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210A -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 Google Patents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210A
KR20170101210A KR1020177016974A KR20177016974A KR20170101210A KR 20170101210 A KR20170101210 A KR 20170101210A KR 1020177016974 A KR1020177016974 A KR 1020177016974A KR 20177016974 A KR20177016974 A KR 20177016974A KR 20170101210 A KR20170101210 A KR 2017010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layer
energy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트로 도나티
마르코 베르리
Original Assignee
파스파르투 카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BO2015U000003U external-priority patent/ITBO20150003U1/it
Priority claimed from ITUB2015U043371U external-priority patent/ITUB201543371U1/it
Application filed by 파스파르투 카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파스파르투 카페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0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5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p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23F3/3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05Treating in vacuum or with inert or noble gases; Storing in gaseous atmosphere;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2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 A23F5/125Tablets or other similar 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23L2/395Dry compositions in a particular shape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0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 B65B1/22Reducing volume of filled material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04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in blanks, e.g. sheets precut and creased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6Pods, i.e. closed containers made only of filter paper or simi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Pack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Wrappe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포장된 식품(10)에 관한 것으로, 식품(12)은 바람직하게는 침출 제품의 형태이며, 특히 예컨대 차, 캐모마일, 커피 등과 같은 분말, 과립 또는 조각 형태의 재료가 각각 포장재(14)에 포장된 형태이다. 포장재(14)는 생분해성 및/또는 유기 필름으로 제조된 것으로, 재료를 둘러싸고,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된다.

Description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A WRAPPED FOOD PRODUC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ACKAGED FOOD PRODUCT}
본 발명은 포장된 식품과 포장 식품의 생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음료, 특히 차를 제조하기 위한 침출 재료(infusion material)의 패키지는, 고정되지 않은(loose) 재료가 예컨대 폴리 유산(polyactic acid)과 같은 생분해성 유기 재료의 주머니에 포장되어, 뜨거운 물에 우려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이 종래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사용된 후에는, 생분해성 유기 재료로 제조된 티백은 패키지의 생분해성에 관한 고민 없이 유기 폐기물 수거 용기에 폐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패키지는 용도가 제한되고, 패키지의 일관성(consistency)에 의해, 침출 과정이 발생하는 기계의 각각의 자리(seat)에 고정된 방식으로 재료가 삽입되어야 하는 각각의 침출 기계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실제로, 패키지는 뜨거운 물이 담긴 컵에 주머니를 직접 담가 사용하도록 그 사용방법이 제한된다.
엄격한 일관성에 의해, 대응하는 침출 기계에서 사용할 수 없는 침출 재료, 특히 커피를 위한 종래의 포드(pods)도 있으며, 이 패키지는 알루미늄 호일로 된 외부 케이스에 의해 한정되고, 외부 케이스는 그 안에 봉입된 재료를 압축하고 단단히 유지한다. 이러한 커피 패키지들에서, 외부 포장재는 비-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므로, 완벽히 자연분해 가능한(compostable) 제품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패키지 전체는 유기 폐기물 수거 용기에 폐기물로서 폐기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유기 폐기물 용기에 폐기물로서 쉽게 배치될 수 있고, 동시에 각각의 침출 기계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포드 또는 포장된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또한, 사용이 용이하고,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및/또는 제한된 비용이 드는 식품의 포장에 대한 필요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알려진 해결책에 대한 대안으로서 새로운 해결책을 제안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된 단점 또는 문제점을 하나 이상 극복 및/또는 업계에서 요구되는 또는 위에서 추론될 수 있는 필요성을 충족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포장된 식품이 제공되고, 이 식품은 각각의 음료를 얻기 위해 침출 제품의 형태로, 특히 예컨대 커피, 차, 캐모마일, 허브티, 우유, 초콜릿 등과 같은 재료가 분말, 알갱이 또는 조각 형태로 개별 포장재에 포장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포장재는 생분해성 및/또는 유기 필름으로 제조되며, 이 포장재는 바람직하게는 재료를 둘러싸서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적으로 자연분해 가능한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고, 외부 필름이 그 안에 봉입된 재료를 효과적인 방식으로 포함하며, 유리하게는 대응하는 침출 기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혁신적인 양태들, 또는 특정한 유리한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 기술적 특징들과 이점들은,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이 실시예들은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 제품의 최종 성형 공정 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품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이 제품을 성형하는 공정의 서로 다른 단계들에 대한 계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식품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은 포장된 식품의 바람직한 실시예(10)를 도시하며, 식품은 음료, 특히 뜨거운 음료를 얻기 위해 물에 우려내는 제품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예를 들어 가정용 침출 기계와 같은 특정 침출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포장된 식품(10)은 예컨대 커피, 차, 캐모마일 등과 같은 재료가 분말, 알갱이 또는 조각 형태로 개별 포장재(14)에 포장된 형태이다.
하지만, 식품은 허브티, 우유, 초콜릿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포장재(14)는 여과성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며, 여과성 필름은 재료(12)를 둘러싸고, 재료(12)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부착된다.
여과성 재료(14)로 제조되는 필름은 침출액(infusion liquid)을 투과시킬 수 있고, 생분해성 재료 및/또는 자연분해 가능한 재료 및/또는 유기 재료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 유산 또는 PLA로 제조되는 필름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제곱미터당 중량이 80mg 내지 110mg 사이인, 바람직하게는 PLA로 제조되는 여과성 필름이 사용된다.
더욱 유리하게는, 침출 재료는 단단하고 컴팩트한 정제 처럼 구성된다.
제품은, 유기 또는 자연분해 가능한 폐기물 용기에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고, 침출 기계의 각각의 자리 내에서 사용될 준비가 되어있을 수 있는 형태의 제품이다.
또한, 유리하게는, 포장된 식품은 잔여 분말 또는 알갱이 또는 재료의 조각들을 떨어뜨리지 않으므로, 사용하기에 실용적이고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12)는 각각의 외부면을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단부면들 또는 표면들(121, 122)과, 서로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 사이에서 연장하고,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원주형 또는 원통형 표면(123)을 구비하는 외주면(peripheral surface, 123)을 포함하는 각각의 외부면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의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둘레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장재(14)는 제품의 외부면들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외부면 전체에 연결 또는 접착된다.
이러한 이유로, 포장재(14)는 재료(12)의 대응하는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에 중첩하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층들(141, 142)과, 재료(12)의 대응하는 외주면(123)에 중첩하는 외주면(143)을 구비한다.
유리하게는, 언급된 바와 같이, 포장재(14)는 재료의 외부면들 중 하나 이상, 특히 재료(12)의 대응하는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 중 하나 또는 두면 모두 및/또는 재료(12)의 외주면(123)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재료(12)의 외부면 전체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14)는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밑에 있는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은, 차례대로, 재료(122)의 대응하는 표면 또는 면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포장재의 밑에 있는 층(142)에 접착 또는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밑에 있는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은, 각각의 외주 에지(edge)로부터 연장하여, 재료의 횡방향 단부면(122)에서 층(142)과 중첩하는 특정한 원주 방향 신장(stretch)을 형성한다.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료의 각 단부면 및/또는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 층, 특히 재료의 두 횡단면(121, 122) 및/또는 포장재에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 층들(141, 142)은 각각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의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차례대로, 재료의 외주면(123) 및/또는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 층의 외주면(143)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표면 형태이다.
첨부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포장된 제품(10)은 대응하는 제2 패킹(packing)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패킹은 알루미늄 호일로 된 제2 포장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된 제품(10)의 향기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당한 기계에서 제품(10)을 사용할 때, 외부 포장재를 제거한 다음, 제품은 생분해성 폐기물 용기에 폐기물로서 폐기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외부 패키징은 다른 용기에 폐기한다.
바람직하게는, 포함된 재료는 커피, 특히 볶아서 분쇄한 형태의 커피로써 정의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포장 식품(10)을 제조하는 유리한 공정이 추측될 수 있으며, 음식 재료(12)는, 예컨대 커피, 차, 캐모마일, 허브티, 우유, 초콜릿 등과 같은 재료의 일부가 분말, 알갱이 또는 조각들의 형태로 개별 포장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재는 생분해성 및/또는 유지래료, 바람직하게는 폴리 유산 또는 PLA로 제조되는 대응하는 필름의 형태이다.
포장재(14) 내에 삽입되는 재료는 고정되지 않은 및/또는 실질적으로 응집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에 따르면, 포장재(14)가 재료(12)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될 때까지,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에너지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되는 재료, 즉 포장재에 포함되는 재료는 커피, 특히 볶아서 분쇄한 형태의 커피로써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해, 재료(12)의 단단하고 컴팩트한 정제가 획득된다.
유리하게는, 공정에 따르면,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제공되는 에너지는 기계적 진동 에너지의 형태, 특히 초음파 에너지의 형태이다.
유리하게는, 공정에 따르면, 어떠한 경우에도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포장재(14)를 파괴 또는 손상시키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적 진동 에너지는 16,000Hz 내지 35,000Hz 사이의 주파수로 공급된다.
공정에 따르면, 재료가 포함된 포장재에 500J 내지 600J, 바람직하게는 1,200J 내지 3,000J로 에너지가 제공되며, 특히 가공되는 침출 재료 일부의 중량의 함수로서 적당하게 선택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특정 포장재(14) 내에 삽입되어 가공되는 침출 재료의 일부는 5g 내지 25g의 중량을 갖는다.
하지만,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포장재(14) 내에 삽입되는 침출 재료 일부의 중량은 그보다 클 수도 있으며, 순전히 예시로서, 특정 포장재(14) 안에 삽입되고 가공되는 침출 재료 일부 중량은 약 30g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정에 따르면, 0.5초 내지 20초, 바람직하게는 2초 내지 6초의 시간 동안 재료가 포함된 포장재에 에너지가 공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에 따라서 포장 식품을 적절하게 성형하기 위해,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는,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를 수용 또는 성형하기 위한 각각의 자리(22)를 구비하는 각각의 몰드(20)에 위치된다.
공정에 따르면,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는 몰드(20)의 각각의 자리(22) 내로 가압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6에서 대응하는 화살표로써 구체화되는, 대응하는 가압 수단이 사용된다.
도 6 내지 도 7로부터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장된 상태의 제품(10'), 즉 몰드(20)의 각 자리(22) 안에 삽입되기 전의,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는 자리(22) 내의 입구 개구(23)를 넘어 주변으로 돌출한다. 몰드의 자리에 삽입된 후에는, 포장재의 돌출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외주 단부(144)는 포함된 재료(12)와 직접 접촉하는 포장재의 층(142), 즉 재료의 횡방향 면(122)과 결합하는 층(142)에 중첩한다.
유리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14)는 특히 몰드(20)에 삽입되기 전에, 포함된 재료를 밀봉하도록 포함한다.
이어서, 기계적 진동 에너지(30)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소노트로우드(sonotrode) 장치는 각 몰드(20)의 자리(22) 내에 위치된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에너지를 공급하되, 특히 포장된 식품을 획득할 때까지 에너지를 공급하며, 포장재는 포함된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고, 포함된 재료는 실질적으로 단단하고 컴팩트한 정제처럼 성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14)는 포장재 내부의 재료 부분을 폐쇄하는 각각의 수단(15)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수단(15)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에지들, 특히 포장재의 대응 층들(14a, 14b)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수단(15)은 포장재의 제1 및 제2 층(14a, 14b)을 포함하며, 이들 층(14a, 14b)의 각각의 외주 에지들은 서로 중첩되고 결합되어, 각각 폐쇄 수단 또는 에지(15)를 정의한다.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료 주위로 권취되는 포장재의 층 또는 시트가 중첩되고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에지를 포함하는 폐쇄 수단(15)도 상상가능하다.
이 경우, 폐쇄 수단은, 포장재의 층의 중첩되고 결합되는 부분들에 의해 한정되는 횡방향 단부 에지들과, 횡방향 말단 에지들 사이에서 그리고 그로부터 연장하며, 시트 또는 포장재의 중첩되고 함께 결합되는 측방향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각각의 종방향 단부 에지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도 8은 연장된 상태의 제품(100'), 즉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가 몰드(20)의 각각의 자리(22)에 삽입되기 전 상태인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는 전술된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하며, 이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기되고, 간략화 및 편의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품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포장재의 하부 층(14b)에 식품 재료(12)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되는 접시(tray) 부분을 구비하고, 이 부분 위에 각각의 시트 또는 층,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면(14a)을 덮음으로써, 각각의 외부 둘레를 따라 하부 층(14b)과 결합하여 대응하는 폐쇄 수단(15)을 한정함으로써 획득된다.
기본적으로, 이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각의 공정에 따르면, 포장재의 하부 층(14b)은 접시 형태로 성형되며, 즉 식품 재료(12)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봉입되도록 하는 각각의 시트를 한정하도록 준비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식품 재료(12)를 포함하는, 접시처럼 형성된 이 층(14b) 위에는 각각의 시트 또는 층,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면(14a)이 덮어지고, 이 편평한 면(14a)은 각각의 외부 둘레를 따라 하부 층(14b)과 결합되어 대응하는 패키지 또는 포장재 폐쇄 수단(15)을 한정한다.
제1 예시적 실시예
PLA로 제조되는 포장재 내에, 볶아서 분쇄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5.5g의 커피를 삽입하되, 포장재가 커피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리고 적합한 몰드에 모두 삽입되도록 한다.
제품은, 2-3초의 시간 동안 800J 내지 900J과 동일한 소정의 에너지로 약 20,000Hz의 음진동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소노트로우드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응력에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특징들을 구비하는 코팅된 커피 정제가 획득되며, 이는 침출 제품의 입자들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착되고, PLA로 제조되는 외부 포장재가 커피에 접착되어 영구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된다.
제2 예시적 실시예
PLA로 제조되는 포장재 내에, 볶아서 분쇄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7.5g의 커피를 느슨한 상태로 삽입하되, 포장재가 커피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리고 적합한 몰드에 모두 삽입되도록 한다.
제품은, 4초의 시간 동안, 1,300J과 동일한 소정의 에너지로 약 20,000Hz의 음진동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소노트로우드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응력에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특징들을 구비하는 코팅된 커피 정제가 획득되며, 이는 침출 제품의 입자들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착되고, PLA로 제조되는 외부 포장재가 커피에 접착되어 영구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된다.
제3 예시적 실시예
PLA로 제조되는 포장재 내에, 볶아서 분쇄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7.5g의 커피를 삽입하되, 포장재가 커피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리고 적합한 몰드에 모두 삽입되도록 한다.
제품은, 5-6초의 시간 동안, 1,900J과 동일한 소정의 에너지로 약 20,000Hz의 음진동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소노트로우드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응력에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특징들을 구비하는 코팅된 커피 정제가 획득되며, 이는 침출 제품의 입자들이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착되고, PLA로 제조되는 외부 포장재가 커피에 접착되어 영구적으로 그 형태가 유지된다.
하지만, 전술된 것보다 감소된 초음파 에너지 레벨 또는 응력 적용 시간을 사용하더라도, 정도는 약해지지만, 커피 또는 원료의 입자들의 응집체가 획득되어, 충분히 컴팩트하고 최종 사용자가 사용하기 쉬울 수 있는 제품이 획득될 수 있음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제4 예시적 실시예
PLA로 제조되는 포장재 내에, 볶아서 분쇄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5.5g의 커피를 삽입하되, 포장재가 커피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그리고 적합한 몰드에 모두 삽입되도록 한다.
제품은, 1.5-2초의 시간 동안, 500J 내지 600J과 동일한 소정의 에너지로 약 20,000Hz의 음진동을 제공하는, 대응하는 소노트로우드 장치를 사용하여 초음파 응력에 노출된다.
전체적인 압축 정도는 감소되지만, 침출 제품의 입자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착되고, PLA로 제조되는 외부 포장재가 커피에 접촉되는 코팅된 커피 정제가 획득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에서 깊게 설명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몇 가지 변경 및/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하게 알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모든 관점에서, 예시적이고 비 한정적인 실시예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37)

  1.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음료를 획득하기 위한 침출 제품(infusion product)의 형태로, 특히 예컨대 커피, 차, 캐모마일, 허브티, 우유, 초콜릿 등과 같은 재료가 분말, 과립 또는 조각의 형태로 개별 포장재(14)로 포장되어 있는 식품(12)이 포장된 포장 식품(10)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생분해성(biodegradable) 및/또는 유기 필름으로 제조되며, 상기 포장재(14)는 상기 재료 주위를 포장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단단하고 컴팩트한 정제(tablet)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각각의 외부면을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표면들 또는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 및/또는 외주면(peripheral surface, 123), 특히 서로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외주면을 포함하는 외부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상기 재료의 대응하는 횡방향 단부면(121, 122)에 중첩하는 서로 반대쪽에 있는 횡방향 층들(141, 142) 및/또는 상기 재료(12)의 대응하는 외주면(123)에 중첩하는 외주면(1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상기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부면(121, 122, 123), 특히 상기 재료(12)의 대응하는 상기 횡방향 단부면들(121, 122) 및/또는 상기 재료(12)의 대응하는 상기 외주면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의 전체 외부면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상기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하부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하부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은 상기 밑에 있는 층(142)에 접착 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되는 하부 층(142)에 중첩하는 층(144)은, 상기 재료의 각각의 횡방향 단부면(122)에서 층(142)에 중첩하는 특정한 원주 신장(stretch)을 위해 상기 각각의 외주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각각의 단부면 및/또는 상기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하는 층, 특히 상기 재료의 두 횡방향 단부면(121, 122) 및/또는 상기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하는 층들(141, 142)은 각각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의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의 외주면(perimetric surface, 123) 및/또는 상기 밀접하게 연결되는 포장재의 대응하는 층의 외주면(143)은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표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여과성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PLA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과성 필름으로부터 획득되는, 바람직하게는 PLA로 제조되는 상기 포장재(14)는 제곱미터당 중량이 80mg 내지 110mg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식품은 제2의 포장재,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호일로 된 제2 포장재로 구성되는 제2 포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15.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음료를 획득하기 위한 침출 제품의 형태, 특히, 예컨대 커피, 차, 캐모마일, 허브티, 우유, 초콜릿 등과 같은 재료의 분말, 알갱이 또는 조각 형태인 식품(12)이 포장된 포장 식품(10)을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재료(12)의 소정의 일부가 생분해성 및/또는 유기 필름으로 제조되는 개별 포장재(14)에 삽입되고,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에너지가 공급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재(14)가 상기 재료(12)에 밀접하게 연결 또는 접착될 때까지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단단하고 컴팩트한 상기 재료(12)의 정제가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공급된 에너지는 진동 에너지, 특히 초음파 에너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18. 제15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는,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를 수용하는 각각의 자리(22)를 구비하는 각각의 몰드(2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12)이 포함된 포장재(14)를 상기 몰드(20)의 각각의 자리(22)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는, 상기 몰드(20)의 각각의 자리(22)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자리(22)의 입구 개구(23)를 넘어 주변으로 돌출하며, 상기 몰드의 자리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포함된 재료(1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포장재의 층(142)에 중첩하는 돌출부의 적어도 한 외주 단부(1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기계적 진동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대응하는 수단들이, 특히 각각의 소노트로우드(sonotrode) 장치(30)의 형태로, 특히 각각의 몰드(20) 내에 위치되는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 특히 상기 몰드에 삽입되기 전의 포장재(14)는 상기 포함되는 재료(12)를 밀봉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상기 포장재의 내부에 있는 재료 부분을 폐쇄하는 각각의 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15)은 상기 포장재의 대응하는 층들(14a, 14b)이 서로 중첩되고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에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각각의 외주 에지들을 구비하는 포장재의 제1 및 제2 층(14a, 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15)은 상기 포장재의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에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7. 제15항 내지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포장재의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부분들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단부 에지들과, 상기 단부 에지들 사이에서, 상기 단부 에지들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포장재의 서로 중첩되어 결합되는 측방향 단부들에 의해 정의되는 각각의 종방향 에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12)가 포함된 포장재(14)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상기 포장재(14)를 파손시키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29. 제1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포함된 포장재에 기계적 진동 에너지가 16,000Hz 내지 35,000Hz의 주파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0. 제1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포함된 포장재에, 500J 내지 6000J, 바람직하게는 1200J 내지 3000J의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1. 제1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포함된 포장재에, 0.5초 내지 20초, 바람직하게는 2초 내지 6초 의 시간 동안 에너지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2. 제15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되어 특정 포장재(14) 내에 삽입되는 침출 재료의 일부는 5g 내지 25g의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3. 제15항 내니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찻잎의 작은 조각 및/또는 캐모마일 꽃 및/또는 볶아서 분쇄한 커피 분말 또는 알갱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4. 제15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여과성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5. 제15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14)는 PLA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6. 제15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곱미터당 중량이 80mg 내지 110mg인 여과성 필름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PLA로 제조되는 여과성 필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37. 제15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하부 층(14b)이 접시(tray)의 형태로 형성되도록 준비되고, 즉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식품 재료(12)를 봉입하는 각각의 자리를 한정하도록 준비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식품 재료(12)를 포함하는 이 접시형 층(14b) 위에 각각의 시트 또는 층,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면(14a)이 덮여지며, 상기 편평한 면(14a)은 하부 층(14b)과 각각의 외부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패키지 또는 포장재를 폐쇄하는 대응하는 수단(14)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식품 생산 공정.
KR1020177016974A 2014-12-16 2015-12-15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KR20170101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140702 2014-12-16
ITBO2014A000702 2014-12-16
ITBO2015U000003U ITBO20150003U1 (it) 2015-01-15 2015-01-15 Contenitore da infusione per la realizzazione di una rispettiva bevanda.
ITBO2015U000003 2015-01-15
IT202015000017965 2015-05-26
ITUB2015U043371U ITUB201543371U1 (it) 2015-05-26 2015-05-26 Prodotto per realizzare tramite infusione una rispettiva bevanda.
PCT/IB2015/059619 WO2016097988A1 (en) 2014-12-16 2015-12-15 A wrapped food produc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ackaged food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210A true KR20170101210A (ko) 2017-09-05

Family

ID=5692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974A KR20170101210A (ko) 2014-12-16 2015-12-15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70341789A1 (ko)
EP (1) EP3232799B1 (ko)
JP (1) JP2018504920A (ko)
KR (1) KR20170101210A (ko)
CN (1) CN107406188A (ko)
AU (1) AU2015365448B2 (ko)
BR (1) BR112017012934A2 (ko)
MX (1) MX2017008127A (ko)
PH (1) PH12017501119A1 (ko)
RU (1) RU2017121291A (ko)
WO (1) WO2016097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49857A1 (it) * 2017-05-09 2018-11-09 Opem S P A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fabbricazione di cialde per bevande
EP3511266A1 (de) * 2018-01-15 2019-07-17 Axel Nickel Getränkepulver und füllstoff enthaltende kapsel, insbesondere zur zubereitung von gebrühtem kaffee
ES2758898A1 (es) * 2018-11-05 2020-05-06 Posadas Saday Florez Capsulas con composiciones para el preparado de bebidas de te para maquinas de cafe o similares
IT201900006294A1 (it) * 2019-04-24 2020-10-24 Lovitalia S R L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confezione biodegradabile di un prodot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201900007066A1 (it) 2019-05-21 2020-11-21 Gianpaolo Belloli Procedimento per realizzare un prodotto edibile, il prodotto edibile essendo preferibilmente sotto forma di un prodotto di infusione per ottenere una rispettiva bevanda
EP3788884A1 (de) * 2019-09-05 2021-03-10 Delica AG Kompostierbare kapsel sowi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20230232855A1 (en) * 2022-01-26 2023-07-27 ruben perez Biodegradable and Dissolvable Consumable Pod and a Method of Preparing an Instant Consumab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4256A (en) * 1942-03-25 1943-11-16 Pneumatic Scale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bags
US2764283A (en) * 1953-01-27 1956-09-25 Celanese Corp Packaging
US4688369A (en) * 1980-05-23 1987-08-25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ure resizing of products
IT1145649B (it) * 1981-12-30 1986-11-05 Ferrero Spa Procedimento e macchina per incartare con un sottile foglio di alluminio un aggetto sferico provvisto di piccole sporgenze distribuite sulla sua superficie
US5012629A (en) * 1989-10-11 1991-05-07 Kraft General Foods, Inc. Method for producing infusion coffee filter packs
CH687976A5 (it) * 1992-10-09 1997-04-15 Soremartec Sa Procedimento per avvolgere un prodotto in un involucro di materiale in foglio e relativo dispositivo.
FR2709655B1 (fr) * 1993-09-06 1995-11-24 Cafes Cie Mediterraneenne Machine à café express utilisant un conditionnement de café moulu du type pastille pré-dosée.
CA2180419A1 (en) * 1995-08-02 1997-02-03 Simon M. Gotham Cappuccino brewing kit
CH691255A5 (it) * 1996-04-15 2001-06-15 Soremartec Sa Macchina per avvolgere con materiale in foglio.
US20050217213A1 (en) * 2004-03-30 2005-10-06 Lozinski Gera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ffee infusion pods
NL1028101C2 (nl) * 2005-01-24 2006-07-25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rigide lichaam van het samenstel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met het samenstel.
PL1956921T3 (pl) * 2006-01-13 2010-02-26 Belloli Gianpaolo Sposób przygotowania tabletek kawy przy pomocy ultradźwięku
ITMO20070323A1 (it) * 2007-10-22 2009-04-23 Illycaffe Spa Contenitore
JP5432178B2 (ja) * 2007-12-28 2014-03-05 ソレマーテック エス,アー 製品の包装方法及び関連する包装体
FR2938417B1 (fr) * 2008-11-17 2013-07-12 Tirouvady Moutty Capsule pour percolation de produit aromatique tel que du cafe
CA2765468A1 (en) * 2009-06-17 2010-12-02 Sara Lee/De B.V.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capsule
JP5763905B2 (ja) * 2009-10-30 2015-08-1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水の注入のための穿孔を容易にする構造部を有するコーヒー抽出物の生成のためのカプセル
IT1403162B1 (it) * 2010-12-14 2013-10-04 Lavazza Luigi Spa "cartuccia per la preparazione di un prodotto liquido"
ITTO20110478A1 (it) * 2011-05-31 2012-12-01 Lavazza Luigi Spa Capsula, macchina, sistema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n particolare di caffe' espresso
WO2012168764A1 (en) * 2011-06-09 2012-12-13 Diolaiti, Erminio A capsule for infusing a food product
US9452879B2 (en) * 2011-07-26 2016-09-27 Lbp Manufacturing Llc Sealed beverage basket and method of making
US9783361B2 (en) * 2013-03-14 2017-10-10 Starbucks Corporation Stretchable beverage cartridg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7121291A (ru) 2019-01-17
RU2017121291A3 (ko) 2019-04-30
EP3232799A1 (en) 2017-10-25
CN107406188A (zh) 2017-11-28
PH12017501119A1 (en) 2017-11-27
MX2017008127A (es) 2018-03-06
JP2018504920A (ja) 2018-02-22
WO2016097988A1 (en) 2016-06-23
AU2015365448B2 (en) 2019-09-12
BR112017012934A2 (pt) 2018-03-13
US20170341789A1 (en) 2017-11-30
EP3232799B1 (en) 2019-08-21
AU2015365448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210A (ko) 포장 식품 및 포장 식품의 제조 공정
RU2413420C2 (ru) Продукт, полученный из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или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WO2012168764A1 (en) A capsule for infusing a food product
TW201348091A (zh) 膠囊
US20180208335A1 (en) Apparatus for making a product, preferably a food product for making a drink by infusion in a respective liquid
CA2737997C (en) Device for extemporaneously preparing a hot beverage from a soluble powder
AU2008291981B2 (en) Cup including a compartment in the form of an inverted cup
JP2018515320A (ja) 抽出によって飲料を生産するための製品
US20140342058A1 (en) Paper based single cup brewing
EP3972908A2 (en) A process for making an infusion product and package containing an infusion material
JP2008018102A (ja) 簡易ドリップ式嗜好性飲料抽出パック
US20170341855A1 (en) Disposable means for preparing a beverage
KR20200051652A (ko) 커피 음료 및 방법
WO2015034496A1 (en) Food product container
KR102168484B1 (ko) 기능성 일회용 컵
KR200328312Y1 (ko) 종이컵 뚜껑 기능을 포함한 티백 포장체
JP3158138U (ja) 飲料バッグ
KR101795441B1 (ko) 휴대용 용기 및 용기 제조방법
KR200434816Y1 (ko) 다기능 세로 주름이 있는 차류 컵
KR200277075Y1 (ko) 티백이 내재된 종이컵
NL2010690C2 (en) Solid-liquid extraction package.
RU26375U1 (ru) Упаковка молотого кофе
KR20080006196U (ko) 종이컵 뚜껑 기능을 포함한 티백 포장체
TWM493956U (zh) 飲料過濾匣(Beverage Filter Cartridge)結構
KR20070090279A (ko) 필름형 혹은 시트형 수프류가 일체화 된 일회용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