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458A -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458A
KR20170105458A KR1020170113020A KR20170113020A KR20170105458A KR 20170105458 A KR20170105458 A KR 20170105458A KR 1020170113020 A KR1020170113020 A KR 1020170113020A KR 20170113020 A KR20170113020 A KR 20170113020A KR 20170105458 A KR20170105458 A KR 2017010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ank
sludge
wastewater
nitr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161B1 (ko
Inventor
구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21세기 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21세기 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21세기 환경
Priority to KR1020170113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16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폭기침전조를 제1, 2, 3공간부로 구획하여, 제1공간부에서는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여 서서히 녹아 인을 흡착, 제거하는 제1담체를 설치하고 탈기부를 마련하여 질소 성분을 암모니아 기체로 배출시키며, 제2공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내부 반송시키고, 제3공간부에서 처리된 하,폐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질소와 인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용 질소,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device for wastewater}
본 발명은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폭기침전조를 제1, 2, 3공간부로 구획하여, 제1공간부에서는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여 서서히 녹아 인을 흡착, 제거하는 제1담체를 설치하고 탈기부를 마련하여 질소 성분을 암모니아 기체로 배출시키며, 제2공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내부 반송시키고, 제3공간부에서 처리된 하,폐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질소와 인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폐수의 고도처리용 질소,인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폐수에서 질소와 인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무산소조와 혐기조를 이용한 방법을 취해 왔으며, 주로 A20공법, VIP공법 등이 있으나 모두 무산소조와 혐기조를 변형한 공법들이다. 무산소조와 혐기조는 질소와 인을 제거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무산소조에서는 내부 반송된 질산화물이 탈질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됨으로써 질소가 제거되고, 혐기조에서는 호기성 조건에 노출된 탈인 미생물이 인을 과량으로 섭취한 슬러지를 폐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인 제거가 이루어진다. 인 농도와 유기물 농도가 낮아진 상등수는 호기조에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질산화되고 다시 무산소조로 내부 반송되어 탈질화됨으로써 질소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A20공법은 혐기-호기(A/O) 공법을 개량하여 질소,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로 구성되며, 질산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 반송과 무산소조에서 혐기조로의 내부 반송 및 침전조 슬러지 반송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VIP(Virginia Initiative Plant)공법은 A20공법을 변현한 것으로서,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로 구성되나, 무산소조에서 질산성 질소를 제거한 후 혼합액을 혐기조 앞으로 반송시키고, 호기조에서 질산화된 하,폐수를 반송슬러지와 함께 탈질을 위하여 무산소조로 재순환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폐ㆍ하수 중의 질소 및/또는 인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시설은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와 같은 생물반응조를 포함하는데, 상기 생물반응조는 혐기영역, 무산소영역, 호기영역 등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생물학적으로 질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호기영역과 무산소영역이 요구되며, 호기영역에서 암모니아성 질소가 산화되면, 산화된 결과물인 질산염이 무산소영역에서 질산염을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종속 영양 미생물에 의해 질소가스로 탈질산화되어 제거된다. 또한, 생물학적으로 인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혐기영역과 호기영역 또는 무산소영역이 요구되며, 혐기영역에서 인을 과잉섭취하는 미생물인 PAO(phosphate accumulating organism)가 인을 방출하면서 휘발성 유기산을 흡수하여 체내에서 PHA(poly-hydroxy alkanoate)를 합성하면, 호기영역 또는 무산소영역에서 상기 PAO가 PHA를 이용하여 성장하면서 인을 과잉섭취하고, 이와 같이 인을 과잉섭취한 PAO를 슬러지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인을 제거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는 경우, 폐ㆍ하수가 유입되는 혐기조에 침전조로부터의 슬러지도 반송 슬러지관을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당량의 질산염에 의해 인의 처리가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유입되는 폐ㆍ하수에 포함된 유기산 및 생물학적 이분성 COD(RBCOD, readily biodegradable COD)가 혐기조에서 PAO에 의해 이용되기 전에 인을 과잉섭취하지 않은 일반 탈질 미생물(ordinary denitrifying heterotrophic organism)에 의해 먼저 소모되므로, PAO는 체내에 PHA를 충분히 합성하지 못하여 이후 호기조에서 인을 흡수하지 못하고, 인은 그대로 처리수와 함께 방류된다. 특히 일반적인 국내 하수와 같이TKN(total kjeldahl nitrogen)/COD 및 TP(total phosphorus)/COD 비율은 높고 COD 중에서 RBCOD의 함량은 낮은 조건에서는 A2O 공법에 의한 인처리 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696호에는 A2O의 단점인 혐기조로의 반송 슬러지 유입에 따른 질산염 부하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수정 요하네스버그공법의 단점인 반송슬러지 질산염의 탈질산화에 높은 유입 폐ㆍ하수 RBCOD 소모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 인의 제거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생물학적 폐ㆍ하수 처리장치를 개발하였다.
한편, 수질분야에서는 AF(Anaerobic Filter)나 UASB(Upflow anaerobic Sludge Blanket), SBBR(Seqeuncing Batch Biofilm Reactor) 등의 미생물 충전형 하수 및 폐수처리시설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에서는 대부분 질소와 함께 인의 제거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생물학적 인제거 공법에서는 슬러지의 과잉 인방출을 위해 혐기조를 추가하는데 이때 유입수 내의 유기물을 탈질 미생물과 경쟁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하,폐수 처리 효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폭기침전조를 제1, 2, 3공간부로 구획하여, 제1공간부에서는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여 서서히 녹아 인을 흡착, 제거하는 제1담체를 설치하고 탈기부를 마련하여 질소 성분을 암모니아 기체로 배출시키며, 제2공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내부 반송시키고, 제3공간부에서 처리된 하,폐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질소와 인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는 무산소조, 혐기조, 폭기조 및 접촉폭기침전조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폭기침전조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격판 및 제2격판에 의해 하,폐수가 유입되는 제1공간부와, 침전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제2공간부와, 상기 하, 폐수가 배출되는 제3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는 제1담체, 산기관 및 탈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간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에어리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3공간부에는 제2담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격판 및 제2격판은 상기 접촉폭기침전조의 바닥에서 이격하여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하,폐수가 상기 제1담체, 제2공간부 및 제2담체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상기 탈기부는 상기 제1담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담체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공간부의 수면 위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한 하,폐수를 상기 제1공간부의 수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공간부 및 제3공간부 바닥은 상기 제2공간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기관은 상기 제1담체 쪽으로 에어를 공급하되, 상기 제1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상기 탈기부는 상기 흡입관의 하단이 상기 산기관과 제1담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담체를 통과한 하,폐수를 흡입하여 분사하고, 상기 제1담체를 통과한 슬러지는 상기 제1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제1, 3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에 의해 구획되어 아래로 요입된 상기 제2공간부 바닥으로 침전되며, 상기 에어리프트는 상기 제2공간부 바닥에 배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된 탈기부에 의한 암모니아 기체의 제거와, 상기 제2공간부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에 함유된 인의 제거가 상기 접촉폭기침전조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동시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에 의하면 접촉폭기침전조를 제1, 2, 3공간부로 구획하여, 제1공간부에서는 알칼리 성분을 함유하여 서서히 녹아 인을 흡착, 제거하는 제1담체를 설치하고 탈기부를 마련하여 질소 성분을 암모니아 기체로 배출시키며, 제2공간부에서 침전된 슬러지를 내부 반송시키고, 제3공간부에서 처리된 하,폐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질소와 인 제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의 각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폭기침전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의 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의 각 구성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폭기침전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100)는 크게 유량조정조(101), 무산소조(104), 혐기조(105), 폭기조(110), 활성화조(160), 접촉폭기침전조(130), 소독조(150), 방류조(153) 및 슬러지 저류조(17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정조(101)는 과 공급되는 하,폐수에 의해 폭기조 등에 걸리는 부하를 낮추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산기관(180) 및 에어리프트(185)가 설치된다.
유입되는 하,폐수는 계절적으로 주말과 평일, 하루 중 시간대별로 유입되는 양이 다르며, 수질 면으로도 큰 변동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폭기조 내의 하,폐수 체류시간, 오염 농도가 설계 계획치보다 다르게 되어 폭기조 내의 미생물에 악영향을 끼치고 처리 수질의 악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로 최초 유입되는 하,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101)에서 일정시간 동안 체류시켜 수량의 변동을 감소시키고, 수질이 균등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정조(101)에 설치된 산기관(180)에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하,폐수 내 용존 산소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고 침전물이 쌓이는 것을 막는다. 상기 에어리프트(185)를 이용하여 상기 유량조정조(101)의 하,폐수를 무산소조(104)로 공급한다.
상기 무산소조(104) 및 혐기조(105)는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산소조(104)에서는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에서 내부 반송된 질산화물이 탈질미생물에 의해 탈질화됨으로써, 질소가 제거된다.
상기 혐기조(105)는 탈인 미생물이 인 성분을 과량으로 섭취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혐기조(105)를 거쳐 인 농도와 유기물 농도가 낮아진 상등수는 폭기조(110)를 거치면서 질산화 미생물에 의해 질산화되고 다시 무산소조(104)로 내부 반송되어 탈질화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산소조(104) 및 혐기조(105)에는 각각 교반펌프(106)가 설치된다.
상기 폭기조(110)는 미생물과 하,폐수의 접촉을 원활히 시켜줌으로써, 하,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미생물의 먹이로 소모되어 정화되는데, 구체적으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과정을 거치게 되면 비침전성 미세 입자 또는 하,폐수에 용존된 물질들이 슬러지(미생물 floc)로 전환된다. 상기 폭기조(110)에서 발생한 슬러지는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에서 침전과정 등을 거치면서 상등수와 분리된다.
상기 폭기조(110)는 격판(117)으로 구획되어 상기 혐기조(105)에서 하,폐수가 유입되는 폭기부(111)와, 폭기 처리된 하,폐수를 배출하는 배출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폭기부(111)에는 하,폐수 상에 부유하는 유동상여재(113)가 마련되고, 바닥에는 산기관(180a)이 설치된다.
상기 유동상여재(113)는 하,폐수에 부유하는 섬모상, 우드칩, 스티로폼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미생물을 수용하여 유기물 등을 슬러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격판(117)은 하부가 바닥에서 이격되어 상기 폭기부(111)의 하,폐수 및 슬러지가 상기 배출부(115)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15)에는 에어리프트(185a)가 설치되어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상기 무산소조(104)로 내부 반송한다.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격판(145) 및 제2격판(145a)에 의해 하,폐수가 유입되는 제1공간부(131)와, 침전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제2공간부(137)와, 상기 하, 폐수가 배출되는 제3공간부(140)로 구획된다.
상기 제1공간부(131)에는 제1담체(132), 산기관(180b) 및 탈기부(134)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간부(137)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에어리프트(185b)가 설치되고, 상기 제3공간부(140)에는 제2담체(141)가 설치된다.
상기 제1격판(145) 및 제2격판(145a)은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의 바닥에서 이격하여 상기 제1공간부(131)로 유입된 하,폐수가 상기 제1담체(132), 제2공간부(137) 및 제2담체(14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산기관(180b)은 상기 제1담체(132)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담체(132) 쪽으로 에어 등을 공급하여 접촉시킨다.
한편, 상기 제1담체(132)는 제1공간부(131)에 횡으로 배치된 망부재(133)(펀칭망) 상에 놓이며, 맥반석 분말, 황토, 활성탄 분말, 소석회 분말, 굴껍질 분말, 탈크로 이루어지는 분말 중 적어도 2가지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1~5중량부 및 물 50~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 및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블록 또는 펠렛 형태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담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365호에 개시된 하폐수처리용 고체 담체를 이용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담체(132)가 블록 형태인 경우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131)에 횡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구획한다.
상기 제1담체(132)는 상기 산기관(180b)을 통해 폭기되는 산소 또는 에어에 접촉되면서 서서히 녹아, 인을 응집 및 침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담체(132)에 의해 알칼리성으로 되면, 하,폐수에 함유된 암모늄 이온(NH4 +)은 암모니아(NH3) 기체로 환원되는데, 상기 탈기부에서는 알칼리성의 하,폐수를 대기 상에서 분사하여 환원된 암모니아 기체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탈기부(134)는 상기 제1담체(132)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담체(132)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공간부(131)의 수면 위에 배치되는 흡입관(135)과, 상기 흡입관(135)에서 흡입한 하,폐수를 상기 제1공간부(131)의 수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공간부(140)에는 제2담체(141)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3공간부(140)에 횡으로 배치된 망부재(142)(펀칭망) 상에 우드칩 또는 다공성 펠렛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상기 제2공간부(137)에 침전된 슬러지를 여과하여 침전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담체(141)는 상기 제1담체(132)와 달리 녹지 않으며,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생물 서식이 용이하고 부유하는 물질을 흡착하고 정화한다.
상기 제2공간부(137)는 한 쌍의 격판(145,145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으로서 침전된 슬러지를 내부 반송하도록 바닥에는 에어리프트(185b)가 설치되고, 수면 근처에는 스컴제거기(138)가 설치된다.
상기 스컴제거기(138)에 의해 제거된 스컴(거품)은 무산소조(104)로 내부 반송된다.
상기 에어리프트(185b)에 의해 흡입된 슬러지는 상기 유량조정조(101), 무산소조(104), 폭기조(110) 또는 슬러지저류조(170)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공간부(131) 및 제3공간부(140) 바닥은 상기 제2공간부(137) 쪽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간부(131) 및 제3공간부(140)의 경사진 바닥을 타고 내려온 슬러지는 제2공간부(137) 바닥으로 모이게 되므로, 에어리프트(185b)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여 내부 반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공간부(131)에서는 제1담체(132)에 함유된 알칼리 성분(예를 들어, 석회 성분)에 의해 인이 침전하여 제거됨과 동시에, 탈기부(134)에서 분사되는 알칼리성의 하,폐수에서 암모니아 기체가 탈기된다.
상기 활성화조(160)는 (토양성)미생물을 배양 내지 활성화시키는 곳으로서, 미생물 배양 리엑터(161)와, 상기 미생물 배양 리엑터(161)로 산소 또는 에어를 공급하는 산기관(180c)이 마련된다.
상기 활성화조(160)에서는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에서 내부 반송되는 슬러지의 일부를 공급받아 상기 산기관(180c), 미생물 배양 리엑터(161)를 통해 배양슬러지를 만들어 상기 폭기조(11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양슬러지의 농도는 2,000~8,000mg/l, 용존산소 1.0~2.0mg/l인 상태에서 유입되는 에어 등에 의해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소독조(150)는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의 제3공간부(140)에서 공급되는 하,폐수에 함유된 미생물을 살균 내지 멸균하는 것으로서, 자외선 살균기(151)가 설치된다.
상기 자외선 살균기(151)는 소독조 내의 하,폐수에 담겨지며 미생물에 치명적인 자외선을 방사하여 살균하게 된다.
상기 자외선의 살균작용은 20~28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과 같은 각종 세균의 세포막을 투과하여 더 이상 세포 증식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DNA를 손상시킨다.
상기 방류조(153)는 자외선 살균까지 마친 하,폐수를 방류하기 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는 것으로서, 월류웨어(155)를 설치하여 상등수를 방류한다.
상기 슬러지 저류조(170)는 상기 접촉폭기침전조(130)에서 내부 반송되는 슬러지를 공급받아 일시 저류하는 것으로서, 슬러지의 균등화 및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기관(180d)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저류조(170)의 상등수는 유량조정조(101)로 보내지고, 저류된 슬러지는 외부로 반출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과정을 살펴보면, 슬러지저류조(170)에서 내부 반송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하,폐수는 유량조정조(101)→ 무산소조(104)→혐기조(105)→폭기조(110)→접촉폭기침전조(130)의 제1,2,3공간부(131,137,14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질소와 인이 제거된 다음, 소독조(150)와 방류조(153)에서 최종 처리된 다음 외부로 방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질소,인 제거 장치 101 : 유량조정조
104 : 무산소조 105 : 혐기조
106 : 교반펌프 110 : 폭기조
111 : 폭기부 113 : 유동상여재
115 : 배출부 117 : 격판
130 : 접촉폭기침전조 131 : 제1공간부
132 : 제1담체 133 : 망부재
134 : 탈기부 135 : 흡입관
136 : 분사노즐 137 : 제2공간부
138 : 스컴제거기 140 : 제3공간부
141 : 제2담체 142 : 망부재
145,145a : 격판 150 : 소독조
151 : 자외선 살균기 153 : 방류조
155 : 월류웨어 160 : 활성화조
161 : 배양 리엑터 170 : 슬러지 저류조
180 : 산기관 185 : 에어리프트

Claims (1)

  1. 무산소조, 혐기조, 폭기조 및 접촉폭기침전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폭기침전조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격판 및 제2격판에 의해 하,폐수가 유입되는 제1공간부와, 침전된 슬러지를 수용하는 제2공간부와, 상기 하, 폐수가 배출되는 제3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는 제1담체, 산기관 및 탈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간부에는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에어리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3공간부에는 제2담체가 설치되며,
    상기 제1격판 및 제2격판은 상기 접촉폭기침전조의 바닥에서 이격하여 상기 제1공간부로 유입된 하,폐수가 상기 제1담체, 제2공간부 및 제2담체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상기 탈기부는 상기 제1담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1담체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공간부의 수면 위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한 하,폐수를 상기 제1공간부의 수면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공간부 및 제3공간부 바닥은 상기 제2공간부 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산기관은 상기 제1담체 쪽으로 에어를 공급하되, 상기 제1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에 설치되며,
    상기 탈기부는 상기 흡입관의 하단이 상기 산기관과 제1담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담체를 통과한 하,폐수를 흡입하여 분사하고,
    상기 제1담체를 통과한 슬러지는 상기 제1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제1, 3공간부 바닥의 경사면에 의해 구획되어 아래로 요입된 상기 제2공간부 바닥으로 침전되며, 상기 에어리프트는 상기 제2공간부 바닥에 배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부에 배치된 탈기부에 의한 암모니아 기체의 제거와, 상기 제2공간부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에 함유된 인의 제거가 상기 접촉폭기침전조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동시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KR1020170113020A 2017-09-05 2017-09-05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KR10187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20A KR101872161B1 (ko) 2017-09-05 2017-09-05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20A KR101872161B1 (ko) 2017-09-05 2017-09-05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64A Division KR20160147560A (ko) 2015-06-15 2015-06-15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458A true KR20170105458A (ko) 2017-09-19
KR101872161B1 KR101872161B1 (ko) 2018-08-02

Family

ID=6003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20A KR101872161B1 (ko) 2017-09-05 2017-09-05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1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1163A (zh) * 2018-01-29 2018-06-22 吕舒宏 一种便于移动的小型污水过滤罐
CN108314274A (zh) * 2018-04-20 2018-07-24 李思琦 一种可减少污泥量的循环清洁污水处理方法
KR102031066B1 (ko) * 2019-07-29 2019-10-11 (주)화인테크워터 배양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770A (ko) * 2005-01-25 2006-07-28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87567B1 (ko) * 2008-06-24 2009-03-09 주식회사 정우환경산업 오폐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770A (ko) * 2005-01-25 2006-07-28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87567B1 (ko) * 2008-06-24 2009-03-09 주식회사 정우환경산업 오폐수 처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1163A (zh) * 2018-01-29 2018-06-22 吕舒宏 一种便于移动的小型污水过滤罐
CN108314274A (zh) * 2018-04-20 2018-07-24 李思琦 一种可减少污泥量的循环清洁污水处理方法
KR102031066B1 (ko) * 2019-07-29 2019-10-11 (주)화인테크워터 배양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161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208B1 (ko) 생물 여과 기술을 이용하는 회분식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수처리방법
US6423229B1 (en) Bioreactor systems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KR20160147560A (ko)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WO2006003026A1 (en) A biofilm reactor
KR20190075188A (ko) 미생물 고정화 고분자 담체를 이용한 고농도 질소함유 하·폐수처리장치
KR101895833B1 (ko) 생흡착조와 활성화조를 이용한 폐수의 고도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1872161B1 (ko) 하,폐수의 질소,인 제거 장치
KR100940123B1 (ko)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KR100887567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WO2021074307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0702194B1 (ko) 침지식 분리막과 황탈질 공정을 이용한 오ㆍ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20130098815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KR100321679B1 (ko) 분배유입방식을이용한폐수의정화방법
KR0140446B1 (ko) 하수처리 장치
KR101048666B1 (ko) 부유식과 부착식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공정 및 물리화학적 인 제거공정을 결합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KR20060031141A (ko) 순환식 분리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102052163B1 (ko)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32068B1 (ko) 고효율 회분식 공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24524A (ko) 오ㆍ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오ㆍ폐수 고도처리 방법
KR200332092Y1 (ko) 격벽형 무산소조와 침지형 막분리조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424092B1 (ko) 질산성 질소 처리장치
KR100416693B1 (ko) 2단 폭기방식을 이용한 하수의 영양소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000013729A (ko) 유기성 폐수의 유기물, 인 및 질소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0530555B1 (ko) 소규모의 생물학적 오하수 고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89328B1 (ko) 격벽형 무산소조와 침지형 막분리조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