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825A -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825A
KR20170102825A KR1020170027371A KR20170027371A KR20170102825A KR 20170102825 A KR20170102825 A KR 20170102825A KR 1020170027371 A KR1020170027371 A KR 1020170027371A KR 20170027371 A KR20170027371 A KR 20170027371A KR 20170102825 A KR20170102825 A KR 20170102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elastic member
shap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179B1 (ko
Inventor
이상훈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애크로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크로덴트 filed Critical (주)애크로덴트
Publication of KR2017010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쳐(이하에서 '임플란트'라 함)와 어버트먼트 사이의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임플란트의 일측에 마련된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와 맞물리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걸림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접촉하는 코니컬 디자인을 가져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수직력이 가해지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임플란트에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며, 탄성부가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서로 결합시키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력이 가해지면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에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며 탄성부는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가 틈없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시술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Description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Conical Sealing and Elastic binding Implant-abutment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코니컬 디자인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통상 치조골에 구멍을 형성한 후 임플란트(이하에서 좁은 의미의 '임플란트 픽스쳐'를 의미함)를 고정하고,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뒤 보철물을 부착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이 때,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를 결합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은 나사를 이용한 방법이다. 나사 체결 방식은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가 나사로 연결되는 3 피스 형태로 구비(도 9b 참조)되어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편리하지만, 비정상적으로 결합된 경우 결합 부위에 틈이 발생되어 세균이 번식하고 치조골이 흡수되거나, 나사가 풀리거나 부러지기도 하고, 어버트먼트가 부러지기도 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다.
다른 한편, 나사 결합에서는 직경 3~6mm 정도 되는 임플란트 내에 3 피스 구조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각 부품의 최소 두께는 부위(도 9b의 'tb' 참조)에 따라 0.1mm 밖에 안 되기도 한다. 지속적인 교합력이 가해질 경우 이렇게 얇은 두께로는 버티지 못하고 피로 파절이 종종 발생된다. 또,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가 수평적으로 만나는지(butt joint, flat-end interface, 이하에서 '벗-조인트'라 함), 수직적으로 만나는지(slip joint, conical interface, 이하에서 '코니컬-조인트'라 함)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볼 수 있다. 수평적으로 만나는 벗-조인트의 경우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는 결합재(나사 등)의 힘만으로 연결되어서 측면에서 작용하는 측방력이 가해질 경우 둘 사이에 미세 틈이 발생하기도 하고, 나사 풀림, 나사 부러짐 등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수직적으로 만나는 코니컬-조인트의 경우 수직 교합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 쪽으로 밀려 들어가서 꽉 끼는 싱킹(sinking)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로 인해서 미세 틈이 방지되고, 나사 풀림, 부러짐 등의 부작용은 최소화되는 반면, 유지 관리를 위해 어버트먼트를 빼고 싶을 때 쉽게 착탈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나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에 결합한 뒤, 보철물을 어버트먼트에 영구 접착한다고 가정해 보자. 추후 보철물을 수리하거나 주변 세정을 위해 보철물을 임시로 제거하고자 한다면, 보철물 상부에는 구멍(access hole, 이하 액세스홀)이 있어야 한다(도 10b의 참조번호 '1110' 참조). 그 구멍을 통해 나사를 풀어서 보철물-어버트먼트 복합체를 제거한 뒤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을 스크류멘터블(screwmentable) 보철물이라 한다. 스크류엠터블 보철물에서 액세스홀은 비심미적이고, 음식물이 낄 수 있으며, 세라믹 보철물이라면 파절이 종종 발생된다.
종래기술과 관련된 도면 9b 및 10b에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1000'은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1100'은 임플란트, '1200'은 스크류, '1300'은 어버트먼트를 각각 의미한다.
[참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773호 (2014. 11. 12.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2363호 (2015. 06. 26.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386560호 (2014. 04. 17 공고)
본 발명은 종래의 나사를 이용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코니컬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이용하여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를 결합한다. 그 덕분에 미세 틈으로 인한 세균 침착, 나사 풀림/부러짐 등의 문제가 예방되고, 각 부품에 충분한 두께를 부여하여 피로 파절로부터 안전하며,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는 쉽게 착탈될 수 있고, 액세스홀을 만들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 대신 탄성 부재를 결합재로 사용하고, 2도에서 15도 사이의 모스 테이퍼(Morpse taper)를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계면에 부여하여 코니컬 실링을 얻는다. 임플란트에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후 지속적으로 수직력이 가해지면 코니컬 디자인 덕분에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에 틈 없이 꽉 끼어들어 가서(싱킹, sinking) 더욱 공고히 결합하게 된다. 그렇게 충분히 싱킹되기 전에는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탄성 부재가 결합재로 작용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고리 형상의 코일 스프링(coil spring), C형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눈물방울 형태 또는 비정형의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결합되는 형식은 서브머지드 타입(submerged type), 인터널 서브머지드 타입(internal submerged type),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력이 가해지면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에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며, 탄성부는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가 틈 없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시술자가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틈 없이 결합하면서 쉽게 착탈 가능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구조 덕분에 시술 및 유지 관리가 간편하고 세균 침착에 의한 악취 및 골소실, 치은염과 치주염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버트먼트를 관통하는 나사가 없으므로 3 피스가 아닌 2 피스 구조라고 볼 수 있는데, 그 덕분에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에 충분한 두께를 부여할 수 있어 피로 파절로부터 안전한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나사형 3 피스 임플란트는 대구치에서 직경 4.0mm 이하를 식립할 경우, 수년간의 저작 운동 후에 파절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5.0mm 이상의 직경을 사용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인데, 문제는 치조골이 좁은 경우 골증강술(ridge augmentation)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 4.0mm 이하를 대구치에 사용하여도 피로파절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골이식 필요성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합면에 액세스홀을 뚫지 않아도 착탈 가능하므로 종래의 나사 방식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문제점이 방지된다. 일례로 전치부에서는 액세스홀이 전방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 심미적인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앵글드 드라이버가 개발되기까지 했다. 본 발명으로 액세스홀 자체가 없어짐으로 인해 부품 수가 줄고, 구조가 단순해져서 부작용은 줄고 편의성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b는 임플란트 구조의 결합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c 및 도 3d는 임플란트 구조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다타내는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임플란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전과 결합 후를 비교한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2 피스 구조와 종래기술의 3 피스 구조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액세스홀이 없는 구조와 종래기술의 액세스홀을 갖는 구조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 가능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100, 이하에서 ‘임플란트 구조’라고 함)에 대하여 아래의 도 1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임플란트 구조의 결합위치 및 싱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임플란트 구조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싱킹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임플란트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전과 결합 후를 비교한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2 피스 구조와 종래기술의 3 피스 구조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액세스홀이 없는 구조와 종래기술의 액세스홀을 갖는 구조를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100)는, 치조골(10)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픽스쳐(110, 또는 이하에서 '임플란트'라 함. 일반적으로 '픽스쳐'라고 함)와 상기 임플란트(11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를 구비하고, 상기 임플란트(110) 및 상기 어버트먼트(130)는 각각 물림부(113) 및 걸림부(133)에서 상호 접촉되어 결합한다. 상기 임플란트 혹은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탄성부(150)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임플란트에 착탈될 때 쉽게 고정되고 제거될 수 있다. 탄성부(150)는 후술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재(15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버트먼트(130)의 일측은 상기 물림부(113)와 맞물려 결합 가능하게 상기 물림부(113)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걸림부(133)를 포함하고, 타측은 보철물(30)이 결합한다. 물림부(113)와 걸림부(133)는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가 테이퍼 져서 접촉하는 영역이다. 상기 물림부(113) 혹은 걸림부(133)에는 착탈시 탄성 변형하는(도 3a, 3c, 3d 참고) 탄성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싱킹을 방해하지 않도록(도 3b에서 157a) 충분한 공간이 부여되어야 한다.
탄성부(1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재(153)와; 상기 탄성부재(153)의 일측이 상기 물림부(113) 및 상기 걸림부(133) 중 어느 하나에 결합 가능하게 함몰 형성된 탄성부재 결합홈(155)과; 상기 탄성부재(153)의 타측이 상기 결합위치의 상기 탄성부재 결합홈(155)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물림부(113) 및 상기 걸림부(133)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된 탄성부재 그루브(15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로 꽉 끼어들어 간 라킹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153)는 부재결합홈(155) 또는 탄성부재 그루브(157) 하측 최외곽에 위치한 걸림턱보다 외측에 위치하여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를 결합시킨다. 만약 탄성부재(153)가 어버트먼트(130)와 임플란트(110)를 결합시키는 힘보다 큰 수직 외력이 탈락 방향(분리 방향)으로 가해지면 상기 탄성부재(153)는 상기 탄성부재 결합홈(155) 또는 상기 탄성부재 그루브(157)로 탄성변형하여 상기 어버트먼트(130)가 상기 임플란트(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50)는 후술하는 어버트먼트(130)가 임플란트(110)에 싱킹하는 과정에서 싱킹 현상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 사이에 테이퍼 구조를 두어 싱킹에 의한 라킹(locking)은 유도하되 라킹 테이퍼(예를 들면, 1.5도)보다 본 발명에서의 테이퍼 구조의 각도를 크게 하여 필요시 임플란트(110)로부터 어버트먼트(130)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예로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결합홈(155)은 어버트먼트(130)의 걸림부(133)에 함몰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결합홈(155)에 대응한 위치의 임플란트 물림부(113)에 탄성부재 그루브(157)가 함몰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탄성부재(153)는 탄성변형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리 형상의 스프링 중에서 고리의 일부분이 절단된 형상(C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재(153)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포함하고, 도 2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형태로 스프링을 링 형상 내지 고리 형상으로 연결한 것을 포함한다. 물론 탄성부재(153)는 통상의 막대 형상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탄성변형 가능한 고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3)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외경, 선경, 피치, 탄성부재결합홈(155)의 깊이 등은 임플란트(110)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30)의 라킹 위치에서의 목표결합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53)는 외측으로(팽창하려는 방향, 도 1 내지 도 3d 참조) 탄성 변형되거나 내측으로(수축하려는 방향, 후술 하는 다른 실시예의 도 4 참조)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변형 방향은 막대형 고리 형상의 탄성부재(153)의 경우에도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 결합홈(155)은 탄성부재(153)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어 탄성부재(153)를 수용한다.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깊이(도 2의 'd1’ 참조)는 탄성부재(153)가 최대 변형될 때도 수용하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입구측 폭(도 2의 'Wa1’ 참조)은 탄성부재(153)가 탄성변형 시 안내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 그루브(157)는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가 결합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결합재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 그루브(157)의 입구측 상측은 그루브상걸림턱(157b)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153)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 형성되어 연장되다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수직벽 형상의 그루브벽(157a)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그루브벽(157a)은 어버트먼트(130)와 임플란트(110)가 결합된 이후에 수직력이 가해지면 물림부(113)와 걸림부(133)가 꽉 끼어들어가는 싱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부(150)는 싱킹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입구측 하측 걸림턱인 홈하걸림턱(155a)의 수직연장선 위치(도 2의 'CL2’ 참조)보다 탄성부재(153)의 중심축의 수직연장선(도 2의 'CL1' 참조)은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 간격은 이격(도 2의 'K’ 참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결합홈(155)과 탄성부재 그루브(157)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위치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력을 가하면 탄성부재 그루브(157)에 수용된 탄성부재(153)는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내측으로 밀려(고리 형상의 반경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져) 임플란트(110)로부터 어버트먼트(130)가 분리될 수 있다.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가 결합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목표 결합력을 고려하여 물림부(113)와 걸림부(133)의 경사 각도(도 2에서의 'B’참조, 전술한 '본 발명의 테이퍼 구조' 참조) 및 정밀도, 탄성부재(153)의 재질, 직경, 단면의 형상. 링의 직경 등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50’은 잇몸(치은)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임플란트 구조(100)의 결합 과정을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10)가 치조골(10)에 식립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53)를 탄성부재결합홈(155)에 결합한 채로 어버트먼트(130)를 임플란트(110)에 결합시키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고리 형상의 탄성부재(153)가 걸림부(133)와 접촉하면서 탄성변형에 의해 수축되어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어버트먼트(130)가 더 하강하여 걸림부(133)와 물림부(113) 사이가 접촉하면 탄성부재결합홈(155)과 탄성부재 그루브(157)가 대응한 위치인 결합 위치에 도달하고, 탄성부재(153)은 외측으로 팽창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딸깍'하면서 탄성부재(153)는 도 3b와 같은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임플란트(110)와 어버트먼트(130)는 체결된다. 이 때의 체결력은 탄성부(150)의 탄성력이 주로 작용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결합력('Y2’ 참조)보다 작은 힘이 외부에서 가해질 경우 어버트먼트(130)는 움직이지 않는다. 하지만 음식물을 저작하는 등의 수직 교합력(3b의 'Y1’ 참조)이 가해지면 어버트먼트(130)가 임플란트(110) 쪽으로 꽉 끼어들어가는 싱킹이 일어나면서 물림부(113)와 걸림부(133)는 더욱 강하게 밀착되고 그로 인해 어버트먼트(130)와 임플란트(110)는 더욱 공고히 결합하게 된다. 임플란트(110) 및 어버트먼트(130)는 예를 들면 티타늄 합금을 포함하는 강한 재질이지만, 연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싱킹이 일어나면서 임플란트(110)는 약간 벌어지게 되고, 어버트먼트(130)가 임플란트(110) 쪽으로 계속 밀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도 3b의 탄성부재 걸림홈(155)의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결합위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싱킹위치이다. 결합위치와 싱킹위치와의 차이를 도 3b에서 'Ysink’로 표시하였다.
탄성부재결합홈(155)은 탄성부재(153)가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안내하며, 탄성부재그루브(157)는 싱킹 과정에서 탄성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과정에서 탄성부재는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지 않음)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탄성부재(153)가 싱킹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100)의 분리 과정을 도 3c 및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목표결합력 이상의 외력(도 3c 및 도 3d의 'F-ext’ 참조)을 가하면,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홈하걸림턱(155a)이 탄성부재(153)를 가압하면서 탄성부재(153)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 그루브(157)의 상측을 따라 안내되어 탄성부재 결합홈(155)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3)가 탄성부재 결합홈(155)측으로 수용되어 어버트먼트(130)는 임플란트(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치아의 맞물린 교합력에 의하여 일정한 외력 이하에서 약간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필요시 목표 결합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로부터 분리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싱킹에 의해 틈 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에 세균 침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도 9b와 같은 3 피스 구조(1100-임플란트, 1200-스크류, 1300-어버트먼트)에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 파절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철물(30)을 임시로 제거하는 경우에도 도 10b의 종래기술에서 필요한 액세스홀(1110)이 도 10a와 같이 불필요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임플란트 구조(200)를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참조번호에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의 참조번호 '일' 단위, '십' 단위번호와 동일하게 표시하였고 이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 그루브(255)가 임플란트(210)에 형성되어 있고, 어버트먼트(230)에는 탄성부재 결합홈(255)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253)는 임플란트(210) 쪽에 결합되어 있고, 어버트먼트(230)가 체결될 때는 임플란트(210) 쪽으로 탄성변형되어 팽창하고, 제거될 때는 어버트먼트(230) 쪽으로 탄성변형되어 수축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위치와 싱킹 위치에 대하여 다시 한번 도 3b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탄성부재 걸림홈(255)의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결합 위치로, 어버트먼트(230)가 임플란트(210)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 그루브(257)측으로 팽창하였던 탄성부재(253)가 탄성부재 그루브(257)에서 '딸깍'하고 원래대로 돌아오는 위치가 결합위치이다.
교합력 등의 외력에 의하여 어버트먼트(230)가 가라앉은 위치를 싱킹위치라하여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결합위치와 싱킹위치와의 차이를 도 4에서 'Ysink’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구성들은 전술한 바의 구성들과 위치를 제외하고 각 구성의 기능, 작용, 효과 등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300)를 도시한 것으로, 물림부(313)와 걸림부(333)가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하 회전을 억제하는 예를 들면, 육각형 단면과 같은 회전방지부(315, 335)를 더 포함하고 탄성부(350)가 이러한 회전방지부(315, 335)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의 기능, 작용, 효과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한편, 이러한 임플란트 구조(100, 200, 300)는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110)와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인 미도시된 서브머지드 타입(submerged type)과, 도 6a에 도시된 인터널 서브머지드 타입(internal submerged type)과, 도 6b에 도시된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에서 변형된 익스터널 타입의 경우 물림부(613)와 걸림부(633)의 구조 역시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어 종래 수평 구조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까지는 결합위치에서 외부에서 더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110)로 향하여 더 가라앉는 싱킹 형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 넌서브머지드 타입(nonsubmerged type) 모두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사이의 경계에서 종래기술의 형태와 상이하게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디자인되어 있어 싱킹에 의한 락킹이 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예와 그 작용, 효과 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700)는 탄성 부재(753)의 단면이 눈물방울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정형화된 타원 형상으로부터 변형된 눈물방울 형태를 가져 결합이 용이하고 탈락은 다소 어려운 구조로 구비되어 결합위치를 잘 유지할 수 있으며 원형 등의 정형적인 구조와 비교하여 착탈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탄성부재(753)의 단면은 타원형이나 정원형은 아니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비정형의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800)는 탄성부재(153)의 단면이 비정형의 둥근 형상을 갖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a는 임플란트(810)에 어버트먼트(830)가 결합 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b는 임플란트(810)가 어버트먼트(830)에 결합 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탄성부재(850)의 단면 형상은 비정형적인 둥근 형상으로 반경방향 외측의 하측은 다소 뾰족한 타원형이고 반경방향 외측의 상측은 하측보다 덜 뾰족한 타원형이며, 반경방향 내측은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효과 등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탄성부재 그루브(857)의 상단부에 탄성부재(853)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 그루브안내면(857c)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전술한 예와 상이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임플란트 구조 10 : 치조골
30 : 보철물 50 : 잇몸
110 : 임플란트
113 : 물림부 315 : 암회전방지부
130 : 어버트먼트 133 : 걸림부
335 : 수회전방지부
150 : 탄성부 153 : 탄성부재
155 : 탄성부재 결합홈 155a : 홈하걸림턱
157 : 탄성부재 그루브 157a : 그루브하걸림턱
157b : 그루브상걸림턱

Claims (6)

  1. 임플란트 픽스쳐(이하에서 '임플란트'라 함)와 어버트먼트 사이의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일측에 마련된 물림부와 상기 물림부와 맞물리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걸림부는 테이퍼 형상으로 접촉하는 코니컬 디자인을 가져서 상기 어버트먼트에 수직력이 가해지면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임플란트에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며,
    탄성부가 상기 임플란트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서로 결합시키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꽉 끼어들어 가서 틈 없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리 형상의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리형상의 일부가 절단되어 탄성변형 가능한 형상(
    Figure pat00001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눈물방울 형태 또는 비정형의 둥근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임플란트가 결합되는 형식은 서브머지드 타입(submerged type), 인터널 서브머지드 타입(internal submerged type), 익스터널 타입(external typ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1020170027371A 2016-03-02 2017-03-02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101842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846 2016-03-02
KR20160024846 2016-03-02
KR1020160052478 2016-04-28
KR20160052478 2016-04-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46A Division KR102076201B1 (ko) 2016-03-02 2017-06-09 임플란트 픽스쳐-어버트먼트 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825A true KR20170102825A (ko) 2017-09-12
KR101842179B1 KR101842179B1 (ko) 2018-03-26

Family

ID=599264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71A KR101842179B1 (ko) 2016-03-02 2017-03-02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KR1020170072246A KR102076201B1 (ko) 2016-03-02 2017-06-09 임플란트 픽스쳐-어버트먼트 결합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46A KR102076201B1 (ko) 2016-03-02 2017-06-09 임플란트 픽스쳐-어버트먼트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421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279A (zh) * 2018-03-08 2018-08-14 珠海乔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种植牙基台、种植体以及种植牙
KR101949920B1 (ko) * 2018-08-28 2019-02-19 박재일 당구 큐
KR20200029330A (ko)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65247A (ko) * 2018-11-30 2020-06-09 (주)예스바이오테크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20200094458A (ko) * 2019-01-30 2020-08-07 하명헌 임플란트 식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50B1 (ko) 2017-10-19 2018-07-17 김오봉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2123803B1 (ko) * 2018-02-27 2020-06-23 이석용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임플란트 구조체
KR101894698B1 (ko) * 2018-04-20 2018-09-04 신승호 당구 큐
KR102316320B1 (ko) * 2018-12-31 2021-10-2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34741B1 (ko) * 2020-07-30 2021-04-02 신세기메디텍(주) 더블 인터널 콜드웰딩 임플란트
KR20230124435A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의치용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909601B1 (pt) 1998-04-08 2009-08-11 implante dentário simples intra-ósseo.
KR102212709B1 (ko) * 2013-05-02 2021-02-0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식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48805B1 (ko) * 2013-09-23 2015-08-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흡수장치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093673A1 (ko) * 2013-12-19 2015-06-25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279A (zh) * 2018-03-08 2018-08-14 珠海乔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种植牙基台、种植体以及种植牙
KR101949920B1 (ko) * 2018-08-28 2019-02-19 박재일 당구 큐
KR20200065247A (ko) * 2018-11-30 2020-06-09 (주)예스바이오테크 맞춤형 오버덴쳐용 보철물 부착용 맞춤형 어버트먼트
KR20200094458A (ko) * 2019-01-30 2020-08-07 하명헌 임플란트 식립장치
KR20200029330A (ko)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179B1 (ko) 2018-03-26
KR20170102831A (ko) 2017-09-12
KR102076201B1 (ko)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179B1 (ko) 코니칼 실링과 탄성 체결 방식을 채택한 임플란트-어버트먼트 결합 구조
JP5017285B2 (ja) セラミック/金属製の歯科用アバットメント
US1020140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JP2500978B2 (ja) インプラント
KR1023038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100055645A1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33538A1 (en) Two-part screw for a dental implant
US6394808B2 (en) Prosthetic device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EP2514390A1 (en) A set of dental components
IL109946A (en) Insertion tool/healing collar/abutment for dental implants
JP2001046410A (ja) モジュール式の整形外科用移植部材及びそのための留具
US10531937B2 (en) Dental implant system with positive abutment screw locking and retrieval mechanism
US7090495B1 (en) Dental implant screw and post system
KR20200098434A (ko)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JP2007029162A (ja) 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歯科インプラント
KR102332598B1 (ko) 내부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210131600A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US20130045462A1 (en) Dental implant fixing system
KR20050039776A (ko) 치과용 임플란트 유니트
US20080057477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KR102104765B1 (ko) 견고함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JP3638952B2 (ja) スペーサ部材
KR10157352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EP0999803B1 (en) Implant system
KR101729247B1 (ko) 코핑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