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561A -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561A
KR20170099561A KR1020160021791A KR20160021791A KR20170099561A KR 20170099561 A KR20170099561 A KR 20170099561A KR 1020160021791 A KR1020160021791 A KR 1020160021791A KR 20160021791 A KR20160021791 A KR 20160021791A KR 20170099561 A KR20170099561 A KR 2017009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clostridium butyricum
knu
kct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629B1 (ko
Inventor
신재호
박건석
홍성준
정병권
박영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62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C12R1/14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신규 균주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는바, 정장작용을 위한 친환경 미생물 제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의 전체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므로, 가축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정장용 미생물 제제로써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Novle Clostridium butyricum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이를 이용한 정장용 미생물 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 사용은 축산업에서 설사와 같은 가축 질병의 예방과 치료, 성장 촉진, 및 사료 효율 개선 등의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항생제 사용은 내성 균주의 출현, 축산물 내 잔류 항생제 확인 및 동물에서 사람으로 세균의 내성 전이로 인한 인체 안전성 문제로 논란이 일기 시작함으로써 항생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며, 최근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동물의 성장 촉진제로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사용을 금지하였다. 한국에서도 축산업에서 항생제 총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12년부터 구충제와 항콕시디움을 제외한 항생제는 동물사료로 전면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러한 항생제 사용 금지와 함께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가축 사료첨가용 유용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사료 첨가용 미생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작용을 갖는 미생물, 다양한 정장 기능이 있는 미생물 등을 활용한 친환경 축산을 위한 미생물 제제 등이 있다.
예컨대, 최근 생균제(probiotics)가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생균제는 일반적으로 건강에 유익한 생균 식품 첨가제로 정의되었으나, 최근 들어 인체나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고안된 식품, 사료, 또는 식이 첨가제에 포함되어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로 정의되고 있다. 생균제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세균은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와 스트렙토코쿠스 (Streptococcus) 등이 있다.
생균제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안전해야 하고, 산과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하며, 장관 상피에 부착능이 있어야 한다. 또한, 독성을 생산하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길항 활성을 가져 이를 대체함으로서 유익한 효과를 발휘해야 하며, 내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항생제 내성의 전이가 되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유산균은 장내 미생물 균형에 도움을 주고 항균 활성, 면역 활성 및 항암 활성 등 많은 유용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생균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유산균의 대부분은 정확한 생균제로서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다수이며, 타 유산균의 도용을 억제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가축용 생균제는 가축의 장내에서 분리하여 개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많은 생균제로 사용되는 균주가 그러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강한 돼지의 분변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갖는 신규한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상기 균주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가축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균주는 친환경 정장용 미생물 제제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 미생물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건강한 돼지 분변으로부터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KNU-L09 균주를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길항능을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및 이를 이용한 정장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제제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정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를 배양한 후, 배양액에 탈지유(skim milk)를 최종농도 5-10%가 되도록 첨가한 뒤, -60℃ 내지 -80℃에서 동결건조시키고 분말화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 길항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rica),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에(Streptococcus agalacti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는바, 정장작용을 위한 친환경 미생물 제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의 전체 유전자 서열 분석 및 유해성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므로, 가축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정장용 미생물 제제로써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병원성 미생물이 도말된 플레이트에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를 처리한 결과 저해 환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1,497bp)을 공지 균주와 비교하여 분석한 계통발생학적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를 동결건조시켜 얻어진 파우더형 미생물 제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에 있어서, 보존제로써 skim milk 7% 첨가에 의해 균주의 생존률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전체 유전자 서열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에 있어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과 관련된 천연 항생물질 생성에 관여할 수 있는 유전자들(Aminodeoxychorismate lyase(EC 4.1.3.38), Anthranil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4.1.3.27), Anthranilate synthase; aminase component(EC 4.1.3.27), Para-aminobenzo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2.6.1.85))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전체 유전자의 유해성 검사를 수행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16S rRNA 염기서열이 공시균주인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DSM10702T와 99%의 상동성을 가지며, 양 균주 간 1%의 상이성이 인정되어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수득된 신규한 균주를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로 명명하고, 2016년 02월 1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수탁번호 KCTC 12975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건강한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배양된 상기 신규 균주를 병원성 미생물들이 도말된 플레이트에 처리하였을 때 뚜렷한 저해 환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에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ACC 10097),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KCTC 2929),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rica, KACC 10763),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KCTC1926), 및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에(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의 당 대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사용해 균주를 배양한 후 균주의 성장여부를 관찰한 결과, 셀로비오스(Cellobiose), 에스쿨린(Aesculin), 락토오스(Lactose), 말토오스(Maltose), 리보오스(Ribose), 살리신(Salicin), 및 수크로오스(Sucrose) 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신규 균주에 있어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나타내는 관련 유전자 서열을 규명하기 위해 상기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전체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과 관련된 천연 항생물질 생성에 관여할 수 있는 유전자들 즉, Aminodeoxychorismate lyase(EC 4.1.3.38), Anthranil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4.1.3.27), Anthranilate synthase; aminase component(EC 4.1.3.27), Para-aminobenzo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2.6.1.85))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으며, 전체 유전자의 유해성 검사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이에, 본 발명의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가축, 및 다양한 동물의 정장용 미생물 제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물은 균주를 배양한 보통 한천배지(또는 영양 한천배지; Nutrient agar)배지, TSA(tryptic soy agar) 배지, 표준한천배지(Standard Methods Agar; Plate Count Agar), 유당배지(lactose Broth), BGlB 배지(Brilliant Green lactose Bile Broth), 2배 농도 BGlB 배지, Endo 한천배지(Endo Agar), EMB 한천배지(Eosin methylene blue agar), 보통 배지(또는 영양 배지; Nutrient Broth), 데스옥시콜레이트 유당 한천배지(Desoxycholate lactose Agar) 또는 EC 배지(EC Broth)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장용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건조분말 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 제제는,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계면활성제, 중량제, 영양제등의 부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며, 붕해제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 탈크(talc), 다이아라이트(dialite), 카올린(kaolin) 및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정장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를 배양한 후, 배양액에 탈지유(skim milk)를 최종농도 5-10%가 되도록 첨가한 뒤, -60℃ 내지 -80℃에서 동결건조시키고 분말화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결건조 시 보존제로서 탈지유를 첨가해준 결과, 보존제 무처리 시료와 비교하여 50% 이상의 생존율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는바, 미생물 제제의 생존 활성이 우수하여 친환경 미생물 제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 Clostridium butyricum ) KNU -L09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1. 균주 분리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 검증
경상북도 영주시 일대 양돈 농가의 분변을 채취하여 분변 시료 1 g을 Saline(0.85% NaCl)에 희석한 후,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TSB(Tryptic Soy Broth), 및 YPD(Yeast extract Peptone Dextrose)가 포함된 아가(agar) 배지에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방법에 따라 분변 시료로부터 배양된 균주들을 대상으로, 정장제로 사용 가능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대치배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된 균주들은 병원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ACC 10097),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KCTC 2929),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rica, KACC 10763),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KCTC1926), 및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에(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3813)가 도말된 플레이트에 옮겨 저해 환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뚜렷한 저해 환이 형성된 균주를 발견하였으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종류의 병원성 미생물 모두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Test microorganisms Inhibition
B. cereus, KACC 10097
S. choleraesuis, KCTC 2929
S. enterica, KACC 10763
S. typhimurium, KCTC 1928
S. agalactiae, ATCC 13813
1-2. 분리 균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1을 통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길항능이 확인된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균체로부터 유전체 DNA(genomic DNA)를 추출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다용도 프라이머(universial primer)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통해 16S rRNA 부분을 증폭시켰다. 이때 사용된 다용도 프라이머는 각각 27F(5'-AGAGTTTGATCCTGGCTCAG-3') 및 1492R(5'-GGTTACCTTGTTACGACTT-3')을 사용하였다. 증폭된 DNA 산물은 PCR 정제 시스템(Solgent, Daejon, Korea)을 이용하여 정제한 후 염기서열 분석(sequencing)을 위해 솔젠트사(Solgent, Daejon, Korea)에 의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도 2의 16S rRNA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BLASTN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염기서열의 상동성 및 계통발생학적 모식도(phylogenetic tree)는 Bioedit와 Mega5 프로그램을 통해 인접결합방법(neighbor-joining method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된 균주는 기존에 보고된 공시균주인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DSM10702T와 99%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공시균주와 1%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어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종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임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상기 분리 균주를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균주를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2975BP).
실시예 2. 균주의 당 대사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분리된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의 당 대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유효성분들을 사용하여 상기 균주를 30℃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주의 성장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신규 균주는 셀로비오스(Cellobiose), 에스쿨린(Aesculin), 락토오스(Lactose), 말토오스(Maltose), 리보오스(Ribose), 살리신(Salicin), 및 수크로오스(Sucrose)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효성분 결과
Cellobiose +
Aesculin +
Lactose +
Maltose +
Ribose +
Salicin +
Starch -
Sucrose +
Trehalose -
실시예 3. 신규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분리된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균주를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배양액을 25℃, 7,000 rpm 조건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만을 회수한 후 멸균 생리식염수로 1회 세척하고, 동일한 식염수를 기존 배양액의 12.5배가 되도록 첨가하여 균체를 현탁하였다. 또한, 동결건조 시 균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존제로써 탈지유(skim milk)를 첨가하였으며, 상기 현탁액 8 ㎖에 최종농도 7%가 되도록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균체 용액을 -70℃에서 완전히 동결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3일 동안 동결건조 과정을 실시하였다. 동결건조가 완료된 시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일하게 분쇄하였으며, 균체의 생존율을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kim milk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동결건조 전과 비교하여 생존 균체가 거의 없는 반면, skim milk를 첨가한 경우 동결건조 후에도 50% 이상의 균주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제를 냉장보관 하였을 때 30일 동안 생존 활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가 친환경 축산 미생물 제제로써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4. 신규 균주의 정장작용 관련 유전자 서열 규명 및 유전자 서열의 유해성 검사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분리한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에 있어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나타내는 관련 유전자 서열을 규명하기 위해, 상기 균주로부터 유전체 DNA를 추출한 후 PacBio SMRT sequencing 장비를 이용하여 균주의 전체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작용에 관여할 수 있는 Aminodeoxychorismate lyase(EC 4.1.3.38), Anthranil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4.1.3.27), Anthranilate synthase; aminase component(EC 4.1.3.27), Para-aminobenzoate synthase; amidotransferase component(EC 2.6.1.85)의 유전자 염기서열(서열번호 2 내지 5)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나아가, 상기 신규 균주의 유전자 염기서열의 유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한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4152개 유전자 중 toxin-like gene이 2개 발견되었으나 hypothetical gene으로 인간 및 가축에 무해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2975BP
수탁일자 : 20160211
<110>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Novle Clostridium butyricum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use thereof <130> MP15-192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97 <212> DNA <213> Clostridium butyricum KNU-L09 16S rRNA <400> 1 ctaagattaa actttttatt gagagtttga tcctggctca ggacgaacgc tggcggcgtg 60 cttaacacat gcaagtcgag cgatgaaact ccttcgggag tggattagcg gcggacgggt 120 gagtaacacg tgggtaacct gcctcataga ggggaatagc ctttcgaaag gaagattaat 180 accgcataag attgtagtac cgcatggtac agcaattaaa ggagtaatcc gctatgagat 240 ggacccgcgt cgcattagct agttggtgag gtaacggctc accaaggcga cgatgcgtag 300 ccgacctgag agggtgatcg gccacattgg gactgagaca cggcccagac tcctacggga 360 ggcagcagtg gggaatattg cacaatgggg gaaaccctga tgcagcaacg ccgcgtgagt 420 gatgacggtc ttcggattgt aaagctctgt ctttagggac gataatgacg gtacctaagg 480 aggaagccac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tgg caagcgttgt 540 ccggatttac tgggcgtaaa gggagcgtag gtggatgttt aagtgggatg tgaaataccc 600 gggcttaacc tgggtgctgc attccaaact ggatatctag agtgcaggag aggaaaggag 660 aattcctagt gtagcggtga aatgcgtaga gattaggaag aataccagtg gcgaaggcgc 720 ctttctggac tgtaactgac actgaggctc gaaagcgtgg ggagcaaaca ggattagata 780 ccctggtagt ccacgccgta aacgatgaat actaggtgta ggggttgtca tgacctctgt 840 gccgccgcta acgcattaag tattccgcct ggggagtacg gtcgcaagat taaaactcaa 900 aggaattgac gggggcccgc acaagcagcg gagcatgtgg tttaattcga agcaacgcga 960 agaaccttac ctagacttga catctcctga attactctgt aatggaggaa gctacttcgg 1020 tggcaggaag acaggtggtg catggttgtc gtcagctcgt gtcgtgagat gttgggttaa 1080 gtcccgcaac gagcgcaacc cttattgtta gttgctacca tttagttgag cactctagcg 1140 agactgcccg ggttaaccgg gaggaaggtg gggatgacgt caaatcatca tgccccttat 1200 gtctagggct acacacgtgc tacaatggtc ggtacaatga gatgcaacct cgcgagagtg 1260 agcaaaacta taaaaccgat ctcagttcgg attgtaggct gaaactcgcc tacatgaagc 1320 tggagttgct agtaatcgcg aatcagaatg tcgcggtgaa tacgttcccg ggccttgtac 1380 acaccgcccg tcacaccatg agagttggca atacccaaag ttcgtgagct aaccgcaagg 1440 aggcagcgac ctaaggtagg gtcagcgatt ggggtgaagt cgtaacaagg tagccgt 1497 <210> 2 <211> 726 <212> DNA <213> Aminodeoxychorismate lyase <400> 2 atggacatta tattcgatga aggatattca tttggattag gaatatttga aacaatatca 60 gttgtagaca atcatcttgt tctattggat tatcacttag atagacttag tgaaggttca 120 aattttttgg gaataaattt aaatgttaca aaagaaaaaa tacaggatta tataacaaat 180 aatccaatgg aaaatggtgt gctaaaaata atagcttcag aaaaaaatac aatatttcaa 240 tgcagagaaa ataattatac tgatgataag tataaaaaag ggtttacaat aaaaataagt 300 tctgttgtga gaaatgaaag ttctccgttt acttatataa aatctttgaa ttatggtgat 360 aatatcatag aaaaaagaaa ggcagcaaaa aaaggttatg atgaacccgt ctttttaaac 420 atgaaaggtc agttgactga aggagcaaca actaatatat tttttgttaa taacaatcaa 480 attgttacac ctaaattatc ctgtgggctt cttaatggaa caataagaaa atatattctt 540 gataagtatg atgttgtaga aaaatatatt tatccatacg aagtaagtac tttcgatgag 600 atgtttgtaa caaattcgct tatgggtata atgccggttt ataaatttga agagcatatt 660 tttaaatcga gaaaaaaatc tgattatatt ttaagtgaat atttaaaaac aaagacttgc 720 ttataa 726 <210> 3 <211> 585 <212> DNA <213> Anthranilate synthase_amidotransferase component <400> 3 atgatacttt taattgataa ttatgattca ttcacatata acctttatca gtatattggg 60 gaatttgcag aagttaaggt tgtgagaaat gatgaaataa ccattgatga aataatagaa 120 ttaaatccaa aaggaatagt gatttcacca ggtccaggta ctccagatga tgctggaatt 180 tcaatagatg tagtgcagaa gcttggagct agatatccta tacttggaat atgccttgga 240 catcagagta ttgcacaagc ttatggtgga aagataatac gtgcagacga aatataccat 300 ggaaagactt ccaaaatatc tgtaaagggt aaattaatat ttgaaggaat tccaaggaag 360 atggatatta tgagatatca ttctttaata gtagataata tgtcacttcc agaatgtctt 420 gatgttatag gatctacagt agatgacaat attataatgg cagtgaaaca taaagaacat 480 gatgtttatg gacttcaatt tcatccagaa tcaatttata cacctaaagg aaagcatata 540 ataagcaatt ttgttattaa tatctgtaaa gaagaacaga agtaa 585 <210> 4 <211> 1392 <212> DNA <213> Anthranilate synthase_aminase component <400> 4 atgataaata tttctaaaga tcagtttaat gaaaaaagaa aagaaaataa ggttttttca 60 ttaataacag aatatagagg tgatgaagtt acacccataa gaatttttaa tggatttaag 120 ggaagaagaa aattcatttt tgaaagtgga agtacagaaa attattttgg acgatactca 180 tacttaggtg aaaatccata taaggaaatt ttgggagaaa gtatagatga tattgatgaa 240 ctaaaaaaat caataagatt agattttgac gaaagtacaa atgatttttc ttttaaaggc 300 ggagctatag gatatatggg atatgaaaca atttgtttgt atgaaaaaag acttaaattt 360 aataatccag atatacttga cttaccttta ataagattta atttatacag cagatatata 420 tgctatgacc actttactca caaggtattt gtcattgata acatattaaa tgatgaccct 480 agggaatatg aaagcatagt tgaaaatcaa agagaatata tattttcact gttaagcaga 540 cctactaata tagaagaatt tgaagaaaag aaagatgtcc attttgaatt gtgcacctca 600 aaagaaaaat atgaagaaaa tgtacgtata ggaaaagaac atattcttgc aggtgatatt 660 tttcagtttg ttccatctct aaggatgaaa tgtataacac aaaaatcctt cgttgaaatt 720 tatagaagac ttagagaagt taatccatcc ccatacatgt atttaattga ttatgatgat 780 tatcaagtta taggagcatc accagaaagt gttgtaagtg ttaaaaatgg gagagcatct 840 acaaagccta ttgcaggtac aagaaaaaga ggcgaaactc aggaggaaga ttcagctctt 900 gaaaaagaac ttcttcagga taaaaaagaa cttgcagaac atgttatgct tgttgatctt 960 gcaagaaatg atatagggcg aataagtgaa attggaactg ttgaagtaaa agactttatg 1020 aaaattgaaa agttttctca cgtaatgcat attacaagta cagttacagg aaagacatta 1080 caaaatatag acggttttga agcattaagt acatgccttc cagcaggaac tttatcagga 1140 gctcctaaaa taagagcaat ggaaataatt gaagaattag aagaatatag acgtgatatt 1200 tatggagggt cagttgggta tttctcctat ggaggagata cagatatggc aatagcaata 1260 agaacaatag taatgaaagg caatactgca tatcttcaag caggtgcagg tgttgttttt 1320 gattctgtcc cagaaaagga atttgaagag gttcagaata aattaatggc attaaaggag 1380 gctttaagat ga 1392 <210> 5 <211> 735 <212> DNA <213> Para-aminobenzoate synthase_amidotransferase component <400> 5 atgaagccgg taatagggat tacatcatat ataagaaaag acgtatttag aaactattca 60 caagttggat atgagtatat agaaaaaatc gaaaaagcaa atggtatacc tatgattttg 120 ccagtgcttc agaaatatga tgatcaagaa cttaataaac ttatagattg tgtaaatgga 180 attatattta ctggaggatg taacgtagaa tcacaatggt atggagaaaa acctttagga 240 gaggaaacaa aagaagatgt tttacgtaat ggatttgaaa gggatttatt tttagcagca 300 aagaagaaga aaaaacctat acttggtgta tgcagagggt gtcagctcat taatgtaatg 360 cagggaggaa ctctagtaca gaatattgat agtcagctta atactgctgt atatcataaa 420 ggaactggtt gcagaataag tgagaaactt catagagttg tattagcaga agattcacgt 480 cttaaaaatg catataatga acaggaagtt ccagtcaatt cttttcatga gcaatgtatt 540 aaacaaattg gaacagatct tagaattaca gctaaatgtt gtgaggatgg tgtaattgaa 600 ggtgttgaat atgaagggga cttttatatg gcaggagttc agtggcatcc agaaggaatg 660 gaagaccaac ttaagctttt tgaagagttt gtggatatat gcttaaaaaa tagtgatgaa 720 ttggcattga aataa 735

Claims (7)

  1.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병원성 미생물 길항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 살모넬라 엔테리카(Salmonella entrica),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스트렙토코쿠스 아갈락티에(Streptococcus agalactia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5. 제1항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용 미생물 제제.
  6. 제5항의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정장용 조성물.
  7. 제1항의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KNU-L09 균주(수탁번호 KCTC 12975BP)를 배양한 후, 배양액에 탈지유(skim milk)를 최종농도 5-10%가 되도록 첨가한 뒤, -60℃ 내지 -80℃에서 동결건조시키고 분말화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KR1020160021791A 2016-02-24 2016-02-24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187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91A KR101873629B1 (ko) 2016-02-24 2016-02-24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791A KR101873629B1 (ko) 2016-02-24 2016-02-24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61A true KR20170099561A (ko) 2017-09-01
KR101873629B1 KR101873629B1 (ko) 2018-07-02

Family

ID=599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791A KR101873629B1 (ko) 2016-02-24 2016-02-24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629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ostridium butyricum strain JKY6D1 chromosome 1, complete sequence, GenBank: CP013352.1, 2015.12.10. *
GenBank: CP013352.1, 2015.12.10. *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000, vol. 49, pp. 635-6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629B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560B2 (en) Antibiotic sensitive Bacillus strains having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E. coli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nd having high sporulation capacity
Guo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from grass carp (Ctenopharynodon idellus) for use as probiotic additives in aquatic feed
Allameh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s a new probiotic from intestine of snakehead fish (Channa striatus)
Liu et al. First description of a novel Weissella species as an opportunistic pathogen for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in China
Sorroza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probiotic strain Vagococcus fluvialis in the protection of European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against vibriosis by Vibrio anguillarum
KR101473058B1 (ko)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scamilla-Montes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suitable for mollusk larvae cultures
Ilango et al.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nd microencapsul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koozh
Medina et al. In vitro assessment of some probiotic propertie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Yersinia ruckeri of bacteria isolated from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Lee et al. Screening of lactobacilli derived from chicken feces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12 as animal probiotics
Halami et al.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ogenic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wl and fish intestines and mushroom
KR100962179B1 (ko)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신규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에이취와이 25101 및 이를 함유하는사료첨가제
KR102003822B1 (ko) 반려동물의 모질을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유산균과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질 개선을 위한 동물 사료용 첨가제 및 동물 사료 조성물
KR101431250B1 (ko) 병원성 미생물의 항균활성을 가진 신규한 유산균과 유기물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용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US8603460B2 (en) Method of making a Lactobacillus reuteri with increased acid tolerance
KR101873629B1 (ko)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능을 가지는 신규한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190103061A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r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avanya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the soil samples of the coastal areas of (Gudur division, Nellore Dt.) for utilization in Shrimp farming
KR100825500B1 (ko) 경구 운반체의 개발을 위한 돼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용도
Totewad et al.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 producing Enterococcus gallinarum N3 from intestine of freshwater fish Cyprinus carpio
HM et al. Exploring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probiotics) isolated from raw cow’s milk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causing bovine mastitis
PL241510B1 (pl) Nowy szczep Lactobacillus plantarum AMT14 i kompozycja zawierająca szczep Lactobacillus plantarum AMT14
Mudroňová et al. Selection of probiotic lactobacilli designed for the prevention of American foulbrood
Vaidya et al. Evaluation of bacteriocin purified from potent lysinibacillussphaericus mk788143 isolated from infant faecal
Samuel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dairy products against selected pathog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