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119A -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0119A KR20170100119A KR1020160022253A KR20160022253A KR20170100119A KR 20170100119 A KR20170100119 A KR 20170100119A KR 1020160022253 A KR1020160022253 A KR 1020160022253A KR 20160022253 A KR20160022253 A KR 20160022253A KR 20170100119 A KR20170100119 A KR 20170100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and
- fixing
- position control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자중 및 소정의 추가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된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고 가이드부의 축방향과 다른 축방향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손 또는 팔의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손가락과 손등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2고정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형상을 가지는 제1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직부 단에 연결된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제1회전수단으로 연결되어, 일단은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앵글브레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에는 손가락걸이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는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자중 및 소정의 추가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된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고 가이드부의 축방향과 다른 축방향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손 또는 팔의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손가락과 손등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2고정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형상을 가지는 제1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직부 단에 연결된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은 제1회전수단으로 연결되어, 일단은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앵글브레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과 제4프레임에는 손가락걸이수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는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뼈(Bone), 관절(Joint), 근육(Muscle), 힘줄(Tendon), 인대(Ligament), 연골(Cartilage), 신경(Nerve) 등으로 이루어진 근골격계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과도한 사용, 잘못된 자세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각종 질환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근골격계의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정형외과용 의료품이 캐스트(Cast)와 스플린트(Splint)이다.
캐스트는, 골절, 인대파열, 탈구, 심한 피부 염증 등으로 일정기간 환부를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수화성 석고 붕대, 또는 이와 유사기능을 가진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한다.
반면에 스플린트는, 염좌, 탈구, 골절 등이 발생한 환자의 환부 주위에 부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스플린트의 외주를 별도의 붕대 등을 사용하여 감아 환부를 고정하게 된다.
소위 통 깁스를 할 때 사용되는 것이 캐스트이고, 반 깁스를 할 때 사용되는 것이 스플린트라 하겠다.
이 가운데 본원발명은 스플린트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기 위한 스캐닝(Scanning) 단계에서, 정확한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환자의 신체 부위를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환자를 치료할 목적으로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자의 환부를 X-ray나 CT 등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촬영을 통해 획득한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3D 프린팅 기술 등을 사용하여 스플린트를 제작하며, 제작된 스플린트를 사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고정하게 된다. 본원발명은 전술한 과정 중 환자의 환부를 촬영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과 같이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장애 등을 가진 환자들의 경우 손이 마비되고 심하게 떨리며 오그라드는 현상 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환자들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생기게 되어 스플린트를 착용케 할 요량으로 X-ray나 CT 등을 촬영하고자 한다면, 장애가 있는 손을 제어하기 어려워 제대로 된 스캐닝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결국 부정확한 스캐닝으로 이어져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의 제작을 사실상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를 상대로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자 할 때,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여, 환자의 손 형상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를 상대로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자 할 때,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여, 환자의 손 형상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가락과 손등 및 위팔을 파지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자 할 때,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제1회전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1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제2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가락을 용이하게 펼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수 개의 손가락걸이수단이 손가락의 평면형상과 유사하게 프레임 상에 나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3프레임에 4개의 손가락걸이수단을 결합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알맞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4프레임에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엄지가 알맞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2프레임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3프레임에 결합 된 복수의 손가락걸이수단의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 환자의 손이 손목을 중심으로 함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손가락만 신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고정부에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위팔을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상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 구분하여 각각이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되거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개별 환자의 신체 체형에 맞도록 손의 위치제어장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개별 환자의 신체 체형에 맞도록 손의 위치제어장치를 조절하면서 알맞은 위치를 찾은 뒤, 위치가 설정되었으면 해당 위치에서 더 이상 위치제어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의 자유단에 스토퍼를 포함하여, 가이드부 상을 움직이는 지지부가 가이드부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지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해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를 분절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팔을 곧게 펼 수 없는 환자에게 본원발명의 위치제어장치를 사용할 때 환자에게 맞게 장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의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좌측에서는 환자의 오른팔을,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우측에서는 환자의 왼팔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른팔, 왼팔에 상관없이 하나의 위치제어장치를 가지고,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장치의 자중 및 소정의 추가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된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고 가이드부의 축방향과 다른 축방향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손 또는 팔의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손가락과 손등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형상을 가지는 제1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직부 단에 연결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제1프레임에 연결된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프레임에 결합된 복수의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은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앵글브레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4프레임에 결합된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2고정부는,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가이드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를 분절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위치제어장치는, 가이드부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은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를 상대로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자 할 때,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여, 환자의 손 형상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가락과 손등 및 위팔을 파지하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자 할 때,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제1회전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1회전수단을 중심으로 제2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가락을 용이하게 펼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수 개의 손가락걸이수단이 손가락의 평면형상과 유사하게 프레임 상에 나란히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3프레임에 4개의 손가락걸이수단을 결합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알맞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4프레임에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에 따라,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엄지가 알맞게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2프레임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3프레임에 결합 된 복수의 손가락걸이수단의 위치가 상승하는 경우, 환자의 손이 손목을 중심으로 함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손가락만 신장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제2고정부에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위팔을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상에 고정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지지부를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로 구분하여 각각이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되거나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개별 환자의 신체 체형에 맞도록 손의 위치제어장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개별 환자의 신체 체형에 맞도록 손의 위치제어장치를 조절하면서 알맞은 위치를 찾은 뒤, 위치가 설정되었으면 해당 위치에서 더 이상 위치제어장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의 자유단에 스토퍼를 포함하여, 가이드부 상을 움직이는 지지부가 가이드부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지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해 주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를 분절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팔을 곧게 펼 수 없는 환자에게 본원발명의 위치제어장치를 사용할 때 환자에게 맞게 장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부의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좌측에서는 환자의 오른팔을, 가이드부의 축을 기준으로 우측에서는 환자의 왼팔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른팔, 왼팔에 상관없이 하나의 위치제어장치를 가지고, 신경계의 손상 등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손을 제어하기 어려운 환자의 손을 스캐닝에 필요한 위치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부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지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1고정부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제2고정부에 관한 도면.
도 8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본체부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지지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1고정부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제2고정부에 관한 도면.
도 8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1)는 본체부(10), 가이드부(30), 지지부(50), 고정부(7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본체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본체부(10)는 장치의 자중 및 소정의 추가적인 하중,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의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1)에 안착되는 손과 팔의 무게까지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를 어느 특정 구조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 하겠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부(10)는 높낮이가 조절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가이드부(30)는 일단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한 쌍의 강관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가이드부(30) 상에 놓이게 될 지지부(50)의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이를 가이드하고, 지지부(50)와 고정부(70) 및 추가적인 하중의 지지가 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30)는 직선 형태가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30)는 본체부(10)에 연결된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에 스토퍼(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1)는, 가이드부(30)의 타단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이드부(30)의 단면크기를 초과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30) 상에 놓여 슬라이드 되는 지지부(5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지지부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지지부(50)는 가이드부(30) 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는 구성이며, 가이드부(30)의 축방향과 다른 축방향을 가진다. 가이드부(30)의 축방향(G)이란, 직선 형태로 구성된 가이드부(30)가 본체부(10)로부터 뻗어나가는 방향을 가리키고, 지지부(50)의 축방향(S)은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부(50)가 가이드부(30)와는 다른 축방향을 가지게 되면, 상기 지지부(50)에 결합되는 후술할 고정부(70)가 가이드부(30)를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70)와 가이드부(30)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부(70)와 가이드부(30)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부(30)의 축방향(G)과 지지부(50)의 축방향(S)은 직각이 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50)는 제1지지부(51), 제2지지부(53), 고정수단(5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51)는, 후술할 제1프레임(7111)의 수평부(7111b) 상측면에 결합되어 제1고정부(71)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하며, 상기 제2지지부(53)는, 후술할 제2고정부(73)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제2고정부(73)를 지지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51)는 본체부(10)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53)는 본체부(10)에 보다 가까이 위치한다. 이로써 상기 제1지지부(51)는 후술할 제1고정부(71)에 매달리는 손가락으로부터의 하중을, 상기 제2지지부(53)는 후술할 제2고정부(73)에 안착된 위팔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5)은, 가이드부(30)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50)를 고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으로 쉽게 잠그고 풀 수 있는 노브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0)는 지지부(50)에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손이나 팔을 파지해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제1고정부(71)와 제2고정부(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71)는, 손가락과 손등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711), 제1회전수단(713), 손가락걸이수단(715), 앵글브레이스(717), 손위치설정수단(719)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711)은, 상기 제1지지부(5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제1프레임(7111), 제2프레임(7112), 제3프레임(7113), 제4프레임(71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7111)은, 수직부(7111a)와 수평부(7111b)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말하고, 상기 제2프레임(7112)은,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7111)의 수직부(7111a) 단에 연결되는 직선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제3프레임(7113)은, 일단이 제1프레임(7111)에 연결된 제2프레임(7112)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부재로, 상기 횡방향이란, 직선형태의 제2프레임(71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프레임(7113)의 중심부가 상기 제2프레임의(711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고, 제3프레임(7113)의 평면형상은 손가락의 길이가 중지가 가장 길고 그 주변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인간의 해부학적 구조에 착안하여 초승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수단(713)은, 상기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은 제2프레임(7112)이 제1회전수단(713)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 사이의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각도의 변화는 후술할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 변화의 결과로 발생하는 것인바,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앵글브레이스(717)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논하도록 한다.
상기 손가락걸이수단(715)은, 상기 프레임(711)에 고정되어 개개의 손가락을 각각 끼워넣을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를 특정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파지기(7151)와, 상기 손가락파지기(7151)를 상기 프레임(711)에 연결하는 연결선(7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걸이수단(715)은 상기 제3프레임(7113)과 제4프레임(71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3프레임(7113)에는 검지, 중지, 소지, 약지를 파지하는 4개의 손가락걸이수단(715)이, 제4프레임(7114)에는 엄지를 파지하는 1개의 손가락걸이수단(715)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앵글브레이스(717)는, 일단은 제1프레임(71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7112)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의 일단은 제1프레임(7111)의 수직부(7111a) 외측면에,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의 타단은 제2프레임(7112)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고).
도 6은 도 5의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는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 사이에 앵글브레이스(717)가 설치된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를 증가시켜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 사이의 각도를 크게 한 것이다. 상기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이 상기 제1회전수단(713)으로 연결되다 보니,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 변화는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의 사이각에 영향을 주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7112)에 제3프레임(7113)이 연결되고, 상기 제3프레임(7113)에 상기 손가락걸이수단(715)이 고정되므로, 환자의 손가락이 손가락걸이수단(715)에 의해 파지되면,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의 사이각이 커지면서, 손가락걸이수단(715)에 파지된 손가락을 신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신경계 손상 등을 입고 손가락이 오므라들어 자유롭게 펼 수 없는 환자의 손을 펼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면 파지된 손가락들이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 사이의 각도 변화에 따라 동시에 제어되지만, 설계상에 변화를 주어 각각의 손가락이 상기 원리를 이용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위치설정수단(719)은, 상기 제1프레임(7111)의 수평부(7111b)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구성을 말한다. 손목 스플린트는 손바닥과 아래팔의 하측부를 거치하도록 구성되는바, 손등과 아래팔의 상측부를 스캐닝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의 구성을 위한 스캐닝은 환자의 손바닥과 아래팔 하측부에만 이루어지면 된다.
다만 손가락을 상기 손가락걸이수단(715)에 의해 고정하더라도 손가락 이외의 부분의 위치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스캐닝이 어렵게 되는바, 상기 손위치설정수단(719)은 내측면에 손등을 위치설정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손이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손가락걸이수단(715)에 의해 파지된 손가락이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변화로 신장이 될 때, 손가락이 펴지는 것이 아니라 손목을 중심으로 손이 들어 올려지는 문제를 상기 손위치설정수단(719)를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1의 제2고정부에 관한 도면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고정부(73)는 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구성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위팔을 파지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73)는 L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용이하게 사람의 팔의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에 위팔을 수용할 수 있도록 U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부(73)는 팔위치설정수단(731)을 포함한다. 상기 팔위치설정수단(731)은,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거치된 팔을 고정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가이드부(30)에 제2회전수단(33)이 추가로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다.
중복된 서술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제2회전수단(33)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수단(33)은,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3) 사이를 분절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힌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의 일단이 본체부(10)에 연결이 되면, 상기 가이드부(30)의 일단에서부터 상기 제2회전수단(33)까지는 고정이 되고, 상기 제2회전수단(33)에서부터 가이드부(30)의 타단에 이르는 부분은 상기 제2회전수단(33)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해 진다. 이를 통해, 팔을 곧게 펼 수 없는 환자에게 본원발명의 위치제어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제2회전수단(33)를 통해 환자에게 맞게 장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전수단(33)은 상기 제1회전수단(713)과 달리 특정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에게 맞게 장치를 조절하고 적당한 위치가 지정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부(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회전수단(33)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기술 또는 공지될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8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가이드부(30)의 축(G)을 중심으로 양측에 고정부(70)가 구성된 차이를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의 구성을 가이드부(30) 상에 지지부(50)의 중심부가 놓이게 하고 그 좌우측을 연장형성하여 좌우측 각각에 복수 개의 고정부(70)를 구성하도록 하여 가이드부(30)의 축(G)을 기준으로 좌측에서는 환자의 오른팔을, 가이드부(30)의 축(G)을 기준으로 우측에서는 환자의 왼팔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지지부(50)의 구성 등을 달리하여, 일측에는 오른팔에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위한 스캐닝이 필요한 환자를, 타측에는 왼팔에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위한 스캐닝이 필요한 환자를 위치시켜, 동시에 스캐닝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캐닝 작업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부(30)가 지지부(50)의 슬라이드를 위한 2개의 레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레일에는 지지부(50)를 별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경손상 등으로 인해 손가락을 자유롭게 펼 수 없는 환자를 본원발명인 위치제어장치 측면에 앉게 하고, 상기 제2고정부(73)에 환자의 위팔을 거치시킨 뒤 상기 팔위치설정수단(731)을 통해 환자의 위팔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 후 환자의 엄지를 상기 제4프레임(7114)에 결합되어 있는 손가락걸이수단(715)에 거치시키고, 나머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를 상기 제3프레임(7113)에 결합되어 있는 손가락걸이수단(715)에 거치시킨다. 이후 상기 앵글브레이스(717)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프레임(7111)과 제2프레임(7112)의 사이각을 변화시키면서 환자의 손가락이 펼쳐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위치설정수단(719)은 환자의 손가락이 아닌 환자의 손 자체가 들려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환자의 손을 스캐닝하기 위한 위치설정이 끝났다고 판단되면, 스캐닝 장비로 환자의 손바닥과 아래팔 하측부를 스캐닝하고, 이 과정을 통해 획득한 3차원 환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프린터 등을 사용해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부
30: 가이드부
31: 스토퍼 33: 제2회전수단
50: 지지부 51: 제1지지부
53: 제2지지부 55: 고정수단
70: 고정부 71: 제1고정부
73: 제2고정부
31: 스토퍼 33: 제2회전수단
50: 지지부 51: 제1지지부
53: 제2지지부 55: 고정수단
70: 고정부 71: 제1고정부
73: 제2고정부
Claims (15)
- 장치의 자중 및 소정의 추가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한 구조로 된 본체부와;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상에 슬라이드 및 고정되고 가이드부의 축방향과 다른 축방향을 가지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어 손 또는 팔의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손가락과 손등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1고정부와, 팔을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L형상을 가지는 제1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직부 단에 연결된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1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제1프레임에 연결된 제2프레임의 타단을 횡방향으로 연장형성한 제3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3프레임에 결합된 복수의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은 제1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앵글브레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단에 연결된 제4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4프레임에 결합된 손가락걸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하측면에 결합되어 내측면이 손등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손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위팔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팔위치설정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수평부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고정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고정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이드부 상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부의 자유단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를 분절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2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장치는, 가이드부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2253A KR101792728B1 (ko) | 2016-02-25 | 2016-02-25 |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2253A KR101792728B1 (ko) | 2016-02-25 | 2016-02-25 |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0119A true KR20170100119A (ko) | 2017-09-04 |
KR101792728B1 KR101792728B1 (ko) | 2017-11-02 |
Family
ID=5992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2253A KR101792728B1 (ko) | 2016-02-25 | 2016-02-25 |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272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74886A (zh) * | 2017-12-29 | 2018-04-06 | 付记乐 | 一种易调式牵引支具 |
CN109363816A (zh) * | 2018-10-10 | 2019-02-22 | 孙瑞悒 | 一种基于3d扫描技术的骨折复位牵引装置及使用方法 |
CN110063831A (zh) * | 2019-04-11 | 2019-07-30 | 宁波大学 |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16323A1 (en) * | 2002-12-17 | 2007-01-18 | Scott Fried | Splint and or Method of Making Same |
JP2008113702A (ja) * | 2006-11-01 | 2008-05-22 | Hitachi Medical Corp | X線撮影装置 |
-
2016
- 2016-02-25 KR KR1020160022253A patent/KR10179272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874886A (zh) * | 2017-12-29 | 2018-04-06 | 付记乐 | 一种易调式牵引支具 |
CN109363816A (zh) * | 2018-10-10 | 2019-02-22 | 孙瑞悒 | 一种基于3d扫描技术的骨折复位牵引装置及使用方法 |
CN110063831A (zh) * | 2019-04-11 | 2019-07-30 | 宁波大学 |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
CN110063831B (zh) * | 2019-04-11 | 2024-03-22 | 宁波大学 | 一种垂吊式稳手机器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2728B1 (ko) | 2017-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3606C (en) | External orthopaedic fixator for the elbow joint. | |
JP2003526470A (ja) | 回内/回外・屈曲両用治療運動装置 | |
US20090265853A1 (en) | Patient positioning frame device and application technique | |
CN103006301B (zh) | 骨外固定器用自锁关节及调控式仿生骨外固定器 | |
KR101792728B1 (ko) | 스캐닝을 위한 손의 위치제어장치 | |
WO2011075003A1 (ru) |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ок сегментов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US10307283B2 (en) | Therapeutic device for slowly stretching three-dimensional hip joint for reposition movement | |
JP6539287B2 (ja) | 単振り子運動可能な肩装具 | |
US10736767B2 (en) | Upper extremity braces | |
CN204351984U (zh) | 一种可调下肢固定矫形器 | |
US1066111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knee flexion support | |
US8979781B2 (en) | EMT splint | |
Bearden et al. | Motion in the unstable cervical spine: comparison of manual turning and use of the Jackson table in prone positioning | |
CN104958081A (zh) | 一种透x线的各关节可调节的检查治疗床 | |
EP1478310A2 (de) | Variable armabduktionsorthese | |
CN103006303B (zh) | 骨外固定器用阻尼关节及调控式仿生骨外固定器 | |
RU118860U1 (ru) |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2018008527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ariable Knee Flexion Support | |
CN106806086B (zh) | 一种儿童肱骨髁上骨折复位装置 | |
WO2020202217A1 (en) | Advanced pediatric spica table | |
Basti | Rehabilitation of shoulder arthroplasty | |
RU95510U1 (ru) |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 |
RU2499577C2 (ru) |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 |
JP3218215U (ja) | 医療・介護用クッション | |
PL234420B1 (pl) | Urządzenie do rehabilitacji stawu promieniowo-nadgarstkoweg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