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791Y1 -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 Google Patents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791Y1
KR200399791Y1 KR20-2005-0019187U KR20050019187U KR200399791Y1 KR 200399791 Y1 KR200399791 Y1 KR 200399791Y1 KR 20050019187 U KR20050019187 U KR 20050019187U KR 200399791 Y1 KR200399791 Y1 KR 200399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ipe
connection
metal
electricia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20-2005-0019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옥내배선공사시에 건물벽체나 슬라브내에 설치하게 되는 금속배관을 배관박스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설치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즉, 배관박스에 접속구본체를 고정너트로 결합하고 금속제 접속구본체의 접속구멍에 금속배관을 연결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멍의 내주벽면에 삽지홈을 형성하여 삽지홈의 내,외측에 다수의 경사돌편이 형성된 2개의 스톱링을 각각 설치하고 받침링과 고무링으로 밀착하여 스톱링에 형성된 경사돌편을 내향탄지되게 하고 접속구본체의 단부를 내향밴딩시켜 형성한 이탈방지턱으로 고정설치되게 한 구성으로 나사를 형성하지 않은 금속관을 연결접속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이다.

Description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METALLIC PIPE CONNECTOR FOR ELECTRIC WORK}
본 고안은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옥내배선공사시에 건물벽체나 슬라브내에 설치하게 되는 금속배관을 배관박스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설치된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콘크리트구축물로 되어 있는 건축물에서는 건물벽체나 슬라브등의 거푸집을 설치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배관박스과 그 배관박스에 연결접속된 금속배관을 설치하여 금속배관이 거푸집내에 매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금속배관은 거푸집설치과정에서 투입되는 콘크리트몰탈등의 하중에 충분히 견딜수 있어야 함과 아울러 배관박스와 안정된 연결접속상태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금속배관의 특성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금속배관의 단부에 나선부를 형성하여 접속구의 나사구멍에 끼워 결합하는 수단으로 연결접속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금속배관에 나선부를 형성하기 위해 작업현장등에서 금속배관을 절단한 다음 그 절단부에 나선형성을 별도로 해야되고 파이프렌치로 결합해야되므로 작업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로크너트 부싱등을 나사결합하는데 번거로움과 함께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에 전기배관용 접속구(실용신안등록제333904호)가 안출되어 금속제배관연결시에 나사결합하지 않고 편리하게 연결설치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는 반분된 분할부재를 고정클립으로 결합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는 금속배관의 단부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고 배관박스에 결합되는 접속구몸체의 접속구멍에 끼워 연결하는 수단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할수 있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접속구본체의 접속구멍 내,외측에 경사돌편을 가진 스톱링을 각각 설치하고 받침링과 고무링으로 밀착하여 스톱링에 형성된 경사돌편을 내향탄지되게한 구성으로 접속구멍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는 금속배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할수 있게 됨과 아울러 2개의 스톱링에 의한 2단계의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배관박스(10)에 접속구본체(20)를 고정너트(22)로 결합하고 금속제로된 접속구본체(20)의 접속구멍(24)에 금속배관(12)을 연결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멍(24)의 내주벽면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만큼 삽지홈(24a)을 형성하여 삽지홈(24a)의 내.외측에 다수의 돌편이 내치형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편(26a)을 가진 2개의 스톱링(26)(26')을 각각 설치하되 스톱링(26)(26')의 경사돌편(26a)이 금속배관(12)의 끼움방향으로 경사각이 놓여지게 한후 양측 스톱링(26)(26')의 경사돌편(26a)은 고무링(28)으로 각각 탄성지지하고 반대편은 받침링(29)으로 각각 밀착되게 한 다음 접속구본체(20)의 단부를 내향밴딩시켜 형성한 이탈방지턱(21)으로 고정설치되게 한 구성으로 접속구멍(24)에 나사를 형성하지 않은 금속배관(12)을 간편하고 신속하고 연결접속할수 있고 그 금속배관(12)의 단부외주면에 2개의 스톱링(26)(26')으로 협지고정되어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게 한 것이다.
또, 도 7은 본 고안의 연결접속구를 금속배관(12)과 금속배관(12)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30)에 적용시킨 구성실시예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접속구본체(20)의 접속구멍(24)에 경사돌편(26a)을 가진 2개의 스톱링(26)(26')이 고무링(28)과 받침링(29)으로 밀착고정되어 고무링(28)에 의해 스톱링(26)(26')의 경사돌편(26a)이 금속배관(12)의 끼움방향으로 내향탄성지지되어 있으므로 배관박스(10)에 접속구본체(20)를 고정너트(22)로 결합한 다음 금속배관(12)을 접속구본체(20)의 접속구멍(24)에 끼우게 되면 금속배관(12)은 접속구멍(24)에 설치된 경사돌편(26a)을 위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쉽게 진입하여 연결접속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구본체(20)의 접속구멍(24)에 연결접속된 금속배관(12)이 분리방향으로 당김상태가 될때는 금속배관(12)외주면에 물려있는 형태로 접촉되어 있는 스톱링(26)(26')의 경사돌편(26a)선단부의 협지작용에 의해 금속배관(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스톱링(26)(26)에 의한 2단계의 고정수단에 의해 금속배관(12)을 협지하게 되므로 건물벽체나 슬라브등의 거푸집설치장소의 내측에 금속배관(12)이 설치된 다음 투입되는 콘크리트몰탈의 하중을 받더라도 분리이탈될 염려없이 긴밀한 고정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과 같이 본 고안의 연접접속구는 금속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30)에도 적용시켜 사용될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공사용 금속배관연결접속구는 나사를 형성하지 않은 금속배관을 배관박스에 결합된 접속구멍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접속할수 있고 다수의 경사돌편이 형성된 2개의 스톱링에 의해 금속배관을 2단계 고정하는 수단으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거푸집공사시에 건물벽체가 슬라브공간에 설치되는 금속배관이 투입되는 콘크리트 몰탈의 하중에도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금속배관의 연결접속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에 의한 커플링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관박스 12 : 금속배관
20 : 접속구본체 21 : 이탈방지턱
22 : 고정너트 24 : 접속구멍
24a : 삽지홈 26,26' : 스톱링
26a : 경사돌편 28 : 고무링
29 : 받침링 30 : 커플링

Claims (3)

  1. 배관박스에 접속구본체를 고정너트로 결합하고 금속제 접속구본체의 접속구멍에 금속배관을 연결접속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멍의 내주벽면에 삽지홈을 형성하여 삽지홈의 내,외측에 다수의 경사돌편이 형성된 2개의 스톱링을 각각 설치하고 받침링과 고무링으로 밀착하여 스톱링에 형성된 경사돌편을 내향탄지되게 하고 접속구본체의 단부를 내향밴딩시켜 형성한 이탈방지턱으로 고정설치되게 한 구성으로 나사를 형성하지 않은 금속관을 연결접속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2. 삭제
  3. 삭제
KR20-2005-0019187U 2005-07-01 2005-07-01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KR200399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87U KR200399791Y1 (ko) 2005-07-01 2005-07-01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87U KR200399791Y1 (ko) 2005-07-01 2005-07-01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791Y1 true KR200399791Y1 (ko) 2005-11-01

Family

ID=4370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87U KR200399791Y1 (ko) 2005-07-01 2005-07-01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7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63B1 (ko) * 2022-07-14 2023-11-21 김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그랜드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563B1 (ko) * 2022-07-14 2023-11-21 김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그랜드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034B2 (en) Adjustable toilet flange assembly
TW202012754A (zh) 包含用於金屬蓋板的鑄入式錨的系統與方法
KR200399791Y1 (ko) 전기공사용 금속배관 연결접속구
KR10102118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 연결구조 및 시공방법
KR20090003428U (ko)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288395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0892784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TW202016405A (zh) 用於與錨固系統使用的組合工具的系統及方法
KR200386857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ITFO980031A1 (it) Scatola da incasso universale per faretti d'illuminazione e relativoattrezzo per la posa in opera.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90002926U (ko) 유로폼용 슬리브 조립체
JP2004360399A (ja) コンクリート部材
KR100655128B1 (ko) 전기공사의 전력케이블 트레이 시공방법
KR100704387B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200386845Y1 (ko) 건출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20110020339A (ko) 건축물 옹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396441Y1 (ko) 건축물 벽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KR940006453Y1 (ko) Pc 슬라브의 전선배관용 깔대기형 스리브
KR20040105893A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