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634A -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634A
KR20170103634A KR1020170017468A KR20170017468A KR20170103634A KR 20170103634 A KR20170103634 A KR 20170103634A KR 1020170017468 A KR1020170017468 A KR 1020170017468A KR 20170017468 A KR20170017468 A KR 20170017468A KR 20170103634 A KR20170103634 A KR 20170103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winding
receiver
body frame
st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45227B1 (en
Inventor
타이스케 콘노
타케히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4Supplying or transporting cross-wound packages, also combined with transporting the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05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or for loading an empty core
    • B65H67/041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or for loading an empty cor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2Framework; Casings;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4Supplying or transporting cross-wound packages, also combined with transporting the empty core
    • B65H67/065Manipulators with gripping or hold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package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a conveyor to a creel trolley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4Devic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A package take down apparatus which is shared between package bases and allows wound packages to be taken down from the package bases is provided. A package take down apparatus (40) comprises: a main body frame (41)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inding bases; a package receiver (43)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41); and an air hoist (44)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e package receiver (43) between a receiving position where the wound packages (P) are received from the stockers and a collection position which is below the receiving position.

Description

패키지 언로딩 장치 및 섬유 기계{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0001]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0002]

본 발명은 권취 장치에 의해 권취된 권취 패키지를 아래로 내리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및 이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구비한 섬유 기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unloading device for lowering a winding package wound by a winding device and a textile machine having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특허문헌 1에는 각종 처리가 행해진 실을 권취하는 섬유 기계로서 가연(假撚) 가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연 가공기는 급사 패키지를 유지하는 급사 크릴과, 급사 크릴로부터 공급된 실에 가연 가공을 실시하는 가연 장치와, 가연 가공이 실시된 실을 권취하여 권취 패키지를 형성하는 권취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wisting machine as a textile machine for winding yarn on which various kinds of processing have been carried out. This twisting machine includes a yarn feeding creel for holding a yarn feeding package, a yarn feeding device for performing a twisting process on the yarn fed from the yarn feeding creel, and a winding device for winding a yarn subjected to the twisting process to form a winding package .

또한, 특허문헌 1의 가연 가공기는 소정 방향으로 긴 메인 기대를 갖는다. 이 메인 기대에는 복수의 가연 장치와, 복수의 가연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권취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권취 장치는 상하로 4단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메인 기대의 길이 방향으로도 배열되어 있다. 급사 크릴은 메인 기대에 설치된 복수의 권취 장치와 작업 공간을 형성하여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false twist machine of Patent Document 1 has a main base lo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lurality of twisting devices and a plurality of twisting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wisting devices are attached to the main base. The plurality of winding devices are arranged vertically in four stages and also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ase. The yarn creel is disposed by forming a plurality of winding devices and a working space provided on the main base.

상기 가연 가공기에서는 권취 장치가 상하로 4단 배열되어 있으며, 최상단의 권취 장치는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다. 그래서, 권취 장치 근처에는 패키지 회수용의 가대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기대와 급사 크릴 사이의 작업 공간에 있어서, 작업자는 가대에 올라 손을 뻗어 최상단의 권취 장치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회수한다.In the above-described twisting machine, the winding device is vertically arranged in four stages, and the uppermost winding device is located at a considerably high position. Therefore, a stand for package recovery is provided near the winding device. In the work space between the main hopper and the yarn creel, the operator climbs up the handstrap to reach out to pick up the winding package from the uppermost winding device.

한편, 특허문헌 2에도 특허문헌 1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가연 가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가연 가공기는 가연 장치 등이 부착된 메인 기대와는 별도로 권취 장치가 부착된 권취대를 갖는다. 권취대에는 상기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권취 장치가 상하로 4단으로 배열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2 also discloses a twist processing machine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Patent Document 1. [ This twisting machine has a winding table with a winding device separate from a main base on which a twisting device or the like is mounted. As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the winding device is arranged in four stages in the upper and lower stages.

또한, 이 특허문헌 2의 가연 가공기에 있어서는 권취대에 최상단의 권취 장치에 의해 형성된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패키지 리시버와, 이 패키지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에어 실린더를 갖는다. 이 장치는 패키지 리시버를 최상단의 권취 장치까지 상승시키고, 이 권취 장치에 의해 형성된 권취 패키지를 패키지 리시버로 수취한 후, 패키지 리시버를 하강시킨다. 이 구성에서는 높은 위치에 있는 최상단의 권취 장치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아래로 내리는 작업이 용이해진다.Further, in the false twist machine of Patent Document 2, a device for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formed by the uppermost winding device on the winding table is provided. The apparatus has a package receiver and an air cylinder for lifting the package receiver. This device raises the package receiver to the uppermost winding device, receives the winding package formed by the winding device with the package receiver, and then lowers the package receiver. In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lower the winding package from the uppermost winding device at a higher position.

일본 특허공개 2012-09736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097369 일본 특허공개 2014-07721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4-077217

일반적인 가연 가공기에서는 권취 장치는 상하로 배열될 뿐만 아니라 기대의 길이 방향으로도 다수 배열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기대의 길이 방향에 걸쳐 높은 위치에 있는 수많은 권취 패키지를 아래로 내릴 필요가 있다.In a general twisting machine, not only are the winding devices arranged vertically, but also many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That is, the operator needs to lower a number of winding packages at a high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이 점에서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작업자는 중량이 있는 권취 패키지를 회수하기 위해서 가대를 몇 번이나 오르내릴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패키지 회수의 작업 효율이 나쁘고, 또한 작업자의 부담도 크다.In this respect, 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the operator needs to raise and lower the mount several times in order to collect the heavy package. As a resul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package recovery is poor, and the burden on the operator is great.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각 권취대에 패키지를 내리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 회수에 관한 작업자의 부담이 작아진다. 그러나 모든 권취대에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작업자가 실제로 조작하는 것은 그 중 1개이다. 즉, 불필요하게 많은 장치가 설치되게 되어 쓸데없는 비용 상승이 된다. 또한, 그들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도 한층 더 필요하다.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device for lowering the package is provided on each winding table, the burden on the operator regarding the package recovery is reduced. However, even if a package unloading device is installed on all the winding platforms, one of them is actually operated by the operator. That is, an unnecessarily large number of devices are installed, resulting in unnecessary cost increase. In addition, space for installing these devices is further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공통의 장치로 복수의 패키지대로부터 각각 권취 패키지를 내릴 수 있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e unloading apparatus capable of releasing a package from a plurality of packages by a common apparatus.

제 1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각각이 권취 패키지를 저류하는 스토커를 구비하며, 또한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패키지대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로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패키지 리시버와,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스토커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상기 수취 위치보다 하방의 회수 위치에 걸쳐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e unloading apparatus having a stocker for storing a winding package and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from a plurality of packag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direction, And a lifting drive section for lifting the lifting drive section up and down over a receiving position for receiving the winding package from the stocker and a return position below the receiving position, .

어느 패키지대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내릴 경우, 우선 대상이 되는 패키지대의 위치에 본체 프레임을 이동시킨다. 이어서, 승강 구동부에 의해 패키지 리시버를 수취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패키지대의 스토커에 저류되어 있는 권취 패키지를 패키지 리시버로 이동시킨다. 그 상태로 승강 구동부에 의해 패키지 리시버를 회수 위치까지 하강시킨다.When releasing the wrapping package from any package, the main body frame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package band first. Then, the lifting drive unit lifts the package receiver to the receiving position, and moves the wound package stored in the stocker of the package stand to the package receiver. In this state, the package receiver is lowered to the return position by the lifting drive section.

본 발명에서는 패키지 리시버를 상방의 수취 위치와 하방의 회수 위치에 걸쳐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위치에 있는 권취 패키지를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이 패키지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점에서 공통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로 복수의 패키지대의 권취 패키지를 내릴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the package receiver over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sition, the winding package at a higher position can be easily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frame can be mov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ckage base, a plurality of package base wrapping packages can be lowered by a common package unloading device.

제 2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각 패키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단의 상기 스토커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상기 수취 위치는 상기 복수 단의 스토커 중 최상단의 스토커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second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first invention, wherein each package stand comprises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stock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package receiver is a position And is a position for receiving the wound package from the stocker.

본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스토커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최상단의 스토커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것이다. 또한, 하단의 스토커에 대해서는 최상단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권취 패키지를 내려도 좋지만, 최상단의 스토커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작업자 스스로가 내려도 좋다.In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tockers are arrang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take-up package is lowered from the uppermost stocker at the highest position. Further, with respect to the stocker at the lower end, the winding package may be put down us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uppermost stage, but it may be lowered by the operator because it is lower than the uppermost stocker.

제 3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각 패키지대는 3단 이상의 상기 스토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third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econd invention, each package stand comprises three or more stages of the stocker.

패키지대에 3단 이상의 스토커가 있을 경우, 최상단의 스토커의 위치가 높아져 작업자의 손이 닿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If there are three or more stalkers on the package base,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stalker is increased, making it harder for the operator to reach.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패키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has a connecting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package stand.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가 연결부에 의해 패키지대의 상부에 연결된다. 그 때문에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작업 중에 본체 프레임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age base by the connecting portion. Therefore, the body frame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during the work of lowering the wrapping package.

제 5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의 상부에 걸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레일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fifth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wherein an upper rail extend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is provided over the plurality of package stands, and the connecting section is movable in the arranging directio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의 연결부가 복수의 패키지대의 상부에 걸쳐 연장되는 상부 레일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프레임을 패키지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도 본체 프레임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is connected to the upper rail extending 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package bases so as to be movable. Therefore, even when the main frame is mov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ckage base, the main frame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제 6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의 하부에 걸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sixth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wherein a lower rail extend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is provided below the plurality of package stands, As shown in FIG.

본체 프레임을 하부 레일을 따라 복수의 패키지대의 배열 방향으로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frame can be smoothly moved along the lower rail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ackage stands.

제 7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위치에 있는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패키지대와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회수 위치에 있는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패키지대와 반대측으로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걸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된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wherein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closing position for covering the package receiver at the recovery position from the opposite side from the package stand, And a cover attached to the body frame over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receiver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ackage base.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를 상방의 수취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커버를 폐쇄 위치로 함으로써 상방으로 이동하기 직전의 패키지 리시버 근처에 작업자가 실수로 손 등을 집어 넣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키지 리시버가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여 회수 위치로 리턴해왔을 때에는 커버를 개방 위치로 하여 패키지 리시버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인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accidentally putting his / her hand or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package receiver immediately before moving upward by setting the cover to the closed position when the package receiver at the return position is moved to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ckage receiver has received the winding package and returned to the recovery position, the winding package can be taken out from the package receiver with the cover as an open position.

제 8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한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승강이 허용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한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승강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eighth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seventh invention,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by the lifting drive portion is permitted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is prohibited.

본 발명에서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승강 구동부에 의한 패키지 리시버의 승강이 허용된다. 즉,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고,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가 커버로 덮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패키지 리시버가 수취 위치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기 직전의 패키지 리시버 근처에 작업자가 실수로 손 등을 집어 넣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by the lifting drive unit is permitted only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at is, when the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package receiver at the collection position is not covered with the cover, the package receiver does not move to the receiving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perator from accidentally putting his or her hands in the vicinity of the package receiver immediately before moving upward.

제 9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을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ni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aspects ha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main body frame in a non-movable manner in the arranging direction.

고정 장치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작업 중에 본체 프레임이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body frame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during the work of lowering the package by fixing the body frame by the fixing device.

제 10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이 고정될 때에 상기 승강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tenth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ninth invention, when the main frame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part for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lifting drive part.

본 발명에서는 고정 장치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고정했을 때에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동력 공급부와 접속된다. 따라서, 패키지 언로딩 장치에는 승강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의 공급원을 비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체 프레임의 고정과 동시에 동력 공급부와 접속되는 점에서 이 접속을 위한 특단의 조작이 필요 없어 작업 공정이 간략화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frame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ortion. Therefore,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does not need to supply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lifting drive section. In addition, since the main fram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at the same time as the main frame is fixed,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for this connection, and the work process is simplified.

제 11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면으로부터의 상기 스토커의 높이가 2.3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eleventh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stocker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package stand is provided is 2.3 m or more in any one of the first to tenth inventions.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의 위치에 있는 스토커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내릴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package can be lowered from the stocker at a position of 2.3 m or more from the bottom surface, which is hard to reach by the hand of the operator.

제 12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11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eleventh inven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rating section for operating the elevating drive section.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켜 패키지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즉, 작업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소위 반자동의 장치이다. 이 구성에서는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높은 곳에 있는 스토커로부터 권취 패키지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주위의 상황을 확인한 후에 패키지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점에서 돌발적인 트러블에도 대응하기 쉬운 점에서 권취 패키지의 회수를 전자동으로 행하는 장치에 비해 안전성이 높다. 또한, 승강 구동부 등 권취 패키지를 내리기 위한 필요 최저한의 구동부만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비용면 및 에너지 절약의 면에서도 전자동의 장치에 비해 유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to actuate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to raise and lower the package receiver. That is, it is a so-called semiautomatic device which operate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perator can lower the package from the stocker at a high position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the work load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erator ascends and descends the package receiver after confirming the circumstance, it is easy to cope with an unexpected trouble, so that the safety is higher than that of a device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package. In addition, it is sufficient to provide only the minimum necessary driving section for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such as the lifting drive section,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energy saving compared with a fully automatic apparatus.

제 13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리시버는 상하로 배열되는 2단 이상의 상기 스토커로부터 각각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상하로 나뉜 2 이상의 패키지 재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of the thirteenth invention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welfth inventions, wherein the package receiver comprises two or more upper and lower divided packages And has a placement portion.

본 발명에서는 상하 2단 이상의 스토커로부터 동시에 권취 패키지를 수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rapping package can be received simultaneously from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stalkers.

제 13 발명의 섬유 기계는 각각이 권취 패키지를 저류하는 스토커를 구비하여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패키지대와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상기 제 1 내지 제 1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textile machine according to a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ackage bases each having a stocker for storing the wind-up package and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direction, and any one of the first to thirteenth aspects for lowering the wind- And a package unloading devic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패키지 리시버를 상방의 수취 위치와 하방의 회수 위치에 걸쳐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위치에 있는 권취 패키지를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이 패키지대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점에서 공통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로 복수의 패키지대의 권취 패키지를 내릴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the package receiver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over the receiving position at the upper side and the return position at the lower side, the winding package at the higher position can be easily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main frame can be mov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ckage base, a plurality of package base wrapping packages can be lowered by a common package unloading device.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가연 가공기를 메인 기대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권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권취대와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권취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대기 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패키지 언로딩 준비 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패키지 언로딩 중)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하단부의 주행부 및 고정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상단부의 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a)는 고정 해제 상태, 도 11(b)는 고정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1 is a view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seen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as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ing cradl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table and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 is a side view of the winding devic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6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standby state).
7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at the time of preparing package unloading).
8 is a front view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during package unloading).
Fig. 9 is a side view of a traveling part and a fixing device at the lower end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10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at the upper end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Fig. 11 (a) shows the fixed release state, and Fig. 11 (b) shows the fixed state.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가연 가공기(1)를 메인 기대(2)의 길이 방향(권취대의 배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권취대(3)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의 지면 수직 방향인 메인 기대(2)의 길이 방향을 「가연 가공기의 전후 방향」, 도 1의 좌우 방향을 「가연 가공기의 좌우 방향」으로, 도 1 상하 방향을 「가연 가공기 상하 방향」으로 각각 정의하여 이하에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view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ase 2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inding cradl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table 3. Fig.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ase 2, which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lane of Fig. 1, is referred to as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false twister, " Direction ", respectively.

(가연 가공기의 개요)(Overview of the false twiste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가연 가공기(1)(본 발명의 섬유 기계)는 좌우 방향 중앙에 있어서, 전후로 연장되는 메인 기대(2)와, 메인 기대(2)의 좌우 양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권취대(3)(본 발명의 패키지대)와, 권취대(3)보다 더 외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크릴스탠드(4)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twis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extil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ase 2 extend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midd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winding bobbins 3 (package 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rush stands 4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winding bobbins 3.

또한, 후술하는 가연부(5)를 구성하는 장치(피드 롤러(10), 제 1 가열 장치(11), 꼬임 방지 가이드(12), 냉각 장치(13), 가연 장치(14), 피드 롤러(15), 제 2 가열 장치(16), 피드 롤러(17) 등)가 권취대(3)의 상부로부터 메인 기대(2), 또한 권취대(3)의 하부에 걸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The feed roller 10, the first heating device 11, the anti-kink guide 12, the cooling device 13, the misfire device 14, the feed roller (not shown)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and the feed roller 17 are arranged side by side from the top of the winding table 3 to the bottom of the main table 2 and the winding table 3.

또한, 가연 가공기(1)의 전체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획(B)(스팬이라고도 칭해짐)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가연 가공기(1)의 1개의 구획(B)에는 20개의 실(Y)에 각각 가연을 실시하는 가연부(5)와, 1개의 권취대(3)와, 1개의크릴스탠드(4)가 포함된다. 도 2에는 1개의 구획(B)에 대하여 1개의 권취대(3)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1개의 권취대(3)에는 20개의 실(Y)을 각각 권취하는 20개의 권취 장치(2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1개의 크릴스탠드(4)에는 1개의 가연부(5)에 20개의 실(Y)을 각각 공급하는 20개의 급사 패키지(S)가 유지되어 있다.Further, the entire twist processing machine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 (also referred to as span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wisted yarn Y is wound around twenty yarns Y in the one section B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 Fig. 2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wind-up table 3 is provided for one section B. Fig. Twenty winding devices 22 for winding twenty yarns Y are attached to one winding table 3, respectively. In addition, one creel stand 4 holds twenty yarn feeding packages S that supply twenty yarns Y to one twisted portion 5. [

(가연부)(Flutter)

가연부(5)는 실(Y)의 주행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피드 롤러(10), 제 1 가열 장치(11), 냉각 장치(13), 가연 장치(14), 피드 롤러(15), 제 2 가열 장치(16), 피드 롤러(17)를 구비하고 있다.The twisted portion 5 includes a feed roller 10, a first heating device 11, a cooling device 13, a twisting device 14, a feed roller 15, and a feed roller 15 in this order from the upstream side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yarn Y. [ A second heating device 16, and a feed roller 17, as shown in Fig.

피드 롤러(10)는 권취대(3)의 상방에 설치되어 급사 패키지(S)로부터 해서(解舒)된 실(Y)을 제 1 가열 장치(11)를 향해서 보낸다. 제 1 가열 장치(11)는 피드 롤러(10)에 대하여 중앙측에 배치되어 피드 롤러(10)에 의해 보내지는 실(Y)을 가열한다. 또한, 제 1 가열 장치(11)의 바로 상류측에는 꼬임 방지 가이드(12)가 설치되어 있다. 꼬임 방지 가이드(12)는 후술하는 가연 장치(14)에 의해 실(Y)에 꼬임을 부여했을 때에 그 꼬임이 제 1 가열 장치(11)의 상류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 장치(13)는 제 1 가열 장치(11)에 대하여 중앙측에 배치되어 제 1 가열 장치(11)에 의해 가열된 실(Y)을 냉각한다.The feed roller 10 is provided above the winding table 3 to feed the yarn Y that has been unwound from the yarn feeding package S toward the first heating device 11. [ The first heating device 11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with respect to the feed roller 10 to heat the yarn Y fed by the feed roller 10. An anti-twist guide 1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heating device 11. The anti-twist guide 12 is for preventing the twis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heating device 11 when twist is given to the yarn Y by the later-described twist device 14. [ The cooling device 13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heating device 11 to cool the yarn Y heated by the first heating device 11. [

가연 장치(14)는 메인 기대(2)의 상부에 설치되어 꼬임 방지 가이드(12)와 가연 장치(14) 사이의 실(Y)에 꼬임을 부여한다. 실(Y)은 제 1 가열 장치(11)에 의해 가열되면서 가연 장치(14)에 의해 꼬임이 부여되며, 그 후 냉각 장치(13)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열고정된다. 열고정된 실(Y)은 가연 장치(14)와 피드 롤러(15) 사이에서 꼬임이 풀어진다. 이에 따라 실(Y)의 꼬임은 풀어지게 되지만, 제 1 가열 장치(11)에 의해 열고정이 행해져 있는 점에서 실(Y)의 각 필라멘트에는 파형의 형상이 남는다. 이 일련의 실가공은 일반적으로 「가연 가공」이라고 불린다.The flammable device 1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ase 2 to impart a twist to the yarn Y between the anti-twist guide 12 and the flammable device 14. [ The yarn Y is heated by the first heating device 11 and is twisted by the twisted device 14 and then thermally fixed by being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13. [ The thermally fixed yarn Y is untwisted between the twisting device 14 and the feed roller 15. [ As a result, the twist of the yarn Y is released, but the waveform of the yarn Y remains in the filament of the yarn Y because the first heating device 11 performs the heat fixing. This series of thread machining is generally referred to as " twist machining ".

피드 롤러(15)는 메인 기대(2)에 설치되어 가연 장치(14)로부터 송출된 실(Y)을 제 2 가열 장치(16)를 향해서 반송한다. 또한, 피드 롤러(15)의 실 이송 속도는 피드 롤러(10)의 실 이송 속도보다 빠르다. 그 때문에 실(Y)이 피드 롤러(10)와 피드 롤러(15) 사이에서 연신되면서 이 실(Y)에 상기 가연 가공이 실시된다. 제 2 가열 장치(16)는 메인 기대(2)의 피드 롤러(15)의 하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피드 롤러(15)에 의해 보내지는 실(Y)을 가열한다.The feed roller 15 is provided in the main base 2 and conveys the yarn Y delivered from the false device 14 toward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 In addition, the actual feed speed of the feed roller 15 is faster than the actual feed speed of the feed roller 10. Therefore, the yarn Y is stretched between the feed roller 10 and the feed roller 15, and the yarn Y is subjected to the twisting process.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is installed at a position below the feed roller 15 of the main base 2 to heat the yarn Y fed by the feed roller 15.

피드 롤러(17)는 권취대(3)의 하부 근방에 설치되어 제 2 가열 장치(16)에 의해 열처리가 실시된 실(Y)을 권취대(3)의 권취 장치(22)에 보낸다. 또한, 피드 롤러(17)에 의한 실 이송 속도는 피드 롤러(15)에 의한 실 이송 속도보다 느리다. 그 때문에 실(Y)이 피드 롤러(15)와 피드 롤러(17) 사이에서 이완된 상태로 제 2 가열 장치(16)에 의해 실(Y)에 열처리가 이루어진다.The feed roller 17 is disposed near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ing table 3 and sends the yarn Y subjected to the heat treatment by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to the winding device 22 of the winding table 3. The actual feed speed by the feed roller 17 is slower than the actual feed speed by the feed roller 15. [ Therefore, the yarn Y is heat-treated by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in a state where the yarn Y is loosened between the feed roller 15 and the feed roller 17. [

또한, 제 2 가열 장치(16)와 피드 롤러(17) 사이의 실길의 상방 공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작업대나 작업대차가 설치된다. 작업자는 작업대 또는 작업대차에 올라 가연부(5)를 구성하는 가연 장치(14) 등으로의 실걸이 작업을 행한다.A workbench or a workbench,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yarn path between the second heating device 16 and the feed roller 17. The worker climbs to a workbench or a work truck to perform a threading operation to the combustible device 14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false-twist portion 5.

(권취대와 권취 장치)(Winding table and winding device)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권취대(3)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가연 가공기(1)의 1개의 구획(B)에 대하여 1개의 권취대(3)가 설치되어 있다. 1개의 권취대(3)에는 가연부(5)에서 가연 가공이 실시되는 20개의 실(Y)을 각각 권취하는 20개의 권취 장치(22)가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winding tables 3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urther, one winding table 3 is provided for one section B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One winding table 3 is provided with twenty winding devices 22 for winding up twenty yarns Y subjected to the twist processing in the twist portion 5 respectively.

우선, 권취대(3)에 대하여 설명한다. 1개의 권취대(3)는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된 2매의 측판(20)과, 2매의 측판(20) 사이에 걸쳐 운반된 5개의 보부재(21)를 갖는다. 각 보부재(21)에는 후술하는 권취 장치(22)가 4개 나란히 부착된다. 즉, 5개의 보부재(21) 각각에 4개의 권취 장치(22)가 부착됨으로써 20개의 권취 장치(22)는 상하 5단으로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권취 장치(22)의 단이란 밑에서부터 셌을 때의 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4단째의 권취 장치」란 밑에서부터 4번째 단의 권취 장치(22)를 말한다.First, the winding table 3 will be described. One winding table 3 has two side plates 20 disposed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five side plates 20 carried between the two side plates 20. Four winding devices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attached to each of the beam members 21 side by side. That is, four winding devices 22 are attached to each of the five beam members 21, so that the twenty winding devices 22 are separated into five upper and lower stag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end of the winding device 22 refers to the end of the winding device 22 when viewed from below. For example, the "fourth-stage winding device" refers to the fourth winding device 22 from the bottom.

도 3은 권취대(3)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도 3에서는 권취 장치(22)의 도시는 생략하고, 권취대(3)를 2점 쇄선으로 간소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추후에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가연 가공기(1)는 각 권취대(3)의 4단째와 5단째의 권취 장치(22)에 의해 형성된 권취 패키지(P)를 아래로 내리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권취대(3)에는 이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table 3 and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Fig. In order to simplify the drawing, the drawing of the winding device 22 is omitted in FIG. 3, and the winding table 3 is simplified by a two-dot chain line. Although described later,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ckage unloading apparatus (not shown) for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P formed by the winding apparatus 22 in the fourth and fifth tiers of each winding table 3 40). The winding table 3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moving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우선, 복수의 권취대(3)의 바로 앞측에는 복수의 권취대(3)의 하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레일(30)의 각 권취대(3)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와 접속되는 접속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권취대(3)의 전방측의 측판(20)의 상단부에는 레일 지지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권취대(3)의 레일 지지부(32)에 의해 복수의 권취대(3)의 상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레일(33)이 지지되어 있다.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하부 레일(30)과 상부 레일(33)에 의해 안내되면서 복수의 권취대(3)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상세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First, on the front side of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there is provided a lower rail 30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2, a connecting portion 31 to be connected to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each of the wind-up stands 3 of the lower rail 30. As shown in Fig. A rail support portion 3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20 on the front side of each wind-up table 3. The upper rail 33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rail support portions 32 of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while being guided by the lower rail 30 and the upper rail 33. Details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권취 장치(22)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취 장치(22)는 피드 롤러(17)에 의해 이송되는 실(Y)을 보빈(35)에 권취하여 권취 패키지(P)를 형성한다. 도 4는 권취 장치(22)의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 장치(22)는 보빈 저류부(23), 크래들(24), 권취 롤러(25), 한쌍의 도핑 암(26), 스토커(27), 규제 부재(28) 등을 구비하고 있다.Next, the winding device 22 will be described. The winding device 22 winds the yarn Y which is fed by the feed roller 17 to the bobbin 35 to form the winding package P. 4 is a side view of the winding device 22. Fig. 4, the winding device 22 includes a bobbin storage section 23, a cradle 24, a winding roller 25, a pair of dope arms 26, a stocker 27, a regulating member 28, Respectively.

보빈 저류부(23)는 실(Y)이 감기기 전의 보빈(35)을 저류한다. 크래들(24)은 보빈 저류부(23)로부터 공급된 보빈(35)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권취 롤러(25)는 크래들(24)에 유지되는 보빈(35)(패키지(P))의 실층에 마찰 접촉하여 패키지(P)를 회전시킨다. 한쌍의 도핑 암(26)은 모두 감긴 패키지(P)를 크래들(24)로부터 스토커(27)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쌍의 도핑 암(26)은 도 4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들 상단부 사이에 패키지(P)를 끼운다. 또한, 한쌍의 도핑 암(26)은 각각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4의 위치로부터 한쌍의 도핑 암(26)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모두 감긴 패키지(P)가 스토커(27)에 도핑된다.The bobbin storage portion 23 stores the bobbin 35 before the yarn Y is wound. The cradle (24) rotatably holds the bobbin (35) supplied from the bobbin holding portion (23). The winding roller 25 frictionally contacts the seal layer of the bobbin 35 (package P) held by the cradle 24 to rotate the package P. [ The pair of dope arms 26 are all to move the wrapped package P from the cradle 24 to the stocker 27. A pair of the doping arms 26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Fig. 4, and sandwich the package P between the upper ends thereof. Further, each of the pair of doping arms 26 is rotatable about the lower end. A pair of the doping arms 26 are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FIG. 4, so that the entirely wound package P is doped into the stocker 27.

스토커(27)는 모두 감긴 패키지(P)를 저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커(27)는 2개의 패키지(P)를 저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토커(27)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29)을 갖는다. 모두 감긴 패키지(P)는 보빈(35)의 양단부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 레일(29)에 지지된다. 한쌍의 가이드 레일(29)은 도 4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고, 도면 중 좌측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도핑 암(26)에 의해 스토커(27)에 도핑된 권취 패키지(P)는 가이드 레일(29)을 따라 도면 중 좌측으로 전도되면서 이동한다.The stocker 27 stores all the wound package P.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cker 27 is capable of storing two packages (P). The stocker 27 has a pair of guide rails 29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The package P, which is completely wound, is supported by a pair of guide rails 29 at both ends of the bobbin 35. A pair of guide rails 29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of Fig. 4, and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eft side in the figure. Therefore, the winding package P doped in the stocker 27 by the dope arm 26 moves along the guide rail 29 while being conducted to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규제 부재(28)는 스토커(27)에 있어서의 권취 패키지(P)의 쓰러짐을 규제한다. 규제 부재(28)는 제 1 클로부(28a), 제 2 클로부(28b), 및 조작부(28c)를 갖는다. 규제 부재(28)는 가이드 레일(27)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 4의 자세가 되도록 바이어싱되어 있다. 후술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에어 실린더(59)(도 5~도 8 참조)에 의해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조작부(28c)가 압출되면 규제 부재(28)는 도 4의 자세로부터 반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요동한다.The regulating member 28 regulates the collapse of the winding package P in the stocker 27. The regulating member 28 has a first claw portion 28a, a second claw portion 28b, and an operating portion 28c. The regulating member 28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guide rail 27 and biased to a posture shown in Fig. 4 by a spring (not shown). When the operating portion 28c is pushed against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by the air cylinder 59 (see Figs. 5 to 8)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described later, the regulating member 28 moves from the posture of Fig. And oscillates in the direction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규제 부재(28)가 도 4의 자세에 있을 때에는 제 1 클로부(28a)가 돌출되는 한편, 제 2 클로부(28b)는 퇴입되어 있다. 이때, 스토커(27) 내의 외측에 위치하는 권취 패키지(P(P1))가 제 1 클로부(28a)에 의해 스토커(27)로부터 굴러 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조작부(28c)가 압출되어서 규제 부재(28)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면, 제 1 클로부(28a)가 퇴입되어 외측의 권취 패키지(P(P1))가 스토커(27)로부터 굴러 나온다. 이때, 동시에 제 2 클로부(28b)가 돌출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권취 패키지(P(P2))가 함께 굴러 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에어 실린더(59)에 의한 조작이 종료되어 규제 부재(28)가 도 4의 자세로 리턴되면, 제 2 클로부(28b)가 퇴입되어 내측의 패키지(P(P2))가 외측으로 쓰러져 다시 돌출된 제 1 클로부(28a)에 의해 멈춰진다.When the regulating member 28 is in the attitude shown in Fig. 4, the first claw portion 28a protrudes while the second claw portion 28b is retracted. At this time, the winding package P (P1)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stocker 27 is restricted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stocker 27 by the first claw portion 28a. When the operating portion 28c is pushed out and the regulating member 28 swing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claw portion 28a is retracted and the outer winding package P (P1) is rolled out of the stocker 27. At this time,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law portion 28b is protruded to restrict the winding package P (P2) located on the inner side from rolling together.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ylinder 59 is completed and the regulating member 28 returns to the posture shown in Fig. 4, the second claw portion 28b is retracted to collapse the inner package P (P2) And is stopped by the first claw portion 28a.

(패키지 언로딩 장치)(Package unloading device)

각 권취 장치(22)에 있어서 스토커(27)에 도핑된 권취 패키지(P)는 권취대(3)의 바로 앞측(도 2, 도 3에서는 우측)의 작업자에게 회수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가연 가공기(1)에서는 1개의 권취대(3)에 권취 장치(22)의 스토커(27)가 상하 5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4단째의 스토커(27)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약 2.3m이며, 5단째(최상단)의 스토커(27)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약 2.8m이다. 이러한 높이 위치에 있는 스토커(27)로부터 수 ㎏의 중량의 권취 패키지(P)를 몇 번이나 내리는 작업은 작업자에게 있어서 상당한 부담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가연 가공기(1)는 4단째, 5단째의 권취 장치(22)의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아래로 내리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The winding package P doped in the stocker 27 in each winding device 22 is recovered to the worker immediately in front of the winding table 3 (the right side in Figs. 2 and 3). Here, in the tandem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cker 27 of the winding device 22 is provided on one winding table 3 in the upper and lower five stages. The height of the fourth stage stocker 27 is about 2.3 m from the bottom, and the height of the fifth stage (top end) of the stocker 27 is about 2.8 m from the bottom. The work of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P of several kilograms from the stocker 27 at such a height position several times i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operator. Therefore, the twist processing machin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ckage unloading device 40 for lowering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stocker 27 of the fourth-stage and fifth-stage winding devices 22.

도 5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사시도이다. 도 6~도 8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대기 시, 도 7은 패키지 언로딩 준비 시, 도 8은 패키지 언로딩 중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의 간단화를 위하여 도 6~도 8에서는 도 5에 해칭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커버(45)의 네트(71)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하단부의 주행부(48) 및 고정 장치(42)의 측면도, 도 10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상단부의 연결부(55)의 측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Fig. 6 to 8 are front views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Fig. Fig. 6 shows a standby state, Fig. 7 shows a package unloading preparation time, and Fig. 8 shows a package unloading device 40 when unpacking the package. 6 to 8, the illustration of the net 71 of the cover 45 indicated by hatching in Fig. 5 is omitted. 9 is a side view of the running unit 48 and the fixing unit 42 at the lower end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ing unit 55 at the upper end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Fig.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본체 프레임(41), 패키지 리시버(43), 에어 호이스트(44)(본 발명의 승강 구동부), 고정 장치(42), 커버(45), 조작 박스(46), 펜던트 스위치(47) 등을 갖는다. 또한, 이하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설명에 있어서, 권취대(3)와 반대측에 있는 작업자의 시점으로부터 「바로 앞측」「안측」이라는 표현을 적당히 사용한다. 즉, 「바로 앞측」이란 권취대(3)와 반대측의 것이며, 「안측」이란 권취대(3)측의 것을 나타낸다.5 to 8,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ncludes a main body frame 41, a package receiver 43, an air hoist 44 (a lift driv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device 42, a cover 45, an operation box 46, a pendant switch 47,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the expression " front side " and " inside " are appropriate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operato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inding table 3. That is, the term " front side " means the side opposite to the winding table 3, and " inside " means the side on the winding table 3 side.

본체 프레임(41)은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프레임형상의 부재이다. 본체 프레임(41)의 하단부에는 전후로 거리를 형성하여 2개의 주행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주행부(48)는 수평축 둘레로 회전하는 차륜(49)과, 연직축 둘레로 회전하는 2개의 가이드 롤러(50)가 부착되어 있다. 차륜(49)은 복수의 권취대(3)에 걸쳐 전후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30) 위에 설치된다. 2개의 가이드 롤러(50)는 차륜(49)의 하방에 있어서 하부 레일(30)을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41)은 하부 레일(30)의 양측의 가이드 롤러(5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하부 레일(30)에 따라 전후로 스무드하게 이동 가능하다.The main body frame 41 is a rectangular frame-shaped member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two running portions 48 are provided with a distan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 9, one running section 48 is provided with a wheel 49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and two guide rollers 50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The wheel 49 is mounted on the lower rail 30 extending back and forth over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 The two guide rollers 50 are disposed below the wheel 49 to sandwich the lower rail 30 from both sides. The body frame 41 is smoothly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lower rail 30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ollers 50 on both sides of the lower rail 30. [

또한,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41)의 정면(우측면)에는 보강용 가드(51)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41)의 이면(좌측면)에는 진입 방지용 가드(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41) 전후의 측면에는 손잡이(52, 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손잡이(52, 53)를 쥐고 본체 프레임(41)을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드(51, 54)를 손잡이로 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5 to 8, a reinforcing guard 51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right side face) of the main body frame 41, and a guard 54 for preventing entry is formed on the back face (left side face) Respectively. Handles 52 and 53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frame 41,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main body frame 41 forward and backward by gripping the handles 52 and 53.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guards 51 and 54 as a handle.

본체 프레임(41)의 상단부에는 권취대(3)의 상부 레일(33)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연결부(5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연결부(55)는 연직축 둘레로 회전하는 2개의 가이드 롤러(56)를 갖는다. 한편, 복수의 권취대(3)에 걸쳐 연장되는 상부 레일(33)은 개구측이 위를 향한 단면 U자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U자형상의 상부 레일(33)의 바로 앞측의 측벽부를 사이에 두도록 2개의 가이드 롤러(56)가 배치되어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re are provided two connecting portions 55 connected to the upper rail 33 of the wind-up table 3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one connecting portion 55 has two guide rollers 56 which rotate around a vertical axis. On the other hand, the upper rail 33 extending over the plurality of wind-up stands 3 has a U-shaped cross section with its opening side facing upward. And two guide rollers 56 are disposed so as to sandwich the side wall portion just before the U-shaped upper rail 33.

패키지 리시버(43)는 수취 위치(도 5, 도 8)와, 수취 위치보다 하방의 회수 위치(도 6, 도 7)에 걸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41)에 부착되어 있다. 패키지 리시버(43)는 상측의 수취 위치에 있을 때에 권취대(3)의 4단째 및 5단째의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한다.The package receiver 43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41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ver a receiving position (Figs. 5 and 8) and a return position below the receiving position (Figs. 6 and 7). The package receiver 43 receives the package P from the fourth and fifth storages 27 of the winding table 3 when the package receiver 43 is at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패키지 리시버(43)는 지지 프레임(57)과, 지지 프레임(57)에 부착된 8개의 패키지 재치부(58)와, 2개의 에어 실린더(59)를 갖는다. 8개의 패키지 재치부(58)는 상하 2단으로 나누어 배치되며, 각 단에 있어서는 4개의 패키지 재치부(58)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폭방향(권취대(3)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단의 4개의 패키지 재치부(58)가 5단째(최상단)의 4개의 스토커(27)에 대응하고, 하단의 4개의 패키지 재치부(58)가 4단째의 4개의 스토커(27)에 대응하고 있다.The package receiver 43 has a support frame 57, eight package mounting portions 58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57, and two air cylinders 59. The eight package placing portions 58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two stages and four package placing portions 58 are provided at the respectiv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inding spool 3) Respectively. The upper four package placing portions 58 correspond to the fourth stacker 27 at the fifth stage and the four lower package placing portions 58 correspond to the fourth stacker 27 at the fourth stage have.

각 패키지 재치부(58)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2개의 레일(60)과, 권취 패키지(P)가 적재되어 있는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를 갖는다. 또한, 지지 프레임(57)의 각 패키지 재치부(58)의 근방 위치에는 센서에 의해 권취 패키지(P)를 검지했을 때에 점등하는 표시등(61)이 설치되어 있다.Each of the package mounting portions 58 includes two rails 60 arranged with a g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and a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package P is loaded ). In the vicinity of each package placing portion 58 of the support frame 57, a display lamp 61 that lights up when the package P is detected by the sensor is provided.

2개의 에어 실린더(59)는 상하 2단의 패키지 재치부(58)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59)는 대응하는 패키지 재치부(58)에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할 때에 4단째 또는 5단째의 스토커(27)의 규제 부재(28)(도 4 참조)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The two air cylinders 59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two-stage package placement sections 58, respectively. The air cylinder 59 is for operating the regulating member 28 (see Fig. 4) of the stocker 27 in the fourth or fifth stage when receiving the package P to the corresponding package placing portion 58 .

에어 호이스트(44)는 본체 프레임(41)의 상단부의 중앙에 부착되어 있다. 에어 호이스트(44)는 권취대(3)측으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작동하고, 패키지 리시버(43)를 상하로 구동한다.The air hoist 44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air hoist 44 is operated by the air supplied from the wind-up table 3 side, and drives the package receiver 43 up and down.

고정 장치(42)는 본체 프레임(41)의 하단부의 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장치(42)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권취대(3)측의 접속부(31)에 접속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11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고정 장치(42)의 사시도이며, 도 11(a)는 고정 해제 상태, 도 11(b)는 고정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The fixing device 4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fixing device 42 fixe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by connecting it to the connecting portion 31 on the winding table 3 sid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device 42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Fig. 11 (a) shows a fixed release state, and Fig. 11 (b) shows a fixed state.

도 6~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41)의 고정 장치(42)의 근방 부분에는 표시 부재(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부재(75)는 고정 장치(42)에 의한 고정 전에 본체 프레임(41)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임시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As shown in Figs. 6 to 8 and 11, a display member 75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xing device 42 of the main body frame 41. As shown in Fig. This display member 75 is used to temporar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fore fixing by the fixing device 42. [

도 9,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42)는 조작 레버(63)와, 연결 부재(64)와, 조작 레버(63)와 연결 부재(64)를 연결하는 연결 기구(65)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3)는 안측으로 전도된 자세(실선)와, 바로 앞측으로 전도된 자세(2점 쇄선)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다. 연결 부재(64)에는 에어 접속부(68)와, 이 에어 접속부(68)를 끼우도록 배치된 2개의 가이드 롤러(69)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65)는 연결 부재(64)와 조작 레버(63)를 연결하는 3개의 연결축(66)과, 본체 프레임(41)에 고정되어 상기 3개의 연결축(66)이 삽입 통과되는 프레임체(67)를 갖는다.9 and 11, the fixing device 42 has an operating lever 63, a connecting member 64, and a connecting mechanism 65 for connecting the operating lever 63 and the connecting member 64 . As shown in Fig. 9, the operation lever 63 is rotatable between a posture (a solid line) that has been conveyed inward and a posture (a two-dot chain line) that has been conveyed forward. The connecting member 64 is provided with an air connecting portion 68 and two guide rollers 69 arranged so as to sandwich the air connecting portion 68 therebetween. The connecting mechanism 65 includes three connecting shafts 66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64 and the operating lever 63 and a connecting frame 66 fixed to the body frame 41, (67).

한편, 권취대(3)측의 접속부(31)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된 2개의 가이드면(37a)을 갖는 고정 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고정 부재(37)의 2개의 가이드면(37a) 사이의 부분에는 가연 가공기(1)의 에어 공급원(도시 생략)과 접속된 에어 공급부(38)(본 발명의 동력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ortion 31 on the side of the wind-up table 3 is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37 having two guide surfaces 37a arranged with a gap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 air supply portion 38 (power suppl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n air supply source (not shown)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is formed at a portion between the two guide surfaces 37a of the fixing member 37 have.

조작 레버(63)가 바로 앞측으로 전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11(a)와 같이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연결 부재(64)와, 권취대(3)측의 고정 부재(37)가 멀어져 있어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접속부(31)와 고정되어 있지 않다.The connecting member 64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and the fixing member 37 on the winding table 3 side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 (a)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not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1. [

한편, 조작 레버(63)가 안측으로 전도되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3)와 3개의 연결축(66)에 의해 연결된 연결 부재(64)가 안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때, 연결 부재(64)의 2개의 가이드 롤러(69)가 권취대(3)측의 고정 부재(37)의 전후 2개의 가이드면(37a)을 따라 이동한다. 즉, 고정 부재(37)가 연결 부재(64)의 2개의 가이드 롤러(69) 사이에 밀어 넣어지는 형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4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부(38)에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에어 접속부(68)가 접속된다. 이에 따라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로 에어 호이스트(44)나 에어 실린더(59)를 작동시키기 위한 에어를 공급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lever 63 is turned inward, the connecting member 64 connected by the operating lever 63 and the three connecting shafts 66 is pushed inward as shown in Fig. 11 (b). At this time, the two guide rollers 69 of the connecting member 64 move along the two front and rear guide surfaces 37a of the fixing member 37 on the wind-up table 3 side. That is, the fixing member 37 is pushed between the two guide rollers 69 of the connecting member 64. Thereby, the main body frame 41 is fixed so as not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air connection portion 68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ortion 38 on the side of the winding table 3. So that air for operating the air hoist 44 or the air cylinder 59 can be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source on the winding table 3 side to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권취대(3)측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공급원으로부터의 에어에 의해 에어 호이스트(44)나 에어 실린더(5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를 갖지 않는 점에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 자체가 전원을 구비할 필요는 없고,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도 불필요하다.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operate the air hoist 44 and the air cylinder 59 by air from an air supply source provided on the winding table 3 side. That is,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itself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in that it does not have a motor driven by electric power, and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also unnecessary.

커버(45)는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를 덮음으로써 패키지 리시버(43)의 상승 시에 작업자가 실수로 손 등을 패키지 리시버(43)에 넣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45)는 프레임체(70)와, 이 프레임체(70)에 걸린 네트(71)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45)는 본체 프레임(41)의 바로 앞측의 부분에 설치된 셔터이며, 하측의 폐쇄 위치(도 5, 도 7, 도 8)와 상측의 개방 위치(도 6)에 걸쳐 상하로 이동한다.The cover 45 covers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recovery position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accidentally putting his or her hand into the package receiver 43 when the package receiver 43 is lifted. As shown in Figs. 5 to 8, the cover 45 has a frame body 70 and a net 71 engaged with the frame body 70.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45 is a shutter provided at a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cover 45 is a shutter provided at a lower side close position (FIGS. 5, 7 and 8) and an upper side open position .

본 실시형태의 커버(45)는 수동으로 상하로 작동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커버(45)의 프레임체(70)의 하부에는 손잡이(72)가 부착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손잡이(72)를 쥐고 커버(45)를 오르내린다. 또한, 커버(45)를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좋다.The cover 45 of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that is manually operated up and down. Specifically, a handle 72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70 of the cover 45, and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72 and moves the cover 45 up and down. The cover 45 may be vertically driven by an air cylinder or the like.

커버(45)가 하측의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가 커버(45)에 의해 바로 앞측으로부터 덮인다. 또한, 패키지 리시버(43)가 커버(45)에 의해 덮인 상태이어도 네트(71)(도 5 참조)를 통해 패키지 리시버(43)의 상태(권취 패키지(P)가 적재되어 있는 지의 여부 등)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커버(45)가 상측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가 바로 앞측으로 개방되어 패키지 리시버(43)에 적재되어 있는 권취 패키지(P)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cover 45 is in the lower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7,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return position is covered by the cover 45 from the front side. Even if the package receiver 43 is covered by the cover 45, the state of the package receiver 43 (whether or not the package package P is loaded, etc.) through the net 71 It is possible to confirm 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45 is in the upper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6,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retrieved position is opened to the front side and the package package P loaded on the package receiver 43 It becomes possible to take out.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41)의 하부에는 커버(4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커버(45)의 하단과 접촉하는 스위치(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73)는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부(38)로부터 에어 접속부(68)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에어의 에어 호이스트(44)로의 공급과 차단을 스위칭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a switch 73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t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cover 45 when the cover 45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witch 73 switches supply and interruption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38 on the wind-up table 3 side via the air connection unit 68 to the air hoist 44.

커버(4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73)가 온이 되어서 에어 호이스트(44)로의 에어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에어 호이스트(44)에 의한 패키지 리시버(43)의 승강이 허용된다. 한편, 커버(45)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73)는 오프가 되어서 에어 호이스트(44)로의 에어 공급이 차단된다. 따라서, 에어 호이스트(44)에 의한 패키지 리시버(43)의 승강이 금지된다.When the cover 45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witch 73 is turned on and the air supply to the air hoist 44 is enabled. That i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43 by the air hoist 44 is allow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45 is in the open position, the switch 73 is turned off and air supply to the air hoist 44 is interrupted. Therefor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43 by the air hoist 44 is prohibited.

조작 박스(46)는 본체 프레임(41)의 후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박스(46)에는 패키지 리시버(43)의 에어 실린더(59)를 조작하는 레버(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41)의 조작 박스(46)의 하측에는 에어 호이스트(44)를 조작하기 위한 펜던트 스위치(47)(본 발명의 조작부)가 분리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작업자는 펜던트 스위치(47)를 본체 프레임(41)으로부터 분리하여 본체 프레임(41)으로부터 멀어진 장소로부터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상태를 보면서 에어 호이스트(44)를 조작할 수 있다.The operation box 46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operation box 46 is provided with a lever 74 for operating the air cylinder 59 of the package receiver 43. A pendant switch 47 (oper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operating the air hoist 44 is detachably held below the operation box 46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air hoist 44 while separating the pendant switch 47 from the main body frame 41 and viewing the state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main body frame 41. [

이어서, 상기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사용하여 권취대(3)로부터 패키지를 회수하는 일련의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eries of operations for collecting the package from the winding table 3 using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will be described.

어떤 권취대(3)의 4단째 및 5단째의 스토커(27)로부터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사용하여 권취 패키지(P)를 내릴 때에는 우선 작업자는 손잡이(51~54)를 쥐고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전후로 움직여 대상이 되는 권취대(3)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표시 부재(75)(도 11 참조)의 선단 위치를 보면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정지시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임시 결정한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장치(42)의 조작 레버(63)를 전방으로부터 안측으로 전도시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전후 방향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도 11(b)와 같이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부(38)와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에어 접속부(68)가 접속된다.When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is used to lower the package P from the fourth and fifth storages 27 of a certain winding cradle 3, the operator first grasps the handles 51 to 54, The apparatus 4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winding table 3.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stopped while looking at the tip position of the display member 75 (see Fig. 11) to temporar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n, as shown in Fig. 9, the operation lever 63 of the fixing device 42 is conduc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inside side to fix the posi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air supply portion 38 on the winding table 3 side and the air connection portion 68 o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11 (b).

이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는 커버(45)를 폐쇄 위치까지 내린다. 이에 따라 하측의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를 커버(45)에 의해 바로 앞측으로부터 덮는다. 또한, 이때 커버(45)의 하단이 스위치(73)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이 되어 에어 호이스트(44)에 의한 패키지 리시버(43)의 승강이 가능해진다.Then, as shown in Fig. 7, the cover 45 in the open position is lowered to the closed position. Thus,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bottom return position is covered by the cover 45 from the front side.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ver 45 contacts the switch 73 and the switch is turned on, so that the package receiver 43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air hoist 44.

이어서, 작업자는 펜던트 스위치(47)를 조작하여 에어 호이스트(44)를 작동시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 리시버(43)를 회수 위치로부터 수취 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상단의 패키지 재치부(58)는 5단째(최상단)의 스토커(27)의 근처로 이동하고, 하단의 패키지 재치부(58)는 4단째의 스토커(27) 근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작 박스(46)의 레버(74)를 조작하여 에어 실린더(59)를 작동시키면 각 스토커(27)의 규제 부재(28)(도 4 참조)가 조작되어 각 스토커(27)의 권취 패키지(P)가 대응하는 패키지 재치부(58)로 굴러 나온다. 이에 따라 패키지 리시버(43)는 4단째와 5단째의 스토커(27)로부터 합계 8개의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한다.T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pendant switch 47 to operate the air hoist 44 to raise the package receiver 43 from the return position to the receiving position,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upper package placing portion 58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fifth stage (uppermost stage) stocker 27, and the lower package placing portion 58 moves to the vicinity of the fourth stage stoker 27.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lever 74 of the operation box 46 to actuate the air cylinder 59, the regulating member 28 (see Fig. 4) of each stocker 27 is operated and the respective stockers 27 Is wound on the corresponding package placing portion 58. Thus, the package receiver 43 receives eight wrapping packages P in total from the fourth and fifth-tier stockers 27.

각 패키지 재치부(58)에 권취 패키지(P)가 이동하면 권취 패키지(P)가 센서로 검지되어서 표시등(61)이 점등한다. 이 표시등(61)에 의해 회수 대상의 권취 패키지(P)의 수취가 모두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작업자는 펜던트 스위치(47)를 조작하여 패키지 리시버(43)를 수취 위치로부터 회수 위치로 하강시킨다.When the package P is moved to each package placing portion 58, the package P is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display lamp 61 is turned on. When confirming that all the receipt of the package package P to be collected is completed by the display lamp 61, the operator operates the pendant switch 47 to lower the package receiver 43 from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collecting position.

패키지 리시버(43)가 회수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는 커버(45)를 개방 위치로 올려 패키지 리시버(43)를 개방시키고, 패키지 리시버(43)로부터 8개의 권취 패키지(P)를 순차 인출하여 회수한다. 또한, 작업을 행한 권취대(3) 앞에서 패키지 리시버(43)로부터 바로 권취 패키지(P)를 인출하지 않아도 좋다. 즉, 패키지 리시버(43)에 권취 패키지(P)가 적재된 상태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패키지 언로딩 작업을 행한 권취대(3)로부터 멀어진 장소에서 패키지 리시버(43)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인출해도 좋다.When the package receiver 43 is moved to the return position, the operator raises the cover 45 to the open position to open the package receiver 43 and sequentially withdraws the eight packages P from the package receiver 43 . It is not necessary to take out the package P from the package receiver 43 in front of the winding table 3 on which the work has been performed. That i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moved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 package P is loaded on the package receiver 43, so that the package receiver 43 is moved away from the winding table 3, The take-up package P may be taken out.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4단째와 5단째의 권취 패키지(P)를 회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단째로부터 3단째의 권취 패키지(P)에 대해서는 4단째 및 5단째에 비해 낮은 위치에 있는 점에서 작업자가 직접 스토커(27)로부터 회수하면 좋다. 그때, 회수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를 패키지 회수 대상의 권취대(3)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recovering the winding packages P in the fourth and fifth stages. The worker may directly retrieve the rewinding package P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from the stocker 27 at a point lower than the fourth stage and the fifth stage. At that time,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to a position away from the winding table 3 of the package collection targe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llection operation.

본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패키지 리시버(43)를 상방의 수취 위치와 하방의 회수 위치에 걸쳐 이동시킴으로써 높은 위치에 있는 권취 패키지(P)를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41)이 권취대(3)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점에서 1대의 공통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로 복수의 권취대(3)의 권취 패키지(P)를 내릴 수 있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lower the package P at a higher position by moving the package receiver 43 over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and the lower receiving position.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frame 41 can be mov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winding table 3, the winding package P of the plurality of winding tables 3 can be lowered by one common package unloading device 40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41)의 상단부가 연결부(55)에 의해 권취대(3)에 연결된다. 그 때문에 권취 패키지(P)를 내리는 작업 중에 본체 프레임(41)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부(55)는 복수의 권취대(3)의 상부에 걸쳐 연장되는 상부 레일(33)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프레임(4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있어서도 본체 프레임(41)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winding table 3 by the connecting portion 55. Therefore, the main frame (41)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during the work of lowering the package (P). The connecting portion 55 is movably connected to the upper rail 33 extending over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d- Therefore, even when the main frame 4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frame 41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은 위치에 있는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내리기 위해서 본체 프레임(41)의 높이가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3m 이상).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연 가공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권취대(3)와 크릴스탠드(4) 사이의 공간(77)을 크게 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한정된 크기의 공간(77)에서도 패키지 회수 작업의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본체 프레임(41)의 깊이 방향(가연 가공기(1)의 좌우 방향)의 치수는 작게 억제되어 있다(예를 들면, 0.8m 이하).Especially,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frame 41 is set to be high (for example, 3 m or more) in order to lower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stocker 27 at a high position.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it is difficult to enlarge the space 77 between the winding table 3 and the crill stand 4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ize of the twist processing machine 1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dimens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41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alse twisting machine 1) is suppressed to be small in order to secure space for the package recovery operation even in the limited space 77 (for example, 0.8 m or less).

즉, 본체 프레임(41)은 깊이가 작으며 또한 높이가 높은 구조체이다. 그 때문에 상방의 수취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에 중량이 큰 권취 패키지(P)가 복수개 재치되었을 때에 밸런스가 나빠져 패키지 언로딩 장치(40)가 좌우 방향으로 쓰러질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본체 프레임(41)의 상단부가 권취대(3)에 연결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본체 프레임(41)의 쓰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That is, the body frame 41 is a structure having a small depth and a high height.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rewinding packages P each having a large weight are placed on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the balance is poor and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may fa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respec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winding table 3 is very useful in reliably preventing the main body frame 41 from falling down.

본체 프레임(41)에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 걸쳐 이동하는 커버(45)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를 상방의 수취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커버(45)를 폐쇄 위치로 함으로써 상방으로 이동하기 직전의 패키지 리시버(43) 근처에 작업자가 실수로 손 등을 집어 넣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여 회수 위치로 리턴해 왔을 때에는 커버(45)를 개방 위치로 하여 패키지 리시버(43)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인출할 수 있다.The body frame 41 is provided with a cover 45 that moves over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erefore, when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collection position is moved to the upper receiving position, the operator unintentionally picks up his or her hand near the package receiver 43 immediately before the cover 45 is moved upward by setting the cover 45 to the clos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inser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ckage P is received and returned to the return position, the package 45 can be taken out of the package receiver 43 with the cover 45 as the open position.

또한, 커버(4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스위치가 온이 되어서 에어 호이스트(44)로의 에어 공급이 가능해진다. 즉, 커버(45)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만 에어 호이스트(44)에 의한 패키지 리시버(43)의 승강이 허용된다. 즉, 커버(45)가 개방 위치에 있고, 회수 위치에 있는 패키지 리시버(43)가 커버(45)로 덮여 있지 않을 경우에는 패키지 리시버(43)가 수취 위치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기 직전의 패키지 리시버(43) 근처에 작업자가 실수로 손 등을 집어 넣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ver 45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ir can be supplied to the air hoist 44. That is, the lifting of the package receiver 43 by the air hoist 44 is permitted only when the cover 45 is in the closed position. That is, when the cover 45 is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package receiver 43 at the return position is not covered with the cover 45, the package receiver 43 is not moved to the receiving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perator from accidentally putting his / her hand or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package receiver 43 immediately before moving upward.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본체 프레임(4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장치(42)를 갖는다. 고정 장치(42)에 의해 본체 프레임(41)을 고정함으로써 권취 패키지(P)를 내리는 작업 중 본체 프레임(4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has a fixing device 42 that fixes the main body frame 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non-movable manner. The main frame 41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42 so that the main frame 4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ring the operation of lowering the package P from above.

또한, 고정 장치(42)에 의해 본체 프레임(41)을 고정했을 때에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에어 접속부(68)가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부(38)와 접속된다. 따라서,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에 에어 호이스트(44) 등을 구동하기 위한 에어 공급원을 비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체 프레임(41)의 고정과 동시에 에어 공급부(38)와 접속되는 점에서 이 접속을 위한 특단의 조작이 필요 없어 작업 공정이 간략화된다.The air connection portion 68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ortion 38 on the side of the wind-up table 3 when the main body frame 41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42. [ Therefor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need not have an air supply source for driving the air hoist 44 or the like. Further, since the main body frame 41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rt 38 at the same time as the fixing of the main body frame 41, no special operation is required for this connection, and the work process is simplifi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에 있어서는 작업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바닥면으로부터 2.3m 이상의 위치에 있는 스토커로부터 패키지를 내릴 수 있다.Further, in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ckage can be lowered from the stocker at a position of 2.3 m or more from the bottom surface, which is hard to reach by the hand of the operator.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작업자가 조작 박스(46)의 레버(74)나 펜던트 스위치(47) 등을 조작함으로써 패키지 리시버(43)의 에어 실린더(59)나, 승강용의 에어 호이스트(44)를 작동시켜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내리는 것이다. 즉,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소위 반자동 장치이다.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operator to operate the lever 74 of the operation box 46 or the pendant switch 47 or the like so that the air cylinder 59 of the package receiver 43, The air hoist 44 is operated to lower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stocker 27. That i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is a so-called semi-automatic device that operate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이 구성에서는 작업자가 펜던트 스위치(47) 등을 조작함으로써 높은 곳에 있는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주위의 상황을 확인한 후, 패키지 리시버(43)를 승강시키는 점에서 돌발적인 트러블에도 대응하기 쉬운 점에서 권취 패키지(P)의 회수를 전자동으로 행하는 장치에 비해 안전성이 높다. 또한, 에어 호이스트(44) 등 권취 패키지(P)를 내리기 위한 필요 최저한의 구동부만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비용면 및 에너지 절약의 면에서도 전자동의 장치에 비해 유리하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worker can operate the pendant switch 47 or the like to lower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stocker 27 at a high position, the work load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perator ascertains the circumstance, the package receiver 43 is moved up and down. Therefore, safety is high in comparison with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ollects the package P from the standpoint of coping with unexpected troubles. In addition, it is sufficient to provide only the minimum necessary driving portion for lowering the wind-up package P such as the air hoist 44, an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energy saving compared with a fully automatic device.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추가한 변경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적당히 그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modification mode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re added to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os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권취대(3)의 상부에 걸쳐 상부 레일(33)이 설치되어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연결부(55)가 상부 레일(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특히 패키지 언로딩 작업 중의 장치의 쓰러짐 방지를 방지한다는 관점으로부터는 상부 레일(33)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작업 대상의 권취대(3) 앞까지 이동시켰을 때에 연결부에 의해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권취대(3)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이동/정지 시마다 권취대(3)로의 연결과 연결 해제가 행해져도 좋다.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upper rail 3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winding tables 3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55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is movable along the upper rail 33 . However, the upper rail 33 is not essential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apparatus during package unloading operation. That is,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inding table 3 by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is moved to the workpiece winding table 3. That is, each time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is moved / stopped, the connection to the winding table 3 may be disconnected.

2] 복수의 권취대(3)에 하부에 걸쳐 연장되는 하부 레일(30)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복수의 타이어를 갖고, 이들 복수의 타이어에 의해 바닥 위를 자유롭게 주행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1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복수의 가연 가공기(1) 사이에서 이동시켜 복수의 가연 가공기(1)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2] The lower rails 30 extending over the low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winding tables 3 are also not essential. For example,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tires, and the tires may freely run on the floo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mmonly use on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false twisting machines 1 by moving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between the plurality of false twisters 1.

3] 커버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커버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식일 필요는 특별히 없고, 작업자의 바로 앞측으로 요동하여 여는 도어식의 것이어도 좋다.3] The cover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For example, there is no particular need for a shutter type shutter in which the cove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may be a door type that swing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operator.

4]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패키지 리시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4] As for the package receiver of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following changes are possible.

상기 실시형태의 패키지 리시버(43)는 권취대의 4단째와 5단째(최상단)의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는 것이지만, 최상단의 스토커(27)만으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는 것이어도 좋다.The package receiver 43 of the above embodiment receives the package P from the fourth and fifth tiers (uppermost stage) of the winding table. However, only the uppermost tier 27 stores the package P May be received.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패키지 리시버(43)는 각 단에 대하여 전후로 배열되는 4개의 권취 패키지(P)를 한번에 수취하는 것이지만, 패키지 리시버가 한번에 수취하는 권취 패키지(P)의 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권취대(3)의 각 단에 전후 4개의 스토커(27)가 배열될 경우에도 패키지 리시버가 2개의 스토커(27)만으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각 단의 4개의 권취 패키지(P)를 2회로 나누어서 수취하는 것이어도 좋다.The package receiver 4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ceives four wrapping packages P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in each stage at once, but the number of the wrapping packages P received by the package receiver at one tim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 For example, even when four stackers 27 are arranged at each end of the winding table 3, the package receiver may receive the wrapping package P only from the two stockers 27. That is, the four winding packages P in each stage may be received in two parts.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의 패키지 리시버(43)는 권취대(3)의 상하 2단의 스토커(27)로부터 각각 권취 패키지(P)를 수취 가능한 구성이었지만, 3단 이상의 스토커(27)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동시에 수취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다. 즉, 패키지 리시버가 상하로 배열되는 3개 이상의 패키지 재치부(58)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는, 상기와는 반대로 패키지 리시버가 1단의 스토커(27)만으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는 것이어도 좋다.The package receiver 43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of the above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ceiving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upper and lower two stages of the stocker 27 of the winding table 3,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stocker 27. [ That is, the package receiver may have three or more package receivers 58 arranged vertically. Alternatively, as opposed to the above, the package receiver may receive the winding package P from only the single-stage stocker 27.

5] 상기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권취대(3)측의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에어의 공급을 받아서 작동하는 에어 구동 타입의 장치이다. 이에 대하여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패키지 리시버를 승강시키는 모터(본 발명의 승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권취대(3)측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모터를 구동하는 전동 타입의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전동 타입의 경우,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전용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5]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40 of the above embodiment is an air drive type apparatus that operates by receiving supply of air from an air supply source on the winding table 3 side. On the contrary,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may be a motor type apparatus having a motor (a lifting drive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lifting up and down the package receiver and driving the moto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on the winding table 3 side. In the case of the electric typ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dedicated power source.

6] 패키지 언로딩 장치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권취대(3) 또는 바닥 위에 설치되어도 좋다.6]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need not be provided i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but may be provided on the winding table 3 or the floor.

7] 고정 장치(42)의 조작에 연동하여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권취대측의 동력 공급부(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공급부(38))와 접속되는 구성은 필수는 아니며, 고정 장치(42)의 조작과는 별도로 동력 공급부와의 접속 작업이 행해져도 좋다.It is not essential that the package unload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section (the air supply section 38 in the above embodiment) of the winding unit sid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fixing apparatus 42,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separately performed.

8] 상기 실시형태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40)는 권취 장치(22)가 부착된 권취대(3)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여 아래로 내리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권취 장치에서 형성된 권취 패키지(P)가 권취대와는 다른 대(패키지대)에 적재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패키지 언로딩 장치는 권취 장치가 부착된 권취대가 아니라 패키지대로부터 권취 패키지(P)를 수취하게 된다.8]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40 of the above embodiment receives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winding table 3 with the winding device 22 attached thereto and drops it downward. On the other hand, the winding package P formed in the winding device may be mounted on a base (package base) different from the winding table. In this case,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receives the winding package P from the package side, not from the winding stage with the winding device attached.

9] 일반적인 가연 가공기(1)에서는 많은 권취대(3)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 언로딩 장치(1)가 1대밖에 없으면 패키지 언로딩 작업의 대기 시간이 발생할 것이 생각된다. 그래서, 1개의 가연 가공기(1)에 대하여 복수대의 패키지 언로딩 장치가 설치되어도 좋다.9] In the general twisting machine 1, since many winding bobbins 3 are arrang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f there is only one package unloading device 1, it is considered that waiting time for the package unloading operation will occur. Therefore, a plurality of package unloading devices may be provided for one piece of the twisting machine 1.

이상의 설명에서는 가연 가공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실을 보빈에 권취하여 권취 패키지를 형성하는 가연 가공기 이외의 다른 섬유 기계에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wisting machin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extile machine other than a twisting machine for winding a yarn on a bobbin to form a winding package.

1 : 가연 가공기 3 : 권취대
22 : 권취 장치 27 : 스토커
30 : 하부 레일 33 : 상부 레일
38 : 에어 공급부 40 : 패키지 언로딩 장치
41 : 본체 프레임 42 : 고정 장치
43 : 패키지 리시버 44 : 에어 호이스트
45 : 커버 55 : 연결부
58 : 패키지 재치부 P : 권취 패키지
1: Flameproofing machine 3: Winding band
22: retractor 27: stocker
30: Lower rail 33: Upper rail
38: air supply unit 40: package unloading device
41: main body frame 42: fixing device
43: package receiver 44: air hoist
45: Cover 55: Connection
58: package mounting part P: winding package

Claims (14)

각각이 권취 패키지를 저류하는 스토커를 구비하며, 또한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패키지대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로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패키지 리시버와,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스토커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수취 위치와 상기 수취 위치보다 하방의 회수 위치에 걸쳐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A package unloading apparatus comprising a stocker for storing a wound package, each of the unloading packag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ackag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direction;
A body frame movabl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 package receiv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a lifting drive section for lifting up said package receiver from a take-out position at which said package is received from said storeer to a return position below said take-out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각 패키지대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단의 상기 스토커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상기 수취 위치는 상기 복수단의 스토커 중, 최상단의 스토커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ackage bases has a plurality of stages of the stock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package receiver is a position for receiving the wound package from the uppermost stalker of the plurality of stages of stackers.
제 2 항에 있어서,
각 패키지대는 3단 이상의 상기 스토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package units has three or more stages of the stock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패키지대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nne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and connected to the package bas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의 상부에 걸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레일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rail extend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is provided over the plurality of package stands,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movably connected to the upper rail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 하부에 걸쳐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lower rail extend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ackages and the lower portion,
Wherein the body frame is movable along the lower rail.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위치에 있는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패키지대와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회수 위치에 있는 상기 패키지 리시버를 상기 패키지대와 반대측으로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 걸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부착된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d a cover attached to the main body frame over a closed position covering the package receiver at the recovery position from the opposite side from the package stand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package receiver at the recovery position opposite to the package base Wherei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is a package unloading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한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승강이 허용되며,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한 상기 패키지 리시버의 승강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by the lifting drive unit is allowed when the cover is in the closed position,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ackage receiver by the lifting drive unit is inhibited when the cover is in the open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을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main body frame in a non-movable mann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이 고정될 때에 상기 승강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 공급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n the main frame is fixed by the fix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면으로부터의 상기 스토커의 높이가 2.3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a height of the stocker from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package base is provided is 2.3 m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elevation drive unit.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리시버는 상하로 배열되는 2단 이상의 상기 스토커로부터 각각 상기 권취 패키지를 수취하는 상하로 나뉜 2 이상의 패키지 재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언로딩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package receiver has two or more package placing section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for receiving the winding package from two or more storages arranged vertically.
각각이 권취 패키지를 저류하는 스토커를 구비하여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패키지대와,
상기 복수의 패키지대로부터 상기 권취 패키지를 내리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키지 언로딩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기계.
A plurality of package stages each having a stocker for storing the wound package and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direction,
And a package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wherein the package unloading device is configured to lower the winding package from the plurality of packages.
KR1020170017468A 2016-03-03 2017-02-08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KR1021452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1404 2016-03-03
JP2016041404 201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34A true KR20170103634A (en) 2017-09-13
KR102145227B1 KR102145227B1 (en) 2020-08-18

Family

ID=5809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468A KR102145227B1 (en) 2016-03-03 2017-02-08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14030B1 (en)
JP (1) JP6996847B2 (en)
KR (1) KR102145227B1 (en)
CN (2) CN207418047U (en)
TW (1) TWI72411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6847B2 (en) * 2016-03-03 2022-01-17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Package unloading device and textile machine
CN113371539B (en) * 2021-08-16 2021-10-08 新沂利业织造有限公司 Polypropylene fiber rope winding processing machiner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634A (en) * 1976-01-13 1977-07-25 Teijin Ltd Doffing process of yarn winded group
JPH0640664A (en) * 1992-03-11 1994-02-15 Teijin Seiki Co Ltd Take out/transport method of package from winding machine and device therefore
JPH09104565A (en) * 1995-05-16 1997-04-22 Salmoiraghi Sarl Device which transfers thread wound bobbin corresponding with fiber machine, and takes out bobbin which becomes emptyfrom fiber machine
JPH09208126A (en) * 1996-01-31 1997-08-12 Teijin Ltd Delivering device for yarn package
JP2012097369A (en) 2010-11-01 2012-05-24 Tmt Machinery Inc False-twist texturing machine
JP2014077217A (en) 2012-10-11 2014-05-01 Tmt Machinery Inc False twis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1513B1 (en) * 1989-09-05 1991-11-22 Schlumberger Cie AUTOMATIC LIFTING DEVICE FOR TEXTILE SPINNING MACHINES.
JPH07215592A (en) * 1994-02-01 1995-08-15 Teijin Ltd Doffing system
ATE312963T1 (en) 1999-07-08 2005-12-15 Univ Manchester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JP5288634B2 (en) 2010-03-31 2013-09-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lor measuring device and method
JP2012086923A (en) * 2010-10-18 2012-05-10 Murata Machinery Ltd Doffer and yarn wind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2016003089A (en) * 2014-06-13 2016-01-12 村田機械株式会社 Automatic winder and thread winding method
JP6996847B2 (en) * 2016-03-03 2022-01-17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Package unloading device and textile ma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8634A (en) * 1976-01-13 1977-07-25 Teijin Ltd Doffing process of yarn winded group
JPH0640664A (en) * 1992-03-11 1994-02-15 Teijin Seiki Co Ltd Take out/transport method of package from winding machine and device therefore
JPH09104565A (en) * 1995-05-16 1997-04-22 Salmoiraghi Sarl Device which transfers thread wound bobbin corresponding with fiber machine, and takes out bobbin which becomes emptyfrom fiber machine
JPH09208126A (en) * 1996-01-31 1997-08-12 Teijin Ltd Delivering device for yarn package
JP2012097369A (en) 2010-11-01 2012-05-24 Tmt Machinery Inc False-twist texturing machine
JP2014077217A (en) 2012-10-11 2014-05-01 Tmt Machinery Inc False twis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227B1 (en) 2020-08-18
CN107150927B (en) 2020-08-21
JP2017160051A (en) 2017-09-14
EP3214030B1 (en) 2019-06-05
CN207418047U (en) 2018-05-29
CN107150927A (en) 2017-09-12
TW201732102A (en) 2017-09-16
TWI724110B (en) 2021-04-11
EP3214030A1 (en) 2017-09-06
JP6996847B2 (en)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6935B2 (en) Automatic yarn feeding system for twisting machine
JP2020125581A (en) Spinning winding-up equipment
KR102007334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EP1888446B1 (en) Winding station with magazine for empty tubes located under the winding mechanism
KR20170103634A (en) Apparatus for unloading package and textile machine
CN212476995U (en) Automatic yarn feeding creel
JPS5842106B2 (en) Tamaageki
TWI597398B (en) Draw texturing machine
CN209939050U (en) Packaging equipment
ITMI950025A1 (en) SPOOL DISTRIBUTION AND HANDLING SYSTEM AT THE SEWING STATIONS OF AN AUTOMATIC TACKER
US11472581B2 (en) Wrapping machine
KR101316654B1 (en) rewinding roll Unloader for Slitter-Rewinder
JP6841710B2 (en) Thread unloading equipment and spinning take-up equipment
WO2019159077A1 (en) Wrapping machine
JPS60244772A (en) Doffer
CN114150406B (en) Creel suitable for automatic yarn feeding
CN209939051U (en) Film winding machine
JPH04352824A (en) Doffer in roving frame
US12000067B2 (en) Intelligent yarn loa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23031849A1 (en) Sheet placing apparatus and related feeding device and method
IT9047770A1 (en) PROCESS ROBOT FOR A TWO-BY-ONE TWISTING.
JPH08143227A (en) Hoisting type mounting device for empty bobbin box onto wagon type auto doffer
Izutsu Mechanism and Operation of CAS-TAD
IT9048332A1 (en) ROBOT FOR A DOUBLE TORSION TWISTING MACHINE
JPH02259132A (en) Operation of robot for double twi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