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180A -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 Google Patents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180A
KR20170100180A KR1020160022402A KR20160022402A KR20170100180A KR 20170100180 A KR20170100180 A KR 20170100180A KR 1020160022402 A KR1020160022402 A KR 1020160022402A KR 20160022402 A KR20160022402 A KR 20160022402A KR 20170100180 A KR20170100180 A KR 2017010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drain pipe
tra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코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트랩 filed Critical (주)코트랩
Priority to KR102016002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180A/ko
Publication of KR2017010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는 건물의 오수배관과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 멀티어댑터가 구비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과 그 상단이 연통되고 하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이음관부와, 상기 이음관부의 하단과 그 하단이 연통되고 상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싱크대의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어댑터는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포트부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어댑터에는 상기 배수관부와 수밀연결되도록 패킹링이 끼워진다.
상기 배수관부는 그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이 오수배관에 걸림체결된 연결캡과 나사결합됨으로써 오수배관과 연결된다.
상기 이음관부와 상기 유입관부 연접부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포트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포트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포트부와 나사결합되는 차단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에 의하면, 싱크대의 배수호스 및 각종 주방기구의 배수호스가 건물의 오수배관과 통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트랩구성이 갖추어진 특성상, 별도의 유트랩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싱크대 하부캐비넷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랩형 멀티연결기구{multi-connecting uni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호스나, 식기세척기 및 정수기 등의 배수호스를 함께 연결하여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트랩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 등이 하수관을 따라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배수통으로 버려지는 오수를 건물의 오수배관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호스가 구비되어 있는데, 건물의 오수배관은 지중의 하수관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된 악취가스나 해충이 오수배관을 타고 역류하여 배수호스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배수호스의 상단에는 고임물이 저장되는 유트랩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싱크대의 배수호스는 건물의 실내바닥에서 일정높이 만큼 돌출된 오수배관의 주입구에 단순 삽입되는 방식으로 오수배관과 연결되었는 바, 이러한 단순삽입구조에 의하면 배수호스에 유트랩부가 갖추어진 구조상 배수호스를 통해서는 오수나 악취가스의 역류가 차단된다고 하더라도 오수배관의 주입구가 완전히 밀봉되지 않기 때문에 오수나 유해가스가 오수배관으로 부터 누설되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근래에 들어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과 같은 주방기구의 사용이 늘고 있는데, 이들 기기에서 처리된 용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 역시 싱크대의 배수호스가 연결된 오수배관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싱크대의 배수호스(2) 및 그 밖의 여러 주방기기의 배수호스(3)(4)를 통합적으로 건물의 오수배관(5)과 연결함과 더불어 오수배관(5)으로 부터 유해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른바 멀티 연결기구(10)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멀티연결기구(10)는 오수배관(5)과 나사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밀봉구조를 형성하고 싱크대의 배수호스(2) 및 다른 주방기기의 배수호스(3)(4)와도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포트를 구비함으로써 악취가스의 역류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싱크대의 배수호스(2)는 싱크대의 하부 캐비넷 내에 배치되는데, 배수호스(2)가 배치되는 하부 캐비넷에는 버켓(B) 및 배수통(U)이 장착되어 아래로 돌출되고, 배수통(U)과 배수호스(2) 사이에는 유트랩(6)이 구비되기 때문에 하부 캐비넷의 내부공간은 매우 협소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연결기구(10)는 그 하단이 오수배관(5)과 나사결합되고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포트가 구성되는 형태로서, 장착된 상태에서 오수배관(5)으로 부터 상당한 높이로 돌출되고 그 부피 또한 상당히 크기 때문에, 하부 캐비넷의 내부공간을 더북 비좁게 하는 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하면 비좁은 하부 캐비넷의 내부공간이 멀티연결기구(10)로 인하여 더욱 비좁게 됨으로써 싱크대의 수납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한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오수배관과, 싱크대의 배수호스 및 각종 주방기기의 배수호스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랩기능 또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특성상 종래의 싱크대 배수호스에 갖추어져있던 유트랩을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싱크대의 수납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멀티연결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는 건물의 오수배관과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 멀티어댑터가 구비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과 그 상단이 연통되고 하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이음관부와, 상기 이음관부의 하단과 그 하단이 연통되고 상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싱크대의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어댑터는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포트부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어댑터에는 상기 배수관부와 수밀연결되도록 패킹링이 끼워진다.
상기 배수관부는 그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이 오수배관에 걸림체결된 연결캡과 나사결합됨으로써 오수배관과 연결된다.
상기 이음관부와 상기 유입관부 연접부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포트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개방포트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포트부와 나사결합되는 차단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에 의하면, 싱크대의 배수호스 및 각종 주방기구의 배수호스가 건물의 오수배관과 통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트랩구성이 갖추어진 특성상, 별도의 유트랩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싱크대 하부캐비넷의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종래 멀티연결기구에 의하여 싱크대의 배수호스 및 각종 주방기구의 배수호스가 건물의 오수배관과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에 의하여 싱크대의 배수호스 및 각종 주방기구의 배수호스가 건물의 오수배관과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2부터 도 4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20)는, 상단에 멀티어댑터(23)가 구비되는 배수관부(22)와, 상기 배수관부(22)의 상단과 그 상단이 연통되고 하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이음관부(24)와, 상기 이음관부(24)의 하단과 그 하단이 연통되고 상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싱크대의 배수호스(2)와 연결되는 유입관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부(22)는 그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이 오수배관(5)에 걸림체결된 연결캡(30)과 나사결합됨으로써 건물의 오수배관(5)과 연결된다.
상기 멀티어댑터(23)는 상기 배수관부(22)의 상단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연결캡(30)에 의해 배수관부(22)와 연결되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포트부(231)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음관부(24)와 상기 유입관부(26) 연접부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포트부(24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포트부(241)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방포트부(2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포트부(241)와 나사결합되는 차단캡(2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캡(30)의 내부에는 오수배관(5)과 배수관부(22)의 수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패킹링(301)이 구비되고, 상기 멀티어댑터(23)에는 상기 배수관부(22)와의 수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패킹링(302)이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랩형 멀티연결기구(20)는 배수관부(22)가 건물의 오수배관(5)과 연결되고, 유입관부(26)가 싱크대의 배수호스(2)와 연결되며, 멀티어댑터(23)의 각 연결포트부(231)에는 각종 주방기구(식기세척기, 정수기 등)의 배수호스(3)(4)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부(26)에서 이음관부(24)를 거쳐 배수관부(22)로 이어지는 유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유입관부(26)와 이음관부(24)는 트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대의 배수호스를 거쳐서 유입관부(26)로 유입된 오수는 이음관부(24) 및 배수관부(22)를 거쳐 건물의 오수배관(5)으로 배출되며, 오수의 유입이 멈추면, 유입관부(26) 및 이음관부(24)에는 일정량의 봉수가 유지됨으로써 건물의 오수배관(5)으로부터 배수관부(22)를 거쳐서 역유입되는 악취가스가 봉수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주방기구에서 배출되는 오수는 멀티어댑터(23)를 통해 배수관부(22)로 유입되어 건물의 오수배관(5)으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관부(24)와 유입관부(26)가 형성하는 트랩구조에 의해 트랩기능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호스(2)에 별도의 유트랩(6)(도 1 참조)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유트랩(6)을 구성할 필요가 없는 만큼, 싱크대의 하부 캐비넷의 공간활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트랩구성에 따르면 일정량의 오수가 정체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오수의 흐름이 상당기간 없는 경우 정체된 오수가 부패하여 배관내부에 점착됨으로써 악취를 유발하고, 유로가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트랩구성은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굴곡된 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음식찌꺼기 등에 의해 유로가 막힘으로써 배수가 원활하게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관부(24)와 유입관부(26)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포트부(241)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차단캡(32)을 열고 개방포트부(241)를 개방하여, 트랩구성을 이루는 이음관부(24)와 유입관부(26)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2: 배수호스 5: 오수배관
6: 유트랩 20: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22: 배수관부 23: 멀티어댑터
231: 연결포트부 24: 이음관부
241: 개방포트부 26: 유입관부
30: 연결캡 32: 차단캡

Claims (6)

  1. 건물의 오수배관과 하단이 연결되며, 상단에 멀티어댑터가 구비되는 배수관부와,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과 그 상단이 연통되고 하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이음관부와,
    상기 이음관부의 하단과 그 하단이 연통되고 상단이 상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싱크대의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유입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멀티어댑터를 통해 다수개의 배수호스가 배수관부와 연결되며, 상기 이음관부에서 유입관부로 이어지는 트랩유로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어댑터는
    상기 배수관부의 상단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그 상면에 다수개의 연결포트부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어댑터에는 상기 배수관부와 수밀연결되도록 패킹링이 끼워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부는 그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이 오수배관에 걸림체결된 연결캡과 나사결합됨으로써 오수배관과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부와 상기 유입관부 연접부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포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포트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포트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포트부와 나사결합되는 차단캡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KR1020160022402A 2016-02-25 2016-02-25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KR20170100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02A KR20170100180A (ko) 2016-02-25 2016-02-25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402A KR20170100180A (ko) 2016-02-25 2016-02-25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58U Division KR20170003867U (ko) 2017-11-02 2017-11-02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80A true KR20170100180A (ko) 2017-09-04

Family

ID=5992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402A KR20170100180A (ko) 2016-02-25 2016-02-25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772A (zh) * 2018-07-19 2018-12-07 宁波高新区诠宝绶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钇掺杂的疏油管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51772A (zh) * 2018-07-19 2018-12-07 宁波高新区诠宝绶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钇掺杂的疏油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83505A1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KR20170003867U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US9499961B1 (en) Air-gap faucet
JP2013014947A (ja) 排水配管
KR20170100180A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JP7144965B2 (ja) 間接排水用継手及び機器設置構造
KR101845693B1 (ko) 오수 및 하수용 횡주관 청소용 청소유닛 및 그 청소 유닛을 이용한 오수 및 하수용 횡주관 청소방법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US20220120075A1 (en) Siphon device with a bypass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180070274A (ko)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JP200427029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RU2751915C2 (ru)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ая сливная арматур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110006553A (ko) 레두샤 연결용 배관에 장착되는 차단장치
KR101705126B1 (ko) 집수 배수장치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CN219196172U (zh) 一种带隔臭水封的水槽下水器
JP5779759B2 (ja) 排水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