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160A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5160A KR20170105160A KR1020160027757A KR20160027757A KR20170105160A KR 20170105160 A KR20170105160 A KR 20170105160A KR 1020160027757 A KR1020160027757 A KR 1020160027757A KR 20160027757 A KR20160027757 A KR 20160027757A KR 20170105160 A KR20170105160 A KR 201701051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mmy
- signal
- image signal
- area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 H04N13/0425—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영상 처리부,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는 안경처럼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각종 디지털 디바이스를 말한다. 디지털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가 개발되고 있으며, HMD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영역 간 열화 편차를 개선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역 간 열화 편차를 개선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목적은 상술한 목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좌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좌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HMD 모드에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에 더미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망막 상에서 시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마트폰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망막 상에서 시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마트폰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망막 상에서 시세포 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영상 처리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스캔 구동부(140) 및 타이밍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스캔 라인들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소들 각각은 화소 회로, 구동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회로가 스캔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신호(SCAN)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달하면, 구동 트랜지스터는 데이터 신호(DATA)에 기초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흐르는 구동 전류를 조절할 수 있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전류에 기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DA)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IS) 및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NDA)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ISD)를 생성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별도의 전자 기기(예를 들어, 삼성의 Galaxy Gear VR)와 결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로 구현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별도의 전자 기기와 결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스마트폰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DA) 및 더미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DA)에는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가 표시되고,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NDA)에는 흑색 영상 신호가 표시될 수 있다. 더미 영역(NDA)에 오랜 시간 동안 흑색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 영역(DA)과 더미 영역(NDA)의 화소들의 열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흑색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더미 영역(NDA)의 화소들보다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의 화소들의 열화 속도가 빨라 표시 영역(DA)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모드(이하, HMD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영역(DA)과 더미 영역(NDA)의 화질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의 표시 장치(100)는 더미 영역(NDA)에 표시 영역(DA)과 더미 영역(NDA)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ISD)를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간 눈의 망막에는 700만개 정도의 시세포가 분포되며, 이 중 원추 세포(cone cell)는 빛 및 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 세포는 망막 중심부에서 최대 밀도를 가지고 주변부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므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더미 영역(NDA)에 표시되는 영상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표시 장치(100)는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더미 영역(NDA)에 더미 영상 신호(ISD)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를 복사하여 더미 영상 신호(ISD)를 생성하고, 더미 영상 신호(ISD)를 상기 더미 영역(NDA)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120)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더미 영상 신호(ISD)를 생성하고, 상기 더미 영상 신호(ISD)를 더미 영역(NDA)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영역(DA)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더미 영상 신호(ISD)를 생성하고, 상기 더미 영상 신호(ISD)를 더미 영역(NDA)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더미 영역(NDA)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 각각에 더미 영상 신호(ISD)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영상 처리부(1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공급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 우안 영상 신호(ISR) 및 더미 영상 신호(ISD)를 데이터 신호(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40)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을 통해 화소들에 스캔 신호(SCAN)를 공급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130)는 상기 스캔 신호(SCAN)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DATA)를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IS)를 영상 처리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20), 스캔 구동부(140) 및 데이터 구동부(1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CTL1, CTL2, CTL3)들을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120), 스캔 구동부(140) 및 데이터 구동부(130)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50)와 연결되거나, 타이밍 제어부(1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120)는 데이터 구동부(130)와 연결되거나, 데이터 구동부(1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표시 장치(100)는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NDA)에 더미 영상 신호(ISD)를 표시함으로써, 표시 영역(DA)의 화소들과 더미 영역(NDA)의 화소들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DA)과 더미 영역(NDA)의 화질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영상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120)는 입력부(122), 영상 생성부(124),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 및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좌안 영상 신호(ISL), 우안 영상 신호(ISR),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 및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타이밍 제어부(15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IS)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2)는 모드 선택 신호(SEL)에 따라 영상 신호(IS)를 영상 생성부(124) 또는 데이터 구동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신호(IS)를 영상 생성부(124)로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122)는 표시 장치(100)가 일반 모드(예를 들어, 스마트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신호(IS)를 데이터 구동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신호(IS)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를 생성할 수 있다. 좌안 영상 신호(ISL)는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좌측 눈 앞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우안 영상 신호(ISR)는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우측 눈 앞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생성부(124)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IS)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생성부(124)는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를 데이터 구동부(130),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 및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로 공급할 수 있다. 좌안 영상 신호(ISL)는 표시 패널(110)의 제 1 표시 영역에 표시되고, 우안 영상 신호(ISR)는 표시 패널(110)의 제 2 표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좌안 영상 신호(ISL)가 표시되는 표시 패널(110)의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를 복사하여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가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로서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기 설정된 127 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0 내지 127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이 50인 경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50계조와 0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50 내지 0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의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제 1 더미 영역에 동일한 방향(표시 영역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 각각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우안 영상 신호(ISR)가 표시되는 표시 패널(110)의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를 복사하여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가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로서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기 설정된 127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0 내지 127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이 50인 경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50계조와 0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50 내지 0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의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제 2 더미 영역에 동일한 방향(표시 영역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 각각에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좌안 영상 신호(ISL) 및 우안 영상 신호(ISR)를 생성하고, 좌안 영상 신호(ISL)가 표시되는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 및 우안 영상 신호(ISR)가 표시되는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 각각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 및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표시함으로써, 제1 및 제2 표시 영역의 화소들과 제 1 및 제 2 더미 영역의 화소들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표시 장치가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가 HM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패널(110)에는 좌안 영상 신호(ISL), 우안 영상 신호(ISR),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 및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생성부(124)에서 생성된 좌안 영상 신호(ISL)는 제 1 표시 영역(DA1)에 표시되고, 우안 영상 신호(ISR)는 제 2 표시 영역(DA2)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에서 생성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제1 더미 영역(NDA1)에 표시되고,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에서 생성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제 2 더미 영역(NDA2)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제 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한 제 1 더미 영역(NDA11)부터 최외곽의 제 1 더미 영역(NDA14)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제 2 표시 영역(DA2)과 인접한 제 2 더미 영역(NDA21)부터 최외곽의 제 2 더미 영역(NDA24)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최외곽의 제 1 더미 영역(NDA14)부터 제 1 표시 영역(DA1)과 인접한 제 1 더미 영역(NDA11)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최외곽의 제 2 더미 영역(NDA24)부터 제 2 표시 영역(DA2)과 인접한 제 2 더미 영역(NDA21)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제 1 표시 영역(DA1)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를 복사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표시 영역(DA1)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열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를 복사하여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로서 생성하고,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 각각에 표시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제 2 표시 영역(DA2)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를 복사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표시 영역(DA2)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행 및 적어도 하나의 화소 열에 표시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를 복사하여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로서 생성하고,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 각각에 표시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기 설정된 127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각각 다른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127계조, 97계조, 67계조 및 0계조를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들을 생성하고,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 각각에 표시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기 설정된 127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 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각각 다른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127계조, 97계조, 67계조 및 0계조를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들을 생성하고,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 각각에 표시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는 제 1 표시 영역(DA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 영역(DA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ISL)의 계조 값이 200인 경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200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각각 다른 계조 값을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200계조, 130계조, 60계조 및 0계조를 갖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들을 생성하고,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더미 영역(NDA11, NDA12, NDA13, NDA14) 각각에 표시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는 제 2 표시 영역(DA2))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표시 영역(DA2)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우안 영상 신호(ISR)의 계조 값이 200인 경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200계조와 흑색 계조 값(즉, 0계조)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각각 다른 계조 값을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200계조, 130계조, 60계조 및 0계조를 갖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들을 생성하고,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 생성부(128)는 제 2 더미 영역(NDA21, NDA22, NDA23, NDA24) 각각에 표시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처리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제 1 더미 영역(NDA1) 및 제 2 더미 영역(NDA2)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 및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순차적으로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과 제 1 및 제 2 더미 영역(NDA1, NDA2)의 경계를 흐릿하게(blurring) 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영상 처리부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0)은 제 1 및 제 2 표시 영역(DA1, DA2) 및 제 1 및 제 2 더미 영역(NDA1, ND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 및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1 더미 영역(NDA1) 및 제 2 더미 영역(NDA2)을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 및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 각각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 및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1 더미 영역(NDA1) 및 제 2 더미 영역(NDA2)에 있어서, 제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사람의 눈은 좌우로 인식할 수 있는 시야 범위가 유사하나, 상하로 인식할 수 있는 시야 범위는 차이가 있다. 즉, 사람의 눈은 상측보다 하측으로 넓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더미 영역(NDA1) 및 제 2 더미 영역(NDA2)의 제 2 구역(Z2)의 크기를 제 3 구역(Z3)의 크기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동일한 방향(즉, 제 1 표시 영역(DA1)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기 위해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 각각에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역(Z1)이 n개의 화소 열을 포함하고, 제 2 구역(Z2)이 m 개의 화소 행을 포함하며, 제 3 구역(Z3)이 k개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t 프레임 동안 제 1 구역(Z1)에 n/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제 1 표시 영역(DA1)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하고, 제 2 구역(Z2)에 m/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제 1 표시 영역(DA1)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하며, 제 3 구역(Z3)에 k/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제 1 표시 영역(DA1)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126)는 그 다음 t 프레임 동안 제 1 구역(Z1)에 n/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역(NDA1)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고, 제 2 구역(Z2)에 m/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역(NDA1)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 3 구역(Z3)에 k/t의 속도로 제 1 더미 영역(NDA1)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1 더미 영상 신호(ISD1)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에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동일한 방향(즉, 제 2 표시 영역(DA2)의 바깥 방향 또는 안쪽 방향)으로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기 위해 제 1 구역(Z1), 제 2 구역(Z2) 및 제 3 구역(Z3) 각각에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역(Z1)이 n개의 화소 열을 포함하고, 제 2 구역(Z2)이 m 개의 화소 행을 포함하며, 제 3 구역(Z3)이 k개의 화소 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t 프레임 동안 제 1 구역(Z1)에 n/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제 2 표시 영역(DA2)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하고, 제 2 구역(Z2)에 m/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제 2 표시 영역(DA2)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하며, 제 3 구역(Z3)에 k/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제 2 표시 영역(DA2)의 바깥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128)는 그 다음 t 프레임 동안 제 1 구역(Z1)에 n/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역(NDA2)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고, 제 2 구역(Z2)에 m/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역(NDA2)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 3 구역(Z3)에 k/t의 속도로 제 2 더미 영역(NDA2)의 최외곽에서부터 제 2 더미 영상 신호(ISD2)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스마트폰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 장치(220), 저장 장치(230), 입출력 장치(240), 파워 서플라이(250) 및 표시 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2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0)는 스마트폰(300)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전자 기기(200)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PU)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하여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20)는 전자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220)는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PRAM(Phase Change Random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2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t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입출력 장치(2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250)는 전자 기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는 스마트폰(3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도 8의 표시 장치(260)는 도 1의 표시 장치(100)에 상응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300)은 별도의 전자 기기(350)(예를 들어, 삼성의 Galaxy Gear VR)와 결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400)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동작하는 경우, 스마트폰(300)의 표시 장치(2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에 흑색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화소들의 열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300)이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표시 품질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9의 스마트폰(300)은 HMD 모드에서 더미 영역에 표시 영역과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260)를 포함함으로써, 스마트폰(3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26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 장치(260)는 표시 패널, 영상 처리부, 데이터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스캔 라인들이 형성되고, 데이터 라인들과 스캔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더미 영상 신호는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는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더미 영상 신호를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는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더미 영상 신호를 더미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는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 각각에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는 영상 처리부에서 공급되는 좌안 영상 신호, 우안 영상 신호 및 더미 영상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을 통해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고,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스캔 신호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영상 처리부, 스캔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타이밍 제어부와 연결되거나, 타이밍 제어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부는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거나, 데이터 구동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의 전자 기기(200)는 스마트폰(3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이 별도의 기기와 결합하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400)로 동작하는 경우, 스마트폰(300)의 표시 장치(260)는 HM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HMD 모드에서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260)는 스마트폰(300)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MD)로 동작하는 동안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화소들의 열화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더미 영상 신호를 더미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열화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스마트폰(300)이 일반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표시 장치(260)는 표시 영역과 더미 영역의 열화 차이로 인한 화질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타블렛 PC,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비디오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영상 처리부 122: 입력부
124: 영상 생성부 126: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128: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스캔 구동부 150: 타이밍 제어부
200: 전자 기기 300: 스마트폰
4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120: 영상 처리부 122: 입력부
124: 영상 생성부 126: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128: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스캔 구동부 150: 타이밍 제어부
200: 전자 기기 300: 스마트폰
400: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20)
-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좌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의 계조 값과 흑색 계조 값 사이의 계조 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더미 영역의 열화 편차를 감소시키는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화소들에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스캔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
상기 좌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1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 2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를 복사하여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값과 흑색 계조값 사이의 계조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기 설정된 계조값과 흑색 계조값 사이의 계조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좌안 영상 신호의 계조값과 흑색 계조값 사이의 계조값을 갖는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1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표시 영역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화소에 입력되는 상기 우안 영상 신호의 계조값과 흑색 계조값 사이의 계조값을 갖는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더미 영상 신호를 상기 제 2 더미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1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제 1 더미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더미 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 2 더미 영역을 제 1 구역, 제 2 구역 및 제 3 구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 1 구역, 상기 제 2 구역 및 상기 제 3 구역 각각에 상기 우안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757A KR102458405B1 (ko) | 2016-03-08 | 2016-03-08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7757A KR102458405B1 (ko) | 2016-03-08 | 2016-03-08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5160A true KR20170105160A (ko) | 2017-09-19 |
KR102458405B1 KR102458405B1 (ko) | 2022-10-26 |
Family
ID=6003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7757A KR102458405B1 (ko) | 2016-03-08 | 2016-03-08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84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8150A (ko) * | 2018-01-17 | 2019-07-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2291A (ko) * | 2003-03-17 | 2004-09-24 |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 디스플레이 수단 상의 버닝 효과를 줄이는 디바이스 및 방법 |
KR20120129335A (ko) * | 2011-05-19 | 2012-1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20160006087A (ko) * | 2014-07-08 | 2016-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
2016
- 2016-03-08 KR KR1020160027757A patent/KR1024584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2291A (ko) * | 2003-03-17 | 2004-09-24 |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 디스플레이 수단 상의 버닝 효과를 줄이는 디바이스 및 방법 |
KR20120129335A (ko) * | 2011-05-19 | 2012-1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20160006087A (ko) * | 2014-07-08 | 2016-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각 효과를 가지는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8150A (ko) * | 2018-01-17 | 2019-07-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8405B1 (ko) | 2022-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3648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foveated display system | |
EP3014868B1 (en) | Dual duty cycle oled to enable dynamic control for reduced motion blur control with constant brightness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 |
KR102676310B1 (ko) | 표시 패널 구동 방법 | |
KR102423007B1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
KR20210013475A (ko) | 다중 주파수 구동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 |
KR102458736B1 (ko) | 가변 화소 블록 경계를 가지는 표시 장치 | |
KR102500625B1 (ko) | 영상 처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 |
KR102218531B1 (ko) | 데이터 보상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US11942045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 | |
KR20190133083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
KR102463965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20160006360A (ko) |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표시 장치 | |
CN114387914A (zh) | 用于高动态范围后处理的系统和显示装置 | |
KR102388478B1 (ko) |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
KR102458405B1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 |
KR102317118B1 (ko) | 영상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102357378B1 (ko) |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190017501A (ko) | 데이터 구동회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 |
US9697756B2 (en) | Timing controller including configurable clock signal generators according to display mod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230360588A1 (en) | Display device | |
KR20240128170A (ko) |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 헤드 마운트 표시 장치의 영상 보정 방법 및 헤드 마운트 표시 시스템 | |
KR20230113444A (ko)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KR20220105207A (ko)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
KR20230139910A (ko) | 표시 장치 | |
KR20220045611A (ko) |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