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400A -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400A
KR20170100400A KR1020160138603A KR20160138603A KR20170100400A KR 20170100400 A KR20170100400 A KR 20170100400A KR 1020160138603 A KR1020160138603 A KR 1020160138603A KR 20160138603 A KR20160138603 A KR 20160138603A KR 20170100400 A KR20170100400 A KR 20170100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intermediate sheet
chip
raw material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5880B1 (en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주)천명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명푸드 filed Critical (주)천명푸드
Priority to KR1020160138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880B1/en
Publication of KR2017010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ver chip, the method comprising: a preparing step of preparing raw material laver which is one of rice roll laver, green laver, traditional laver, or fried laver, a middle sheet which is a root material popped when fried and is formed by mixing 5-95 parts by weight of rice powd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apioca starchy powder, and sticky rice paste and applying the sticky rice paste to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iddle sheet; a compressing step of uniformly distributing the sticky rice paste interposed between the raw material laver and the middle sheet by compressing a half-finished product obtained in a laver attaching step; a chip forming step of forming chips by cutting compressed products, obtained in the compressing step, into a plurality to pieces;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hips obtained in the chip forming step; and a frying step of popping the sticky rice paste and the middle sheet interposed between sheets of the raw material laver by frying the dried chips dried in the drying step. Accordingly, mass production of the laver chip is possible since the shape of the laver chip can be uniformly formed without deformation, and a laver chip with soft and crispy texture can be manufactured.

Description

김부각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본 발명은 김부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김부각의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고, 김부각의 모양을 일정하게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드럽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는 김부각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imbuga, which does not distort the shape of the Kimbuga, and which can mold the shape of Kimbuga into a uniform shape, .

부각은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김, 쑥, 감자, 깻잎, 풋고추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철에 부각으로 만들어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튀겨먹는 밑반찬이다.The incidence is our traditional food. It is used to make kimchi, mugwort, potato, sesame leaf, green pepper, etc.

이러한 부각 중 김부각은 마른 김에 적절히 양념한 찹쌀풀을 바르고, 그 위에 김을 덧붙여서 다시 찹쌀풀을 바르고 통깨 등의 고명을 뿌린 후 그늘에서 1-2일간 건조하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대로 먹거나 기름에 튀겨서 먹는 식품이다.Kimbuga in this relief is made by applying glutinous rice paste properly sprinkled with dried seaweed, adding glutinous rice on top of it, sprinkling glutinous rice again, sprinkling sesame seeds, drying in the shade for 1-2 days, cutting into appropriate size, It is food to eat.

이러한 김부각의 제조와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345935호에서는 김과 김 사이에 찹쌀풀을 발라 붙인 후 40∼60℃의 열풍건조기에서 2~3시간 동안 1차 건조를 하고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후 40~60℃의 열풍건조기에서 20~50분간 2차 건조를 하여 건조부각의 수분함량이 7~10%가 되도록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공개 2001-0010920호에서는 채소류, 향료, 간장, 멸치, 건새우, 새우젓, 액젖 등으로 이루어진 조미액을 찹쌀풀에 가미하여 기호성을 향상시킨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공개 2003-0035702호에서는 찹쌀풀에 조개국물을 첨가하여 맛을 내고, 이를 건조 김에 바른 후 건조하기 전에 콜로이드 실버를 분사함으로써 콜로이드 실버가 함유된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Regarding the production of Kimbukgak,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345935 discloses a method in which glutinous rice paste is applied between Kim and Kim, followed by primary drying for 2 to 3 hours in a hot air drier at 40 to 60 ° C, And then dried in a hot-air drier at 40 to 60 ° C for 20 to 50 minutes so as to have a moisture content of 7 to 10% at the drying angle. I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10920,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3-0035702 discloses a method for preparing Kimbuchi, which is prepared by adding a seasoning solution composed of flavor, soy sauce, anchovy, dried shrimp, shrimp and liquid milk to a glutinous rice paste. And then spraying the dried colloidal silver with the colloidal silver before drying, and then spraying the colloidal silver before drying.

상기 선출원 발명들은 김부각을 제조할 때 김을 성형한 후, 성형된 마른김 자체에 찹쌀풀을 바르거나 또는 마른김에 찹쌀풀을 바르고 그 위에 다시 마른김을 붙이는 방법들인데, 이러한 제조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In the above-mentioned prior invention, there is a method in which after shaping the kimbu when the Kimbuga is produced, the glue rice paste is applied to the dried Kimbu itself or the glutinous rice paste is applied to the dried Kimbug and the dried Kimbu is put on the dried Kimbug. And the like.

첫째, 마른김 자체에 찹쌀풀을 바르기 때문에 마른김이 찹쌀풀의 수분을 흡수하므로 마른김의 면적(또는 크기)이 현저히 줄어들고 또한 김부각의 모양이 찌그러지게 되므로 김부각의 원형이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First, because the dried glutinous rice paste is applied to the dry glutinous rice itself, the dried glutinous rice absorbs the moisture of the glutinous rice glutinous rice paste, and the area (or size) of the dried glutinous gut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glutinous rice gruel is distorted. .

둘째, 종래의 김부각은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절단하고자 할 때, 김부각의 모양이 뒤틀려져 있기 때문에 김부각을 절단시 김부각이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되지 않으므로 균일한 상태의 김부각을 얻을 수 없고, 기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Secondly, since the shape of the Kimbugae is twisted when cutting the Kimbugae in the semi-finished product state, the Kimbuchi angle can not be cut into a constant shape when cutting the Kimbugae,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a uniform Kimbug angle,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셋째, 종래의 김부각은 완성된 제품이 부피감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찹쌀풀을 김에 충분히 도포하여야 하나, 찹쌀풀을 김에 충분히 바르게 되면, 형상이 심하게 변형되므로 소비자들이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할 수 없고 대량생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Thirdly, in order to make the finished product have a volume feeling,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glutinous rice paste sufficiently in the past, but if the glutinous rice paste is sufficiently applied, the shape will be severely deform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achieved.

넷째, 종래의 김부각은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튀기게 되면, 형상이 심하게 변형되므로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김부각을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Fourthl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Kimbuchi, if the Kimbugi in the semi-finished product state is fried, the shape is severely deformed, so that the Kimbugi having a flat shape can not be manufactured.

다섯째, 종래의 김부각은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절단하고자 할 때, 반제품을 먼저 건조 또는 1차 건조시킨 다음에 절단하고 있는데, 종래의 김부각에서 반제품을 절단 전에 먼저 건조시키는 이유는 마른김에 찹살풀을 바르게 되면, 마른김이 찹쌀풀의 수분을 흡수하게 될 때, 마른김이 즉시 끈적끈적해짐과 동시에 수축이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가위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게 되면, 끈적끈적해진 마른김이 가위질에 의해서 깨끗하게 절단되는 것이 아니라 끈적끈적해진 마른김이 가위날에 달라붙어 절단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김부각에서는 위와 같은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제품을 먼저 건조시키고, 그 다음에 건조된 반제품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끈적끈적한 마른김을 건조시키게 되면, 그 형상이 수축되면서 뒤틀리게 되어 절단작업을 기계화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Fifth, in the conventional method, when cut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the semi-finished product is first dried or first dried, and then the semi-finished product is dried first before cutting in the conventional baking dish. When the dried laver absorbs the moisture of the glutinous rice paste, the dried laver immediately becomes sticky and contracts at the same time. In such a state, when cutting is performed using a hand tool such as scissors, the sticky laver is scratched , But the sticky sticky sticky sticks to the scissors blade, making the cutting operation practically im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ticking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emi-finished product is first dried and then the dried semi-finished product is cut. In this process, when dried sticky dry steam is shrunk,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mechanize the cutting operation.

위와 같은 종래의 김부각들이 가지고 있는 여러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86364호의 조미액을 첨가한 구이 방식의 김부각 제조방법이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79272호의 곡물시트를 이용한 김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과 같은 발명들이 최근에 제안되었고, 이러한 새로운 발명들에 의해서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이 일부 개선되고 있다.As a method for solving the various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Kimbugae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imbu-kaku roasting method in which a seasoning solution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6364 is added, Inventions such as a kimchi snack using a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ave recently been proposed, and some of the conventional disadvantages mentioned above have been partially improved by these new inventions.

그러나, 위의 발명들은 종래의 김부각에서 형상변형을 야기시켰던 주요 원인들인 찹쌀풀과 유탕 즉, 튀김공정의 사용을 배제하고, 새로운 대체물질인 조미액이나 접합액을 사용하고, 또 유탕 대신에 굽는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형상변형의 주요인이었던 찹쌀풀과 튀김공정을 대체하고자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통적인 김부각에서 가지고 있던 아삭바삭한 맛이나 풍미를 재현하지 못함으로써, 김부각 특유의 맛을 살리지 못하는 단점을 또한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inventions have eliminated the glutinous rice paste and the hot water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the shape de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Kimbuchi, that is, the use of the seasoning liquid or the bonding liquid, which is a new substitute material, To replace the glutinous rice paste and the frying process, which were major factors of the shape change, but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reproduce the crisp taste or flavor which was possessed in the traditional Kimbugi, .

또한, 위의 발명들은 종래의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식, 즉 반제품을 먼저 건조시키고, 그 다음에 건조된 반제품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김부각을 제조하고 있는바, 위의 방법은 균일하고 평평한 모양을 가지는 김부각을 대량으로 생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inventions, the Kimbuga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Kimbuga, that is, a method of drying a semi-finished product first and then cutting a dried semi-finished product. Which is not suitable for the mass production of the catalyst.

KR 10-0345935KR 10-0345935 KR 10-0576260KR 10-0576260 KR 10-2001-0010920 AKR 10-2001-0010920 A KR 10-2003-0035702 AKR 10-2003-0035702 A KR 10-1286364KR 10-1286364 KR 10-1417715KR 10-1417715 KR 10-2014-0079272 AKR 10-2014-0079272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김 부각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김부각에서 형상변형을 야기시켰던 주요 원인들인 찹쌀풀을 사용하고, 또 튀김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김부각의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고, 김부각의 모양을 일정하게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으면서도 부드럽고 바삭한 식감을 가지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conventional incidence angle of Kim.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lutinous rice paste which is a main cause of the shape deformation in the conventional Kimbugi, and even if the frying process is used as i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Kimbukgak which can be mass-produced by forming the shape of Kimbugae uniformly without crushing, and having a soft and crisp texture.

또한, 본 발명은 압착이 이루어진 압착품이 가압판에서 취출될 때, 원료김이 가압판에 들러붙어 원료김이 찢어지거나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Kimbug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raw material steam from sticking to the pressure plate and tearing or sticking to the raw material steam when the press-bonded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pressure plate.

또한, 본 발명은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절단하고자 할 때, 김부각을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계작업이 가능한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Kimbug angle capable of cutting a Kimbug angle into a predetermined shape when cutting a Kimbug angle in a semi-finished product state, thereby enabling a machin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김부각을 튀길 때, 형상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김부각의 전체면에 걸쳐서 팝핑작용이 고르게 일어나도록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imbuchi which allows the popping action to be evenly per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Kimbuchi angle without deforming the shape when the Kimbuchi is fried.

또한, 본 발명은 찹살풀과 중간 시트와 원료김을 접합시킨 반제품을 압착시킨 다음에 절단 및 건조를 하게 되므로 균일하고 평평한 모양을 가지는 김부각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Kimbu-kak, which is capable of mass production of Kimbugae having a uniform and flat shape since the semi-finished product obtained by pressing the semi-finished product, It has its purpos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김밥김, 파래김, 재래김, 또는 야끼김 중의 어느 하나인 원료김과, 튀길 때 팝핑이 일어나는 식자재로서, 타피오카 전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가루의 함량 5 내지 95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중간 시트와, 찹쌀풀을 마련하고, 상기 중간 시트의 위아래 양면에 찹쌀풀을 도포하는 준비단계; 상기 김부착단계에서 얻어진 반제품을 압착하여 원료김과 중간 시트 사이에 개재된 찹쌀풀이 원료김과 중간 시트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에서 얻어진 압착품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 형성하여 칩을 형성하는 칩 형성단계; 상기 칩 형성단계에서 얻어진 칩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칩들을 튀겨서 원료김 사이에 개재된 찹쌀풀과 중간 시트가 팝핑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튀김단계;로 이루어지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material in which raw material kim, which is any one of kimbab kimchi, paya kim, traditional Korean kimchi, or fried kimchi, and popping occurs at the time of frying, wherein the content of rice flour is 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middle sheet, and a glue rice paste, and applying a glue paste to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heet; A pressing step of pressing the semi-finished product obtained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kimchi so that the glue rice paste interposed between the raw-material steaming and the intermediate sheet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raw-material steaming and the intermediate sheet; A chip forming step of forming a chip by cutting the pressed product obtained in the pressing step into a plurality of pieces;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hip obtained in the chip forming step; And a frying step of frying the chips dried in the drying step so that the glue rice paste and the intermediate sheet interposed between the raw material feces are popped up.

본 발명의 김부각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찹쌀풀을 사용하고, 또 튀김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김부각의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는 평평하고 균일한 형상을 가지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Kimbukgak of the present invention, a glue rice paste is used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Kimbug angle, and even if the frying process is used as it is, the Kimbuga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flat and uniform shape, Can be provided.

또한, 김부각의 모양을 일정하게 성형이 가능하므로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Kimbuchi which can be mass-produced because the shape of Kimbugae can be formed uniformly.

또한, 본 발명은 압착이 이루어진 압착품이 가압판에서 취출할 때, 원료김이 가압판에 들러붙어 원료김이 찢어지거나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bonded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pressure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w material fouling from sticking to the platen and tearing or sticking to the raw material fry.

또한, 본 발명은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절단하고자 할 때, 김부각을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기계작업이 가능한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Kimbug angle capable of cutting a Kimbug angle to a predetermined shape when cutting a Kimbug angle in a semi-finished product state, thereby enabling a machin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김부각을 튀길 때, 김부각의 전체 부분에 걸쳐서 팝핑작용이 고르게 일어나게 되므로 김부각의 아삭한 식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opping action occurs uniformly over the whole portion of the Kimbu angle when the Kimbug angle is fried, the crisp feeling of Kimbu angles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찹살풀과 중간 시트와 원료김을 접합시킨 반제품을 압착시킨 다음에 절단 및 건조를 하게 되므로 균일하고 평평한 모양을 가지는 김부각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Kimbu-kak, which enables mass production of Kimbu-angles having a uniform and flat shape since the semi-finished product to which the intestinal pull paste, the intermediate sheet and the raw material kim are adhered is cut and dried, have.

또한, 튀김이 완료된 김부각에 선택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적층하여 추가할 수 있으므로, 김부각의 풍미를 더욱 다채롭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Further, various types of sauces can be stacked and added to the Kimbuchi which is completed with the frying, so that the Kimbucheong flavor can be more diverse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김부각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도 1의 김부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준비단계의 일부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김부착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압착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칩 형성 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건조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3의 튀김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양념단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압착단계에서 사용하는 발장을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압착단계에서 사용하는 발장 위에 반제품을 얹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압착단계에서 사용하는 발장과 발장 사이에 반제품을 얹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압착단계에서 압착이 완료된 압착품을 나타낸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압착단계에서 압착기를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Kimbug ang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imbug angle in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Kimb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some steps of the preparation step of FIG. 3;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ep of attaching the stain of Fig. 3;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ressing step of FIG. 3;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hip forming step of FIG. 3;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ying step of Fig. 3;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ying step of Fig. 3;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asoning step of FIG. 3; FIG.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braiding used in the pr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a semi-finished product is placed on a heating furnace used in the pr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mi-finished product is placed between a drawer and a drawer used in the pr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hotograph showing a pressed article that has been pressed in the pr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 is used in the press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Kimb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김부각은 도 1 및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간 시트(3), 원료김(5), 및 찹쌀풀(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양념층(9)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 in FIG. 1 and FIG. 2, the Kimbuchi produced by the Kimbuchi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the intermediate sheet 3, the raw material fudge 5, and the glue rice paste 7 , And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layer (9).

상기 중간 시트(3)는 김부각(1)의 소를 이루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 양면에 찹쌀풀(7)에 의해서 원료김(5)이 부착된다. The intermediate sheet 3 forms a small piece of the Kimbu angle 1, and the raw material puddles 5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by the glue rice paste 7, as shown in Figs. 1 and 2.

상기 중간 시트(3)는 본 발명에 따른 김 부각을 제조하는 각각의 공정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중간 시트(3)는, 김부착 단계에서는 상하면에 찹쌀풀(7)에 의해서 부착되는 원료김(5)의 수축을 방지하여 원료김(5)의 원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수축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칩 형성 단계에서는 원료김(5)과 중간 시트(3)의 압착이 완료된 압착품 상태의 김부각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하고자 할 때, 압착품 상태의 김부각이 부서지지 않으면서 일정한 형상의 모양으로 균일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튀김 단계에서는 상하면에 걸쳐서 원료김(5)이 부착되어 중간 시트(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더라도, 튀겨질 때 중간 시트(3)의 모든 부분에 걸쳐서 팝핑 작용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일어나도록 하여 형상변형을 방지하고, 또 소비자가 완성된 김부각을 먹을 때 아삭바삭한 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intermediate sheet 3 performs various different functions in each step of manufacturing the 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intermediate sheet 3 prevents shrinkage of the raw material fines 5 adher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y the glue stick 7 during the fusing step, thereby preventing contraction of the original flesh 5 And when cutting the Kimbu angles in the state of the squeezed product in which the raw material puddle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have been pressed in the chip forming step into a plurality of pieces, The frying step is carried out so that even when the frying pads 5 are adher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o prevent the shape deformation by causing the popping action to occur uniformly as a whole, and to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consumer to have a crunchy texture when eating the finished Kimbuchi The.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간 시트(3)는 임의의 모양의 얇은 시트(sheet)로서, 타피오카 전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가루의 함량 5 내지 95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는 타피오카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 30 중량부의 비율로 제조된 중간 시트(3)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시트(3)에서 쌀가루의 함량이 95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쉽게 부서지거나 위아래 양면에 풀칠을 한 때 원료김(5)을 부착하기도 전에 경도가 저하됨으로써 쳐짐이 발생하여 작업 능률이 떨어지게 되고, 쌀가루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바삭한 식감이나 풍미가 저하되어 김부각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The intermediate sheet 3 for carrying out the above function is a thin sheet of arbitrary shape and can be prepared by mixing 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flou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ntent of tapioca starch, An intermediate sheet 3 prepared in a ratio of 30 parts by weight of rice to 100 parts by weight of tapioca starch may be used. When the content of the rice flour in the intermediate sheet (3) is more than 95 parts by weight, hardness is lowered before the raw material shavings (5) are attached even when they are easily broken or pasted on both sides, When the content of the rice flour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crisp texture and flavor are lowered and the commerciality of Kimbugu is lowered.

상기 원료김(5)은 중간 시트(3)를 둘러싸는 김부각(1)의 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시트(3)의 위아래 양면에 부착된다. 이때, 원료김(5)으로는 김밥김, 파래김, 재래김, 야끼김 등 다양한 종류의 김이 채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약 200~300℃의 온도의 열풍이나 복사열 등을 이용하여 구워진 김밥김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raw material puddle 5 is attach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fatigue of the gingival sachet 1 surrounding the intermediate sheet 3. In this case, various kinds of steaming roots such as Kimbab Kim, Faragi Kim, Jaejae Kim, and Yaki Kim can be used as the raw material steaming roaster 5,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roasted with hot air or radiant heat at a temperature of about 200 to 300 ° C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Kimbab Kim.

상기 원료김(5)은 일반적으로 찹쌀풀을 바르게 되면, 찹쌀풀의 수분 성분을 원료김(5)이 흡수하게 되어 원료김(5)이 오무라들면서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원형이 유지되지 않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찹쌀풀이 중간 시트(3) 위에 도포된 상태에서 원료김(5)과 접착하게 되므로 찹쌀풀이 중간 시트(3) 위에서 어느 정도 지지되면서 원료김(5)과 접촉하게 되므로 중간 시트(3)에 의해서 원료김(5)의 수축 현상을 완화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때, 김밥김을 구워서 찹살풀과 접촉시키게 되면, 김밥김의 수축에 따른 변형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When the glue rice paste is properly applied to the raw material pellet 5, the raw pellet 5 absorb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lutinous rice paste, and the size of the raw pellet 5 is reduced while the raw pellet 5 is spread, Since the glue paste is adhered to the raw material puddle 5 in a state of being coated on the intermediate sheet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rinkage phenomenon of the raw material pellet 5 can be alleviated by the pelletizing process. At this time, if the pell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ellet paste, the deformation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pellet can be significantly alleviated.

상기 찹쌀풀(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시트(3)의 위아래 양면에 도포되어 원료김(5)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중간 시트(3)와 원료김(5)의 접촉면 사이에 개재되며, 이렇게 해서 찹쌀풀(7)에 의해 부착된 중간 시트(3)와 원료김(5)이 김부각(1)의 반제품(10)으로 된다. As shown in FIG. 2, the glue rice paste 7 is applie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raw material puddles 5 so that the raw material puddles 5 can be adher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So that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puddle 5 adhered by the glue rice paste 7 become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f the Kimbachi 1.

이때, 찹쌀풀(7)은 통상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등 제조방법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찹쌀 가루를 중량 대비 8~10 배의 물을 혼합한 후 온도를 100℃까지 서서히 가열하는 동시에 응집력이 생길 때까지 저어 주면서 제조한다. 위와 같은 찹쌀풀(7)은 튀겼을 때 기포로 인해 부풀어 오르는 팝핑(popping) 현상이 잘 일어나 아삭한 식감이 배가되고, 맛도 좋아진다. 찹쌀풀(7)은 풀을 쑬 때 찹쌀가루에 감자가루나 새우가루 등을 첨가하여 김부각(1)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glue rice paste (7) is not limited to a manufacturing method such as a method in which it is usually produced by a manufacturing method. For example, glutinous rice flour is prepared by mixing 8 to 10 times water by weight, heating the mixture gradually to 100 ° C, and stirring until cohesive force is generated. The above-mentioned glutinous rice paste (7) pops up due to bubbles due to bubbles when it is fried, and crispy texture is doubled, and taste is improved. Glutinous rice paste (7) can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kimbukgak (1) by adding potato, luna and shrimp powder to glutinous rice flour when the paste is sprouted.

상기 양념층(9)은 김부각(1)의 풍미를 더하는 양념 부분으로, 가미가 필요 없다면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양념층(9)은 건조가 완료된 칩을 튀겨 완성된 김부각(1)의 원료김(5)의 표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양념(S)을 바르거나 뿌려서 적층, 형성하는 바, 콩소메맛, 불고기맛, 버터갈릭맛 등의 양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양념 시점은 건조가 완료된 칩을 튀긴 후 3시간 경과 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튀긴 후 3시간이 경과하면, 기름이 김부각(1) 안으로 스며들어 양념이 원료김(5) 표면에 들러붙는 것을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양념층(9)의 함량은 김부각 전체 중량에 대해 2 내지 7%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soning layer 9 is a seasoning portion for adding the flavor of the Kimbuchi (1), and may be omitted if the seasoning is not required. Therefore, the seasoning layer 9 is formed by frying the dried chips and stacking and forming various spices S by sprinkling or sprinkling on the surface of the raw pudding 5 of the finished pudding 1 as shown in Fig. 10 Bar, consomme flavor, bulgogi flavor, butter garlic flavor and the like can be us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soning time is set before 3 hours after frying of the dried chips. When 3 hours have elapsed after the frying, the oil seeps into the kimbuchi (1), making it difficult for the seasoning to stick to the surface of the raw kimu (5) . Also, the content of the seasoning layer 9 preferably accounts for 2 to 7% of the total weight of the kimbu-angles.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imbu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김부각의 제조방법은 위와 같은 구성의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S10), 김부착단계(S20), 압착단계(S30), 칩 형성단계(S40), 건조단계(S50), 튀김단계(S6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a preparation step (S10), a sticking step (S20), a pressing step (S30), a chip forming step Step S40, drying step S50, and frying step S6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는 원료김(5)과,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을 마련한다. In the preparation step (S10), the raw material pellets (5),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rice paste (7) are provided.

상기 원료김(5)은 김의 엽채가 부드러워 수분과 접촉하게 되면 심하게 수축되어 변형이 되는 파래김이나 재래김 보다는 수분과의 접촉시 변형이 다른 종류의 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김밥김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러한 김밥김을 약 200~300℃의 온도의 열풍이나 복사열 등을 이용하여 굽게 되면, 구워진 김밥김은 찹쌀풀(7)에 포함된 수분과 접촉이 되었을 때, 일반 김밥김보다 수축으로 인한 변형을 최대한 완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구운 김밥김은 100장당 약 230g 정도의 중량을 가지지만, 일반 김밥김은 약 240~250g의 중량을 가지는 점에서 서로 구별된다.The raw material pellets (5) use Kimbap steels, which are relatively less deformed on contact with water than on other types of pearl or conventional pellets that are shrunk and deformed when the pellets are soft and come into contact with moisture When the roasted kimbap steak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lutinous rice paste 7, the roasted kimbap steels are more likely to shrink than normal roast beef steaks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alleviating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vibration. The roasted kimbap has a weight of about 230 g per 100 pieces, but the common kimbap steaming kimchi has a weight of about 240 to 250 g.

상기 중간 시트(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얇은 시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타피오카 전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가루의 함량 5 내지 95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타피오카 전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 30 중량부의 비율로 제조된 중간 시트(3)가 이용될 수 있다.As the intermediate sheet 3, a thin sheet hav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he intermediate sheet 3 may be prepared by mixing 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flou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apioca starch, An intermediate sheet 3 prepared in a ratio of 30 parts by weight of rice to 100 parts by weight of tapioca starch may be used.

상기 찹쌀풀(7)은 본 발명의 출원전에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찹쌀풀이 이용될 수가 있다. 위와 같은 찹쌀풀은 튀겼을 때 기포로 인해 부풀어 오르는 팝핑(popping) 현상이 일어나 아삭한 식감이 배가되고, 맛도 좋아진다. 찹쌀풀(7)은 풀을 쑬 때 찹쌀가루에 감자가루나 새우가루 등을 첨가하여 김부각(1)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As the glue rice paste (7), a glutinous rice paste prepared by a method conventionally manufactured befor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he above glutinous rice paste popping phenomenon caused by bubbles when fried, doubles crispy texture and tastes better. Glutinous rice paste (7) can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kimbukgak (1) by adding potato, luna and shrimp powder to glutinous rice flour when the paste is sprouted.

상기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마련되면, 중간 시트(3)의 윗면과 아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롤(R)을 이용하여 찹쌀풀(7)을 도포한다. 위와 같은 찹쌀풀(7)은 후속되는 압착 공정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게 되고 건조 공정을 거쳐 딱딱하게 건조되지만, 튀김 공정을 거치게 되면 효율적으로 팝핑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완성된 김부각이 부드러워지면서 바삭바삭한 식감을 가지도록 할 수가 있다.Whe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rice paste 7 are provided, the glue rice paste 7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using a coating roll R as shown in FIG. 4 . The above glutinous rice paste (7)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subsequent pressing process, and it is dried through the drying process and hardly dried. However, when the frying process is performed, the popping action is efficiently performed, and the finished kimbu is softened and crunchy texture .

상기 김부착단계(S2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준비단계(S10)에서 찹쌀풀(7)이 도포된 중간 시트(3)의 위아래 양면에 예컨대, 구운 김밥김으로 된 원료김(5)을 부착하여 김부각(1)의 반제품(10)을 만든다. 이때, 중간 시트(3)의 위에 부착되게 되는 구운 김밥김은 찹쌀풀(7)과 접촉되었을 때, 찹쌀풀(7)에 내포된 수분과의 접촉에 의해서 구운 김밥김이 수축으로 인하여 찌그러져서 변형되려고 하지만, 구운 김밥김의 소재 특성상 수축이 어느 정도 완화를 기대할 수 있고, 또 김밥김과 찹쌀풀(7)이 접촉되더라도 끈적거리는 점성을 가지는 찹쌀풀(7)이 중간 시트(3)에 의해서 이동되지 않고 어느 정도 고정되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김밥김의 수축이나 찌그러짐이 중간 시트(3)에 고정되는 찹쌀풀(7)에 의해서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므로 구운 김밥김의 찌그러짐이나 수축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5, in the preparation step S20, the raw kimonos 5 made of, for example, roasted kimbap are plac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to which the glue rice paste 7 has been applied, To form a semi-finished product (10) of Kimbu angle (1). At this time, the roasted kimbap which is to be adhered on the intermediate sheet (3), when contacted with the glutinous rice paste (7), is deformed due to the contraction due to the contact with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glutinous rice paste (7) The glue rice paste 7 having a sticky viscosity even if the kimbap steaming and the glutinous rice paste 7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moved by the intermediate sheet 3, So that th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by the glue rice paste 7 in which the shrinkage or denting of the shredded rice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sheet 3, thereby preventing the shredding and shrinkage of the roasted shredded rice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상기 압착단계(S30)는 위 김부착단계(S20)에서 얻어진 반제품(10) 상태의 김부각을 가위나 기타 수공구에 의해서 절단하지 않고 절단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 공정 이전에 수행하는 단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김부착단계(S20)에서 찹쌀풀(7)로 중간 시트(3)의 양면에 원료김(5)을 붙인 반제품(10)을 가압판(F)을 이용하여 압착하며, 압착에 의하여 찹쌀풀(7)이 중간 시트(3)와 원료김(5)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또 중간 시트(3)와 원료김(5)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한다.The squeez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cut a specific angl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btained in the above step S20 in a constant shape using a machine such as a cutter without cutting it with scissors or other hand tools. 6, the semifinished product 10 having the raw material poured 5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with the glue rice paste 7 in the above step (S20) And the glue paste 7 is uniformly distribute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puddle 5 by the compression bonding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puddle 5 Let them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이때, 압착단계(S30)에서 압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후속공정에서 원료김(5)이 중간 시트(3)로부터 분리되어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도 있고, 또 원료김(5)과 중간 시트(3) 사이에서 덩어리진 찹쌀풀(7)은 추후 튀김 공정에서 팝핑작용이 미처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도 있어 완성된 제품의 균일성을 해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pressing is not sufficiently performed in the pressing step (S30), the raw material fines (5) may be separated from the intermediate sheet (3) The glue glue 7 agglomerate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may have a portion where the popping action is not performed in the subsequent frying process, thereby deteriorating the uniformity of the finished product.

상기 압착단계(S30)에서 압착이 완료된 이후에는 압착이 완료된 압착품을 후속공정 즉, 절단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압착품을 압착기로부터 취출하게 되는데, 이때, 압착품의 취출 과정에서 압착품은 원료김(5)이 중간 시트(3)로부터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즉, 원료김(5)이 가압판(F)에 눌러 붙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압착기로부터 압착품을 취출하여야 한다. 만일, 압착단계(S30)에서 중간 시트(3)와 원료김(5)이 충분히 압착되어 서로 일체가 되었다 하더라도 위 압착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원료김(5)의 일 부분이 가압판(F)에 눌러붙는 부분이 발생하여 가압판(F)으로부터 눌러붙은 부분이 깨끗하게 분리되지 않고, 원료김(5)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가압판(F)에 달라붙게 된다면,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제품의 미관도 나빠지게 되므로 상품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After the pressing is completed in the pressing step S30, the pressed product is taken out from the pressing device so as to be conveyed to the subsequent process, that is, the cutting process.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press product, 5 to be partially peeled off from the intermediate sheet 3, tha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raw material puddle 5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late F. In this case, Even if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puddle 5 are sufficiently press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in the pressing step S30, a part of the raw puddle 5 is removed from the pressure plate F If a portion of the raw material puddle 5 is torn or sticks to the pressure plate F, a defective product may be produced, and the product The beauty is deteriorated, and the merchant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따라서, 상기 압착단계에서는 김부착단계(S20)에서 찹쌀풀(7)로 중간 시트(3)의 양면에 원료김(5)을 붙인 반제품(10)을 압착기에 직접 투입하기 전에 먼저, 상기 반제품(1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장(20)을 이용하여 압착하게 되는데, 이때,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장(20)을 펼쳐 놓은 다음에, 발장(20) 위에 반제품(10)을 얹혀 놓고, 다시 반제품(10) 위에 발장(20)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얹은 상태에서 상기 반제품(10)을 발장(20)과 함께 압착기에 투입하여 가압판(F)으로 압착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sing step, before the semifinished product 10, to which the raw material feces 5 is adher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with the glue rice paste 7,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pressing machine in the step of attaching the semifinished product 10, 12 is opened by spreading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n the tray 20 as shown in FIG. 12, The semi-finished product 10 is put into the presser together with the envelope 20 in a state where the envelope 20 is placed on the semi-finished product 10 as shown in FIG.

상기 발장(20)은 견고하면서도 수분 등의 유통성이 좋아야 하고, 압착의 초기 단계에서는 반제품(10)과의 부착성을 가지며 취출 단계에서는 압착품(11)의 박리가 용이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발장(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1)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2)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1)와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pen field 20 should be robust and have good flowability such as water and should have the property of being adherent to the semi-finished product 10 at the initial stage of compression and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peeled product 11 should be easily peeled at the extraction stage A pair of support members 2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11 and a pair of support members 21 betwee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1,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3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22 so as to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상기 지지부재(21)는 발장(20)의 양단부에서 비교적 강한 지지력으로 형상유지 기능을 하며 마무리부를 이루는 것이며, 상기 가로부재(22)는 양단 지지부재(21)의 안쪽부에 위치하여 직접 반제품(10)이 펼쳐져 압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해당하며, 내구성과 비용 등을 고려하여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1 has a shape maintaining function with a relatively strong supporting force at both ends of the tray 20 and forms a finishing part. The transverse member 22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th end support members 21, 10) is unfolded and compressed, and a resilient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cost.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지지부재(21)와 가로부재(22)를 엮을 수 있는 엮음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가로부재(22)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반제품(10)의 압착공정에서 중간 시트(3)와 원료김(5)이 적정의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통기구 기능을 하게 된다.The connection member 23 may be formed of a woven fabric capable of binding the support member 21 and the transverse member 22 and a gap formed between the adjacent transverse members 22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fins 5 function as a vent hole while maintaining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in the pressing process.

위와 같은 발장(20)을 이용하여 반제품(10)을 압착하게 되면, 중간 시트(3)와 원료김(5) 사이에 개재되는 찹쌀풀(7)이 일부는 중간 시트(3) 속으로 스며들고, 일부는 원료김(5) 속으로 스며들면서, 잉여의 찹쌀풀(7)은 발장(20)의 인접하는 가로부재(22)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스며들고, 이러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원료김(5)과 중간 시트(3)의 사이에 개재된 찹살풀(7)은 원료김(5)과 중간 시트(3)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고, 또 원료김(5)과 중간 시트(3)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함으로써, 압착품(11)의 취출 과정에서 원료김(5)이 가압판(F)에 들러붙어 원료김(5)이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mifinished product 10 is squeez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drying process 20, a part of the glue rice paste 7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fumigation 5 seeps into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a part thereof penetrates into the raw pellet 5 so that the surplus glue paste 7 seeps into a gap formed between adjacent transverse members 22 of the pelletizing plant 20, The intestinal pool 7 interposed between the raw material pile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is evenly distributed between the raw material pile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raw material pile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are uniformly distributed, 14, the raw material puddles 5 adhere to the pressure plate F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queezed puddles 11, so that the raw material puddles 5 are torn or damag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판(B)과 상부에 형성한 가압판(F) 사이에 다수의 발장(20)을 적재하면서 각 발장(20)들의 사이에 김부착단계(S20)에서 찹쌀풀(7)로 중간 시트(3)의 양면에 원료김(5)을 붙인 반제품(10)을 투입하여 가압판(F)으로 압착을 하게 되면, 단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반제품(10)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압착이 가능하게 되며, 압착이 완료된 압착품은 압착기에 취출할 때 각각의 발장(20)으로부터 용이하게 원료김(5)이 박리되게 되어 압착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a plurality of openings 20 are placed between the base plate B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ress and the press plate F formed at the upper portion, The semi-finished product 10 to which the raw material puddles 5 are affixed to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is put into the glue rice paste 7 in the step S20 and is pressed by the pressing plate F. In this case, 10 can be effectively pressed at the same time, and the pressed product that has been pressed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each of the openings 20 when taken out to the press, so that the pressing can be very effectively performed.

상기 압착기에서 가압하는 시간은 가압판(F)의 가압력의 크기와 반제품(10)에 가해지는 열의 유무, 압착되는 반제품(10)의 수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압착이 완료된 이후에 최종적으로 압착품(11)의 표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22)와 연결부재(23)의 표면이 그대로 압착품(11)에 반영되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압착품(11)은 매우 질기고 탄력이 있는 상태가 되며, 원료김(5)은 중간 시트(3)와 완전히 일체가 되어 후속공정인 절단 공정에서 절단이 용이하게 되고, 또 건조 공정에서는 원료김(5)의 박리가 방지되고, 튀김공정에서는 중간 시트(3)의 팝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The pressing time in the press can be varied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magnitude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plate F, the heat applied to the semi-finished product 10, the number of semi-finished products 10 to be pressed, The surface of the squeezed product 11 is reflected on the squeezed product 11 as it is and the surface of the transverse member 22 and the connecting member 23 are reflected as shown in Fig. The raw material pellets 5 become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us can be easily cut in the subsequent cutting step. In the drying step, the raw material pellets 5 are peeled off And the popping of the intermediate sheet 3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the frying process.

한편, 상기 발장(20)은 위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발장(20)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이 되었지만, 상기 발장(20)은 반드시 도 11에 도시된 발장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 도시된 발장(20)에서 지지부재(21)가 생략되고, 단순히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2)와,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3)로 구성할 수도 있다.11, the above-described open field 20 is not limited to the open field shown in FIG. 11, and the open field 20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22 arranged in a side by side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22 connecting the transverse members 22 so as to be arranged side by side, (23).

상기 칩 형성단계(S4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위 압착단계(S30)에서 압착이 완료된 압착품(11)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하여 칩(12)을 형성한다. 이때, 절단되는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할 수가 있으며, 그 일 예로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 2㎝, 세로 7㎝의 직사각형으로 할 수가 있고, 그 외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In the chip forming step S40, as shown in Fig. 7, the squeezed product 11 that has been pressed in the upper squeezing step S30 is cut into a plurality of pieces to form the chip 12. [ At this time, the shape to be cut can be various forms. As an example of such a shap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of 2 cm and a length of 7 cm as shown in Fig. 7 can be used.

상기 칩 형성단계(S40)에서는 전지 크기의 김부각 압착품(11)이 종래의 김부각 반제품과는 달리 상기 압착단계(S30)를 거치면서 뒤틀리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김부각 압착품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균일한 모양이 얻어지도록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가 있고, 또 절단 작업에서 상기 압착품이 다수의 조각인 칩(12)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료김(5) 사이에 게재된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외부로 노출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게 되므로 후속 공정인 튀김단계(S60)에서 튀길 때, 원료김(5) 사이에 게재된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모두 균일하게 팝핑 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튀김 단계를 거치더라도, 평평하고 균일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형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제조가 완료된 김부각은 부드럽고 아삭바삭한 식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the chip forming step S40, unlike the conventional semi-finished product of Kimbu-angles, since the cell-sized crimped crimped product 11 can maintain a flat state without being twis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rimping step S30, The intermediate sheet 3 placed between the roughened raw materials 5 can be cut continuously so that a uniform shape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chips 12 as a plurality of pieces in the cutting operation,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paste 7 placed between the raw pellets 5 when frying in the frying step S60 as a subsequent process are relatively larg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glue paste 7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flat and uniform shape can be maintained as it is even after the frying step,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shape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to the utmost, and finally, The gimbugak is so soft and crispy crunchy be to have the texture.

한편, 상기 칩 형성단계(S40)에서는 이전 공정인 김부착단계(S20)에서 얻어진 반제품(10)이 압착단계(S40)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압착이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김부각을 제조할 때 원료김이 절단날에 달라붙어 절단작업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조후 절단하는 방법으로 김부각을 제조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전공정인 압착단계(S40)에서 얻어진 압착품(11)들이 균일하게 평평한 형상을 가지면서 압착이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압착품(11)들을 절단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균일하고 평평한 모양을 가지는 다수의 조각들인 칩(12)으로 형성하고, 상기 칩(12)들은 후속공정인 건조공정에서 건조되게 된다.Meanwhile, in the chip forming step S40,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20 is uniformly pressed while being subjected to the pressing step S40. Therefore, Unlike the case where Kimbuga is manufactured by cutting after drying in order to prevent the cutting operation from becoming difficult due to sticking to the cutting ed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ed products 11 obtained in the pressing step (S40) Shaped and pressed, the press-formed products 11 are formed of a chip 12, which is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a continuously uniform and flat shape using a machine such as a cutter, It is dried in the process of drying.

상기 건조단계(S50)에서는 칩 형성단계(S40)에서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된 칩(12)들을 튀김단계(S60)에 투입하기 전에 말리게 된다. 이때, 상기 칩(12)은 수분함량 5% 미만으로 거의 완전하게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그릴(G) 등에 올려진 상태에서 60℃ 열풍(W)으로 건조될 수 있다. 만일 건조가 덜 되면, 칩(12)을 튀길 때 팝핑이 잘 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김부각(1)은 바삭한 식감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반대로, 예컨대 90℃ 정도로 고온에서 칩(12)을 건조시키면, 찹쌀이 열분해를 일으켜 튀김단계(S60)에서 팝핑을 일으키지 않거나, 약하게 일으켜 마찬가지로 김부각은 바삭한 식감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상품성을 상실하게 된다.In the drying step S50, chips 12 cut into a plurality of pieces in the chip forming step S40 are dried before being put into the frying step S6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ip 12 is almost completely dried with less than 5% moisture content. For this purpose, the chip 12 may be dried with hot air (W) at 60 ° C in a state of being put on a grill (G) have. If drying is less, popping is not performed well when the chip 12 is flipped, and thus the crisp texture of the Kimbuchi angle 1 is remarkably deteriorated. On the contrary, if the chip 12 is dried at a high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90 ° C, the glutinous rice does not cause popping in the frying step S60 due to pyrolysis, or weakly, so that the crispy texture of the Kimbuchi decreases significantly.

한편, 상기 건조단계(S50)에서는 이전 공정인 김부착단계(S20)에서 얻어진 반제품(10)이 압착단계(S40)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압착이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김부각을 제조할 때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건조단계(S50)를 거치더라도 이전공정인 칩형성 단계(S40)에서 얻어진 다수의 칩(12)들은 형상 변형의 우려가 없이 균일하고 평평한 상태의 건조된 칩(12)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drying step (S50),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btained in the previous step (S20) is pressed uniformly through the pressing step (S40) The plurality of chips 12 obtained in the chip forming step S40, which is the previous process, even if the drying step S50 is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ed chip 12 in a uniform and flat state without fear of shape deformation, Can be obtained.

상기 튀김단계(S6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위 건조단계(S50)에서 건조가 완료된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칩(12)을 튀김용기(V)에 넣고 튀겨 김부각(1)을 만든다. 이때, 튀겨지는 김부각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 다수의 조각인 칩(12)으로 되어 있으므로 원료김(5)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외부로 노출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게 되므로 튀김단계(S60)에서 튀기더라도 원료김(5) 사이에 게재된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모두 고르게 튀겨지게 되어 종래의 김부각과는 달리 튀기는 단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균일하게 팝핑 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라 최종적으로 완성된 김부각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아삭바삭한 식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In the frying step S60, as shown in FIG. 9, the chip 12 having a flat shape, which has been dried in the stomach drying step S50, is inserted into the frying container V and fried to form a gingival angle 1. At this time, since the fried Kimbu-angles have a flat shape and the chips 12, which are a large number of pieces, are formed, the ratio of the exposed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paste 7 interposed between the raw-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rice paste 7 placed between the raw material fudges 5 are evenly fried even when fried in the frying step S6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and uniformly popping action, so that the Kimbu angle finally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flat state and have crisp texture.

이때, 원료김(5) 사이에 게재된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은 모든 부분에 걸쳐서 균일하게 팝핑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완성된 김부각의 일부분에 딱딱한 부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김부각을 먹을 수가 없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의 모든 부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팝핑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칩 형성단계에서 다수의 칩(12)을 형성하여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원료김(5)에 둘러싸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형성하고, 또 이러한 칩(12)을 튀김단계에서 튀기게 되므로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이 모든 부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팝핑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형상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최종 제품의 김부각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아삭바삭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paste 7 placed between the raw pellets 5 are not uniformly popping over all the portions, a hard portion remains in a part of the completed pelleting angl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popping action occurs uniformly over all the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rice paste 7.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ips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paste 7 are not surrounded by the raw material puddles 5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relatively large ratio and the chip 12 is fried So that the intermediate sheet 3 and the glue paste 7 can be uniformly popped over the entire area, so that the shape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Yet it can stop crisp can be so crispy and have a soft texture.

상기 튀김단계(S60)에서 온도는 210±5℃가 최적이며, 190 내지 230℃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튀기는 시간은 3~5초가 적당하다. 튀김온도가 190℃ 미만이면 칩(12)이 튀겨지기는 하나 아삭한 식감이 현격히 떨어지며, 230℃를 초과하면 칩(12)이 과하게 튀겨져 타기 시작한다.In the frying step (S60), the temperature is optimal at 210 ± 5 ° C, preferably in the range of 190 to 230 ° C, and the frying time is preferably 3 to 5 seconds. If the fry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190 캜, the chips 12 are fried but the crisp texture is significantly lowered. If the frying temperature is higher than 230 캜, the chips 12 are overly fried.

한편, 본 발명은 튀김 단계 이후에 양념단계(S70) 또는 포장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step (S70) or a packaging step (S80) after the frying step.

상기 양념단계(S70)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위 튀김단계(S60)에서 튀겨진 김부각(1)의 원료김(5) 표면에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다양한 종류의 양념(S)을 적층하여 양념층(9)을 형성한다.10, in the seasoning step S70, various kinds of the spices S mentioned above ar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raw pudding 5 of the fried pudding 1 in the frying step S60 To form a seasoning layer (9).

상기 포장단계(S80)에서는 위 튀김단계(S60) 또는 양념단계(S70)를 마치고 완성된 김부각(1)을 비닐포장 등을 이용해 낱개로 또는 일괄로 포장하여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wrapping step S80, the finished Kimbukgak 1 is wrapped singly or collectively after completion of the frying step S60 or the seasoning step S70 so as to be able to be shipped.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김부각을 제조할 때와 같이 형상 변형의 주요인이었던 찹쌀풀과 튀김공정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제조가 완료된 김부각은 형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평평한 상태의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게 되고, 또 중간 시트와 원료김이 접착된 반제품 상태의 김부각을 가위나 기타 수공구에 의해서 절단하지 않고 절단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다수의 조각으로 칩을 형성하고, 이러한 칩을 튀김단계에서 튀길 수 있으므로, 평평하면서도 일정한 모양을 가지는 김부각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가 있게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Kimbug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can prevent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Kimbugi finally manufactured even if the glue paste and the frying process, which were the main factors of shape deforma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lat surface as shown in Fig. 1,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a machine such as a cutter without cutting the intermediate angl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with the intermediary sheet and the raw material pellet by scissors or other hand tool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rge number of Kimbu angles having a flat and constant shape since the chips can be 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pieces and the chips can be fried in the frying step.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김부각에서 아삭바삭한 식감을 얻도록 하는 찹쌀풀을 다른 재료의 조미액 등으로 대체하지 아니하고, 종래에 사용했던 찹쌀풀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형상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전통적인 김부각의 아삭바삭한 식감을 그대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place the glutinous rice paste for obtaining crisp texture in the conventional Kimjunggak with the seasoning solution of other materials, and even if the glutinous rice paste used in the past is used as it is, the shape of the glutinous rice is not de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xture can be obtained as it is.

1 : 김부각 3 : 중간 시트
5 : 원료김 7 : 찹쌀풀
9 : 양념층 10 : 반제품
20 : 발장 21 : 지지부재
22 : 가로부재 23 : 연결부재
1: Kim Boo-kak 3: Intermediate sheet
5: raw material Kim 7: glutinous rice paste
9: Seasoning layer 10: semi-finished product
20: Opening 21: Support member
22: transverse member 23: connecting member

Claims (2)

김밥김, 파래김, 재래김, 또는 야끼김 중의 어느 하나인 원료김(5)과, 튀길 때 팝핑이 일어나는 식자재로서, 타피오카 전분의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가루의 함량 5 내지 95 중량부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중간 시트(3)와, 찹쌀풀(7)을 마련하고, 상기 중간 시트(3)의 위아래 양면에 찹쌀풀(7)을 도포하는 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단계(S10)에서 상기 찹쌀풀(7)이 도포된 상기 중간 시트(3)의 위아래 양면에 원료김(5)을 부착하여 반제품(10)을 만드는 김부착단계(S20);
상기 김부착단계(S20)에서 얻어진 반제품(10)을 압착하여 원료김(5)과 중간 시트(3) 사이에 개재된 찹쌀풀(7)이 원료김(5)과 중간 시트(3) 사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는 압착단계(S30);
상기 압착단계(S30)에서 얻어진 압착품(11)을 다수의 조각으로 절단 형성하여 칩(12)을 형성하는 칩 형성단계(S40);
상기 칩 형성단계(S40)에서 얻어진 칩(12)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50); 및
상기 건조단계(S50)에서 건조된 칩(12)들을 튀겨서 원료김(5) 사이에 개재된 찹쌀풀(7)과 중간 시트(3)가 팝핑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튀김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
5 to 95 parts by weight of the rice flour ar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tapioca starch as a food material in which popping occurs at the time of frying and the raw material flax (5) which is one of Kimbab Kim, Faragi Kim, A preparing step S10 of providing an intermediate sheet 3 to be manufactured and a glue rice paste 7 and applying a glue paste 7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S20) of attaching the raw material pellets 5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sheet 3 to which the glue rice paste 7 has been applied in the preparing step S10 to form the semi-finished product 10;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btained in the above-mentioned step S20 is pressed to bond the glue paste 7 interposed between the raw pudding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between the raw pudding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A pressing step (S30) for even distribution;
A chip forming step (S40) of forming a chip (12) by cutting the pressed product (11) obtained in the pressing step (S30) into a plurality of pieces;
A drying step (S50) of drying the chip (12) obtained in the chip forming step (S40); And
And a frying step S60 in which the chips 12 dried in the drying step S50 are fried so that the glue rice paste 7 interposed between the raw material fines 5 and the intermediate sheet 3 cause popping action.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S30)는, 상기 김부착단계(S20)에서 얻어지는 반제품(10)을 발장(20)과 발장(20) 사이에 넣고, 발장(20)과 발장(20) 사이에 넣어진 김부각 반제품(10)을 발장(20)과 함께 압착하고,
상기 발장(2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21);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1)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부재(2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1)와 상기 다수의 가로부재(2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부재(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queezing step S30 is a step in which the semi-finished product 10 obtained in the step S20 is inserted between the shroud 20 and the shroud 20 and the semi-finished product 10 placed between the shroud 20 and the shroud 20, (10) is squeezed together with the open shoe (20)
The open shoe (20)
A pair of support members (21)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22)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1)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member (21); And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23)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members (21) and the plurality of transverse members (22) so as to be arranged side by side.
KR1020160138603A 2016-10-24 2016-10-24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102135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03A KR102135880B1 (en) 2016-10-24 2016-10-24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603A KR102135880B1 (en) 2016-10-24 2016-10-24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260A Division KR101682032B1 (en) 2016-02-25 2016-02-25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00A true KR20170100400A (en) 2017-09-04
KR102135880B1 KR102135880B1 (en) 2020-07-21

Family

ID=5992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603A KR102135880B1 (en) 2016-10-24 2016-10-24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8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61A (en) 2019-01-16 2020-07-24 강도우 Making method of chilli boogak and chilli boogak made by the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920A (en) 1999-07-23 2001-02-15 박시영 Flakes of laver oiled and toasted processing method
KR100345935B1 (en) 1995-01-05 2002-10-31 제일제당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fried laver
KR20030035702A (en) 2001-11-02 2003-05-09 최순옥 Production method of fried kelp of laver to which colloidal silver is added
KR100576260B1 (en) 2004-12-29 2006-05-03 김호원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and laver-boogak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30047178A (en) * 2011-10-31 2013-05-08 전홍정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KR20140079272A (en) 2012-12-18 2014-06-26 씨제이제일제당 (주) Laver-snack made of laver and cereal sheet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417715B1 (en) 2014-03-05 2014-07-09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Laver snack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935B1 (en) 1995-01-05 2002-10-31 제일제당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of fried laver
KR20010010920A (en) 1999-07-23 2001-02-15 박시영 Flakes of laver oiled and toasted processing method
KR20030035702A (en) 2001-11-02 2003-05-09 최순옥 Production method of fried kelp of laver to which colloidal silver is added
KR100576260B1 (en) 2004-12-29 2006-05-03 김호원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and laver-boogak manufactured by the same
KR20130047178A (en) * 2011-10-31 2013-05-08 전홍정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KR101286364B1 (en) 2011-10-31 2013-07-15 전홍정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KR20140079272A (en) 2012-12-18 2014-06-26 씨제이제일제당 (주) Laver-snack made of laver and cereal sheet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417715B1 (en) 2014-03-05 2014-07-09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Laver snack manufactur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61A (en) 2019-01-16 2020-07-24 강도우 Making method of chilli boogak and chilli boogak made by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880B1 (en)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4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102246495B1 (en) Laver-snack made of laver and cereal sheet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591466B1 (en) Apparatus manuvacturing fried processed laver-boogak
KR2018000727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10168203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10165857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boogak
KR101996413B1 (en) Roll Type Laver Snack Ch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78683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2017010040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ver Snack Chip
KR101465999B1 (en) Laver-booga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2022007422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aweed flakes
JP5302655B2 (en) Process for producing snacks from bread
KR101854849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ried laver
JP4148320B2 (en) Process for producing snack confectionery, snack confectionery, snack confectionery-like food
KR20170101459A (en) Method For Pressing Laver Snack Chip
KR101172716B1 (en) A mandoo expressed scripted picture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160561B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laver snack using far infrared ray, and laver snack prepared thereby
JP6213860B2 (en) Snacks
CN108450534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potato paste Bo
KR102081518B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sweet rice puffs with flower
EP1597977A1 (en) Baked potato chips and their method and system of manufacture
KR102145122B1 (en) Making method of chilli boogak and chilli boogak made by the method
JP2007202571A (en) Method for producing snack confectionery, snack confectionery, and snack confectionery-like food
JP6614663B2 (en) Vegetable or fruit dried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2067356A (en) Sheet-like foo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1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28

Effective date: 201812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1002059;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10000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24

Effective date: 202001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