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847A -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 Google Patents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847A
KR20170097847A KR1020160019451A KR20160019451A KR20170097847A KR 20170097847 A KR20170097847 A KR 20170097847A KR 1020160019451 A KR1020160019451 A KR 1020160019451A KR 20160019451 A KR20160019451 A KR 20160019451A KR 20170097847 A KR20170097847 A KR 2017009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cut
cutout
wi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복
Original Assignee
(주)번영테크
장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번영테크, 장순복 filed Critical (주)번영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7847A/ko
Publication of KR2017009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어 등기구나 스위치 등으로 배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전선이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선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연결함에 있어 일측은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은 배선관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으로서 배선박스와 배선관의 연결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한 제1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1 절개부 제2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되 중앙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한 제2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 절개선이 양단으로 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 절개부, 제2 절개부, 제3 절개부, 제4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절개부와 제3 절개부 및 제2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하여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 및 제3 절개선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하며,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Conduit connector in the one-touch type}
본 발명은 천정이나 벽 등에 매립되어 등기구나 스위치 등으로 배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배선박스에 전선이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배선관과 배선박스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연결함에 있어 일측은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과 동시에 타측은 배선관에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 고정함으로서 배선박스와 배선관의 연결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원터치로 착탈 가능하도록 한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배선 등을 천장 혹은 벽 등에 매입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관이 이용된다. 통상 배선관의 교차지점에는 배선박스가 설치되며, 배선박스 내에서 전기 배선들이 상호 결선된다. 이때, 배선관을 배선박스 등에 연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배선관 연결구 즉 커넥터가 이용된다.
배선박스에 배선관을 연결시켜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배선관 커넥터는 내측연결구와 외측연결구를 배선박스의 내외측에서 결합시켜주도록 되어 있는데, 상호 접속되는 대향면에 장착홈과 고정편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결합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건축물에서 전기를 배선하기 위해서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배선관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전선을 삽입하게 되는데 소정개소에 스위치,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정개소에 전기배선박스를 고정시키고 그 전기배선박스에 배선관을 연결시킨 후 배선관을 통해 전선을 전기배선박스에 까지 인입시켜주게 되는데, 상기 전기배선박스와 배선관을 연결시켜주는 방법으로는 전기배선박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있는 연결관에 배선관을 삽입하여 직접연결시키도록 하는것과 별도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는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별도의 연결구 즉,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서 이와 같은 커넥터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10-0493456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박스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삽입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배선관의 선단이 삽입 고정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외향 탄성판 및 관통구멍의 외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가지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연결되어 내측에 배선관의 나선홈 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내향 탄성판을 가지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한 쌍의 공구 삽입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 탄성판은 축 중심에 대하여 2~10°의 기울기로 형성되어 선단이 배선관의 나선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내에는 양 선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가지는 패킹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1은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패킹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관통구멍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패킹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0796728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종래기술 2'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일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의 삽입공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배선관 체결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배선관 체결부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이격 배치되며 선단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외측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배선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홈에 스크류 체결되는 나선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배선관 체결부는 연결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배선관 체결부의 외경이 상기 고정부의 외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는 고정부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부를 확경 고정시키며, 그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를 커버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단말캡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캡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홈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청구항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캡의 둘레부에는 단말캡의 선단부에서 단말캡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2 역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단말캡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삽입공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단말캡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1163835호 발명의 명칭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이하'종래기술 3'이라 함)의 기술적 요지는,
"청구항 1
배선관을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하며, 선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선박스에 체결 고정되는 돌기와 홈과 배선관이 체결 고정되는 돌부와 전선고정부가 구비된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선단과 상기 타단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단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선단과 타단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삽입공 주변의 배선박스 내측에 걸려지는 원주의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시작에는 삽입공 주변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선단과 타단중 배선관의 체결 상대 측에 체결되며 내부의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가 형성된 단말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를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바,
상기 종래기술 3 역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연결구를 결합시 억지 끼움식이며 이로 인해 별도의 단말캡이 구비되어야 하며 배선관 및 배선박스의 삽입공의 크기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교체시 호환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억지 끼움에 따른 해체에 불편함이 있고 별도의 구성요소인 단말캡이 구성되어야 함으로서 결국 경제적인 측면과 구조적 결합 측면에서도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493456호 한국특허등록 제10-0796728호 한국특허등록 제10-116383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 해지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개발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한 제1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1 절개부 제2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되 중앙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한 제2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 절개선이 양단으로 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 절개부, 제2 절개부, 제3 절개부, 제4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와 제2 절개부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와 제4 절개부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상기 제1 절개부와 제3 절개부 및 제2 절개부와 제4 절개부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하여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 및 제3 절개선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어 구성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형성함으로서 경제적으로 단가가 저렴하고 생산의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이 적합하며, 원터치 방식으로 배선박스 및 배선관에 체결 및 해지를 누구나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수리 및 교체시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뿐만 아니라, 배선박스의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의 다양성에도 적합토록 확개 및 축소가 가능하며 특히 탄성적으로 지름의 조절이 가능하여 제품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억지끼움방식이 아니라 삽입공과 배선관의 지름에 대응 가능하도록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축소 및 확개를 원활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손상 및 파괴 및 마모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전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상태에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을 분리 및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이 결합된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전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의 완성된 상태에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확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지름이 축소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을 분리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와 배선박스 및 배선관이 결합된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개도를 통해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개도를 도시한 이유는 본 발명이 일체로 구성된 구조이며 또한 단순히 사시도나 단면도로 이해하기 어려운 구성이 있으므로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형태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완성된 커넥터 본체(30)를 이루는 것으로서,
우선, 직사각형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한 제1 절개선(100)을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다.
반면에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되 중앙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한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볼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중앙에서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2 절개선(200)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한 이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한 후에 상기 제1 절개선(1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손잡이(211)이 상기 지름 조절공(110)을 관통 체결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토록 한 것이 본 발명인 커넥터 본체(30)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3 절개부(20) 및 제2 절개부(11)와 제4 절개부(21)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함으로서 최종적으로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30)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300)을 형성토록 하며 상기 걸림턱(30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 및 제3 절개선(400)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310)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30)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 절개선(400)이 양단으로 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 제3 절개부(20),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30)로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3 절개부(20) 및 제2 절개부(11)와 제4 절개부(21)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하여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30)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300)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0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 및 제3 절개선(400)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310)를 형성토록 한 것과,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30)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인 것이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 구비된 조절손잡이(111)는 제1 절개선(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며, 더불어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에 구비된 제1 고정손잡이(211) 또한 제2 절개선(200)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방식은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 또한 마찬가지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 절개선(400)에 의해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되어야 배선박스(60)에 구비된 삽입공(600)과 배선관(50)을 작업자가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상기 조절손잡이(111)와 제1 고정손잡이(211)를 압압하여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을 확개할 수 있고 또한 조절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를 압압하여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을 축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드리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커넥터 본체(30)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도 2에서 볼때 안쪽으로 말아서 성형하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름 조절공(110)에 제1 고정손잡이(211)가 관통 결합되도록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가 외곽으로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면서 겹치토록 말려서 형성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관(50)과 배선박스(60)를 연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커넥터 본체(30)가 사용되는 것으로서 커넥터 본체(30)의 일측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손잡이(111)와 제1 고정손잡이(211)를 압압하면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된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가 조절 손잡이(111)쪽으로 이동하면서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이 확개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선관(50)의 나사산에 체결하고 압압을 해지하면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긴밀하게 체결되며 반면에 타측인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에 체결키 위해서는 조절 손잡이(111)와 제2 고정손잡이(212)를 압압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된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가 지름 조절공(110)내에서 상기 조절 손잡이(111)의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면서 동시에 제2 고정손잡이(212)는 조절 손잡이(111)쪽으로 가까워지면서 결국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0)의 지름이 축소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선박스(60)에 구비된 삽입공(600)에 삽입후 해지하면 탄성적으로 원상복귀되어 결국 긴밀하게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해지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작동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생략한다.
이와 같은 작동은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도 대동소이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이때 배선관(50)의 나사산이나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 내측은 걸림턱(300)에 걸림에 따라 해지되지 아니하며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박스(60)의 삽입공(600)은 걸림턱(300)과 걸림돌기(310) 사이 홈부에 체결되어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선관(50)의 나사산이 커넥터 본체(30)의 내측에 구비된 절개돌기(320)에 의해 긴밀하게 톱니형태로 물림에 따라 더욱 견고하고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동함에 따라 기존의 종래기술과는 차별화되는 진보적인 기술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 구성요소없이 누구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절 손잡이 및 제1 고정손잡이, 제2 고정손잡이의 선택적 압압으로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 및 교체, 수리 등 다방면에서 유용하고 편리한 기술인 것이다.
10 : 제1 절개부 11 : 제2 절개부
20 : 제3 절개부 21 : 제4 절개부
30 : 커넥터 본체 50 : 배선관
60 : 배선박스 100 : 제1 절개선
110 : 지름 조절공 111 : 조절손잡이
200 : 제2 절개선 211 : 제1 고정손잡이
212 : 제2 고정손잡이 300 : 걸림턱
310 : 걸림돌기 320 : 절개돌기
400 : 제3 절개선 600 : 삽입공

Claims (4)

  1.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일측에는 길이방향 중앙을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한 제1 절개선(100)을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하되 중앙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한 제2 절개선(200)을 형성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2. 판상을 단관형태로 성형하여 된 것으로,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3 절개선(400)이 양단으로 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하여 제1 절개부(10), 제2 절개부(11), 제3 절개부(20), 제4 절개부(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에는 각각 지름 조절공(110)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지름 조절공(110)의 선단에는 절개된 조절손잡이(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의 선단에는 상기 지름 조절공(110)에 관통 체결되는 절개한 제1 고정손잡이(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손잡이(21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후단 가까이에는 절개한 제2 고정손잡이(21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2 절개부(11)를 외측으로 하여 제3 절개부(20)와 제4 절개부(21)를 감싸 단관형태의 일체로 말려서 형성된 커넥터본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개부(10)와 제3 절개부(20) 및 제2 절개부(11)와 제4 절개부(21)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절곡하여 단관형태로 성형된 커넥터 본체(30)의 양끝단 테두리에 각각 걸림턱(300)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00)과 소정을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절개선(100)과 제2 절개선(200) 및 제3 절개선(400)이 형성되지 아니한 외주면에 걸림돌기(310)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관 형태의 커넥터 본체(30) 내부 양측 가까이 내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의 절개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KR1020160019451A 2016-02-19 2016-02-19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KR20170097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451A KR20170097847A (ko) 2016-02-19 2016-02-19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451A KR20170097847A (ko) 2016-02-19 2016-02-19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847A true KR20170097847A (ko) 2017-08-29

Family

ID=5975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451A KR20170097847A (ko) 2016-02-19 2016-02-19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7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51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х деталей с соосными каналами
WO2002071426A2 (en) Quick assembling connection box apparatus and method
US20100187810A1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ube elements in a ventilation duct system
US9431808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744087B1 (en) Fastening member for pipes and cables
AU2012213252A1 (en) A grommet
KR20170097847A (ko)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
KR10163576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소켓
KR20170103354A (ko) 원터치 타입의 배선관 연결 커넥터용 금형구조
GB2266628A (en) Cable connector
US20170054281A1 (en) Tubular part, embeddable electrical box, and kits formed by both
US11118712B2 (en) Wall socket
KR200360111Y1 (ko) 전기배선용 커넥터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CN113767533A (zh) 连接器一体电线管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KR100822748B1 (ko) 길이가변형 지지대
KR200341413Y1 (ko) 구조물용 커넥터
KR200399791Y1 (ko)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KR20050026801A (ko) 가요전선관의 커넥터
CN108916508B (zh) 一种多功能三通管件
WO2024028119A1 (en) Connector
CN209881237U (zh) 间距调节装置
KR200194963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