디부에 관한 평면도.
도 5는 도 2의 바디부에 관한 좌측면도(a)와 배면도(b).
도 6은 도 2의 바디부에 관한 우측면도.
도 7은 1차 탬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1차 탬핑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2차 탬핑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TLIF 케이지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TLIF 케이지(1)는 바디부(10)와 정렬마커(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는, 전체적으로 디스크의 전측부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하고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도 4는 상기 바디부(10)의 평면도로, 도 4를 참고하면, 본원발명의 TLIF 케이지(1)는 제거되기 전 디스크의 전측부에 위치하는 것인바, 전체적으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면의 곡률은 제거 전 디스크의 전측부 곡면의 곡률과 일치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10)는, 중공부(11), 테이퍼부(13), 탬핑부(15), 고정돌기(17), 관통홀(19)을 포함한다.
상기 중공부(11)는, 바디부(10)의 내측에 바디부(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바디부(10)의 외측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공부(11)는,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1)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중공부(11) 내측에 환자의 뼈나 인공 뼈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줌으로써, TLIF 수술 후, 이웃하는 척추 뼈가 상호 융합(Fusion)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중공부(11)의 크기는 척추 뼈의 융합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그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케이지(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려면 케이지(1)의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후술할 고정돌기(17)의 면적이 커야 하는바, 상기 중공부(11)의 크기는 융합과 고정의 양 관점을 고려하여 소정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바디부에 관한 좌측면도(a)와 배면도(b)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테이퍼부(13)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테이퍼부(13)는,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된 구성으로, 바디부(10)의 두께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부분을 가리킨다. TLIF 수술은 상기 케이지(1)를 환자의 척추 후측으로부터 전측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디스크를 제거한 부분의 공간이 협소하고, 수술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출혈과 체액, 이물질 등으로 케이지(1)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바, 케이지(1)를 척추 뼈 사이에 밀어 넣을 때 케이지(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장 먼저 삽입되는 케이지(1)의 일측에 상기 테이퍼부(13)를 구성하게 된다. 바디부(10)의 두께를 단부로 갈수록 작게 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각도로 상기 바디부(10)의 상면과 하면을 대칭되게 깎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탬핑부(15)는, 일측에 테이퍼부(13)를 형성한 바디부(10)의 타측에 형성된 구성으로, 바디부(10)의 단부가 곡면을 이루지 않고 절단된 직선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 참고). 바디부(10)의 타측이, 테이퍼부(13)가 형성된 바디부(10)의 일측과 같이 곡선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1)를 삽입하기 위한 수술기구(P)로부터 탬핑을 위한 외력을 받을 때, 수술기구(P)와 케이지(1)가 넓은 접촉면적을 형성할 수 없어, 효과적인 힘 전달을 받지 못하게 되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디부(10)의 타측을 곡면이 아닌 직선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바디부에 관한 우측면도로, 도 6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탬핑부(15)는, 제1탬핑부(151)과 제2탬핑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탬핑부(151)는, 바디부(10)의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슬롯(1511)에 원형의 고정홀(1513)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롯(1511)은, 바디부(10)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수술기구(P)가 안정되게 케이지(1)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수술기구(P)에 돌출된 구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 수술기구(P)의 돌출된 구성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513)은, 상기 슬롯(1511)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원발명의 케이지(1)는 수술기구(P)와 나사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술기구(P)의 나사산이 상기 고정홀(1513)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홀(1513)은 수술기구(P)의 나사산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탬핑부(153)는, 바디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도 4 참고), 상기 슬롯(1511)이 끝나는 후측단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탬핑부(153)는 케이지(1)를 수술 전 계획했던 위치상에 정위치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탬핑부(151)가 1차적 탬핑을 위한 것이었다면, 상기 제2탬핑부(153)는 1차 탬핑이 끝난 이후에 2차 탬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웃하는 척추 뼈 사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2차 탬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2탬핑부(153)는 해당 위치에서 넓은 면적에 거쳐 형성됨이 바람직한바, 상기 제2탬핑부(153)가 형성되는 해당 위치의 바디부(10) 두께만큼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탬핑부(153)는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크기 및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상기 제2탬핑부(153)는 돌출된 돌기의 돌출방향이 후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탬핑부(153)는 1차 탬핑 이후에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1)를 정위치에 놓기 위해 추가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인바, TLIF 수술이 환자의 허리 뒤쪽으로 작은 절개를 통해 이루어지는 점에서, 돌출된 돌기의 돌출방향이 후측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측의 의미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이는 돌출된 돌기의 돌출방향이 전측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광의의 의미이며, 정후측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돌기(17)는, 상기 테이퍼부(13)의 상면과 하면을 제외한, 바디부(10)의 상면과 하면 상에, 다양한 구성패턴으로 복수 개가 돌출형성되어, 바디부(10)의 상면과 하면의 마찰계수를 높이는 구성을 말한다. TLIF 케이지(1)는 수술 전 계획했던 정위치 상에 삽입되었어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척추 뼈 사이가 융합되기 전에 정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기에,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바디부(10)의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강한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17)로 바디부(10)의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돌기(17)의 구성패턴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인 케이지(1)가 위치설정이 되면,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9)은, 바디부(1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홀(Hole)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제1관통홀(191)과 제2관통홀(19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관통홀(191)은, 상기 중공부(11)와 연통되어 상기 중공부(11)에 삽입된 환자의 뼈나 인공 뼈를 통해 척추 뼈 사이의 융합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홀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홀(191)의 일단은 상기 중공부(11)와 연결이 되고 상기 제1관통홀(191)의 타단은 상기 바디부(10)의 외측을 향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중공부(11)를 중심으로 전측에 두 개의 제1관통홀(19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부(11)를 중심으로 후측에 한 개의 제1관통홀(191)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제1관통홀(191)을 이러한 배치 및 형태 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르게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상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관통홀(193)은, 후술할 정렬마커(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정렬마커(30)의 외측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홀을 바디부(10) 내측에 구성한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바디부(10)의 좌측, 전측, 우측에 각각 수직한 원기둥 형상으로 바디부(10)의 상면에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배치 및 형태 등으로 상기 제2관통홀(193)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인 케이지(1)를 위치설정할 때 그 위치좌표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상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그 형태는 후술할 정렬마커(30)의 형태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정렬마커(30)는, 상기 제2관통홀(192)의 내측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외측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제2관통홀(192)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렬마커(30)의 위치를 확인해 가며 수술시 케이지(1)가 정위치 상에 안착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정렬마커(30)에 관하여 이를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라 하겠다.
도 7 내지 도 9는 1차 탬핑과정과 2차 탬핑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1)를 사용한 1차 탬핑과정과 2차 탬핑과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의 (a)를 참고하면, TLIF 수술은 환자의 허리 뒤쪽에 작은 절개를 하고 절개된 부위를 통해 수술기구를 삽입하며 진행되는데, 수술공간의 확보차원에서 척추뼈의 상관절돌기 또는 하관절돌기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문제가 되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인 TLIF 케이지(1)를 제1수술기구(P)에 삽입하여 1차 탬핑을 하며 계획된 위치까지 TLIF 케이지(1)를 밀어 넣게 된다.
도 8의 (a)는 상기 제1수술기구(P)로 더 이상 본원발명의 TLIF 케이지(1)에 충분한 외력을 가할 수 없게 된 상황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이러한 상황을 수술의가 보는 방향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와 (b)를 참고하면 상기 제1수술기구(P)를 사용하여서는 제1탬핑부(151)에 추가적인 회전력을 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TLIF 케이지(1)는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인 제2탬핑부(153)를 마련하였는바, 수술의가 상기 제2탬핑부(153)를 통해 2차 탬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의 (a)와 (b)는 제2수술기구(P')를 통해 제2탬핑부(153)에 외력을 가하여 본원발명의 TLIF 케이지(1)가 수술 전 계획했던 정위치상에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로, 1차 탬핑과 2차 탬핑을 통해 TLIF 케이지(1)가 척추뼈 사이 공간의 전측부에 안착되면, 중공부(11)에 삽입된 환자의 뼈 또는 인공 뼈가 척추 뼈 사이의 융합(Fusion)을 촉진하여, 빠른 시일내에 TLIF 케이지(1)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척추 뼈를 융합하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TLIF 케이지 10: 바디부
11: 중공부 13: 테이퍼부
15: 탬핑부 17: 고정돌기
19: 관통홀 30: 정렬마커

Claims (10)

  1. 척추뼈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탬핑을 위하여 수술기구와 결합되는 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탬핑부는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술기구와 결합되어 1차 탬핑을 가능하게 하는 1차 탬핑부와, 상기 1차 탬핑부의 후측단에 연장형성되어 수술기구와 결합되어 2차 탬핑을 가능하게 하는 2차 탬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탬핑부는, 후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돌기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대략 바디부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탬핑부는, 바디부의 측단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한 슬롯과, 상기 슬롯 상에 위치하여 내측에 스크류를 형성한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바디부의 내측에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인 중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측의 두께가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면과 하면이 고정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복수 개의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1관통홀과,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된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정렬마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LIF 케이지.
KR1020160028873A 2016-03-10 2016-03-10 Tlif 케이지 KR10181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873A KR101817600B1 (ko) 2016-03-10 2016-03-10 Tlif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873A KR101817600B1 (ko) 2016-03-10 2016-03-10 Tlif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544A true KR20170106544A (ko) 2017-09-21
KR101817600B1 KR101817600B1 (ko) 2018-01-11

Family

ID=6003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873A KR101817600B1 (ko) 2016-03-10 2016-03-10 Tlif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5564A (zh) * 2017-10-20 2018-01-26 常州华森医疗器械有限公司 腰椎椎间融合器
CN108210031A (zh) * 2018-03-08 2018-06-29 上海济好医院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椎间孔定量填塞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1414A (ko) * 2022-01-18 2023-07-25 (주)스파인닥터스 척추간 삽입체
KR20230111419A (ko) * 2022-01-18 2023-07-25 (주)스파인닥터스 척추간 삽입체를 이식하기 위한 의료기구 세트
WO2023243741A1 (ko) *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엔도비전 척추수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315B2 (ja) * 2002-08-20 2008-10-15 昭和医科工業株式会社 椎間スペーサー
KR101194219B1 (ko) * 2012-04-09 2012-10-29 (주)비엠코리아 Tlif용 인공디스크와 그것의 삽입을 위한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5564A (zh) * 2017-10-20 2018-01-26 常州华森医疗器械有限公司 腰椎椎间融合器
CN108210031A (zh) * 2018-03-08 2018-06-29 上海济好医院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椎间孔定量填塞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600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00B1 (ko) Tlif 케이지
US20230181332A1 (en) Expandable and angularly adjustable intervertebral cages with articulating joint
US9005294B2 (en) Artificial disk for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and insertion assembly thereof
US10105233B2 (en) Anterior prosthetic spinal disc replacement
US5861041A (en) Intervertebral disk prosthesi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76082B2 (en) Artificial spinal discs and associated implantation and revision methods
JP7193241B2 (ja) 脊椎移植システム
US6726720B2 (en) Modular disc prosthesis
US6579318B2 (en) Intervertebral spacer
US8192492B2 (en) Spinal implant
KR101839299B1 (ko) 다공성 구조의 척추 케이지
US20120029639A1 (en) Interbody spinal implants and insertion techniques
JP2003501142A (ja) 椎間板用人工移植部材
US20070233118A1 (en) Cervical fu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O1998044877A9 (en) Intervertebral disk prosthesi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60069441A1 (en) Posterior approach implant method for assembly of multi-piece artificial spinal disk replacement device in situ
JP2008539013A (ja) 背骨インプラント
JP2002508679A (ja) 並進及び回転動作を許容する人工の椎間関節
WO2004028350A3 (en) Spinal plate with means to secure a graft
US20100063592A1 (en) Interlocking multi-piece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for implanting same
US20110190889A1 (en) Lordotic interbody device with different sizes rails
MX2007003382A (es) Protesis para formar un puente en un cuerpo vertebral.
US11969350B2 (en) Spinal implant with surface projections
KR20230172832A (ko) 임플란트 케이지와 홀더의 결합력을 높인 tlif용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009937B1 (ko) 척추간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