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75A -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75A
KR20170104875A KR1020160027855A KR20160027855A KR20170104875A KR 20170104875 A KR20170104875 A KR 20170104875A KR 1020160027855 A KR1020160027855 A KR 1020160027855A KR 20160027855 A KR20160027855 A KR 20160027855A KR 20170104875 A KR20170104875 A KR 2017010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irculation
water
pump
circulat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891B1 (ko
Inventor
김진호
오수영
우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89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443 priority patent/WO2017155278A1/ko
Priority to EP17763539.8A priority patent/EP3428338B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06F39/045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6Arrangements for avoiding detergent wastage in the discharge condui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06F2202/04
    • D06F2204/0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를 경유하여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세탁수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세탁물처리장치는, 의류 또는 세탁물을 세탁 과정, 헹굼 과정 또는 건조과정을 통해 처리(세탁)하는 장치의 일 종이다.
상기 세탁물은, 의류뿐만 아니라, 이불 등 침구류, 커튼, 봉제 인형 등 세탁 가능한 물품을 포함한다.
상기 세탁물처리장치는, 통상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세탁물처리장치 중 일부는 세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는 세탁수 가열기능을 구비한다.
세탁수 가열 기능을 구비한 세탁물처리장치에는 상기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전기히터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터브의 내부의 세탁수는 기본 급수 수위(초기급수량)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터브의 용량이 증가할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급수되는 세탁수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세탁수의 가열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전체 세탁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세탁수의 양의 증가에 기인한 전기히터의 가열시간이 증가되므로, 전력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세탁수의 가열 시, 상기 세탁수의 수면 위로 상기 전기히터가 노출될 경우 상기 전기히터의 과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기인하여 상기 전기히터의 강제 열화가 촉진되어 상기 전기히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792075 B1 (2008.01.04.) KR 10-1186602 B1 (2012.09.27.)
따라서, 본 발명은, 세탁수의 가열 시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은 세탁수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의 양을 저감하여 세제의 농도를 높일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세탁수의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하여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후, 상기 전기히터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확인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을 반복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종료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순환펌프의 구동이 중지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을 통해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분기포트가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포트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로 전량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순환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는,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후 상기 급수밸브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개방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대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가열단계 후 상기 순환유로의 공기 공급 및 세탁수 유입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의 가열 시 순환펌프 및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기히터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공기의 누설을 억제하여 상승된 수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히터의 노출에 기인한 과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전기히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수위가 상승될 수 있어 세탁수의 수량을 저감할 수 있고 가열 시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탁수의 양이 저감되므로 세탁수의 세제농도가 증가되어 세탁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누설이 억제되므로 세탁수의 상승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에어펌프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펌프의 구동 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탁물처리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순환유로 및 에어펌프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2의 필터부영역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터브 제거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에어펌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에어펌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13은 도 2의 전기히터설치영역의 확대도,
도 14는 도 2의 필터부영역의 확대도,
도 15는 도 1의 제어블록도,
도 16은 도 15의 순환펌프의 구동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요부확대도,
도 18은 도 15의 순환펌프의 구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5의 순환펌프의 다른 구동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는, 캐비닛(110);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40);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210); 상기 순환유로(210)에 구비되는 순환펌프(27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290); 및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210)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제어하는 제어부(430);(도 15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예를 들면, 베이스(112a), 상기 베이스(112a)의 전면 및 후면에 구비되는 전면판(112b) 및 후면판(112c), 상기 베이스(112a)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양 측면판(112d), 및 상기 전면판(112b), 후면판(112c) 및 양 측면판(112d)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면판(탑커버)(112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에는, 예를 들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기공(149)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배기공(149)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후방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복수의 댐퍼(142) 및 지지브래킷(144)에 의해 상기 베이스(112a)에 대해 이격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는, 예를 들면, 전방이 상측을 향하게 상향 경사지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는 드럼(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60)은, 예를 들면,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럼(160)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후방에는, 예를 들면, 상기 드럼(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게 도어(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일 측 하부에는 내,외가 연통될 수 있게 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상부 일 측(예를 들면, 좌측)에는 세제공급장치(125)의 일 부가 외부에 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5)의 상부 다른 일 측(예를 들면, 우측)에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 후방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급수밸브(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상부영역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게 세제공급장치(12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전기히터(180)가 수용될 수 있게 히터수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8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181)과, 상기 보호관(181)의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체(18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184)는, 예를 들면, 전원인가 시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전기저항체(니크롬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81)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는 직선구간(182a)과, 상기 직선구간(182a)을 연결하는 곡선형의 연결구간부(18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관(181)은, 예를 들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유입되게 순환시키는 순환유로(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210)는, 예를 들면, 일 단이 상기 터브(140)와 연통되는 인출배관(211), 상기 인출배관(211)의 타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부(220),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되는 순환펌프(270) 및 일 단이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배관(24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배관(245)은,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배관(245)은, 상기 터브(140)의 전방에 구비된 가스켓(147)의 상부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20)의 다른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부(220)의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20)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배수펌프(280)의 토출측과 연통되는 배수포트(2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포트(283)에는 배수관(2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285)은, 예를 들면,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탁이 완료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 일 측에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수면 아래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전기히터(180)의 주변의 세탁수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에어펌프(29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펌프(290)는 상기 터브(140)의 후방 하측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에어펌프(290)는 상기 터브(140)의 상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전원 인가 시 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압공간(294), 상기 가압공간(294)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흡입구(295) 및 토출구(299)를 구비한 펌프바디(291); 상기 펌프바디(29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331); 및 상기 가압부재(3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295)를 개폐하는 흡입밸브(297); 상기 가압부재(3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토출구(299)를 개폐하는 토출밸브(301); 및 상기 가압부재(331)를 구동시키는 가압부재구동부(340); 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구동부(340)는, 예를 들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44) 및 상기 코일(344)에 의해 상대 운동 하는 영구자석(346)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29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60)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케이스(361) 및 하부케이스(37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60)의 저부에는 상기 케이스(36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게 복수의 지지부재(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62)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60)의 진동이 상기 베이스(112a)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7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361)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구비한 하향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71)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케이스(361)의 하부 개구를 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7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펌프(290)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부(3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부(374)에는 일 단이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65)의 타 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371)의 다른 일 측에는,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36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유입부(37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60)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바디(291) 및 가압부재구동부(340)를 지지하는 프레임(38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U"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저면부(382) 및 상기 저면부(382)의 양 측에서 상향 돌출된 측면부(38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은, 예를 들면, 상기 하부케이스(371)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의 하측에는 복수의 프레임지지부재(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부재(387)는, 예를 들면, 고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381)의 진동이 상기 케이스(36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에는 상기 펌프바디(2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바디(291)는, 예를 들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바디(291)는, 상기 프레임(381)의 양 측면부의 외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펌프바디(291)의 내부에는 가압공간(29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펌프바디(291)는, 예를 들면, 상호 대면 접촉결합되는 제1펌프바디(292) 및 제2펌프바디(322)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공간(2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92)에는 상기 가압공간(294)과 연통될 수 있게 흡입구(295) 및 토출구(29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95)에는 상기 흡입구(295)를 개폐할 수 있게 흡입밸브(2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99)에는 상기 토출구(299)를 개폐할 수 있게 토출밸브(3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밸브(297)는, 상기 가압공간(29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밸브(301)는 상기 가압공간(29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외측에는 상기 가압공간(294)과 연통된 공기흡입유로(314) 및 공기토출유로(31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92)의 외면에는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사이에 상기 공기흡입유로(314) 및 공기토출유로(316)를 형성하는 실링부재(31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제1펌프바디(292)의 상기 공기토출유로(316)에는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게 토출관(30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1)의 측면부의 각 내측면에는 상기 제2펌프바디(322)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 제2펌프바디(322)는 상기 프레임(381)(측면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바디(292)와 상기 제2펌프바디(322) 사이에는 소위 다이아프램(diaphragm)이라고 하는 가압부재(331)(이하, '가압부재(331)'로 표기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31)는, 예를 들면, 원반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곽부(테두리)는 상기 제1펌프바디(292) 및 제2펌프바디(3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31)는 중앙영역이 상기 펌프바디(291)에 대해 상대 운동하면서 상기 가압공간(294)의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가압부재(331)에는 작용로드(351)의 일 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51)는 상기 가압부재(331)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51)에는, 예를 들면, 영구자석(3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용로드(351)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46)이 결합될 수 있게 영구자석결합부(35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46)의 일 측에는,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4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344)은, 예를 들면, 자성체로 된 코어(342)에 미리 설정된 길이 및 턴수로 각각 권회될 수 있다.
상기 코어(342) 및 코일(344)은,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381)의 저면부(382)로부터 이격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344)과 상기 프레임(381)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344)의 구동(전원인가) 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프레임(381)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46)은, 예를 들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영구자석(346)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자극을 구비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영구자석(34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코일(344)측이 N극을 구비하게 배치되면 다른 하나는 상기 코일(344)측이 S극이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344)은, 상기 영구자석(346)에 대응되게 복수의 자극부(343)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344)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과 상기 영구자석(346)의 자기력이 상호 흡인 및 반발하면서 상기 영구자석(346)이 상기 코일(344)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140)의 하부 저부에는, 내부의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히터수용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저부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는 상기 터브(140)의 전방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수용부(145)의 하부에는 인출배관(211)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배관(211)은, 상기 터브(140)에 연결되는 유입단부(213) 및 상기 필터부(220)에 연결되는 유출단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인출배관(211)의 유입단부(213)는 상향 돌출되고, 상기 유출단부(215)는 상기 베이스(112a)의 전방 일 모서리(예를 들면, 우측 모서리)을 향해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221), 및 상기 필터케이싱(221)에 분리 가능하게 일 측이 삽입되는 필터(231)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31)는, 예를 들면,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2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은,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112a)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후방단부는 상기 인출배관(211)의 유출단부(215)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전방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개구의 일 측에는 일 단이 상기 에어펌프(29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265)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290)에서 공급된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공기공급관(265)이 연결될 수 있게 연결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61)는, 예를 들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개구의 후방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23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케이싱(221)에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상기 유입배관(245)이 연결되는 토출포트(2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포트(241)의 일 측에는 상기 유입배관(245)에서 분기된 분기관(255)이 접속되는 분기포트(2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배관(245)에는,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255)이 접속될 수 있게 분기유닛(2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47)은, 예를 들면, "T" 또는 "Y"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47)의 양 단부에는 2부분으로 분리된 유입배관(245)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47)의 분기측 단부에는 상기 분기관(255)의 일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세탁물처리장치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는 제어부(4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예를 들면,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43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예를 들면, 상기 터브(140)의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세탁을 수행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가 각각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270)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되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270)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on) 시간(t1)은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 운전 시간(t)의 60% 내지 66%로 설정되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off) 시간(t2)은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 운전 시간(t)의 34% 내지 40%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 시간은 63%이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 시간은 37%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순환유로(210)의 구조 및/또는 상기 공기공급유로의 구조, 상기 순환펌프(270)의 용량, 상기 에어펌프(29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체운전시간(t)이 1초인 경우를 예를 들면,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시간(구동시간)(t1)은 0.63초이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차단시간(t2)은 0.37초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210)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270)의 토출측을 통해 상기 필터부(220)(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관(255)이 접속된 분기포트(251)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전량 배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작동 전에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가 구동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270)는, 예를 들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전에 미리 설정된 시간(T1) 앞선 시점에 구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30)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직 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펌프(270)는 상기 에어펌프(290)가 구동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T2) 경과된 시점에 구동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공급관(265)의 길이가 길어 상기 에어펌프(290)의 구동 후 공기가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주입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시점을 늦춰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전기히터(180)와 접촉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세탁수의 수위가 설정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가 수행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3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 구동 후,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하는 경우, 상기 급수밸브(135)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 동안 개방하고, 상기 급수밸브(135)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재급수 시, 상기 급수밸브(135)를 0.5초 동안 개방하고 5초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수위(예를 들면 히터보호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에어펌프(290)에 의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세탁수의 수면의 출렁거림에 의한 오감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가열된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44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전기히터(180)와 접촉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45)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부(45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드럼(160)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65)가 제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상기 전기히터(180),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모드선택부(435)에 의해 운전모드가 선택되면(S11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의 선택여부를 확인한다(S12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가 선택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모드선택부(435)에 의해 선택된 해당 모드가 진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가열세탁모드가 선택되었으면(S120), 상기 포량감지부(450)에 의해 상기 드럼(160)의 내부의 세탁물의 포량이 감지되도록 한다(S130).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된 포량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13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양의 세탁수가 급수되게 할 수 있다(S14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수위감지부(445)에 의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고(S150), 미리 설정된 수윙 도달하면 상기 구동모터(165)를 제어하여 포고름을 실시한다(S160).
포고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온(on) 및 오프(off)되게 제어할 수 있다(S170).
상기 순환펌프(270)에 전원이 공급(on)되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의 물은 상기 토출포트(241)를 통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의 세탁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분기포트(251)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면 상기 순환펌프(270)가 재가동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로 세탁수가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온 및 오프되게 교호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입배관(245)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항상 존재하게 되어 상기 유입배관(245)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221)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가 구동(on)되면 상기 순환유로(21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290)를 구동(on)되게 제어할 수 있다(S18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가 구동되면 상기 수위감지부(445)를 통해 상기 터브(140)의 내부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S190).
상기 수위감지부(445)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설정수위(예를 들면 히터보호수위) 미만이면(S20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급수밸브(13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140)의 내부로 재급수가 될 수 있도록 한다(S205).
상기 제어부(430)는, 재급수 시, 상기 급수밸브(135)를 상기 제1시간( 예를 들면 0.5초) 동안 개방하고, 상기 급수밸브(135)의 차단 후 제2시간(예를 들면, 5초) 동안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된 수위가 상기 설정수위에 도달하면(S200), 상기 세탁수가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히터(180)에 전원이 인가되게 제어할 수 있다(S21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온도감지부(440)를 통해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S220).
상기 제어부(430)는 감지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에 도달하면(S230),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펌프(290) 및 순환펌프(270)의 동작이 중지되게 할 수 있다(S240).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에어펌프(290) 및 상기 순환펌프(270)의 동작이 각각 중지되면 후속 행정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S14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165);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S175);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의 작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를 먼저 구동시켜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에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27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에는,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을 차단(off) 및 공급(on)이 교호적으로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140)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S140); 상기 순환유로(210)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210) 중 상기 순환펌프(270)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S185);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전기히터(180) 작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270) 및 에어펌프(290)를 동시에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상기 순환펌프(270)의 구동 후, 미리 설정된 구동 패턴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270)의 전원 공급을 차단(off) 및 공급(on)이 교호적으로 발생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닛 115 : 도어
120: 커버 125: 세제공급장치
130: 조작패널 135: 급수밸브
140: 터브 145: 히터수용부
149: 배기공 160: 드럼
180: 전기히터 210: 순환유로
211: 인출배관 220 : 필터부
221: 필터케이싱 231: 필터
241: 토출포트 245: 유입배관
251: 분기포트 255: 분기관
261: 연결부 265 : 공기공급관
270: 순환펌프 280: 배수펌프
283 : 배수포트 285: 배수관
290 : 에어펌프 291: 펌프바디
294: 가압공간 295: 흡입구
297: 흡입밸브 299: 토출구
301 : 토출밸브 331 : 가압부재
340 : 가압부재구동부 342: 코어
344: 코일 346: 영구자석
351: 작용로드 360: 케이스
361: 상부케이스 371: 하부케이스
372: 공기유로 374: 유출부
376: 유입부 381: 프레임
430: 제어부 435: 모드선택부
440: 온도감지부 445: 수위감지부
450 : 포량감지부

Claims (2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시, 상기 순환유로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를 미리 설정된 구동패턴으로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의 공급(on) 및 차단(off)을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후, 상기 전기히터와 접촉된 세탁수의 수위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확인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게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시간에 비해 큰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7.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시,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공급하여 상기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 누설이 억제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히터의 가열 종료 시, 상기 에어펌프 및 순환펌프의 구동이 중지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에 세탁수가 유입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출구로 세탁수가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을 통해 전량이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반복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인출배관; 상기 인출배관의 타 단에 결합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케이싱; 및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일 측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케이싱에는, 상기 순환펌프의 토출측과 연통되고 일 단이 상기 터브에 연결된 유입배관의 타 단이 연결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유입배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이 연결되는 분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분기포트가 차단될 수 있게 상기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수가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유입배관의 출구로 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배관의 내부의 세탁수가 상기 분기포트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로 전량 유출되기 전에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3.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의 내부의 세탁물의 탈수 시, 상기 에어펌프가 구동되게 상기 에어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
  14.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전기히터; 상기 터브의 세탁수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구비하는 세탁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순환유로 중 상기 순환펌프의 하류측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에 세탁수를 유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순환펌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유로; 및 상기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재급수하는 단계는,
    상기 순환유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후 상기 급수밸브를 미리 설정된 제1시간동안 개방하는 단계; 상기 급수밸브의 차단 후 상기 제1시간 보다 긴 제2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급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대기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의 가열단계 후 상기 순환유로의 공기 공급 및 세탁수 유입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단계 전에, 상기 세탁수를 가열하는 가열세탁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세탁모드 선택 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27855A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93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CT/KR2017/002443 WO2017155278A1 (ko) 2016-03-08 2017-03-07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17763539.8A EP3428338B1 (en) 2016-03-08 2017-03-07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75A true KR20170104875A (ko) 2017-09-18
KR102493891B1 KR102493891B1 (ko) 2023-01-31

Family

ID=60034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55A KR102493891B1 (ko) 2016-03-08 2016-03-08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90A1 (en) * 2018-08-23 2020-02-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75B1 (ko) 2006-03-07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25905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JP2010172547A (ja)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186602B1 (ko) 2005-08-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 가열 및 순환식 세탁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 및이를 적용한 세탁기
CN104514122A (zh)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一种絮凝洗衣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602B1 (ko) 2005-08-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 가열 및 순환식 세탁기의 순환펌프 제어방법 및이를 적용한 세탁기
KR100792075B1 (ko) 2006-03-07 200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수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25905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JP2010172547A (ja) * 2009-01-30 2010-08-12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CN104514122A (zh) * 2013-09-27 2015-04-15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一种絮凝洗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490A1 (en) * 2018-08-23 2020-02-27 Lg Electronics Inc. Laund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891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2704B2 (en) Washing agent pump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19022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ing agent thereof
KR20180013535A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세탁건조기 및 그의 건조운전제어방법
JP6075065B2 (ja) 洗濯機
KR20080030886A (ko) 냄새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KR20160072604A (ko)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04875A (ko)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6135979B2 (ja) 洗濯機
EP3540112A1 (en) Detergent box and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JP201203000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91471B1 (ko) 세탁물처리장치
EP3428338B1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252200A1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KR102500682B1 (ko) 세탁물처리장치
KR10266146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JP6135977B2 (ja) 洗濯機
JP2007313214A (ja) 洗濯乾燥機
KR20060114107A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JP6004336B2 (ja) 洗濯機
JP2010082344A (ja) 洗濯乾燥機
JP6168442B2 (ja) 洗濯機
KR100733308B1 (ko) 드럼 세탁기
JP2015037488A (ja) 洗濯機
JP2015037489A (ja) 洗濯機
JP201505824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