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828A -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828A
KR20170105828A KR1020160028964A KR20160028964A KR20170105828A KR 20170105828 A KR20170105828 A KR 20170105828A KR 1020160028964 A KR1020160028964 A KR 1020160028964A KR 20160028964 A KR20160028964 A KR 20160028964A KR 20170105828 A KR20170105828 A KR 2017010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remodeling
energy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이일우
정연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828A/ko
Publication of KR2017010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2Energy audits or management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은, 요청된 리모델링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방법은 건물에 대한 수신된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실행된 에너지 분석 서비스의 결과에 근거하여 리모델링 추천을 결정하고, 상기 리모델링 추천의 결정 시에 상기 건물이 리모델링 되었을 경우에 대한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웹 상에 구축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BASED ON ONLINE SERVICE FOR BUILDING REMODELING}
본 발명은 기축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리모델링 방안 지원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축 건물의 상태정보와 에너지 소비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신하여 노후화된 건물의 외피 성능 개선, 설비 성능 개선, 및 경제성 평가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노력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 세계 에너지 사용량의 약 30% 이상이 상업, 공공, 주거와 같은 건물 분야에서 소비되고 있다. 전력 에너지의 경우는 전체 사용량의 절반 이상이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건물에너지를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해 노후화된 기축 건물의 건축, 기계, 및/또는 전기 등과 같은 건물 외피 및 설비에 대한 정보를 온라인 기반의 시스템에서 수신하고 해당 건물의 성능 분석과 그에 따른 건물 리모델링 요소 도출 및/또는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의 일 양상(an aspect)에 따라,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와, 수신된 건물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는 에너지 분석 서비스부와, 상기 에너지 분석 서비스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부와, 그리고 상기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부의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가 리모델링 추천으로 결정될 때 리모델링용 설비 및 자재 항목들에 근거하여 리모델링 진행 시의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경제성 평가 서비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양상에 따라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정보를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건물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고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 및/또는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을 통해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축 건물의 상태정보와 에너지 소비정보가 온라인으로 수신되고 노후화된 건물의 외피 성능 개선, 설비 성능 개선 및 /또는 경제성 평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동작 제어 플로우챠트 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기능 블록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기능 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주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과 건물 자동화시스템(BAS, Building Automation System)이 활용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설비 운전 정보, 실내 환경 및 기상 정보 등을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수집한다. 시스템은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로서 건물에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요소들과 최적 운영 방법들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식은 에너지 절감보다는 에너지 효율적 사용에 초점이 더 맞춰져 있다. 따라서 신축 건물이 아닌 기축 건물의 경우에 건물의 외피와 설비의 노후화 등으로 인한 에너지 과소비 요인들은 해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신축 건물은 최신 규제에 맞춰 고 효율 외피/내피 자재 사용과 친환경 시공기술, 고 효율 설비 공사로 지어진다. 그러므로 신축 건물에 대한 건물 에너지 절감은 운영적인 측면만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감의 노력은 영향이 미미하다.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운영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건축물 상태에 대한 정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즉, 건축물 상태는 건물의 내피 및 외피 상태, 설비 성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은 건축물의 상태에 대한 개/보수를 지원하지 못한다.
노후화된 건물의 개/보수를 통해 에너지 절감이 보다 많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기축 건물의 에너지 진단과 리모델링 및 리트로핏 항목의 도출은 전문 인력의 현장 진단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전문 인력의 분석 숙련도에 의한 진단 편차가 심하였고, 진단 시간이 비교적 길고 진단 비용도 비교적 고가이다.
상술한 종래의 진단 및 리모델링 지원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비교적 오래된 기축 건물에 대한 건물 리모델링 및 설비 리트로핏을 요소를 도출한다. 또한, 이에 대한 경제성 분석 및 최적 개보수 방법론이 지원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에너지 진단에 대한 시간적 경제적인 부담이 최소화 또는 줄어들고, 그 결과 전체 건물 에너지 절감이 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블록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터넷(4)을 통해 연결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이 보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빌딩 등과 같은 건물(1)을 점유하거나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예 건물주: 2)는 단말기들(3-1,3-2)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들(3-1,3-2)은 건물에너지 진단, 등급 평가, 및/또는 에너지 절감 요소들을 찾기 위한 통신 기기이다. 상기 단말기들(3-1,3-2)은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단말기와 같이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단말기이다.
따라서, 사용자(2)는 인터넷(4)을 통해 상기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통신을 접속할 수 있다.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은 인터넷(4)등에서 제공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일종의 웹 서버이다.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은 온라인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 건물 데이터 관리부(12), 건물 프로파일 분석부(13), 건물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4), 건물 에너지 절감 방안 도출부(15), 건물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16), 및 건물 리모델링 경제성 평가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는 사용자(2)에게 사용 친화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2)는 단말기들(3-1,3-2)중의 선택된 하나 상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온라인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로 제공된다. 여기서 정보는 상기 건물(1)의 건축(벽체, 지붕, 바닥, 창호 등), 기계(냉반, 난방, 팬, 펌프 등), 전기(조명, 전열 등)와 같은 건물 외피 및 설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에너지 사용량(전기, 수도, 가스, 지역난방, 유류 등) 정보와, 환경정보(기상정보 및 내부 환경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입력 과정에서 해당 정보를 각기 담당하는 관련 부서나 국가 기관이 개입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관련 부서나 국가 기관에 연결된 정보 제공 시스템이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과 연동될 수 있다. 연동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입력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가 건물의 주소나 기본적 정보만을 제공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은 에너지 사용량 고지서 담당 기관에 의해 공개될 수 있고, 환경정보는 기상정보 담당기관에 의해 공개될 수 있다.
건물에 대한 정보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정보들은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의 제어 하에 건물 데이터 관리부(12)에 저장되고, 추후 다른 사용자의 정보와 통합되어 벤치마크 및 통계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건물 프로파일 분석부(13)는 상기 건물 데이터 관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여 사용자 건물의 건물 프로파일 정보(건축물 용도, 준공일자, 규모, 면적, 구조, 외피, 내피, 설비 등)들을 추출하고 건물의 외형적인 상태 분석을 수행한다.
건물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4)는 상기 건물 데이터 관리부(12)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 에너지 소요량 평가와 소비 등급을 평가한다. 또한 유사한 건물 형태의 다른 건물들에 대한 분포도를 통해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소비 수준을 벤치 마킹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절감 방안 도출부(15)는 상기 건물 프로파일 분석부(13)의 건물 프로파일 분석결과와 상기 건물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4)의 건물 에너지 소비 패턴 및 소비 요인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에너지 절감 방안을 도출한다. 따라서, 사용자(2)는 상기 건물 에너지 절감 방안 도출부(15)의 도출 결과를 받음에 의해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절감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간단한 항목에 대해서는 사용자 스스로가 해결을 모색할 수 있다.
이후 도출된 에너지 절감 방안을 기반으로 건물의 개/보수를 필요로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건물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16)가 담당한다. 즉, 건물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16)는 설비와 자재에 대한 스펙(가격, 모델명, 제조사, 제원 등)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거나 지원 받아 사용자(2)가 희망하는 리모델링 우선순위(가격, 스펙 등)에 맞춰 최적의 건물 리모델링 또는 설비 리트로핏 항목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2)가 희망하는 건물 리모델링 항목들을 선택할 경우에 건물 리모델링 경제성 평가부(17)는 해당 리모델링 항목들에 대한 경제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따라서 사용자(2)는 경제성 평가 결과를 확인하여 투자비 대 투자비회수 기간, 및 성능 향상도 등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은 건물 리모델링 항목 추천이나 경제성 평가 이외에도 건물 리모델링 지원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은 경제성 평가 결과 이후에 사용자의 최종 리모델링 의사 결정에 의해 리모델링 진행이 확정된 경우, 상기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에서 시스템에 등록된 에너지절약업체(ESCO업체)와 현장 연결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절약사업체(ESCO)에 의한 현장 정밀 진단 및 리모델링 수행이나 최종 결과 보고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건물 리모델링 전과 후의 에너지 사용량과 절감량에 대한 관리까지도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도 1의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내의 각 기능 블록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코드 및/또는 명령 셋 또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 개시된 어떤 구현으로 사용된 바로서의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래머블 회로, 스테이트 머시인 회로, 및/또는 프로그래머블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펌웨어, 단독 혹은 어떤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들은 수집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예를 들면 IC, SoC, 기타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은 하나 또는 다수의 서버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은 독립형 서버, 랙 마운트 서버, 블레이드 서버, 등을 포함할 수있다. 서버 시스템 또는 서버 시스템들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노드들 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은 클라이언트 컴퓨터, 다른 서버, 원격 데이터 센터, 스토리지 시스템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델링 시공업체(20)가 도 2에서 포함된다. 시스템의 사용자(2)의 단말기와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내의 각 기능 블록들 간의 서비스 요청 및 서비스 제공에 관련된 프로세스가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의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에 따라 사용자(2)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접속한다. 사용자(2)는 건물 에너지 절감 방안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리모델링 항목을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으로부터 추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경제성 평가 이후 실제 리모델링 공사까지 추진될 경우에도 사용자(2)는 그 결과를 에너지 분석 결과 보고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다.
사용자(2)는 건물의 에너지 진단 및 리모델링 항목 추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사용자(2)는 웹 기반 온라인 환경으로 언제 어디서든 웹 브라우저가 지원되는 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기반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도 1과 같은 구축 환경에 따라 접근(또는 액세스)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사용자(2)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의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최초 사용자 등록과 소유한 건축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입력된 정보들은 시스템(10)의 건물 데이터 관리부(12)에 마련된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으로부터 가입 승인 및 서비스 권한이 부여되면 사용자(2)는 건물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다른 서비스들 보다 우선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분석 서비스의 요청으로 인해 시스템(1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건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 정보, 환경 정보들이 건물 프로파일 및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3 및 14)에 의해 호출된다. 건물 프로파일 및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3 및 14)는 에너지 소요량 평가와 소비등급 평가를 수행하고, 에너지 소비 패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유사 건물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벤치마크 결과 등을 계산할 수 있다. 건물 프로파일 및 에너지 소비량 분석부(13 및 14)에 의해 평가 및 계산된 결과들은 데이터베이스에 다시 저장되며, 사용자 (2)는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11)를 통해 그래프 차트 등의 형태로 작성된 보고서를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2)는 요청한 건물에 대한 에너지 소비 수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 방안에 대한 보고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이러한 보고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2)는 건물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추천 서비스의 요청에 응답하여 건물 에너지 절감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 및 경제성 평가부(15,16, 및 17)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건물 에너지 분석 결과와 절감방안에 따른 리모델링 항목을 도출한다. 건물 에너지 절감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 및 경제성 평가부(15,16, 및 17)는 사용자의 요구사항(비용, 스펙)에 맞춘 설비와 자재를 추천하여 리모델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2)는 추천 받은 리모델링 항목의 설비와 자재들을 선택하여 해당 항목들에 대한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한 요청을 받은 건물 에너지 절감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 및 경제성 평가부(15,16, 및 17)는 경제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여 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2)는 경제성 평가 결과를 확인한 후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을 실제로 수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리모델링 시공업체(20)를 통해 실제 리모델링이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2) 또는 리모델링 시공업체(20)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건물 개보수 이력 정보를 입력하고 그에 따른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리모델링이 완료된 이후에 완료 보고가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등록되면, 완료된 시점에 대한 건물 에너지 분석 서비스가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분석 서비스는 주기적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시에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2)는 해당 건물의 에너지 소비 정보 및 개보수 이력 정보들을 시기별로 기록화 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의 동작 제어 플로우챠트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0에서 건물 에너지 정보를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이 수신하면, 동작 S40에서 건물 에너지 분석이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건물 에너지 정보는 건축정보, 기계정보, 전기 설비 정보, 및 에너지 사용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축 정보는 벽체, 지붕, 바닥, 및 창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 정보는 냉방, 난방, 팬, 및 펌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설비 정보는 조명, 및 전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사용량 정보는 전기, 수도, 가스, 지역난방, 및 유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에너지 정보는 또한 기상정보 및 내부 환경 센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에너지 분석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소비량(연간 소비량, 월간 소비량, 일간 소비량, 및 실시간 소비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과, 건물의 특성(건축물 용도, 준공일자, 규모, 면적, 구조, 외피, 내피, 및 설비 중 하나 이상을 포함)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에 의해 건물 에너지 소비 등급 평가, 에너지 소비 패턴, 및 에너지 절감 방안 중의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동작 S50에서 건물 리모델링 추천 결과 및 경제성 평가가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동작 S60에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10)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평가 결과가 제공된다.
건물에너지 절감율은 기축 건물이 신축 건물에 비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기축 건물의 리모델링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건물 관리자는 단기간 저 비용으로 자신의 건물에 대한 에너지 진단 및 리모델링 요소들을 본 발명의 서비스를 통해 받을 수 있다. 효율적인 리모델링 추진 방안에 대한 의사결정이 최적으로 지원된다. 또한, 향후 건물의 개보수 이력과 에너지 운영 기록들이 시기별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유지보수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가 국가 차원에서 지원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오래되고 규모가 큰 공공 기관의 건물에 대해 우선적으로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차후 민간 건물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가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제도적인 서비스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건물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전체 에너지 절감이 도모될 수 있다. 더구나, 그러한 서비스가 국가별로 지원되는 경우에 지구 환경 및 에너지 이슈에 대처할 수 있는 요인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를 통해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4: 인터넷
10: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
11: 온라인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
16: 건물 리모델링 항목 추천부

Claims (19)

  1.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정보를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건물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고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 및/또는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에너지 정보는 인터넷 기반의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기반하여 웹 표준을 준수하는 브라우저를 탑재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정보 입출력 및 서비스의 요청 및 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에너지 정보는 벽체, 지붕, 바닥, 및 창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축정보; 냉방, 난방, 팬, 및 펌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계정보; 조명, 및 전열 중의 적어도 하나 상을 포함하는 전기 설비에 대한 정보; 전기, 수도, 가스, 지역난방, 및 유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에너지 사용량 정보; 및 기상정보 및 내부 환경 센서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에너지 정보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거나 국가나 담당 기관에 의해 인증된 공공 데이터 센터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신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석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소비량과 건물의 특성을 분석함에 의해 건물 에너지 소비 등급 평가, 에너지 소비 패턴, 및 에너지 절감 방안 중의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는 상기 에너지 절감 방안을 통해 건물에서 리모델링이 필요한 항목들을 각기 도출하며, 각 항목들에 대해 합리적인 설비 및 자재를 추천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및 자재의 추천은 사용자의 요구사항(비용, 성능지표, 제조사, 및 시공일자 중 하나이상을 포함)을 수신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리모델링용 설비 및 자재 항목들을 출력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 평가 서비스는, 리모델링용 설비 및 자재 항목들에 근거하여 리모델링 진행 시의 경제성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 평가 결과는 건물 리모델링 투자비 회수의 년수, 건물 에너지 절감율, 및 건물 성능 향상 결과 중의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 평가 결과 이후 사용자의 최종 리모델링 의사 결정에 의해 리모델링 진행이 확정된 경우, 상기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에서 시스템에 등록된 에너지절약업체(ESCO업체)와 현장 연결을 지원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절약업체는 상기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과의 접속에 대한 권한을 가지며, 공사 계약 건물에 대한 리모델링 현황 보고서와 결과 보고서를 웹을 통해 등록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에 의해 리모델링 결과 보고서와 함께 리모델링 이력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에서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 지속적인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수행함에 의해 건물 에너지 운영 이력관리가 제공되도록 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4.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
    수신된 건물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는 에너지 분석 서비스부;
    상기 에너지 분석 서비스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부; 및
    상기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부의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가 리모델링 추천으로 결정될 때 리모델링용 설비 및 자재 항목들에 근거하여 리모델링 진행 시의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는 경제성 평가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석 서비스부는, 사용자의 건물 에너지 소비량과 건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건물 에너지 소비 등급 평가, 에너지 소비 패턴, 및 에너지 절감 방안 중의 적어도 하나이상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델링 추천 서비스부는 상기 에너지 절감 방안을 통해 건물에서 리모델링이 필요한 항목들을 각기 도출하며, 각 항목들에 대해 분석된 설비 및 자재를 추천하는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
  17. 요청된 리모델링 건물에 대한 에너지 정보를 사용자 가시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건물에 대한 수신된 에너지 정보에 기반하여 에너지 분석 서비스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에너지 분석 서비스의 결과에 근거하여 리모델링 추천을 결정하고;
    상기 리모델링 추천의 결정 시에 상기 건물이 리모델링 되었을 경우에 대한 경제성 평가 서비스를 웹 상에 구축된 온라인 기반 건물 리모델링 지원 시스템을 통해 제공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건물 에너지 정보는 상기 건물에 대한 건축정보, 상기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성 평가 서비스는 건물 리모델링 투자비 회수의 년수, 건물 에너지 절감율, 및 건물 성능 향상 결과 중의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하는 건물 리모델링 온라인 서비스 방법.
KR1020160028964A 2016-03-10 2016-03-10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05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64A KR20170105828A (ko) 2016-03-10 2016-03-10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64A KR20170105828A (ko) 2016-03-10 2016-03-10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28A true KR20170105828A (ko) 2017-09-20

Family

ID=6003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64A KR20170105828A (ko) 2016-03-10 2016-03-10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828A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34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전력공사 빌딩 에너지 관리 지원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90061833A (ko) 2017-11-28 2019-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KR20190081616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큐아이소프트(주)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KR20190142828A (ko) * 2018-06-19 2019-12-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에너지 효율마켓 중개시스템
WO2020059970A1 (ko) * 2018-09-21 2020-03-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물 외피 리모델링을 위한 시공 시나리오 선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45876A (ko) 2019-06-19 2020-12-31 한국부동산원 건축물의 리모델링 사업성 통합평가지수를 통한 리모델링 사업성 통합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KR20210060118A (ko) * 2019-11-18 2021-05-26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웹 기반 저층 주거 건축물 에너지 기술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0007A (ko) * 2019-11-18 2021-05-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하는 방수 공사와 누수보수 공사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10065793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서브미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공급처 추천 방법
US11210750B2 (en) 2018-11-29 2021-1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improvement verification of buildings
KR20220003208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주위환경기반 건축자재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7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위치기반 건축자재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6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위치기반 건물시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9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특성값을 이용한 건축자재 선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03205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건물시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22782B1 (ko) * 2022-10-24 2023-04-1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리모델링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34236B1 (ko) * 2021-12-07 2023-05-17 천혜림 친환경 건축 프로젝트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장치
KR102539088B1 (ko) * 2021-11-26 2023-06-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물 리모델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KR102556859B1 (ko) * 2022-12-15 2023-07-20 (주)제이에이치에너지 건축물 에너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34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전력공사 빌딩 에너지 관리 지원 시스템, 이의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190061833A (ko) 2017-11-28 2019-06-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개방형 운영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사용한 운영 방법
KR20190081616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큐아이소프트(주) 가격과 성능을 함께 고려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정보 제공 및 거래 중개 방법
KR20190142828A (ko) * 2018-06-19 2019-12-3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에너지 효율마켓 중개시스템
WO2020059970A1 (ko) * 2018-09-21 2020-03-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물 외피 리모델링을 위한 시공 시나리오 선정 방법 및 장치
US11210750B2 (en) 2018-11-29 2021-1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energy improvement verification of buildings
KR20200145876A (ko) 2019-06-19 2020-12-31 한국부동산원 건축물의 리모델링 사업성 통합평가지수를 통한 리모델링 사업성 통합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KR20210060118A (ko) * 2019-11-18 2021-05-26 (주)미래환경플랜건축사사무소 웹 기반 저층 주거 건축물 에너지 기술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0007A (ko) * 2019-11-18 2021-05-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하는 방수 공사와 누수보수 공사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10065793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레티그리드 서브미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공급처 추천 방법
KR20220003208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주위환경기반 건축자재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7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위치기반 건축자재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6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위치기반 건물시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209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특성값을 이용한 건축자재 선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03205A (ko)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피엔에스홈즈 건물시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088B1 (ko) * 2021-11-26 2023-06-0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건축물 리모델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바이스
KR102534236B1 (ko) * 2021-12-07 2023-05-17 천혜림 친환경 건축 프로젝트를 통합 관리하는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 및 장치
KR102522782B1 (ko) * 2022-10-24 2023-04-17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리모델링 맞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56859B1 (ko) * 2022-12-15 2023-07-20 (주)제이에이치에너지 건축물 에너지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5828A (ko) 건물 리모델링을 지원하는 온라인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Pallonetto et al. Demand response algorithms for smart-grid ready residential buildings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CN102349030B (zh) 使用包括图形用户接口的电器的远程显示和自动检测的能量使用监控
Ostermeyer et al. Multidimensional Pareto optimization as an approach for site-specific building refurbishment solutions applicable for life cycle sustainability assessment
Caccavelli et al. TOBUS—a European diagnosis and decision-making tool for office building upgrading
Hernandez et al. Life-cycle assessment of buildings
US202203184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heating and gross energy load modification modeling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D'Angelo et al. A novel BIM-based process workflow for building retrofit
US202303597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mplementation of building equipment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with the aid of a digital computer
Stegnar et al. Information needs for progressive BIM methodology supporting the holistic energy renovation of office buildings
Mashayekhi et al. A decision-making framework opted for smart building's equipment based on energy consumption and cost trade-off using BIM and MIS
Spudys et al. Classifying the operational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with the use of digital twins
Apostolopoulos et al. Αn integrated life cycle assessment and life cycle costing approach towards sustainable building renovation via a dynamic online tool
Fritz Economic assessment of the long-term development of buildings' heat demand and grid-bound supply: a case study for Vienna
Ibn-Mohammed Retrofitting the built environment: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energy systems
Cheng et al. Return on investment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 review
D’Angelo et al. BIM-based business process model to support systematic deep renovation of buildings
Wahlström et al. Total Concept—For Better Decisionmaking about Energy Efficiency Investments in Non-Residential Buildings
KR101109327B1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너지 집계 및 분석방법
Andrade Early stage design methodology to ensure life cycle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buildings
White et al. Facilities management
Iyer et al. Establishing a commercial buildings energy data framework for India: A comprehensive look at data collection approaches, use cases and institutions
CN108564302A (zh) 电能质量经济损失及节能效益评估与分析系统建立方法
Christensen et al. BEopt-CA (Ex): A Tool for Optimal Integration of EE, DR and PV in Existing California Homes
Jaques Measuring Our Sustainability Progress: New Zealand's New Detached Residential Housing Stock (first Upd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