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444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444A
KR20230113444A KR1020220009194A KR20220009194A KR20230113444A KR 20230113444 A KR20230113444 A KR 20230113444A KR 1020220009194 A KR1020220009194 A KR 1020220009194A KR 20220009194 A KR20220009194 A KR 20220009194A KR 20230113444 A KR20230113444 A KR 20230113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ndering
area
memory device
pixe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복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444A/ko
Priority to US18/075,733 priority patent/US20230237947A1/en
Priority to CN202310039661.4A priority patent/CN116486727A/zh
Publication of KR2023011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광학 모듈이 배치된 제1 영역 및 광학 모듈이 배치되지 않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제공하고,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제공하며, 구동 제어부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한다.
표시 장치는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광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모듈(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광학 모듈의 동작을 위해 표시 패널에 투과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의 투과 영역에 의해 표시 패널 내에서 픽셀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달라진 픽셀 구조로 인하여,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데이터 중 하부에 광학 모듈이 배치된 광학 모듈 영역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달라진 픽셀 구조에 적합하도록 렌더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상기 렌더링으로 인하여,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이 어긋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추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하부에는 광학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구조는 상기 제2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비활성화 구간의 백 포치(back porch)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 상기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동작부,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의 제1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의 제2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하부에는 광학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구조는 상기 제2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동작부,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 영역의 픽셀 구조는 상기 광학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지 않는 노멀 영역의 픽셀 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의 렌더링은 상기 비활성화 구간의 백 포치(back porch)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함으로써,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지연부가 필요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의 제1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구간 이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의 제2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지연시키지 않고,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1 픽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제2 픽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구동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렌더링부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가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3은 도 11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10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11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400)는 하나의 칩에 집적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AA) 및 표시부(AA)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 구동부(300)는 주변부(PA)에 실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들(DL)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호스트 프로세서(예를 들어,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 등)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부(3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제어 신호(CONT)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데이터 구동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하여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200)는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데이터 구동부(400)로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GL)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300)는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출력 영상 데이터(OIMG)를 아날로그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한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400)는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DL)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000)의 표시 패널(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1000)의 제1 픽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1000)의 제2 픽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A1) 및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역(A1)의 하부에는 광학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 모듈은 광학을 활용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모듈은 카메라 모듈, 홍체인식 모듈, 광학식 지문 인식 모듈, 적외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는 픽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은 서로 다른 픽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A1)의 경우 광학 모듈이 촬상을 하기 때문에 픽셀들(P) 사이에 투과창(W)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구조는 제2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픽셀 구조는 1개의 픽셀(P) 및 3개의 투과창(W)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은 제1 색 서브 픽셀(R), 제2 색 서브 픽셀(G), 및 제3 색 서브 픽셀(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픽셀 구조는 4개의 픽셀(P)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은 제1 색 서브 픽셀(R), 제2 색 서브 픽셀(G), 및 제3 색 서브 픽셀(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 서브 픽셀(G)은 제1 색 서브 픽셀(R) 및 제3 색 서브 픽셀(B)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도 3 및 도 4의 픽셀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1의 표시 장치(1000)의 표시 패널 구동부(11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1000)의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3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도 1의 표시 장치(1000)가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IMG) 중 제1 영역(A1)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활성화 구간(AP)에서 렌더링 데이터(RD)를 기초로 제1 영역(A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하는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데이터(RD)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1100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렌더링부(20), 렌더링 메모리 장치(30), 및 서브 메모리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렌더링부(20)를 포함하고,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렌더링 메모리 장치(30), 및 서브 메모리 장치(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일 프레임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다른 IP(intellectual property)를 거쳐서 렌더링부(20)에 인가될 수 있다.
서브 메모리 장치(4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 중 제1 영역(A1)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저장할 수 있다. 서브 메모리 장치(4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입력 영상 데이터(IMG) 중 제1 영역 데이터(ID1)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영역 데이터(ID1)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렌더링부(2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동작부(21), 렌더링 데이터(RD) 및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 동작부(21)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 영역(A1)의 제1 픽셀 구조는 제2 영역(A2)의 제2 픽셀 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레더링 동작부(21)는 제1 픽셀 구조에 적합하도록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할 수 있다. 즉, 렌더링 동작부(21)는 제1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에 표시하기 위해 제1 영역 데이터(ID1)에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렌더링 동작부(21)는 렌더링 데이터(RD)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30)에 출력할 수 있다.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는 렌더링 데이터(RD)를 저장하고, 선택부(22)에 렌더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렌더링 데이터(RD)를 수신하고, 활성화 구간(AP)에서 렌더링 데이터(RD)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부(22)는 렌더링 데이터(RD) 및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하고, 렌더링 데이터(RD) 및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출력할 수 있다.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제1 영역(A1)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렌더링 데이터(RD)를 포함하고, 제2 영역(A2)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렌더링 데이터(RD)를 기초로 제1 영역(A1)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다른 IP들을 거쳐 출력 영상 데이터(OIMG)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출력 영상 데이터(OIMG)일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하나의 화면(즉, 일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 기준 신호이며, 1클럭의 수직 동기 신호 구간동안 일 프레임(frame)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하나의 라인(즉, 하나의 화소 행)을 구성하는 기준신호이며, 1클럭의 수평 동기 신호 구간동안 하나의 라인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는 실질적으로 표시 동작(즉, 표시 패널(100)에 데이터 전압들을 인가)이 수행되는 구간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화 구간(NAP)(즉,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로우 레벨 구간)에서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invalid data)가 될 수 있다.
제1 영역 데이터(ID1)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렌더링 될 수 있다. 제1 영역 데이터(ID1)는 렌더링을 위해 입력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이므로, 렌더링이 수행되는 부분(즉, 제1 영역 데이터(ID1)의 색칠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invalid data)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구동부(10)는 비활성화 구간(NAP)의 백 포치 구간(back porch; B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할 수 있다. 백 포치 구간(BP)은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라이징(rising)(즉, 로우 전압 레벨에서 하이 전압 레벨로 라이징)된 후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가 라이징(즉, 로우 전압 레벨에서 하이 전압 레벨로 라이징)되기 전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더링된 제1 영역 데이터(ID1)(즉, 렌더링 데이터(RD))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30)에 저장되고, 활성화 구간(AP)에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제1 영역(A1)에 상응하는 부분(즉,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색칠된 부분)에 렌더링 데이터(R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이 두 개의 라인에 걸쳐 배치된 경우,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2클럭의 수평 동기 신호 구간동안 렌더링 데이터(R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 데이터(ID1)의 렌더링이 활성화 구간(AP) 전에 수행되므로,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생성함에 있어서 레이턴시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0)의 소비 전력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구동부(1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렌더링부(20)에 데이터를 인가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하는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데이터(RD)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렌더링부(20)를 포함하고,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일 프레임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다른 IP를 거쳐서 렌더링부(20)에 인가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하고, 렌더링부(20)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구동부(1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렌더링부(20)에 데이터를 인가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하는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데이터(RD)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하고,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렌더링부(20),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제어부(200)는 렌더링부(20)를 포함하고, 프레임 메모리 장치(10) 및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일 프레임의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렌더링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메모리 장치(10)에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다른 IP를 거쳐서 렌더링부(20)에 인가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메모리 장치(1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30)에 출력하고,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 메모리 장치(30)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렌더링부(20)에 제1 영역 데이터(ID1)를 출력하고, 렌더링부(20)는 비활성화 구간(NAP)에서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가 렌더링을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렌더링이 수행되는 타이밍을 제외하고, 도 1의 표시 장치(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 부호 및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 구동부(110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활성화 구간(AP)의 제1 구간(P1)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IMG) 중 제1 영역(A1)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ID1)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RD)를 생성하고, 제1 구간(P1) 이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활성화 구간(AP)의 제2 구간(P2)에서 렌더링 데이터(RD)를 기초로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구간(P2)은 제1 영역(A1)에 표시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 데이터(ID1)의 렌더링이 제1 영역(A1)에 표시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되므로, 렌더링된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생성함에 있어서 레이턴시(latency)가 거의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0)의 소비 전력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 장치에 저장(S100)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광학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는 광학 모듈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S200)하며, 렌더링 데이터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저장(S300)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 및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S40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입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 장치에 저장(S100)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일 프레임의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렌더링부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입력 영상 데이터는 다른 IP를 거쳐서 렌더링부에 인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광학 모듈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 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S200)할 수 있다.
광학 모듈 영역의 픽셀 구조는 광학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지 않는 노멀 영역의 픽셀 구조와 상이할 수 있다. 광학 모듈 영역과 노멀 영역에는 픽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광학 모듈 영역과 노멀 영역은 서로 다른 픽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광학 모듈 영역의 경우 광학 모듈이 촬상을 하기 때문에 픽셀들 사이에 투과창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모듈 영역의 픽셀 구조는 노멀 영역의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제1 영역 데이터의 렌더링은 비활성화 구간의 백 포치 구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 데이터의 렌더링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렌더링 데이터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저장(S300)할 수 있다.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비활성화 구간에서 제1 영역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1 영역 데이터는 렌더링되고,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생성된 렌더링 데이터가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 및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S400)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모듈 영역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이 수행되고, 노멀 영역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전자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2000)는 프로세서(2010), 메모리 장치(2020), 스토리지 장치(2030), 입출력 장치(2040), 파워 서플라이(2050) 및 표시 장치(20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2060)는 도 1의 표시 장치(1000)일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2000)는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0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자 기기(2000)가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2000)는 휴대폰, 비디오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010)는 주변 구성 요소 상호 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020)는 전자 기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2020)는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장치,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피램(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장치, 알램(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RRAM) 장치, 엔에프지엠(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장치, 폴리머램(Polymer Random Access Memory; PoRAM) 장치, 엠램(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에프램(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FRAM) 장치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장치, 모바일 DRAM 장치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20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20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표시 장치(2060)가 입출력 장치(204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2050)는 전자 기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60)는 상기 버스들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2060)는 전자 기기(2000)의 시각적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206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206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에 상응하는 부분과 제1 영역에 상응하지 않는 부분의 출력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디지털 TV, 3D TV,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VR 기기, PC, 가정용 전자기기, 노트북 컴퓨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내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0: 전자 기기 2010: 프로세서
2020: 메모리 장치 2030: 스토리지 장치
2040: 입출력 장치 2050: 파워 서플라이
1000, 2060: 표시 장치 1100: 표시 패널 구동부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데이터 구동부
10: 프레임 메모리 장치 20: 렌더링부
21: 렌더링 동작부 22: 선택부
30: 렌더링 메모리 장치 40: 서브 메모리 장치

Claims (20)

  1.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하부에는 광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구조는 상기 제2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비활성화 구간의 백 포치(back porch)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
    상기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동작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픽셀 구조를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구조와 상이한 제2 픽셀 구조를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의 제1 구간에서 입력 영상 데이터 중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상기 활성화 구간의 제2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역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하부에는 광학 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구조는 상기 제2 픽셀 구조보다 면적당 픽셀의 개수가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장치;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렌더링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렌더링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동작부; 및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브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렌더링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데이터를 상기 렌더링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입력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 중 광학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는 광학 모듈 영역에 상응하는 제1 영역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렌더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렌더링 데이터를 렌더링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렌더링 데이터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 영역의 픽셀 구조는 상기 광학 모듈이 하부에 배치되지 않는 노멀 영역의 픽셀 구조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데이터의 렌더링은 상기 비활성화 구간의 백 포치(back porch) 구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20009194A 2022-01-21 2022-01-21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113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94A KR20230113444A (ko) 2022-01-21 2022-01-21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8/075,733 US20230237947A1 (en) 2022-01-21 2022-12-06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2310039661.4A CN116486727A (zh) 2022-01-21 2023-01-12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194A KR20230113444A (ko) 2022-01-21 2022-01-21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444A true KR20230113444A (ko) 2023-07-31

Family

ID=8722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194A KR20230113444A (ko) 2022-01-21 2022-01-21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37947A1 (ko)
KR (1) KR20230113444A (ko)
CN (1) CN11648672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86727A (zh) 2023-07-25
US20230237947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005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configured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stabilize channel amplifier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4039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75709B1 (ko) 게이트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239249A1 (en) Multi-display device
US10431134B2 (en) Display device having master and slave driver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2419973A (zh) 数据补偿电路、显示装置和电子装置
US11132928B2 (en) Horizontal line dri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260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40005572A (ko) 표시 패널,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 구동 방법
KR2023011344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22035166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20230016767A (ko) 클록 게이팅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US20160163268A1 (en)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driving the same
CN220553283U (zh) 显示系统
KR102458405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54414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US2024013589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degradation of display device
US119008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669182B1 (ko) 광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560302B1 (ko) 게이트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4010511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30351935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89928B1 (ko) MIP(Memory Inside Pix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24000844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07183377A (ja) 表示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