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850A -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850A
KR20170104850A KR1020160027802A KR20160027802A KR20170104850A KR 20170104850 A KR20170104850 A KR 20170104850A KR 1020160027802 A KR1020160027802 A KR 1020160027802A KR 20160027802 A KR20160027802 A KR 20160027802A KR 20170104850 A KR20170104850 A KR 2017010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ilm
resin layer
layer
engra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피
Priority to KR102016002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850A/ko
Publication of KR201701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of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03Moulding articles between moving mould surfaces, e.g. tur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기재층의 상부에 제1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제1수지층의 표면에 음각형상의 음각복합패턴을 형성하여 음각패턴몰드를 제조하는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 제2기재층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층을 접착하여 베이스필름을 제조하는 베이스필름 제조단계;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부에 제2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를 상기 제2수지층에 압착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음각복합패턴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을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Glass sunting film complex pattern has been implemented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건물의 유리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유리용 필름이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피부노화나 실내 용품의 탈/변색 등을 유발하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능, 외부충격으로부터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파손된 유리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 적정한 착색을 이용해 실내 생활 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유리용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용 필름과 관련된 특허로는 다수 출원되어 있으며, 예컨대 '열차단필름 및 열차단필름의 제조방법(등록번호:10-0893002)'에서는 실내외로 유입/유출되는 복사열을 차단하는 열차단층이 형성된 기재층과, 열차단층과 접착할 수 있는 접착층이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되, 열차단층과 접착층이 마이크로웨이브파로 건조되는 열차단필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인성이 우수한 자동차 유리용 복합필름(등록번호:10-1542319)'에서는 지지부, 지지부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광변색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변색부, 광변색부 상에 형성되고 김 서림을 방지하는 친수성부로 이루어진 유리용 복합필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산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10-1504535)'에서는 베이스 필름층, 베이스 필름층 상부에 두께가 3 내지 5㎛(단, 5㎛는 제외한다)로 형성된 하드코팅층, 베이스 필름층 하부에 형성된 점착층, 점착층 하부에 형성된 이형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필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유리에 부착하기 위한 필름에 여러 기능을 가지도록 발명된 특허는 다수 출원되어 있으나, 유리를 선팅하기 위한 필름에 무늬를 넣는 기술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유리를 선팅하기 위한 필름에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93002호, 2009.04.03.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42319호, 2015.07.30.자 등록.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04535호, 2015.03.16.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기재층의 상부에 제1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제1수지층의 표면에 음각형상의 음각복합패턴을 형성하여 음각패턴몰드를 제조하는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 제2기재층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층을 접착하여 베이스필름을 제조하는 베이스필름 제조단계;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부에 제2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를 상기 제2수지층에 압착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음각복합패턴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을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임프린팅부를 이용하여 양각복합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외주연에는, 상기 음각패턴몰드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상호 연결하도록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음각패턴필름벨트를 이룸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음각패턴필름벨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양각복합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는,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인 조건 하에서 경화 및 열처리하는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 또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를 베이스필름 상의 제2수지층 표면에 압착 및 자외선 조사하여, 제2수지층의 표면에 음각복합패턴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헤이즈, 투과율, 굴절률 및 난반사 기능을 가지도록 다양한 무늬를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리 선팅용 필름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프린팅부의 개략도.
본 발명을 기술하기에 앞서, 도 1은 일반적인 유리 선팅용 필름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유리 선팅용 필름은 제1이형필름층(10), 제1이형필름층(10)의 상부에 자외선 및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접착층(20), 접착층(20)의 상부에 접착되는 베이스필름층(30), 베이스필름층(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유리 선팅용 필름의 형태 유지와 유리 선팅용 필름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하드코팅층(40), 하드코팅층(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이형필름층(5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리 선팅용 필름의 구조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복합패턴을 구현하여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 선팅용 필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은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 베이스필름 제조단계 및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도 2에서는 음각의 음각복합패턴(A)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100)를 이용하여 양각의 양각복합패턴(B)이 형성된 유리 선팅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고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양각의 양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양각패턴몰드를 이용하여 음각의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유리 선팅용 필름을 제조하는 것도 당연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먼저,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는 제1기재층(110)의 상부에 제1수지층(120)을 도포한 후, 제1수지층(120)의 표면에 음각형상의 음각복합패턴(A)을 형성하여 음각패턴몰드(10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는 다양한 무늬의 양각복합패턴(B)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몰드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로써, 제1수지층(120)의 표면상에 물리적, 화학적 가공방법에 의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다양한 음각 무늬를 임프린팅 공정을 통해 음각패턴몰드(100)를 형성한다.
이때 제1기재층(1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화학적 결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전처리된 제1기재층(110)은 제1수지층(120)과의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제1수지층(120)은 자외선경화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베이스필름 제조단계는 제2기재층(230)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220)을 형성한 후, 접착층(220)의 표면에 이형필름층(210)을 접착하여 베이스필름(20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이형필름층(210)은 외부 충격이나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제2기재층(230)과 제2수지층(240)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유리에 부착하기 전에 박리된다.
여기서 이형필름층(210)은 요구되는 제품의 물성에 따라 열경화성수지, 열가소성수지, 광경화성수지 및 자외선경화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경화제, 경화촉진제, 안료/염료, 광 안정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을 혼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접착층(22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반 고형의 성질을 지니는 것으로, 상온에서 점성(tack)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젖음성 및 응집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접착층(220)은 자외선을 차폐하는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감압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후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제는 슬롯다이 코팅, 롤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 공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제2기재층(230)의 하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기재층(230)은 유리 선팅용 필름의 형상 유지 및 기계적 강도 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기재층(230)이 없으면 유리 선팅용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해 쉽게 찢어질 수 있고, 제2기재층(2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수지층(24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기재층(230)은 계절에 따른 온도에 뒤틀림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열성이 좋은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아세테이트,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이미드아마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패턴 구현단계는 제2기재층(230)의 상부에 제2수지층(240)을 도포한 후, 음각복합패턴(A)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100)를 제2수지층(240)에 압착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음각복합패턴(A)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B)을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음각패턴몰드(100)를 가압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후 음각패턴몰드(100)를 다시 분리해냄으로써,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로 이루어진 양각복합패턴(B)을 구현함에 따라 유리 선팅용 필름의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단, 제2수지층(240)은 제1수지층(120)과 마찬가지로 자외선경화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도 3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프린팅부(1000)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회전운동하도록 제1회전롤러(1110)와 제2회전롤러(1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롤러(1100)와, 한 쌍의 회전롤러(1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1200)로 이루어진 임프린팅부(1000)를 이용하여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양각복합패턴(B)이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구동롤러(1200)를 제2회전롤러(1120)의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하면,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양각복합패턴(B)을 선명하게 구현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구동롤러(1200)는 제1회전롤러(1110)의 하부에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회전롤러(1110)와 제2회전롤러(11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롤러(1120)는 상호 연동되어 회전 운동하며, 한 쌍의 회전롤러(1120) 외주연에는, 음각패턴몰드(100)가 한 쌍의 회전롤러(1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음각패턴필름벨트(F)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회전롤러(1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음각패턴필름벨트(F)가 회전되면서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음각복합패턴(A)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B)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음각패턴몰드(100)가 컨베이어 벨트 방식에 의해 음각패턴필름벨트(F)로 장착되지 않고 롤러 자체의 외주연에 음각복합패턴(A)이 형성되어 있다면, 롤러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음각복합패턴(A)이 손상됨에 따라 공정상 롤러의 잦은 교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롤러 자체가 아닌, 한 쌍의 회전롤러(11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한 쌍의 회전롤러(1120) 외주연에 음각패턴몰드(100)를 장착하여 형성되는 음각패턴필름벨트(F)가 일정구간 회전되게 함에 따라, 음각패턴몰드(100)의 빠른 교체 및 저비용으로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선 한 쌍의 회전롤러(1100)의 외주연을 따라 음각패턴몰드(100)를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장착하여 음각패턴필름벨트(F)로 사용하고,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음각패턴필름벨트(F)를 접촉시키면서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압착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음각패턴필름벨트(F)이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유동성 있는 제2수지층(240)에서 발생할 수도 있을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음각패턴필름벨트(F)의 음각복합패턴(A)이 제2수지층(240)의 전면에 걸쳐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음각복합패턴(A) 상에 제2수지층(240)을 이루는 자외선경화수지가 달라붙지 않도록 음각패턴몰드(100) 즉, 음각패턴필름벨트(F)의 표면에는 이형 처리막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형 처리막은 티올(thiol) 또는 실란(silane)의 자기조립막 처리를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음각패턴필름벨트(F)의 표면과 마찬가지로,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도 별도의 접착 방지막을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음각복합패턴(A)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B)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서 제2수지층(240)의 표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광의 조사에 따라 양각복합패턴(B)이 형성되는 제2수지층(240)은 경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차단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회전롤러(1100)의 외주연에 장착된 음각패턴몰드(100) 내부 즉, 한 쌍의 회전롤러(1100) 사이에 광조사부(13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광조사부(1300)는 제2수지층(240)을 경화시키도록 광을 발생하는 것으로, 자외선램프, LED램프 및 레이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광조사부(1300)는 한 쌍의 회전롤러(110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단, 광조사부(1300)에서 발생된 광은 양각복합패턴(B)이 형성된 제2수지층(240)을 경화시킬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이 말은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저압에서 광경화함을 의미하는데, 즉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 음각복합패턴(A)의 표면에 제2수지층(240)이 접촉된 후 음각패턴필름벨트(F)가 깔끔하게 박리되지 못하여,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 바로 고압의 조건 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공정상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저압인 조건 하에서 노광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의 자외선 광 조사는 1~5분 동안 실시하여 양각복합패턴(B)이 경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사 시간이 1분 미만이면 자외선경화수지의 경화가 미흡하여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분을 초과하면 제품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저압인 조건 하에서 자외선 광조사를 함으로써, 추후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의 열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양각복합패턴(B)을 형성한 다음에는, 복합패턴 구현단계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인 조건 하에서 고압경화와 열처리하는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에서는 복합패턴 구현단계와는 달리, 고압인 조건 하에서 경화 및 열처리를 진행하여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형필름층(210)을 제거한 다음, 유리 선팅용 필름의 표면을 밀대로 밀면서 유리 선팅용 필름과 유리 또는 창문 표면 사이의 기포를 제거되도록 한 후, 유리 또는 창문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달성할 수 있다.
단,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 베이스필름 제조단계 및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통하여 음각의 음각복합패턴(A)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100)를 이용해 양각의 양각복합패턴(B)이 형성된 유리 선팅용 필름이 제조됨을 알 수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양각의 양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양각패턴몰드를 이용해 음각의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유리 선팅용 필름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당연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인 유리 선팅용 필름의 하드코팅층(40)에 다양한 무늬의 양각복합패턴(B)을 구현함으로써 디자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roll-to-roll 방식에 적용 가능하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강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음각패턴몰드
110: 제1기재층
120: 제1수지층
200: 베이스필름
210: 이형필름층
220: 접착층
230: 제2기재층
240: 제2수지층
1000: 임프린팅부
1100: 회전롤러
1110: 제1회전롤러
1120: 제2회전롤러
1200: 구동롤러
1300: 광조사부
A: 음각복합패턴
B: 양각복합패턴
F: 음각패턴필름벨트

Claims (5)

  1. 제1기재층의 상부에 제1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제1수지층의 표면에 음각형상의 음각복합패턴을 형성하여 음각패턴몰드를 제조하는 음각패턴몰드 제조단계;
    제2기재층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폐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 이형필름층을 접착하여 베이스필름을 제조하는 베이스필름 제조단계; 및
    상기 제2기재층의 상부에 제2수지층을 도포한 후, 상기 음각복합패턴이 형성된 음각패턴몰드를 상기 제2수지층에 압착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음각복합패턴에 대응되는 양각복합패턴을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복합패턴 구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에서는,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롤러로 이루어진 임프린팅부를 이용하여 양각복합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외주연에는,
    상기 음각패턴몰드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상호 연결하도록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음각패턴필름벨트를 이룸으로써,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음각패턴필름벨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에 상기 양각복합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사이에는,
    상기 제2수지층의 표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의 다음에는,
    상기 복합패턴 구현단계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인 조건 하에서 경화 및 열처리하는 고압경화 및 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용 필름.
KR1020160027802A 2016-03-08 2016-03-08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KR20170104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02A KR20170104850A (ko) 2016-03-08 2016-03-08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802A KR20170104850A (ko) 2016-03-08 2016-03-08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79A Division KR101843548B1 (ko) 2017-12-12 2017-12-12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50A true KR20170104850A (ko) 2017-09-18

Family

ID=6003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802A KR20170104850A (ko) 2016-03-08 2016-03-08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8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063A (ko) 2019-12-23 2021-07-01 (주)테크피아 우수한 내충격성 및 자가 복원성을 가지는 외부 부착용 보호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063A (ko) 2019-12-23 2021-07-01 (주)테크피아 우수한 내충격성 및 자가 복원성을 가지는 외부 부착용 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1280B2 (en) Solid-core panel incorporating decorative and/or functional material
TW201532812A (zh) 模內轉印箔及使用其之成形品
TW201532811A (zh) 模內轉印箔及其製造方法、以及加飾成形品及其製造方法
KR101103409B1 (ko) 고광택 곡면 장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1815A (ko)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이의 표면 처리방법
JP2013208749A (ja) 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70104850A (ko)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843548B1 (ko) 복합패턴이 구현된 유리 선팅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1156716B1 (ko) 유브이 미세 패턴이 형성된 인몰드 사출물과 그 제조 방법
KR950004356A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5841A (ko) 홀로그램을 갖는 유리창 부착용 착색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27333B1 (ko) 모바일 기기용 디스플레이부 보호창 제조방법 및 조립방법
KR101617868B1 (ko) 홀로그램을 갖는 유리창 부착용 착색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7167561B2 (ja) 転写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1149A (ko) 장식용 금속판재의 코팅방법
KR102518432B1 (ko) 헤이즈패턴필름을 이용한 ag필름 제조장치
KR20190077671A (ko) 폴리우레탄계 합성원단에 복합패턴을 임프린팅하는 방법
JP7405700B2 (ja) 加飾樹脂製品の製造方法
KR20240007835A (ko) 분할 디자인 패턴이 구현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101643933B1 (ko) 수지계 시트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장치
KR101063453B1 (ko) 나노패턴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필름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S5924729A (ja) 被処理体の表面に凹凸を形成する方法
US20150360413A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Machined Surface Finish On Polycarbonate Material
KR20230172755A (ko)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시트 전면 패터닝 공법
KR20230172757A (ko)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롤투롤 전면 패터닝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