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354A -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354A
KR20170103354A KR1020160026086A KR20160026086A KR20170103354A KR 20170103354 A KR20170103354 A KR 20170103354A KR 1020160026086 A KR1020160026086 A KR 1020160026086A KR 20160026086 A KR20160026086 A KR 20160026086A KR 20170103354 A KR20170103354 A KR 20170103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ortion
connector
wiring
forming
mol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복
Original Assignee
(주)번영테크
장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번영테크, 장순복 filed Critical (주)번영테크
Priority to KR102016002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354A/ko
Publication of KR2017010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clips, clamps, or like fastening or attaching devices, e.g. for electric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어 등기구나 스위치 등으로 배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전선이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선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및 배선관 연결 커넥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연결함에 있어 일측은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은 배선관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으로서 배선박스와 배선관의 연결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스텐레스 재질인 긴 직사각형상의 판상을 일측으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단관형태로 성형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부금형은, 진입부를 지난 판상 가로방향 양측에 걸림돌기 형성을 위한 하부 제1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1 형성부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일끝단 가까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절손잡이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고정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손잡이와 제2 고정손잡이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 내측으로 여러개의 절개돌기을 형성하는 하부 제2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2 형성부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타끝단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고정손잡이를 형성하는 하부 제3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3 형성부를 지난 판상 일측 조절손잡이 전방에 지름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제2 고정손잡이 사이에 절개돌기를 형성하는 하부 제4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4 형성부를 지난 판상 외주부인 상기 걸림돌기 외곽을 커팅하되 이송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ㄷ'자 형태로 커팅후 커팅부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하는 하부 제5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5 형성부를 지난 판상 일측은 가로방향 중심을 타측은 가로방향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를 길게 소정의 간격만큼 각각 절개하여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형성하는 하부 제6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6 형성부를 지난 판상의 양측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말아 단관형태를 형성토록 하기 위해 양측에 순차적으로 융기판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7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7 형성부를 지난 다음 완전한 단관형태로 형성토록 봉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8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를 지나 단관형태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커팅하는 하부 제9 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하부금형의 각각의 형성부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의 봉 일측에는 상기 상부금형가 가압시 상하로 승강토록 승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하며,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Mold structure for the conduit of the quick-connect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어 등기구나 스위치 등으로 배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전선이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선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및 배선관 연결 커넥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연결함에 있어 일측은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은 배선관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으로서 배선박스와 배선관의 연결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등을 천장 혹은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관이 이용된다. 통상 배선관의 교차지점에는 배선박스가 설치되며, 배선박스 내에서 전기 배선들이 상호 결선된다. 이때,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선관 연결구 즉 커넥터가 이용된다.
배선박스에 배선관을 연결시켜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선관 커넥터는 내측연결구와 외측연결구를 배선박스의 내외측에서 결합시켜주도록 되어 있는데, 상호 접속되는 대향면에 장착홈과 고정편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건축물에서 전기를 배선하기 위해서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배선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전선을 삽입하게 되는데 소정개소에 스위치,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정개소에 전기배선박스를 고정시키고 그 전기배선박스에 배선관을 연결시킨 후 배선관을 통해 전선을 전기배선박스에 까지 인입시켜주게 되는데, 상기 전기배선박스와 배선관을 연결시켜주는 방법으로는 전기배선박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있는 연결관에 배선관을 삽입하여 직접연결시키도록 하는것과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별도의 연결구 즉,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서 이와 같은 커넥터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10-0493456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박스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배선관의 선단이 삽입 고정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외향 탄성판 및 관통구멍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어 내측에 배선관의 나선홈 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내향 탄성판을 가지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공구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탄성판은 축 중심에 대하여 2~10°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선단이 배선관의 나선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에는 양 선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는 패킹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1은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패킹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관통구멍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패킹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0796728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종래기술 2'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일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배선관 체결부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이격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배선관 체결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외경이 상기 고정부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고정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부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커버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단말캡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캡의 둘레부에는 단말캡의 선단부에서 단말캡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2 역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단말캡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삽입공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단말캡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1163835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종래기술 3'이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선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와 홈과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돌부와 전선고정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선단과 상기 타단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선단과 타단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원주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시작에는 삽입공 주변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중 배선관의 체결 상대 측에 체결되며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가 형성된 단말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3 역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단말캡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삽입공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단말캡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기술들은 모두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자체의 구조를 권리범위로 하고 있고 이와 같은 연결구를 제조하는 금형이나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출원된 종래기술이 존재치 아니한 것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0493456호 한국특허등록 제10-0796728호 한국특허등록 제10-116383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한 배선관 연결 커넥터를 제조하는 금형구조 제작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체결 해지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배선관 연결 커넥터를 제조하는 금형구조 제작함에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스텐레스 재질인 긴 직사각형상의 판상을 일측으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단관형태로 성형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부금형은, 진입부를 지난 판상 가로방향 양측에 걸림돌기 형성을 위한 하부 제1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1 형성부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일끝단 가까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절손잡이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고정손잡이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손잡이와 제2 고정손잡이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 내측으로 여러개의 절개돌기을 형성하는 하부 제2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2 형성부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타끝단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고정손잡이를 형성하는 하부 제3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3 형성부를 지난 판상 일측 조절손잡이 전방에 지름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제2 고정손잡이 사이에 절개돌기를 형성하는 하부 제4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4 형성부를 지난 판상 외주부인 상기 걸림돌기 외곽을 커팅하되 이송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ㄷ'자 형태로 커팅후 커팅부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하는 하부 제5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5 형성부를 지난 판상 일측은 가로방향 중심을 타측은 가로방향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를 길게 소정의 간격만큼 각각 절개하여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형성하는 하부 제6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6 형성부를 지난 판상의 양측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말아 단관형태를 형성토록 하기 위해 양측에 순차적으로 융기판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7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7 형성부를 지난 다음 완전한 단관형태로 형성토록 봉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8 형성부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를 지나 단관형태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커팅하는 하부 제9 형성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하부금형의 각각의 형성부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의 봉 일측에는 상기 상부금형가 가압시 상하로 승강토록 승강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하며,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전방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상부금형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스텐레스 재질의 판상이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사이로 자동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전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상태에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을 분리 및 결합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이 결합된 요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전방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후방부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상부금형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스텐레스 재질의 판상이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사이로 자동 이송되면서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커넥터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전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상태에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을 분리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이 결합된 요부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에 의해 완성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레스 재질인 긴 직사각형상의 판상을 일측으로 타측으로 자동 이동시키면서 단관형태로 성형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U) 및 하부금형(D)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판상이 상기 상부금형(U)와 하부금형(D) 사이로 자동 이송되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컨트롤 박스의 셋팅에 의해 상부금형(U)이 하부금형(D)과 이격 및 결합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동시에 상기 판상은 자동 이송되면서 커넥터 본체(3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본적인 작동구조를 기초로 하여 하부금형(D)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하부금형(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부(S)를 지난 판상 가로방향 양측에 걸림돌기(310) 형성을 위한 하부 제1 형성부(D1)와, 상기 하부 제1 형성부(D1)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일끝단 가까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절손잡이(11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고정손잡이(212)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212)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310) 내측으로 여러개의 절개돌기(320)을 형성하는 하부 제2 형성부(D2)와, 상기 하부 제2 형성부(D2)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타끝단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고정손잡이(211)를 형성하는 하부 제3 형성부(D3)와, 상기 하부 제3 형성부(D3)를 지난 판상 일측 조절손잡이(111) 전방에 지름조절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제2 고정손잡이(212) 사이에 절개돌기(320)을 형성하는 하부 제4 형성부(D4)와, 상기 하부 제4 형성부(D4)를 지난 판상 외주부인 상기 걸림돌기(310) 외곽을 커팅하되 이송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ㄷ'자 형태로 커팅후 커팅부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걸림턱(300)을 형성하는 하부 제5 형성부(D5)와, 상기 하부 제5 형성부(D5)를 지난 판상 일측은 가로방향 중심을 타측은 가로방향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를 길게 소정의 간격만큼 각각 절개하여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는 하부 제6 형성부(D6)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제6 형성부(D6)를 지난 판상의 양측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말아 단관형태를 형성토록 하기 위해 양측에 순차적으로 융기판(DU)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7 형성부(D7)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제7 형성부(D7)를 지난 다음 완전한 단관형태로 형성토록 봉(DS)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8 형성부(D8)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D8)를 지나 단관형태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본체(30)을 형성하기 위해 커팅하는 하부 제9 형성부(D9)로 이루어지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U)는 상기 하부금형(D)의 각각의 형성부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제8 형성부(D8)의 봉(DS) 일측에는 상기 상부금형(U)가 가압시 상하로 승강토록 승강부재(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부금형(D)과 상부금형(U)을 거쳐 제조된 커넥터 본체(30)은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0)의 전개도를 통해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와 같이 커넥터 본체(30)의 전개도를 도시한 이유는 커넥터 본체(30)이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며 또한 단순히 사시도나 단면도로 이해하기 어려운 구성이 있으므로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완성된 커넥터 본체(30)를 이루는 것으로서,
우선, 직사각형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한 제1 절개선(100)을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다.
반면에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되 중앙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한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볼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2 절개선(200)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한 후에 상기 제1 절개선(1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손잡이(211)이 상기 지름 조절공(110)을 관통 체결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토록 한 것이 본 발명인 커넥터 본체(30)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3 절개부(20) 및 제2 절개부(11)와 제4 절개부(21)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함으로서 최종적으로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30)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300)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걸림턱(30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 및 제3 절개선(400)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310)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30)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커넥터 본체(3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 절개선(400)이 양단으로 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 제3 절개부(20),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30)로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커넥터 본체(30)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3 절개부(20) 및 제2 절개부(11)와 제4 절개부(21)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하여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30)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300)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0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 및 제3 절개선(400)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310)를 형성토록 한 것과,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30)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인 것이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 구비된 조절손잡이(111)는 제1 절개선(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더불어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에 구비된 제1 고정손잡이(211) 또한 제2 절개선(2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은 도 16에 도시된 커넥터 본체(30)의 다른 실시예 또한 마찬가지이며 커넥터 본체(3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 절개선(400)에 의해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되어야 배선박스(60)에 구비된 삽입공(600)과 배선관(50)을 작업자가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상기 조절손잡이(111)와 제1 고정손잡이(211)를 압압하여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을 확개할 수 있고 또한 조절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를 압압하여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드리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본체(30)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본체(30)를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 완성하는 것으로서 도 10에서 볼때 안쪽으로 말아서 성형하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름 조절공(110)에 제1 고정손잡이(211)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가 외곽으로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면서 겹치토록 말려서 형성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관(50)과 배선박스(6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금형구조에 의해 제작된 커넥터 본체(30)가 사용되는 것으로서 커넥터 본체(30)의 일측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손잡이(111)와 제1 고정손잡이(211)를 압압하면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된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가 조절 손잡이(111)쪽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이 확개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선관(50)의 나사산에 체결하고 압압을 해지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긴밀하게 체결되며 반면에 타측인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에 체결키 위해서는 조절 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212)를 압압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된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가 지름 조절공(110)내에서 상기 조절 손잡이(111)의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면서 동시에 제2 고정손잡이(212)는 조절 손잡이(111)쪽으로 가까워지면서 결국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이 축소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선박스(60)에 구비된 삽입공(600)에 삽입후 해지하면 탄성적으로 원상복귀되어 결국 긴밀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해지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작동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이와 같은 작동은 도 1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도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이때 배선관(50)의 나사산이나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 내측은 걸림턱(300)에 걸림에 따라 해지되지 아니하며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은 걸림턱(300)과 걸림돌기(310) 사이 홈부에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선관(50)의 나사산이 커넥터 본체(30)의 내측에 구비된 절개돌기(320)에 의해 긴밀하게 톱니형태로 물림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동함에 따라 기존의 종래기술과는 차별화되는 진보적인 기술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없이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절 손잡이 및 제1 고정손잡이, 제2 고정손잡이의 선택적 압압으로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 및 교체, 수리 등 다방면에서 유용하고 편리한 기술인 것이다.
10 : 제1 절개부 11 : 제2 절개부
20 : 제3 절개부 21 : 제4 절개부
30 : 커넥터 본체 50 : 배선관
60 : 배선박스 80 : 승강부재
100 : 제1 절개선 110 : 지름 조절공
111 : 조절손잡이 200 : 제2 절개선
211 : 제1 고정손잡이 212 : 제2 고정손잡이
300 : 걸림턱 310 : 걸림돌기
320 : 절개돌기 400 : 제3 절개선
600 : 삽입공 D : 하부금형
D1 : 하부 제1 형성부 D2 : 하부 제2 형성부
D3 : 하부 제3 형성부 D4 : 하부 제4 형성부
D5 : 하부 제5 형성부 D5 : 하부 제5 형성부
D6 : 하부 제6 형성부 D7 : 하부 제7 형성부
D8 : 하부 제8 형성부 D9 : 하부 제9 형성부
DS : 봉 DU : 융기판
U : 상부금형

Claims (2)

  1. 스텐레스 재질인 긴 직사각형상의 판상을 일측으로 타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단관형태로 성형하는 상부금형(U) 및 하부금형(D)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부금형(D)은,
    진입부(S)를 지난 판상 가로방향 양측에 걸림돌기(310) 형성을 위한 하부 제1 형성부(D1)와,
    상기 하부 제1 형성부(D1)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일끝단 가까이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조절손잡이(11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고정손잡이(212)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212)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310) 내측으로 여러개의 절개돌기(320)을 형성하는 하부 제2 형성부(D2)와,
    상기 하부 제2 형성부(D2)를 지난 판상 세로방향 타끝단에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고정손잡이(211)를 형성하는 하부 제3 형성부(D3)와,
    상기 하부 제3 형성부(D3)를 지난 판상 일측 조절손잡이(111) 전방에 지름조절공(1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제2 고정손잡이(212) 사이에 절개돌기(320)을 형성하는 하부 제4 형성부(D4)와,
    상기 하부 제4 형성부(D4)를 지난 판상 외주부인 상기 걸림돌기(310) 외곽을 커팅하되 이송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ㄷ'자 형태로 커팅후 커팅부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걸림턱(300)을 형성하는 하부 제5 형성부(D5)와,
    상기 하부 제5 형성부(D5)를 지난 판상 일측은 가로방향 중심을 타측은 가로방향 중심에서 편심된 부위를 길게 소정의 간격만큼 각각 절개하여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는 하부 제6 형성부(D6)와,
    상기 하부 제6 형성부(D6)를 지난 판상의 양측을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말아 단관형태를 형성토록 하기 위해 양측에 순차적으로 융기판(DU)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7 형성부(D7)와,
    상기 하부 제7 형성부(D7)를 지난 다음 완전한 단관형태로 형성토록 봉(DS)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제8 형성부(D8)와,
    상기 하부 제8 형성부(D8)를 지나 단관형태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본체(30)을 형성하기 위해 커팅하는 하부 제9 형성부(D9)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금형(U)는 상기 하부금형(D)의 각각의 형성부에 대응토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제8 형성부(D8)의 봉(DS) 일측에는 상기 상부금형(U)가 가압시 상하로 승강토록 승강부재(8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KR1020160026086A 2016-03-04 2016-03-04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KR20170103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6A KR20170103354A (ko) 2016-03-04 2016-03-04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6A KR20170103354A (ko) 2016-03-04 2016-03-04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54A true KR20170103354A (ko) 2017-09-13

Family

ID=5996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086A KR20170103354A (ko) 2016-03-04 2016-03-04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3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37B1 (ko) * 2021-07-29 2022-08-10 한창희 나사없는 전선관 커넥터 및 나사없는 전선관 커플링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37B1 (ko) * 2021-07-29 2022-08-10 한창희 나사없는 전선관 커넥터 및 나사없는 전선관 커플링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45849A1 (en) Solar module mounting system and various components thereof
JP2007120835A (ja) エアコン置台用ベースフレームにおけるエアコンの防振取付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用いたエアコン室外機の壁面置台
CN108953329B (zh) 一种膨胀钉
KR20170103354A (ko)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KR10163576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US20100187810A1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ube elements in a ventilation duct system
EP0713039B1 (en) Fixing bracket for pip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502716B1 (en) Duct corner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duct corners
CN208231372U (zh) 一种用于义齿坯料加工的夹具
KR20130045575A (ko) 가스용 금속 주름관 호스 제조방법 및 그 금속 주름관 호스
JP2011132966A (ja) インサートナット
KR20170097847A (ko)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CN204555214U (zh) 电源线的固定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170027218A (ko) 결합용 홈볼트
CN212203404U (zh) 管道连接组件
CN204739319U (zh) 一种管件管夹
KR101034662B1 (ko) 가구용의 직교방향 프레임 연결구조물
KR20049396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N102900734A (zh) 家具壁面的板材安装结构
CN209094333U (zh) 一种组合式刀模弯曲装置
CN203756668U (zh) 抱箍
CN212131657U (zh) 一种新型扣压接头
CN107489681B (zh) 空调用部件的装配结构
CN105980730A (zh) 具有安装件的活塞缸总成
CN205191513U (zh) 一种新型灯管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