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80A -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280A
KR20170106280A KR1020170116843A KR20170116843A KR20170106280A KR 20170106280 A KR20170106280 A KR 20170106280A KR 1020170116843 A KR1020170116843 A KR 1020170116843A KR 20170116843 A KR20170116843 A KR 20170116843A KR 20170106280 A KR20170106280 A KR 20170106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unit
supply unit
supply
inle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크레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템 filed Critical (주)크레템
Priority to KR102017011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6280A/ko
Publication of KR2017010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8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vibrato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4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vibrato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77/00Weighing scales
    • Y10S177/11Vib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는, 약제 포장지로 약제를 공급시키는 것으로서,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공급유닛, 공급유닛을 경사지게 탄력 지지하는 지지유닛, 공급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 및, 공급유닛을 경유하는 약제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의 공급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약제 공급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FEEDER FOR MEDICINE WRAPPING}
본 발명은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낱개로 분리되어 유입된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공급시키는 공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증상의 병환에 따라 처방된 처방전에 대응하여 약제를 자동으로 배출하여 1회분씩 소분하여 포장하는 약제포장장치가 근래에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포장장치는 복수의 약제들 중에서 약제를 낱개로 분리하여 포장해야만 한다.
상기 약제포장장치는 복수의 약제가 수용되어 저장된 저장통으로부터 낱개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약제를 약제 포장지로 안내하는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저장통으로부터 낱개로 순차적으로 배출된 약제가 공급장치를 통해 공급됨에 있어서, 시차를 두고 저장통으로부터 공급된 약제가 중첩되어 약제 포장지로 동시에 공급되거나 공급장치 내에서 정체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상기 약제가 공급장치를 거치는 약제의 공급 불량이 야기되는 것이다.
-. 국내등록특허 제10-0966621호(출원인: (주)크레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간격으로 약제를 분류하여 공급함으로써 약제 공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는, 약제 포장지로 약제를 공급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공급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경유하는 상기 약제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공급유닛은 단면이 "U"자형이며, 상기 약제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경사진 관 형상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의 입측이 출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공급유닛을 지지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의 입측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에 설치된 진동자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약제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의 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닛으로 유입되는 상기 약제를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약제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의 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를 감지하는 제2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센서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상기 공급유닛을 경유하는 상기 약제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약제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셔터가 상기 약제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의 출측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약제를 진동을 이용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약제 공급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공급유닛을 탄력 지지함으로써, 약제 중량에 상관없이 공급유닛에 유입되는 약제의 유입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공급유닛을 경유하는 약제를 감지함으로써, 약제가 공급되지 않고 정체되는 것과 같은 공급 불량을 감지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1)는 약제 포장지(P)로 약제(M)를 공급시키는 것으로써, 공급유닛(10), 지지유닛(20), 진동유닛(30) 및 감지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10)은 약제(M)가 공급되는 공급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유닛(10)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측은 약제(M)가 저장된 저장수단(미도시)과 연결되고 출측은 약제 포장지(P)와 연결되어, 저장수단(미도시)로부터 배출된 약제(M)를 약제 포장지(P)로 공급한다.
이때, 상기 공급유닛(10)의 입측에는 약제(M)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마련되며, 출측에는 개폐 가능한 셔터(12)가 설치된다. 상기 셔터(12)는 약제 포장지(P)로 배출되는 약제(M)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킨다. 즉, 상기 약제(M)의 공급 불량 또는 약제 포장지(P)의 대기 불량 등과 같은 다양한 불량 요인이 있을 경우, 공급유닛(10)의 출측을 폐쇄하도록 셔터(12)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셔터(12)는 셔터 구동부(13)에 의해 별도로 구동된다.
상기 공급유닛(1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상 즉, 단면이 "U"자형으로 연장된 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공급유닛(10)의 "U"자형 단면 형상으로 인해, 약제(M)가 마찰 발생이 저감된 상태로 공급유닛(10)을 통과할 수 있어 약제(M)의 파손이 방지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급유닛(10)이 약제(M)를 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직선방향으로 연장된 관 형상인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공급유닛(10)이 "ㄱ"자형과 같이 약제(M)의 공급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는 관 형상을 가지는 것과 같이, 약제(M) 공급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유닛(20)은 공급유닛(10)을 경사지게 탄력 지지한다. 상기 지지유닛(20)은 약제(M)가 공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공급유닛(10)의 입측이 출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공급유닛(10)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유닛(2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공급유닛(10)의 입측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여, 지지유닛(20)의 입측을 탄력 지지한다. 이러한 스프링 힌지를 포함한 지지유닛(20)으로 인해, 공급유닛(10)의 입측에 중량이 무거운 약제(M)가 공급되더라도 약제(M)의 유입을 탄력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유닛(30)은 공급유닛(10)을 진동시킨다. 이러한 진동유닛(30)은 공급유닛(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여, 공급유닛(10)에 진동을 전달한다. 상기 진동유닛(30)은 공급유닛(10)을 진동시킴으로써, 공급유닛(10)의 입측에서 출측을 향해 약제(M)가 정체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진동유닛(30) 및 지지유닛(20)이 모두 공급유닛(10)의 입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유닛의 스프링 힌지가 공급유닛(10)의 입측을 탄력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진동유닛(30)의 진동에 따라서 공급유닛(10)은 입(入)측으로부터 출(出)측으로 그 변형량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20)이 상기 약제가 공급되는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유닛의 입측이 출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공급유닛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서 공급유닛(10)의 입측으로 유입된 약제(M)가 서로 적층되어 있더라도, 그 진동폭이 커짐에 따라서 공급유닛의 출측으로 가면서 엉클어짐이 풀어져서 점점 순서대로 하나씩 나란히 이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간편하게 약제들을 일렬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유닛(40)은 공급유닛(10)을 경유하는 약제(M)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유닛(40)은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센서(41)(42)(43)를 포함하여, 공급유닛(10)내에서 약제(M)를 감지한다.
상기 제1센서(41)는 약제(M)의 공급방향(S)을 기준으로 공급유닛(10)의 입측에 설치되어, 공급유닛(10)으로 유입되는 약제를 감지한다. 상기 제2센서(42)는 약제(M)의 공급방향(S)을 기준으로 공급유닛(10)의 출측에 설치되어, 공급유닛(10)으로부터 배출되는 약제(M)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3센서(43)는 제1 및 제2센서(41)(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공급유닛(10)을 경유하는 약제(M)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41)(42)(43)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공급유닛(10)의 출측에 설치된 셔터(12)가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41)(4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 중에서 공급유닛(10)을 경유하는 약제(M)의 공급 불량이 감지되면 셔터(12)가 공급유닛(10)의 출측을 차단시킨다.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41)(42)(43)는 각각 단일개로 공급유닛(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41)(42)(43)가 공급유닛(10)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거나 복수개 설치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가변 가능함은 당연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3센서(43)는 공급방향(S)에 대해 나란하게 복수개 설치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1)의 약제(M) 공급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20)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공급유닛(10)의 입측으로 약제(M)가 유입되면, 감지유닛(40)의 제1센서(41)가 약제(M)의 유입을 감지한다. 상기 공급유닛(10)으로 유입된 약제(M)는 공급유닛(10)의 경사진 각도와 진동유닛(30)의 진동에 의해 공급방향(S)으로 이동하여 제3센서(43)를 경유한 후 공급유닛(10)의 출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공급유닛(10)의 출측으로 이동된 약제(M)는 개방된 셔터(12)에 의해 공급유닛(10)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공급유닛(10)의 출측에 설치된 제3센서(43)가 배출되는 약제(M)를 감지함으로써 약제(M)의 공급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M: 약제
P: 약제 포장지 S: 공급방향
10: 공급유닛 11: 유입구
12: 셔터 20: 지지유닛
30: 진동유닛 40: 감지유닛
41: 제1센서 42: 제2센서
43: 제3센서

Claims (1)

  1. 약제 포장지로 약제를 공급시키는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공급하는 입(入)측 및 상기 약제가 배출되는 출(出)측을 가지고, 입측과 출측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입측보다 출측이 낮도록 배치된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 입측을 탄력 지지하는 지지유닛;
    상기 공급유닛을 진동시키는 진동유닛; 및
    상기 공급유닛을 경유하는 상기 약제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유닛의 입측이 진동하여 상기 약제를 이동시키며, 상기 입측은 상기 지지유닛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출측은 고정없이 자유롭게 배치되어서, 상기 입측이 진동하면 상기 입측에서 출측으로 진동이 점점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KR1020170116843A 2017-09-12 2017-09-12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KR20170106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43A KR20170106280A (ko) 2017-09-12 2017-09-12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843A KR20170106280A (ko) 2017-09-12 2017-09-12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759A Division KR20160072723A (ko) 2014-12-15 2014-12-15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80A true KR20170106280A (ko) 2017-09-20

Family

ID=6003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843A KR20170106280A (ko) 2017-09-12 2017-09-12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2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432A (ko) *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432A (ko) * 2021-11-30 2023-06-07 (주)크레템 정제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2723A (ko)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JP4372678B2 (ja) 製品、特に化学薬品を容器に詰めるための装置
US9731909B2 (en) Medicine package inspection apparatus
CA2662338A1 (en)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ackaging medicine
JP4544929B2 (ja) 薬剤供給装置
KR20120038676A (ko) 약제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그리고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70106280A (ko) 약제 포장용 공급장치
KR101333495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KR20160072724A (ko) 약제 포장용 카세트
JP6415747B2 (ja) 薬剤包装ユニット及びその薬剤移送方法
KR100996580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JP5224167B2 (ja) 薬剤払出装置、並びに、薬剤払出システム
CN103848284B (zh) 筒管收容装置以及自动络纱机
EP3750521B1 (en) Medication auditing support system
KR20170105473A (ko) 약제 포장용 카세트
KR20130114019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약제 배출장치를 이용한 약제 배출방법
JP7301988B2 (ja) 搬送機、及び薬剤監査支援システム
KR102051801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101862544B1 (ko)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 약제 자동 포장기
KR20150051038A (ko) 약제 포장장치의 약포 배출모듈
KR100996579B1 (ko) 이형 약제 배출장치 및 상기 이형 약제 배출장치를 갖는약제 자동 포장기
KR20140100779A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조제방법
KR101543442B1 (ko) 포장정제 디스펜싱 장치
KR20150030148A (ko) 약포 검사장치
JP2023053940A (ja) 分包薬剤の鑑査装置、鑑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鑑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