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188A -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188A
KR20170105188A KR1020160028044A KR20160028044A KR20170105188A KR 20170105188 A KR20170105188 A KR 20170105188A KR 1020160028044 A KR1020160028044 A KR 1020160028044A KR 20160028044 A KR20160028044 A KR 20160028044A KR 20170105188 A KR20170105188 A KR 20170105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ver
toile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원호
Original Assignee
나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원호 filed Critical 나원호
Priority to KR102016002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188A/ko
Publication of KR2017010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47Covers with sliding wings or wings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6Bowl with flushing cistern mounted on the rearwardly extending end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및 대변의 처리가 가능한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를 구성함에 있어 남성들이 사용하는 소변기와 남여 모두 사용 가능한 좌변기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남성으로 하여금 소변과 대변의 간편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공동 화장실의 남성 화장실에 변기를 설치시 변기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특히 화장실을 시설함에 있어 남성 화장실과 여성 화장실의 동일한 공간으로의 시설이 가능하게 하는 등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세대 건축물의 경우 남성이 소변시 소변이 불규칙하게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화장실이나 변기의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다음 사용자로 하여금도 불쾌감 없이 청결한 변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여성의 사용이나 대변의 사용시 사용되는 좌판에 대하여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남성이 소변시 변기내로 처리된 소변이 전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Combine a toilet bowl and urinal toilet}
본 발명은 소변 및 대변의 처리가 가능한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이 사용하는 소변기와 남성이나 여성 모두가 사용 가능한 좌변기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남성으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소변은 물론 대변까지 간편하게 사용 가능하게 하고, 변기 설치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toilet)는, 사람의 신체에서 배출되는 대변이나 소변 등의 노폐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크게 소변의 처리가 가능한 소변기와 대변 및 소변을 겸용하여 처리 가능한 좌변기 또는 양변기로 구분된다.
이때 소변기는, 대변의 처리는 불가능하고 소변의 처리만 가능하되, 이 또한 서서 소변의 처리가 가능한 남성의 경우만 사용 가능하며, 벽체 등에 수직 길이 방향으로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좌변기는, 소변기와 달리 앉아서 변의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며, 엉덩이부가 변기에 닿지 않도록 쭈그리고 앉아서 변의 처리가 가능한 좌변식과,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변기 위에 앉아서 변의 처리가 가능한 양변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좌변기는, 소변은 물론 대변의 처리까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남성이나 여성 구분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터미널이나 휴게소, 고층건물과 같이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동 화장실의 경우 남성 화장실과 여성 화장실로 구분되는 것인데, 남성 화장실의 경우 통상 남성의 신체 구조상 좌변기에 소변을 처리시 소변이 주변으로 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청결상이나 위생상으로도 좋지 못하여 소변기와 좌변기를 각각 분리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변기는, 구분 설치에 따라 남성 화장실의 시설시 여성 화장실에 비해 상당한 시설 공간이 요구되면서도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 되는 등 공간활용성 및 경제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이러한 남성 화장실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여성 화장실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고 변기의 수량 또한 적게 시설되는 문제점이 있어 여성으로 하여금 피해를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자에 들어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세대 건축물의 경우 화장실에는 좌변기만이 설치되는 것인데, 이러한 좌변기는 여성의 경우 무난하게 소변의 처리가 가능하였으나, 남성의 소변시 소변이 불규칙하게 사방으로 튀어 청결상이나 위생상 매우 좋지 못하였으며, 이로인해 다음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08971호.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79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변기를 구성함에 있어 남성들이 사용하는 소변기와 남여 모두 사용 가능한 좌변기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남성으로 하여금 소변과 대변의 간편한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공동 화장실의 남성 화장실에 변기를 설치시 변기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특히 화장실을 시설함에 있어 남성 화장실과 여성 화장실의 동일한 공간으로의 시설이 가능하게 하는 등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세대 건축물의 경우 남성이 소변시 소변이 불규칙하게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시 화장실이나 변기의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다음 사용자로 하여금도 불쾌감 없이 청결한 변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사용이나 대변의 사용시 사용되는 좌판에 대하여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남성이 소변시 변기내로 처리된 소변이 전면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상단 둘레에는 좌변부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좌변부와, 좌변부의 상부 후방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면 둘레에는 소변부 테두리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는 저수조가 형성된 소변부로 구성되며, 상부 및 전면이 연장되게 개방 형성된 "ㄴ"형 몸체;
좌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좌변부의 상부 좌변부 테두리를 덮어 사용하되, 후단 양측에는 좌변부를 덮을시 후방 양측을 걸어 지지하는 걸림대가 돌출 형성된 링형 좌판과, 좌판 상부를 덮어 좌변부 상부를 마감하는 좌변부 덮개로 된 좌판부; 및
소변부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소변부의 전면을 개폐하는 소변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좌변부에는,
좌변부 테두리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돌출되는 소변 차단돌부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는, 상부로 개방된 좌변부와 전면으로 개방된 소변부가 일체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어, 남성으로 하여금 하나의 변기로 소변시 소변기를 이용하고 대변시 좌변부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간편하게 소변과 대변의 간편한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동 화장실의 남성 화장실에 변기를 설치시 소변기와 좌변기를 이중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특히 화장실을 시설함에 있어 남성 화장실과 여성 화장실의 동일한 공간으로의 시설이 가능하게 되는 등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남성이 소변시 소변부의 사용으로 소변이 불규칙하게 사방으로 튀는 것이 방지되어 항시 화장실이나 변기의 청결상태가 유지 되면서도 항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다음 사용자로 하여금도 불쾌감 없이 청결한 변기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부가 측면 회전식 장착구조를 가지고 있어 간편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좌변부의 전면에 소변 차단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남성이 소변시 변기내로 처리된 소변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폐쇄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판부 경첩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판부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판부 다른 실시예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소변부 경첩 요부도.
도 9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판부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판부 다른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소변부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변부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소변부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미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좌변부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미사용 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개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폐쇄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1)는, 몸체(100)와, 좌판부(200)와, 소변부 커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남성이나 여성의 구분 없이 소변이나 대변의 겸용 처리가 가능한 좌변부(110)와, 남성 전용으로 소변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변부(120)가 일체 형성된 구조를 이루며, 메탈소재 또는 강화플라스틱 소재 또는 사기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변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이루고 상단에는 확장된 폭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좌변부 테두리(111)가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통상의 좌변기와 같이 변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한편, 좌변부(110)에는, 소변시 그 소변이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변 차단돌부(113)가 더 형성된 것으로, 이때 소변 차단돌부(113)는, 상기 좌변부 테두리(111)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면서 상방을 향하게 경사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변부(120)는, 상기 좌변부(110)와 연결되는 일체 구조를 이루며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좌변부(110)의 상부 후방에서 상부를 향하게 연장 형성되며 전면에는 확장된 폭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소변부 테두리(121)가 형성된다.
이때 연장되는 소변부(120)는, 좌변부(110)로부터 수직 또는 상부로갈수록 후방을 향하게 경사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경사 구성시에는 후방을 향하게 90~120°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소변부(120)의 후방에는, 통상의 변기 사용시 용변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수용이 가능한 저수조(122)가 형성된 것으로, 이때 저수조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좌변기 등에 적용되는 저수조면 가능하며, 이러한 저수조(122)에는 통상의 변기와 같이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레버가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몸체(100)는, 남성이나 여성이 앉아서 소변 및 대변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좌변부(110)와, 남성으로 하여금 서서 소변만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변부(120)가 일체 형성되되, 상부 및 전면이 연장되게 개방된 "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좌변부(110)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사용하는 한편, 좌변부(110) 상부를 덮어 폐쇄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210)은, 중앙이 관통 형성된 타원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좌변부(110)의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에 선택적으로 거치되게 구성되며, 후방 양측에는 좌변부 테두리(111)에 거치시 그 좌변부 테두리(111)의 후방 양측을 걸어 지지하는 걸림대(211)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변부 덮개(220)는, 상기 좌판(210)의 상부를 덮어 좌변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판부(200)의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의 전방에는 좌변부(110)를 덮을시 소변 차단돌부(113)가 간섭없이 노출되도록 좌판 절개홈(212)과 덮개 절개홈(222)이 각각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판부(200)를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회동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구성된다.
먼저, 일 실시예로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상기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 일측에서 좌판부 경첩(230)을 통해 축설되어 측면에서 좌,우 회동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는 동일한 좌판부 경첩(230)에 축설되게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 회동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판부(200)가 좌판부 경첩(230)을 통해 회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좌판부 경첩(230)은, 도 5를 참조하여 각각 절곡된 "봉" 형태를 이루는 좌판 회동구(231)와, 그 좌판 회동구(231)를 좌변부 테두리(111)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35)로 구성되며,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좌판 회동구(231)는, 먼저 좌변부(110)의 좌변부 테두리(111)를 수직 관통하여 저면으로 노출되는 설치부(232)가 구성된 것으로, 설치부(232)는 그 상부 둘레에 상기 좌변부 테두리(111)를 수직 관통시 그 좌변부 테두리(111)의 상부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지지편(232a)이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볼트(235)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32b)가 형성된다.
즉, 좌판 회동구(231)는, 설치부(232)가 좌변부 테두리(111)를 수직 관통하는 한편, 좌변부 테두리(111)의 저면에서 고정볼트(235)가 암나사부(232b)에 체결되어 좌변부 테두리(111)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232) 상단으로부터 좌변부 테두리(111)의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돌출되는 연장부(23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233)의 단부에서 직각 절곡되되, 양측의 좌판 회동구(231)의 대항되는 반대 방향 즉 양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축부(234)가 구성된다.
이에, 상기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는, 상기 축부(234)에 각각의 회동력을 가지도록 축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좌판(210)만 또는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좌판(210)을 사용시에는 그 좌판(210)을 축부(234)를 축으로 하여 좌변부(110) 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좌판(210)은 좌변부 테두리(111)의 상부에 거치되게 되며, 좌변부 덮개(220)를 사용시에는 좌변부 덮개(220)를 축부(234)를 축으로 하여 좌변부(110) 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좌변부 덮개(220)는 좌판(210)의 상부를 덮어 좌변부(11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좌변부(110)의 개방은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의 사용 역순으로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판부(200)의 회동 작동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좌변부(110) 일측에 상부 개방형 좌판부 수용박스(240)를 형성하고,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회동수단(241)을 통해 상기 좌판부 수용박스(240) 상,하 회동 삽탈 및 좌변부(110) 측으로 좌,우 회동이 연속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판부(200)가 회동수단(241)을 통해 회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동수단(241)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좌판부 수용박스(240)의 후단 상부 일측(좌변부측)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블록 형태의 지지부(24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42)에는, 전방을 향하게 수평 돌출되는 원형봉 형태의 축부(243)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축부(243)에는, 그 축부(243)의 전방에는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좌판 회동축(244)이 축부(243)를 축으로 하도록 그 축부(243)을 감싸는 한편 외측(좌변부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축부(243)에는, 그 축부(243)의 후방 즉, 좌판 회동축(244)의 후방에서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덮개 회동축(245)이 축부(243)를 축으로 하도록 그 축부(243)을 감싸는 한편 외측(좌변부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 회동축(244)과 덮개 회동축(245)은, 서로 다른 길이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좌판 회동축(244)의 길이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덮개 회동축(245)의 길이가 길게 구성함으로 서로간에 간섭이 방지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는, 먼저 좌판(210)은 후단 일측이 상기 좌판 회동축(244)에 축설되어 좌판부 수용박스(240) 내부로 상,하 회동 삽탈되는 한편 상부로 회동되어 수용박스(240)으로부터 벗어날시 좌변부(110) 측으로 좌,우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변부 덮개(220)는 후단 일측이 상기 덮개 회동축(245)에 축설되어 좌판부 수용박스(240) 내부로 상,하 회동 삽탈되는 한편 상부로 회동되어 수용박스(240)으로부터 벗어날시 좌변부(110) 측으로 좌,우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좌판(210)만 또는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를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좌판(210)을 사용시에는 그 좌판(210)을 좌판 회동축(244)을 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시켜 좌판부 수용박스(240)로부터 상부로 인출시키면 되는 것이며, 연속하여 축부(243)를 축으로 하여 좌판 회동축(244)을 좌변부(110) 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좌판(210)은 좌변부 테두리(111)의 상부에 거치되게 되며, 좌변부 덮개(220)를 사용시에는 그 좌변부 덮개(220)를 덮개 회동축(245)을 축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시켜 좌판부 수용박스(240)로부터 상부로 인출시키면 되는 것이며, 연속하여 축부(243)를 축으로 하여 덮개 회동축(245)을 좌변부(110) 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좌변부 덮개(220)는 좌판(210)의 상부를 덮어 좌변부(11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좌변부(110)의 개방은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의 사용 역순으로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좌판부 수용박스(240)의 상부는 좌변부(110) 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박스 덮개(246)이 더 형성된 것으로, 이때 수용박스 덮개(246)은 수용박스(240)와 경첩(247)을 통해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소변부 커버(300)는, 상기 소변부(120)를 사용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그 소변부(120)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소변부 커버(300)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소변부 테두리(121) 전면 일측에서 소변커버 경첩(310)을 통해 축설되어 전,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소변부(120)를 사용시 후방으로 회동 개방하여 소변의 처리가 가능하고 미사용시 또는 좌변부(110)를 사용시 전방으로 회동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변부 커버(300)가 소변커버 경첩(310)을 통해 회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변커버 경첩(310)은, 도 8을 참조하여 각각 절곡된 "봉" 형태를 이루는 커버 회동구(311)와, 그 커버 회동구(311)를 소변부 테두리(121)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315)로 구성되며, 상,하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커버 회동구(311)는, 먼저 소변부(120)의 소변부 테두리(121)를 수평 관통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설치부(312)가 구성된 것으로, 설치부(312)는 그 전방 둘레에 상기 소변부 테두리(121)를 수평 관통시 그 소변부 테두리(121)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지지편(312a)이 돌출 형성되고, 후단에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상기 고정볼트(315)가 체결되는 암나사부(312b)가 형성된다.
즉, 커버 회동구(311)는, 설치부(312)가 소변부 테두리(121)를 수평 관통하는 한편, 소변부 테두리(121)의 후면에서 고정볼트(315)가 암나사부(312b)에 체결되어 소변부 테두리(121)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312) 선단으로부터 소변부 테두리(121)의 외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돌출되는 연장부(31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313)의 단부에서 직각 절곡되되, 상,하의 커버 회동구(311)의 대항되는 반대 방향 즉 상,하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축부(314)가 구성된다.
이에, 상기 소변부 커버(300)는, 상기 축부(314)에 각각의 회동력을 가지도록 축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소변부 커버(300)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소변부 커버(300)를 사용시에는 그 소변부 커버(300)를 축부(314)를 축으로 하여 소변부(120) 측으로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소변부 커버(300)는 소변부 테두리(121)의 전면을 마감하여 소변부(12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소변부(120)의 개방은 소변부 커버(300)의 사용 역순으로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좌판부(200))를 구성함에 있어, 도 9의 도시와 같이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하나의 힌지(320)를 통해 소변부 커버(300)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소변부 커버(300)가 소변부(120)를 마감한 상태에서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힌지(320)를 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상,하 회동하여 좌변부(110)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좌판부(200)의 좌변부 덮개(220)를 구성함에 있어, 도 10의 도시와 같이 좌변부 덮개(220) 전방에는 좌변부(110)를 덮을시 소변 차단돌부(113)가 구속되도록 돌부 수용홈(223)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좌변부 덮개(220)를 이용하여 좌변부(110)를 덮을시 소변 차단돌부(113)의 노출이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즉, 좌변부 덮개(220)를 덮는 과정에서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덮개 절개홈(222)을 구성시에는 소변 차단돌부(113)의 노출로 미려함이 저하될 수 있으나, 돌부 수용홈(223)을 형성하게 되면 소변 차단돌부(113)가 완전히 차단되어 외관상의 미려함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변부(120)를 구성함에 있어, 도 11의 도시와 같이 소변부(120)의 내측 전면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게 점차 경사진 소변유도 경사면(120a)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사용자가 소변시 내측의 소변유도 경사면(120a)을 타격하게 되면 그 소변유도 경사면(120a)에서는 소변을 하부로 유도하여 소변의 튐을 상쇄시키면서 원할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1)는, 하나의 변기로 남성이나 여성의 구분없이 대변 및 소변의 처리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좌변부(110)와 소변부(120)의 선택 사용에 의해 가능하다.
먼저 좌변부(110)를 사용시에는, 통상의 좌변기의 사용과 같이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소변이나 대변의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좌변부(110)의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에 좌판부(200)의 좌판(210)을 덮어 사용하면 된다.
즉, 좌판(210)의 사용은, 도 5를 참조하여 좌판부 경첩(230)을 통해 회동 사용이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회동수단(241)을 통해 좌판부 수용박스(240)로부터 좌판(210)을 인출시켜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좌판(210)의 작동은 전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좌판(210)을 이용하여 좌변부 테두리(111)를 덮는 과정에서 좌판(210)의 전방에는 좌판 절개홈(212)가 형성된 것인바, 그 좌판 절개홈(212)를 통해 소변 차달돌부(113)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변부(11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소변부(120)는 폐쇄한 상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소변부(120)는 소변부 커버(300)를 소변커버 경첩(310)을 통해 회동시켜 폐쇄하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소변부 커버(300)의 작동은 전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좌변부(110)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용변시에는 통상의 좌변기 사용과 같이 사용자는 좌판(210)에 앉아 편안하게 소변 및 대변을 처리하면 될 것이며, 이러한 좌변부(110)의 사용은 남성이나 여성의 구분없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좌변부(110)를 사용함에 있어, 남성의 경우 소변시 그 소변이 좌변부(110)의 상부를 넘어 전방으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좌변부(110)의 좌변부 테두리(111) 내측 전면에 소변 차단돌부(113)가 돌출 형성된 것인바 소변시 전방으로 소변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소변부(120)를 사용시에는, 통상의 소변기의 사용과 같이 서서 소변의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좌변부(110)와 소변부(12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러한 개방은 전술한바와 같이 좌판부(200) 및 소변부 커버(300)의 사용 역순으로 개방하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소변부(120)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소변시에는 통상의 소변기 사용과 같이 사용자는 선 상태로 소변을 처리하면 될 것이며, 이러한 소변부(120)의 사용은 서서 소변의 처리가 가능한 남성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좌변부(110)와 소변부(120) 모두의 미사용시에는 그 좌변부(110)와 소변부(120)를 폐쇄시키는 것이 청결상이나 위생상으로 좋은 것으로, 이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좌판부(200) 및 소변부 커버(300)를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전술한바와 같이 좌판부(200)는 도 3을 참조하여 좌판부 경첩(230)을 통해 가능하거나 도 6의 도시와 같이 회동수단(241)에 의해 가능할 것이며, 소변부 커버(300)는 소변커버 경첩(310)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좌변부(110) 폐쇄를 위해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를 덮는 과정에서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의 전방에는 좌판 절개홈(212)과 덮개 절개홈(222)가 각각 형성된 것인바, 그 좌판 절개홈(212)과 덮개 절개홈(222)을 통해 소변 차달돌부(113)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될 것이다.
한편, 좌변부(110)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9를 참조하여 좌판부(200)가 소변부 커버(300)에 연결된 구조를 이룰시에는, 먼저 도 15의 도시와 같이 좌변부(110)를 사용시, 소변부 커버(300)를 회동시켜 소변부(120)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320)를 축으로 하여 좌판(210)을 하부로 회동시켜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에 좌판(210)을 덮어 사용하면 된다.
또한 좌변부(110)를 폐쇄시에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좌판(210)이 덮어진 상태에서 소변부 커버(300)로부터 힌지(320)를 축으로 하여 좌변부 덮개(220)를 하부로 회동시켜 좌판(210)의 상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는 소변부 커버(300)와 좌판부(200)의 연계 작동이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1)는, 하나의 변기를 이용하여 남성이나 여성 모두가 선택적으로 소변 및 대변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변기(1)는 공간활용도가 우수하여 공동 화장실의 시설시 매우 효율적이며, 좌변부(110)와 소변부(120)의 선택 사용으로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가정에서도 남성이 소변을 처리시 소변부(120)의 사용으로 소변이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좌변부(110)에 형성된 소변 차단돌부(113)를 통해 남성이 소변시 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몸체 111 : 좌변부 테두리
112 : 배출구 113 : 소변 차단돌부
120 : 소변부 120a : 소변유도 경사면
121 : 소변부 테두리 122 : 저수조
200 : 좌판부 210 : 좌판
211 : 걸림대 212 : 좌판 절개홈
220 : 좌변부 덮개 222 : 덮개 절개홈
223 : 돌부 수용홈
230 : 좌판부 경첩 231 : 좌판 회동구
232 : 설치부 232a : 지지편
232b : 암나사부 233 : 연장부
234 : 축부 235 : 고정볼트
240 : 좌판부 수용박스 241 : 회동수단
242 : 지지부 243 : 축부
244 : 좌판 회동축 245 : 덮개 회동축
246 : 수용박스 덮개 247 : 경첩
300 : 소변부 커버 310 : 소변커버 경첩
311 : 커버 회동구 312 : 설치부
312a : 지지편 312b : 암나사부
313 : 연장부 314 : 축부
315 : 고정볼트 320 : 힌지

Claims (8)

  1. 상단 둘레에는 좌변부 테두리(111)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배출구(112)가 형성된 좌변부(110)와, 좌변부(110)의 상부 후방에서 상향 연장 형성되며 전면 둘레에는 소변부 테두리(121)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저수조(122)가 형성된 소변부(120)로 구성되며, 상부 및 전면이 연장되게 개방 형성된 몸체(100);
    좌변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좌변부(110)의 상부 좌변부 테두리(111)를 덮어 사용하되, 후단 양측에는 좌변부(110)를 덮을시 후방 양측을 걸어 지지하는 걸림대(211)가 형성된 링형 좌판(210)과, 좌판(210) 상부를 덮어 좌변부(110) 상부를 마감하는 좌변부 덮개(220)로 된 좌판부(200); 및
    소변부(120)의 일측에서 회동하여 소변부(120)의 전면을 개폐하는 소변부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좌변부(110)에는,
    좌변부 테두리(111)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면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소변 차단돌부(113)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좌판부(200)의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의 전방에는 좌변부(110)를 덮을시 소변 차단돌부(113)가 간섭없이 노출되도록 좌판 절개홈(212)과 덮개 절개홈(222)이 각각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좌판부(200)는,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 일측에서 좌판부 경첩(230)을 통해 축설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되,
    좌판부 경첩(230)은,
    각각 절곡된 "봉" 형태를 이루는 좌판 회동구(231)와, 좌판 회동구(231)를 좌변부 테두리(1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35)로 구성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좌판 회동구(231)는,
    좌변부(110)의 좌변부 테두리(111)를 수직 관통하며 상부 둘레에는 지지편(232a)이 형성되어 좌변부 테두리(111) 상부에 지지되고 하단에는 저면으로 개방되는 암나사부(232b)가 형성되어 좌변부 테두리(111) 저면에서 고정볼트(235)가 체결 고정되는 설치부(232);
    설치부(232) 상단으로부터 좌변부 테두리(111)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33);
    연장부(233)의 단부에서 양측의 대항되는 반대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축부(234)로 구성하며,
    각각의 축부(234)에는, 상기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좌판부(200)는,
    좌변부(110) 일측에 상부 개방형 좌판부 수용박스(240)를 형성하고,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회동수단(241)을 통해 상기 좌판부 수용박스(240) 내에서 상,하 회동 및 좌,우 회동이 연속 가능하게 구성하되,
    회동수단(241)은,
    좌판부 수용박스(240)의 후단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42);
    지지부(242)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게 수평 돌출되는 축부(243);
    축부(243)의 전방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는 좌판 회동축(244);
    축부(243)에서 좌판 회동축(244)의 후방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며 상기 좌판 회동축(244)보다 길게 구성되는 덮개 회동축(245); 및
    좌판부 수용박스(240)의 상부를 경첩(247)을 통해 회동 개폐하는 수용박스 덮개(246)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좌판(210)은 후단 일측이 상기 좌판 회동축(244)에 축설되어 좌판부 수용박스(240) 내부로 상,하 회동 삽탈되게 구성하고, 좌변부 덮개(220)는 후단 일측이 상기 덮개 회동축(245)에 축설되어 좌판부 수용박스(240) 내부로 상,하 회동 삽탈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소변부 커버(300)는,
    소변부 테두리(121) 전면 일측에서 소변커버 경첩(310)을 통해 축설되어 전,후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되,
    소변커버 경첩(310)은,
    각각 절곡된 "봉" 형태를 이루는 커버 회동구(311)와, 커버 회동구(311)를 소변부 테두리(1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315)로 구성된 상,하 대항되는 한 쌍으로 구성하며,
    각각의 커버 회동구(311)는,
    소변부(120)의 소변부 테두리(121)를 수평 관통하며 전방 둘레에는 지지편(312a)이 형성되어 소변부 테두리(121) 전면에 지지되고 후단에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암나사부(312b)가 형성되어 소변부 테두리(121) 후면에서 고정볼트(315)가 체결 고정되는 설치부(312);
    설치부(312) 상단으로부터 소변부 테두리(121)의 외측으로 절곡되는 연장부(313);
    연장부(313)의 단부에서 상,하의 대항되는 반대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축부(314)로 구성하며,
    각각의 축부(314)에는, 상기 소변부 커버(300)가 회동 가능하도록 축설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좌판부(200)는,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힌지(320)를 통해 소변부 커버(300)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하되,
    소변부 커버(300)가 소변부(120)의 전면을 마감한 상태에서 힌지(320)을 축으로 하여 좌판(210)과 좌변부 덮개(220)가 순차적으로 좌변부(110)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좌변부(110)에는,
    좌변부 테두리(111)의 내측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면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소변 차단돌부(113)가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좌판부(200)의 좌변부 덮개(220) 전방에는 좌변부(110)를 덮을시 소변 차단돌부(113)가 구속되도록 돌부 수용홈(223)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8. 제 1항에 있어서,
    소변부(120)는,
    좌변부(110)로부터 수직 또는 상부로갈수록 후방을 향하게 적어도 90° 이상의 경사를 이루게 연장 구성하며,
    소변부(120)의 내측 전면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게 점차 경사진 소변유도 경사면(120a)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KR1020160028044A 2016-03-09 2016-03-09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KR20170105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44A KR20170105188A (ko) 2016-03-09 2016-03-09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044A KR20170105188A (ko) 2016-03-09 2016-03-09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807A Division KR20180053611A (ko) 2018-05-08 2018-05-08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188A true KR20170105188A (ko) 2017-09-19

Family

ID=6003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044A KR20170105188A (ko) 2016-03-09 2016-03-09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1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6597A (zh) * 2018-02-10 2018-06-15 云南八卫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收集水冲便器
CN110117981A (zh) * 2018-02-06 2019-08-13 上海氪励铵勤科技发展有限公司 连动装置
CN110374175A (zh) * 2019-02-26 2019-10-25 胡家兴 一种站坐分置复合型马桶及复合型马桶座圈盖板组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7981A (zh) * 2018-02-06 2019-08-13 上海氪励铵勤科技发展有限公司 连动装置
CN108166597A (zh) * 2018-02-10 2018-06-15 云南八卫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收集水冲便器
CN108166597B (zh) * 2018-02-10 2023-10-13 云南八卫科技有限公司 一种尿液收集水冲便器
CN110374175A (zh) * 2019-02-26 2019-10-25 胡家兴 一种站坐分置复合型马桶及复合型马桶座圈盖板组件
CN110374175B (zh) * 2019-02-26 2020-07-14 胡家兴 一种站坐分置复合型马桶及复合型马桶座圈盖板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65B2 (en) Toilet
RU2377368C2 (ru) Туал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3513049A (ja) 回転可能な小便器が装着された一体型洋式便器
KR20170105188A (ko)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US5630234A (en) Bidet assembly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1229955B1 (ko)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
KR101341651B1 (ko)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KR20180053611A (ko) 좌변기와 소변기 겸용 변기
KR102091146B1 (ko) 회전식 배출구를 구비한 비데침대
KR101680512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2424052B1 (ko) 팔꿈치용 스위치를 구비한 좌변기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CN205822396U (zh) 一种电动两用坐便器
JPH09165808A (ja) 便 器
KR20150020749A (ko) 자동 하강되는 좌변기의 변기커버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KR102117755B1 (ko) 변기 조립체
KR20190013010A (ko) 좌변기의 소변용 기구
CN218970166U (zh) 变形组合便器
KR200306676Y1 (ko) 좌변기용 자동 열림 변기시트
KR200251865Y1 (ko) 환자용 변기
KR101782636B1 (ko) 자동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