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869A -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869A
KR20170105869A KR1020160029081A KR20160029081A KR20170105869A KR 20170105869 A KR20170105869 A KR 20170105869A KR 1020160029081 A KR1020160029081 A KR 1020160029081A KR 20160029081 A KR20160029081 A KR 20160029081A KR 20170105869 A KR20170105869 A KR 20170105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subject
integrated
balance sheet
accou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구
Original Assignee
이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구 filed Critical 이덕구
Priority to KR102016002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869A/ko
Priority to US15/074,072 priority patent/US20160275626A1/en
Priority to CN201780015890.5A priority patent/CN108713210A/zh
Priority to PCT/KR2017/002646 priority patent/WO2017155360A1/ko
Priority to EP17763620.6A priority patent/EP3428862A1/en
Publication of KR20170105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통합시산표를 제시하는 단계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각 요소에 해당하는 계정과목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함 ―,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을 선택하는 계정과목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회계규칙 테이블에 기초하여,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한 거래유형들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회계규칙 테이블은 계정과목에 따라 가능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른 고정기입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시된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거래유형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회계규칙 테이블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테이블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거래내역 테이블은 차변 및 대변을 포함하고, 차변 및 대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회계규칙 테이블에 따라 결정된 고정기입내용이 미리 입력되어 표시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PROCESS USING INTEGRATED TRIAL BALANCE}
본 발명은 회계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및 회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회계는 15세기 루카 파치올리에 의해 정리되어 기업의 발달에 큰 역할을 해왔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발달로 인해 컴퓨터화된 회계시스템들이 대중화되어 왔다. 그러나, 컴퓨터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회계프로그램들은 단순히 전통적인 회계원장의 페이지들을 모방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종래 회계프로그램들은 종이에 기록하던 것을 컴퓨터를 통해 입력하게 할 뿐이고, 거래내역과 같은 여러 데이터의 입력을 대부분 사용자에게 맡겨두었다. 따라서, 종래 회계프로그램들을 사용하더라도 전문적인 회계지식이 없는 사용자의 장부기록은 회계규칙에 맞지 않는 오류를 빈번하게 발생시킨다. 따라서, 회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없이는 종래 회계프로그램들을 이용하더라도 회계업무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통합시산표를 제시하는 단계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자산, 부채 및 자본에 속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시산표는 기록모드와 결산모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상기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됨 ―; 상기 기록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기초하여,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한 거래유형들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은 계정과목에 따라 가능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른 자동 기입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시된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제 2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은 차변 및 대변을 포함하고, 차변 및 대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결정된 자동 기입내용이 미리 입력되어 표시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통합시산표의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에는 각각 계정과목, 및 계정과목마다의 증가액, 감소액 및 잔액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적어도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이 상기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고,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의 변의 반대 변의 다른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은 상기 다른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통합시산표를 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업분야에 대한 사업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업분야 속성테이블에 따라 선택된 사업분야에 사용되는 계정과목들로 통합시산표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이후에, 결산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시산표의 계정과목들 중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들에 식별표시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식별표시가 생성된 계정과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미리 결정된 결산정리테이블에 따라 해당 계정과목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야 할 사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된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으로서, 계정과목에 따라 가능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른 자동 기입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합시산표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시하고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자산, 부채 및 자본에 속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시산표는 기록모드와 결산모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상기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됨 ―, 상기 기록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 및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은 차변 및 대변을 포함하고, 차변 및 대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결정된 자동 기입내용이 미리 입력되어 표시됨 ―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회계처리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일반전표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합계잔액시산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회계처리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단기금융자산의 취득 또는 처분이 선택된 경우들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단기금융자산의 결산정리시 결산정리 유형에 따른 화면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설비장치의 취득 또는 처분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원재료의 매입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에서 도출될 수 있는 상세정보 화면들에 대한 설명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에서 결산모드시 표시될 수 있는 화면들에 대한 설명이다.
이하, 본 개시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는 다수의 다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지만, 설명의 법적 범위는 본 출원서의 말미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단어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을 기재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비실용적이므로, 모든 가능한 실시예가 기재되지는 않는다.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은 현재 기술 또는 본 출원서의 출원일 이후에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서의 용어는 본 출원서에서 명백히 정의되지 않는 한, 그 용어의 평범한 또는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회계처리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통상적인 회계처리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거래의 발생, ii) 거래의 분개와 분개장기입, iii) 총계정원장으로의 전기 및 iv) 기말결산(장부마감과 재무제표의 작성).
거래가 발생하면, 그 거래는 발생순서에 따라, 분개장에 기록된다. 여기서, 거래에서 어떤 계정과목이 어떤 대응관계를 가지고 어떤 변(차변 또는 대변)으로 갈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회계지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2월 1일 A씨가 현금 1,000,000원으로 출자하여 Alpha 회사를 개업하고, 2월 2일 500,000원의 비품을 외상으로 구입했다고 하자. 분개장은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야 한다.
Figure pat00001
통상적으로, 이러한 분개장의 분개는 총계정원장으로 전기(posting)되어야 한다. 원장전기는 분개된 거래의 영향을 개별계정에 집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 1의 분개는 다음과 같이 각각의 계정에 따라 총계정원장으로 전기된다.
Figure pat00002
회계기간 중 상기와 같은 기록이 계속되고, 회계기간 말이 되면 기말결산이 수행된다. 결산이란 그 기간 중에 기록되어 온 각종 장부를 마감하고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결산절차에서 가장 처음에 수행되는 것은 시산표의 작성이다.
시산표(trial balance, T/B)는 특정시점의 계정잔액목록표이다. 이러한 시산표는 전기 후에 대변과 차변이 일치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복잡한 기업회계에서는 분개기입이나 원장전기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산표의 작성이 필요하다. 결산을 위해 작성되는 시산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여기서는 예시로 합계잔액시산표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표 1 및 표 2 에 따른 합계잔액시산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pat00003
시산표의 차변합계액과 대변합계액이 일치하지 않으면, 회계프로세스 수행자는 어떤 기록, 계산에 잘못이 있었는지를 조사한다. 시산표에서 오류가 없는 경우 이러한 시산표를 기초로 재무상태표 및 포괄손익계산서가 작성될 수 있다.
상술된 회계처리프로세스는 컴퓨터화 이전에도 수행되던 것으로, 종래의 컴퓨터화된 회계프로그램은 상술된 회계처리프로세스의 순서를 모방하여 작성되었다.
도 2는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일반전표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종래의 회계프로그램에서는 회사등록 및 사용자계정의 로그인 후에 도 2와 같은 일반전표 입력화면 또는 매입매출전표 입력화면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종래 회계프로그램은, 거래가 발생하면, 통상적인 회계프로세스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의 내용을 장부에 나열식으로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면 구성에서는 거래들이 길게 나열될 뿐이고 기업의 재무정보가 컴퓨터 화면에서 한 번에 표시되지 못한다. 도 2와 같은 화면구성을 통해서는 기업의 회계요소인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의 재무 상황에 대해 지식을 얻기 매우 어렵다.
또한, 사용자는 기입될 수 있는 계정과목들 및 그들의 코드를 알고 있어야 하고, 거래에서 어떤 계정과목이 어떤 대응관계를 가지고 어떤 변(차변 또는 대변)에 들어가야 하는지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회계지식 및 능력이 부족한 경우 복식부기의 규칙에 맞게 기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통상적인 회계프로그램은 복식부기의 규칙에 맞는 기입을 보장해주지 못하고, 사용자를 합당하게 가이드하지 못한다.
도 3은 종래 회계프로그램의 합계잔액시산표 화면을 도시한다.
도 2에서 입력된 일반전표 정보 및 매입매출전표 정보에 기초하여 도 3과 같은 합계잔액시산표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구성은 컴퓨터화 이전의 통상적인 회계처리방법에 따른 것으로, 단순히 종이에 기재하던 것을 컴퓨터로 옮겨온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회계처리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회계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계정 생성 등이 이루어지고, 회사정보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사정보에는 회사명, 대표명, 법인여부, 업종(서비스업, 제조업, 유통업 등), 수출여부, 사업부문/지점, 회계연도, 사업자/법인등록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업종 또는 사업분야(예를 들어, 서비스업, 유통업, 또는 제조업)가 먼저 선택되면, 선택된 사업분야에 따라 각 사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포함하는 통합시산표가 제시된다. 통합시산표가 제시되기 전에,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제조원가에 속하는 계정과목들의 리스트가 프로그램 상의 제안된 식별(통합시산표에 표시될지 여부)과 함께 제시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 해제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정은 회계기간 중에도 설정 변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업분야에 따라 통합시산표에 표시될 계정과목들은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정의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원재료, 원재료원가, 기타제조경비등의 계정과목 및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관한 정보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통합시산표가 구성되어 화면에 제시된다. 사용자는 컴퓨터의 한 화면에 재무정보를 통합적으로 표시하는 통합시산표를 통해 기업의 재무정보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미리 정의된 계정과목 이외에 다른 계정과목을 추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계정과목을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별도로 부여받아야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합시산표"란 본 개시에서 고유하게 고안된 기업의 재무정보를 나타내면서 거래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표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 화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통합시산표는 적어도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한다.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각 요소(자산, 부채, 자본)에 해당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각의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한다.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은 해당 계정과목의 특정 기간동안의 증가값, 감소값, 및/또는 잔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칼럼의 계정과목들에 관련된 값의 합과 제 2 칼럼의 계정과목들에 관련된 값의 합은 일치해야 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이 발생할 있다. 사업분야가 제조업으로 선택되는 경우, 제 1 칼럼에는 자산 및 제조원가에 관련된 계정과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조원가에 관련된 계정과목들은 원재료원가, 노무원가, 퇴직노무원가, 복리후생원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 2 칼럼에는 부채, 자본, 비용, 및 수익에 관련된 계정과목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칼럼에서 부채, 자본, 수익에 관련된 값은 서로 합하고, 비용에 관련된 값은 차감해야 제 1 칼럼과 제 2 칼럼에서 합산이 일치하게 된다.
통합시산표는 회계기간 계속 중 발생된 거래들이 입력되는 기록모드와 기말에 결산을 위한 결산모드의 2가지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통합시산표가 2가지 모드를 갖는다는 것은 통합시산표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된 경우 이루어지는 동작이 제 1 모드와 제 2 모드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록모드시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통합시산표의 모드의 변환은 결산메뉴의 선택 또는 결산버튼의 클릭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회계기간 중 통합시산표에서는 결산전이익 또는 결산전손실이 표시될 수 있다.
통합시산표에 표시되는 각각의 계정과목들에 대해서, 각각의 계정과목의 속성이 계정과목 속성테이블(또는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은 가능한 거래유형들(현금예금의 경우라면, 현금인출, 현금예입, 계좌대체, 현금과부족), 각각의 거래유형에서 차변 및 대변에 표시될 계정과목의 내용 및 개수, 차변 및 대변에서 각각의 계정과목이 가지는 속성의 내용 및 개수(추가 입력되어야할 항목의 내용 및 개수), 각각의 거래유형의 계정과목이 차변 또는 대변 중 어디에 속하는지, 및 계정타입(일반, 부분자가입력, 특수자가입력, 대장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 회계기간 중의 거래유형에 따른 속성 및 관련대장 및/또는 ii) 기말결산시의 속성 및 관련대장이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서 정의될 수 있다. 즉,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은 각각의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라 회계기간 중 거래입력시 사용될/요청될 정보 및 결산시 결산정리에서 사용될/요청될 정보를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속성정의는 회계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다양한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는, 예를 들어, 원재료의 경우에는 i) 기간 중 거래유형에 따른 속성으로 매입시에는 차변에 원재료 및 부가세대급금이, 대변에 외상매입금이 표시되고, 차변의 원재료에는 품목이, 대변의 외상매입금에는 거래처가 추가 입력/선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매입에누리시에는 차변에 외상매입금이, 대변에 원재료 및 부가세대급금이 표시되고, 차변의 외상매입금에 거래처, 대변의 원재료에 품목이 추가 입력/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원재료의 관련 대장에는 원재료매입대장 및 원재료수불부가 있다는 것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거래상세내역에서 미리 입력되어 표시될 항목에 대해서는 원재료의 매입시에 차변의 계정과목에는 원재료가, 대변의 계정과목에는 외상매입금이 표시된다는 것이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추가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는, 현금예금의 경우 1)현금인출, 2)현금예입, 3)계좌대체, 4)현금과부족의 4가지 거래형태가 있고, 현금과부족의 경우에는 차변에 2개의 계정과목(현금예금 및 기타손실), 대변에 2개의 계정과목(현금예금 및 기타이익)이 표시되고, 각각의 계정과목은 계정과목 및 금액 외에 세부항목이라는 속성을 하나 더 가지고, 현금과부족의 현금예금은 차변이며, 해당 계정타입은 일반이라는 것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통합시산표에서 해당 거래에 관련된 계정과목을 선택한다.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해서는 해당 계정과목에서 가능한 거래유형이 제시된다. 가능한 거래유형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거래유형에 따라 새로운 창으로 또는 새로운 화면으로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거래내역 입력화면에는 선택된 거래유형의 속성에 따라 차변 및 대변이 표시되고, 차변 및 대변 각각에는 적어도 계정과목 및 금액란이 생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시산표에 계정과목과 계정과목에 따른 거래유형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바로 계정과목에 따른 거래유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재료를 매입한 사용자에 의해 "원재료"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원재료의 가능한 거래유형(매입, 매입에누리, 또는 매입환출)이 제시된다. 사용자가 매입을 선택하면, 새로운 창 또는 화면으로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거래내역 입력화면에서, 미리결정된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의 원재료 매입의 속성에 따라, 차변에는 계정과목, 품목 및 금액란이 형성되고, 대변에는 계정과목, 거래처 및 금액란이 형성된다.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서 미리결정된 회계규칙에 따라 차변의 계정과목에는 원재료 및 부가세대급금이 표시되어 나타나고, 차변의 품목 및 금액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공란으로 나타날 수 있다. 대변의 계정과목에는 외상매입금이 표시되어 나타나고, 대변의 거래처 및 금액은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공란으로 나타난다. 거래내역 입력화면에는 거래와 관련된 추가적인 사항을 기재할 수 있도록 '적요' 란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원재료의 매입이 선택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표 4에서는 품목 및 거래처의 소항목 제목이 명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소항목의 제목은 생략될 수 있고, 품목 및 거래처는 사용자의 이전 기록을 기초로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발생된 거래를 기록할 때, 사용자가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통합시산표에서 거래에 해당하는 계정과목 및 제안된 거래유형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만 하면, 표 4와 같이 차변 및 대변에 입력되어야 할 사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표시된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적어도 부분적인 자동부기는,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저장된 회계규칙에서, 선택된 계정과목의 거래유형에 따라 차변 및 대변 각각에 입력되어야할 카테고리들 및 해당 카테고리에 입력될 내용이 미리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도의 회계지식 없이도 회계규칙에 맞는 장부기재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된다.
사용자가 거래내역 입력화면에서 입력할 나머지 부분들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완료 또는 저장 버튼(또는 단순히 엔터키의 입력)이 선택될 수 있다. 완료 또는 저장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은 차변과 대변의 합계 금액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 완료 및 저장을 거부하고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기입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된다. 이러한 금액 비교 및 알람은 완료 또는 저장 버튼이 눌리기 전, 차변 및 대변 모두의 금액란에 금액입력이 완료된 후 커서가 해당 영역을 떠나는 경우에 바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는 차변 및 대변의 최소필요 금액란이 모두 입력되면 나머지 금액란은 양변의 합계가 일치하도록 회계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입력될 수도 있다.
거래내역이 모두 정확하게 입력되고, 저장 또는 완료 버튼이 클릭되면, 입력된 내용에 기초하여 통합시산표가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원재료의 매입으로 100만원이 입력된 경우, 통합시산표의 원재료 계정과목의 증가(차변) 및 잔액이 기입 이전보다 100만원 증가하게 된다. 상술된 방식으로 거래내역이 입력되고 관리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리포트를 생성하지 않고도, 현시점에서의 기업의 재무상태를 상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회계기간 말이 되어 결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회계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에서 결산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를 클릭할 수 있다. 결산메뉴가 선택되면 반드시 수행되어야할 결산사항이 있는 계정과목에는 특정한 표시(예를 들어, 음영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음영 표시된 계정과목을 클릭하면 결산시 필요한 모든 처리사항과 분개를 보여주는 결산정리 화면이 표시된다. 결산정리 화면에 따라 사용자는 결산정보를 입력 및 저장하고, 다음 결산사항에 대한 결산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은 결산시 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결산정리의 순서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어떤 계정과목이 먼저 결산정리가 필요한지 통합시산표 상에서 표시하거나, 후순위로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순위로 정리되어야 하는 계정과목에 대한 알람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예금 및 단기금융자산 등은 결산시 이자수익계상이 필요하고, 건축물, 설비장치, 차량운반구, 집기비품, 기타유형자산 등의 감가상각누계액에서는 결산시 감가상각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결산사항이 있다고 표시된 현금예금 계정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결산정리 화면이 표시된다.
Figure pat00005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은 결산수행시 결산사항이 필요한 계정과목을 표시하고, 표 5와 같이 결산정리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적합한 순서로 빠짐없이 결산정리가 진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를 가이드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은 대다수의 회사에서 발생하는 결산시의 혼란, 누락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회계처리 시스템은 통합시산표 구성모듈, 거래내역 입력모듈, 결산정리 관리모듈, 회계 데이터 데이터베이스(DB), 사업분야별 계정과목 데이터베이스(DB), 각종 등록부 데이터베이스(DB), 각종 대장 데이터베이스(DB), 각종 수불부 데이터베이스(DB),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산모드시의 계정과목별 속성을 정의하는 결산정리 속성 데이터베이스(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결산모드시 계정과목별 속성은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될 수도 있다. 한편, 구성모듈, 입력모듈, 관리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수단으로 통합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회계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컴퓨터에 로컬하게 저장되거나, 컴퓨터와 통신가능한 원격의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통합시산표 구성모듈은 사용자의 사업분야 선택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기 위한 통합시산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업분야별로 통합시산표에 표시될 계정과목들을 저장한 사업분야별 계정과목 DB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거래내역 입력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따른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구성하고, 입력된 거래내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산정리 관리모듈은, 결산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결산을 위해 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을 표시하거나,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시 입력되어야 하는 사항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기능할 수 있다.
회계 데이터 DB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거래내역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각종등록부 DB에는 회사등록부, 사원등록부, 신용카드등록부, 거래처등록부, 유형자산등록부, 토지등록부, 사업부문등록부, 공급자등록부, 설비장치등록부, 집기비품등록부, 건축물등록부 등의 각종 등록부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회사등록부에는 회사명, 대표명, 법인여부, 업종(서비스업, 제조업, 유통업 등), 수출여부, 사업부문/지점, 회계연도, 사업자/법인등록번호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회계프로그램의 최초실행시 사용자에게 요구되어 수집될 수 있다. 각종 대장 DB에는 감가상각대장, 급여대장, 원재료매입대장, 생산대장, 매출대장, 수출대장 등의 각종 대장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수불부 DB에는 원재료수불부, 제품수불부, 상품수불부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결산정리 속성 DB에는 결산시 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 및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시 입력되어야 하는 사항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계정과목 속성 DB에는 각각의 계정과목의 거래입력시 입력이 필요한 카테고리 및 차변 및 대변에 미리 입력되어 표시될 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단기금융자산의 취득 또는 처분이 선택된 경우들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도 7의 상단부는 회계기간 중에 단기금융자산의 취득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단기금융자산의 취득에 대해서, 차변에는 계정과목 및 금액에 더하여 세부항목 및 금융자산명 카테고리가 생성되어야 하고, 대변에는 계정과목 및 금액에 더하여 현금/은행계좌 카테고리가 생성되어야 한다는 것이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서 정의되어 있다. 또한,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서는, 단기금융자산의 취득 선택시 차변의 계정과목에는 단기금융자산이 표시되고, 대변의 계정과목에는 현금예금이 표시된다는 것이 정의될 수 있다. 단기금융자산의 취득 선택시, 세부항목은 공란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세부항목의 가능한 리스트가 제안될 수도 있다.
도 7의 하단부는 회계기간 중에 단기금융자산의 처분이 선택된 경우에 제공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대변에 단기금융자산의 처분으로 인해 취득한 현금예금의 금액을 입력하면 현금예금의 금액과 단기금융자산의 차액에 따라 대변의 금융자산처분손실 또는 차변의 금융자산처분이익에 자동으로 손실금 또는 이익금 액수가 입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단기금융자산의 결산정리시 결산정리 유형에 따른 화면들을 도시한다. 단기금융자산의 결산정리시 정리가 필요한 유형에 따라 도 8의 화면들 중 하나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설비장치의 취득 또는 처분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설비장치가 취득되는 경우, 차변에는 설비장치 및 자산명이 입력되도록 가이드되고 대변에는 설비장치를 취득하기 위해 지불된 대가로서 현금예금 또는 미지급금이 얼마인지를 입력하도록 가이드된다. 설비장치가 처분되는 경우, 대변에는 처분되는 설비장치의 자산명이 무엇인지 입력하도록 가이드되고, 차변에는 설비장치의 감가상각누계액이 얼마인지, 설비장치의 처분을 통해 받은 현금예금 또는 미수금이 얼마인지 입력하도록 가이드된다. 처분되는 설비장치의 자산명이 선택 또는 입력되는 경우, 해당 설비장치의 취득시에 입력되었던 금액이 처분시 대변의 설비장치 항목의 금액으로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자산명에 따라 설비장치의 감가상각누계액 대장을 참조하여 해당 설비장치의 감가상각누계액이 얼마인지 조회되어 자동으로 차변의 감가상각누계액의 금액으로 입력될 수 있다. 감가상각누계액, 현금예금, 미수금, 설비장치, 부가세예수금의 금액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모두 입력되면, 차변과 대변의 금액의 차액에 따라 고정자산처분이익 또는 고정자산처분손실에 금액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에서 원재료의 매입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들을 도시한다.
원재료 매입은 계정타입이 대장입력에 속하는 것으로, 통합시산표에서 원재료가 선택되고, 매입이 선택된 경우, 차변 및 대변의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아닌, 대장입력 화면이 제시된다 (도 10의 상단부). 원재료매입대장에서 세부항목들이 입력/저장되면, 입력/저장된 정보에 따라 도 10의 하단부와 같은 거래내역 입력화면이 완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되도록 계정타입이 대장입력인 계정과목은 매출, 매입, 급여, 감가상각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에서 도출될 수 있는 상세정보 화면들에 대한 설명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통합시산표에서 각각의 계정과목의 증가액, 감소액 또는 잔액을 클릭하면 해당 계정과목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새로운 창 또는 화면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예금의 감소액이 클릭되면 현금예금이 어떻게 감소해왔는지에 대한 히스토리가 각각의 거래에서 세부항목, 사업부문, 현금/은행계좌, 금액의 정보와 함께 보여질 수 있다. 현금예금의 잔액이 클릭되는 경우, 현금예금의 시재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현금예금이 어떤 형태로 (예를 들어, 어떤 계좌로), 어느 액수만큼 잔액으로 남아 있는지가 표시될 수 있다. 매출의 잔액이 클릭되는 경우, 거래처별매출, 월별매출 또는 상품별매출이 표시될 수 있다. 어떠한 매출로 표시될지는 매출의 잔액이 클릭되는 경우, 질의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미리설정된 사항에 따라 매출의 잔액의 클릭시 표시되는 내용이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계프로그램의 통합시산표에서 결산모드시 표시될 수 있는 화면들에 대한 설명이다.
회계기간 중에 기록모드로 통합시산표에 각종 거래들이 기록된 후, 결산기간이 도래하면 사용자는 결산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합시산표와 함께 보여지는 "결산" 버튼을 클릭하여 결산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메뉴로 들어가서 결산메뉴를 클릭하거나 단축키를 활용하여 결산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결산모드가 선택되면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들에 도 12와 같은 음영표시 등의 식별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음영표시된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결산정리에 필요한 항목들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예금이 클릭되면 도 12의 상단부에 표시된 화면이 나타나 사용자로 하여금 이자수익 금액을 입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결산항목들 중 먼저 처리되어야하는 항목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표시해주는 기능도 결산정리 속성 데이터베이스 또는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결산모드시 선택된 계정과목에 우선하여 결산정리되어야할 계정과목이 있다면 알림창이 나타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산모드 기능을 통해 본 개시의 회계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적합한 순서로 모든 결산정리를 빠짐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준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독창적으로 고안되어 본 개시에서 설명된 통합시산표를 중심으로 하는 회계프로그램을 통해 회계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서도 적합한 회계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경영자는 언제든지 기업의 재무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기재에서, 다수의 다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기재했지만, 본 출원서의 범위는 본 출원서 말미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단어들에 의해 정의된다.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만 해석되어야 하고,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을 기재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비실용적이므로,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을 기재하지는 않는다. 현재기술 또는 본 출원서의 출원일 후에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여,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여전히 속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의 변형예 및 변경예들이 본 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도시되는 기술들 및 구조들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 및 장치들은 설명적일 뿐이고,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으로서,
    통합시산표를 제시하는 단계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자산, 부채 및 자본에 속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시산표는 기록모드와 결산모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상기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됨 ―;
    상기 기록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결정된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기초하여,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한 거래유형들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은 계정과목에 따라 가능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른 자동 기입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시된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제 2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은 차변 및 대변을 포함하고, 차변 및 대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결정된 자동 기입내용이 미리 입력되어 표시됨 ― 를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시산표의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에는 각각 계정과목, 및 계정과목마다의 증가액, 감소액 및 잔액이 표시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적어도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이 상기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고,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의 변의 반대 변의 다른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은 상기 다른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시산표를 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업분야에 대한 사업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업분야 속성테이블에 따라 선택된 사업분야에 사용되는 계정과목들로 통합시산표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단계 이후에,
    결산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합시산표의 계정과목들 중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들에 식별표시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식별표시가 생성된 계정과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미리 결정된 결산정리테이블에 따라 해당 계정과목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야 할 사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7.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8.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으로서,
    계정과목에 따라 가능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의 조합에 따른 자동 기입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통합시산표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시하고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자산, 부채 및 자본에 속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시산표는 기록모드와 결산모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상기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들 중 적어도 일부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됨 ―, 상기 기록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 및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은 차변 및 대변을 포함하고, 차변 및 대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계정과목 속성테이블에 따라 결정된 자동 기입내용이 미리 입력되어 표시됨 ―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시산표의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에는 각각 계정과목, 및 계정과목마다의 증가액, 감소액 및 잔액이 표시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적어도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의 차변 및 대변은 각각 적어도 계정과목 입력란 및 금액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은,
    차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와 대변에 입력된 금액의 총계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차변의 금액 총계와 대변의 금액 총계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이 상기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고, 상기 선택된 계정과목의 변의 반대 변에 입력된 다른 계정과목에 대해 입력된 금액이 상기 다른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에 업데이트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통합시산표를 제시하기 이전에,
    사업분야에 대한 사업 선택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업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된 사업분야 속성테이블에 따라 선택된 사업분야에 사용되는 계정과목들로 통합시산표를 구성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한 이후에,
    결산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결산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의 계정과목들 중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들에 식별표시를 생성하고,
    상기 결산모드의 통합시산표에서, 상기 식별표시가 생성된 계정과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미리 결정된 결산정리테이블에 따라 해당 계정과목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야 할 사항을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14.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으로서,
    사업분야별로 통합시산표에 표시될 계정과목들을 정의하는 사업분야별 계정과목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계정과목들의 속성을 정의하는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 ― 상기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는 기록모드 또는 결산모드에서 계정과목들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를 저장함 ―;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업분야에 따라, 상기 사업분야별 계정과목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계정과목들을 포함한 통합시산표를 구성하는 통합시산표 구성모듈 ― 상기 통합시산표는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칼럼에는 자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칼럼에는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자산, 부채 및 자본에 관한 정보는 자산, 부채 및 자본에 속하는 계정과목들 및 각 계정과목에 관련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시산표는 기록모드와 결산모드를 가지며, 상기 기록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거래내역 입력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상기 결산모드시 상기 통합시산표 상의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해당 계정과목의 결산정리 프로세스가 시작됨 ―;
    상기 기록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에 표시된 계정과목 중 하나의 계정과목을 선택하는 제 1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선택된 계정과목에 대한 거래유형들을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거래유형들 중 하나의 거래유형을 선택하는 제 2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상기 계정과목 및 거래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내역 입력화면을 제시하는 거래내역 입력모듈; 및
    상기 결산모드에서 상기 통합시산표의 계정과목들 중 결산정리가 필요한 계정과목들에 식별표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표시가 생성된 계정과목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계정과목 속성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해당 계정과목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야 할 사항을 표시하는, 결산정리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 시스템.
KR1020160029081A 2015-03-18 2016-03-10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KR20170105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81A KR20170105869A (ko) 2016-03-10 2016-03-10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US15/074,072 US20160275626A1 (en) 2015-03-18 2016-03-18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process using integrated trial balance
CN201780015890.5A CN108713210A (zh) 2016-03-10 2017-03-10 利用综合试算表的会计处理方法及会计处理系统
PCT/KR2017/002646 WO2017155360A1 (ko) 2016-03-10 2017-03-10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EP17763620.6A EP3428862A1 (en) 2016-03-10 2017-03-10 Accounting processing method and accounting processing system, which use integrated trial bal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081A KR20170105869A (ko) 2016-03-10 2016-03-10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69A true KR20170105869A (ko) 2017-09-20

Family

ID=5979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081A KR20170105869A (ko) 2015-03-18 2016-03-10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28862A1 (ko)
KR (1) KR20170105869A (ko)
CN (1) CN108713210A (ko)
WO (1) WO20171553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6A1 (ko) * 2017-11-15 2019-05-23 (주) 더존비즈온 오토 포스팅 시스템 및 방법
CN115964549A (zh) * 2023-03-03 2023-04-14 北京芯盾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社群挖掘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226A (zh) * 2018-08-01 2019-01-01 欧永祥 一种财会软件的数据输入界面提示方法及装置
CN111192120B (zh) * 2019-12-02 2023-09-15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养老社区费用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1401850B (zh) * 2020-03-19 2023-08-11 浪潮通用软件有限公司 一种无账户管理映射式记账的金融架构实现方法
CN112686757A (zh) * 2020-12-31 2021-04-20 京东数字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证券业务数据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941A (zh) * 1996-10-21 1998-07-29 三星电子株式会社 自动管理控制系统的会计处理器和方法
CA2385151A1 (en) * 1999-10-15 2001-04-19 Won-Kyo Suh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US7885868B2 (en) * 1999-12-20 2011-02-08 Jacques Nault Reading, organizing and manipulating accounting data
JP4560171B2 (ja) * 2000-05-16 2010-10-13 株式会社日本デジタル研究所 連結決算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MY172175A (en) * 2005-07-28 2019-11-15 Pintas Pte Ltd Methodology of accounting teaching
JP2007012026A (ja) * 2006-04-12 2007-01-18 Toshiro Dan 仕訳自動作成機能を備えた会計システム
JP2007183981A (ja) * 2007-02-15 2007-07-19 Nippon Digital Kenkyusho:Kk 会計処理装置、記帳処理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帳処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836234B1 (ko) * 2007-08-13 2008-06-10 서원교 활동 정보 회계시스템
KR100998427B1 (ko) * 2008-09-05 2010-12-03 유인목 수직회계시스템
KR101275650B1 (ko) * 2011-05-06 2013-06-17 이원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16A1 (ko) * 2017-11-15 2019-05-23 (주) 더존비즈온 오토 포스팅 시스템 및 방법
CN115964549A (zh) * 2023-03-03 2023-04-14 北京芯盾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社群挖掘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8862A1 (en) 2019-01-16
WO2017155360A1 (ko) 2017-09-14
CN108713210A (zh)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869A (ko) 통합시산표를 이용한 회계처리방법 및 회계처리시스템
JP2006505068A (ja) 課税情報を決定する情報処理システム
JP6849963B2 (ja) 経営計画生成装置、経営計画生成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210327001A1 (en) Error control in multicomputer data processing
AU4186700A (en) Portfolio investment guideline compliance and financial fund administration system
US20160275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process using integrated trial balance
EP252803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n-line analysis of financial accounting data
CN110210954A (zh) 税务管理系统及方法
Bruett et al. Measuring performance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US8082269B2 (en) Account item management system
US20060149643A1 (en) Automatic business date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AU20113530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olidating account data
Annand et al. Introduction to Financial Accounting: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Lyryx)
Nelson QuickBooks 2013 All-in-one for Dummies
CN101194279A (zh) 会计科目管理系统
Carlberg Business Analysis: Microsoft Excel 2010
Carlberg Business Analysis with Microsoft Excel
Padhi SAP® ERP financials and FICO handbook
JP2965944B2 (ja) 資金繰り処理システムおよび資金繰り処理方法並びに資金繰り処理実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orkmaz Financial reporting with SAP
Jensen et al. Introduction to Financial Accounting-Lyryx Version (2023-A)
Partini et al. Implementation of Accrual Based Accounting at PMI City of Surakarta
Sampe et al. Baruga Kare Guesthouse Makassar Financial Reporting System Based on FASS of MSMEs
Soegoto et al. Manage Accounting in Globalization Era
Mason Finance for Non-Financial Managers: A comprehensive manager's guide to business account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