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312A -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312A
KR20170099312A KR1020160021524A KR20160021524A KR20170099312A KR 20170099312 A KR20170099312 A KR 20170099312A KR 1020160021524 A KR1020160021524 A KR 1020160021524A KR 20160021524 A KR20160021524 A KR 20160021524A KR 20170099312 A KR20170099312 A KR 20170099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atite
base member
air
mask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075B1 (ko
Inventor
김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세라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세라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세라믹스
Priority to KR102016002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0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덮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아파타이트가 수용된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을 포함한다.
개시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의하면,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베이스 부재, 덮개 부재 및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마스크 용도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외기 흡입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Apatite air filter for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 코 등을 함께 막아, 미세먼지, 중금속 등 외부 이물질이 호홉 중에 사용자의 입, 코 등을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의 그 것이다.
마스크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공기 필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에 의하면, 중금속 등이 제거되기 위해서는 고가의 필터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일회용 또는 수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려지는 마스크의 특성 상 고가의 필터 적용이 쉽지 아니하였고, 그에 따라 중금속 등의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280762호, 등록일자: 2002.06.24., 고안의 명칭: 마스크용 필터구조 등록특허 제 10-0900755호, 등록일자: 2009.05.27., 발명의 명칭: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외기 흡입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덮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아파타이트가 수용된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의하면,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베이스 부재, 덮개 부재 및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마스크 용도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외기 흡입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마스크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베이스 부재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 상에 아파타이트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 상에 놓인 아파타이트 상에 덮개 부재가 덮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와 덮개 부재가 아파타이트를 사이에 두고 융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가 아파타이트 용액에 침지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 상에 아파타이트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아파타이트가 놓인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 상태에서 가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가 사용자 얼굴 쪽으로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사용자 얼굴 쪽에서 토출 공기가 외부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가 마스크 형태로 형성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베이스 부재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 상에 아파타이트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 상에 놓인 아파타이트 상에 덮개 부재가 덮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와 덮개 부재가 아파타이트를 사이에 두고 융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는 베이스 부재(110)와, 덮개 부재(120)와, 아파타이트 필터링층(130)을 포함한다.
도면 번호 50은 귀걸이로서,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를 마스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것으로, 면 등으로 이루어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것으로, 면 등으로 이루어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1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아파타이트(132)가 수용된 것이다.
여기서, 아파타이트(132)란 인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물질로, 인체의 뼈나 치아의 65% 정도를 차지하는 물질이고, 미세먼지 내의 중금속 등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갱이 형태의 복수 개의 상기 아파타이트(132)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가 서로 융착되어 결합된다.
상세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평평하게 펼쳐져 놓인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 상에 알갱이 형태의 상기 아파타이트(132)가 분사 등의 방식에 의해 복수 개 나열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부재(120)가 덮인다. 그런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의 양 측에서 고주파, 초음파 등으로 격자 형태로 열융착시켜 주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덮개 부재(120)에서 열융착된 부분(111, 121)이 서로 접하면서 붙게 되어, 상기 아파타이트(132)가 서로 뭉치지 않게 하는 격벽 역할을 한다. 그러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 전체적으로 상기 아파타이트(132)가 분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130)은 상기 아파타이트(132) 이외에 키토산 등 항균 성분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가 베이스 부재(110), 덮개 부재(120) 및 아파타이트 필터링층(13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100)가 마스크 용도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외기 흡입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가 아파타이트 용액에 침지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타파이트 필터링층(230)이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는 부직포 등으로, 내부에 기공이 많은 형태로 이루어져서, 아파타이트(232)가 상기 기공에 함유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파타이트(232)가 함유된 용액(233)에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가 침지되어, 상기 아파타이트(232)가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에 함유됨으로써,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230)이 형성된다.
상기 아파타이트(232)가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의 기공 표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아파타이트(232)가 함유된 용액(233)에는 접착 물질이 녹아 있을 수 있다.
상기 아파타이트(232)가 함유된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231)의 양 단에 베이스 부재(210)와 덮개 부재(220)가 접착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200)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 중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 상에 아파타이트가 놓인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아파타이트가 놓인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 상태에서 가압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파타이트 필터링층(330)이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를 더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 상에 아파타이트(332)가 분사 등의 방식에 의해 나열된 상태에서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다.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는 부직포 등으로 제시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형성된 기공 내에 상기 아파타이트(332)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 상태로,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가 서로 조밀해짐으로써,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3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0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가 놓이는 가압 틀이고, 도면 번호 20은 유압 등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가압 틀(10)에 놓인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를 눌러줄 수 있는 누름체이다.
상기 누름체(20)는 반복적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를 반복적으로 복수 번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인 누름체(20) 방식 이외에도, 공기 또는 액체를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 상에 분사하여 주어, 그 공기압 또는 수압에 의해 반복적으로 두들겨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 번 접힌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331)가 반복적으로 두들겨짐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300)가 조밀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300)에 함유된 상기 아파타이트(332)도 조밀해질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이 베이스 부재(410)와 덮개 부재(4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이격체(440)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체(440)의 양 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 부재(410)와 상기 덮개 부재(420)와 맞닿아, 상기 베이스 부재(410)와 상기 덮개 부재(4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체(440)의 몸체(441)에는 아파타이트(432) 수용을 위한 복수 개의 관통 홀(442)이 형성된다.
상기 각 관통 홀(442)에서 상기 덮개 부재(420) 측의 개구가 상기 베이스 부재(410) 측의 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각 관통 홀(442)의 마주보는 내벽면(443)은 상기 덮개 부재(420)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410)로 갈수록 서로 근접되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넓은 상기 덮개 부재(420) 측의 개구를 통해 외기가 도입되어, 그 외기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의 상기 각 관통 홀(442)을 통해 유동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 베이스 부재(410) 측의 개구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410) 측의 개구 쪽에 모여있던 상기 아파타이트(432)를 경유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이격체(440)의 각 몸체(441)는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대한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외부에서 외부 공기가 사용자 얼굴 쪽으로 인입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의 사용자 얼굴 쪽에서 토출 공기가 외부로 인출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격체(540)를 포함하는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은 상기된 제 4 실시예에서의 이격체(440)를 포함하는 아파타이트 필터링층과 아래 기술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상기된 제 4 실시예에서의 이격체(440)를 포함하는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에 대한 내용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체(540)의 내부, 상세히는 상기 이격체(540)를 구성하는 각 몸체(541)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510) 측에서 인입되는 공기, 즉 사용자가 입, 코 등을 통해 내뿜은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는 인입 공기 유동 홀(545)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입, 코 등을 통해 날숨으로 내뿜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545)은 상기 각 몸체(541)의 사다리꼴 단면 형태처럼 상기 베이스 부재(510) 쪽의 개구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격체(540)의 상기 각 몸체(541)의 경사진 각 내벽면(543)에는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545)을 통해 유동된 공기가 상기 이격체(540)의 관통 홀(542) 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545)과 연통 형성된 인입 공기 토출 홀(54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각 인입 공기 토출 홀(546)의 주변부 중 상기 덮개 부재(520) 측 부분을 덮을 수 있게 상기 이격체(540)의 상기 각 내벽면(543)에서 토출 홀 역류 방지 처마(544)가 각각 돌출된다. 그러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510) 측에서 인입된 공기, 즉 사용자가 날숨으로 내뿜은 공기는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545)을 통해 토출되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부재(520) 측에서 인입되는 공기, 즉 외부에서 사용자의 입, 코 등으로 들숨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 홀 역류 방지 처마(544)에 의해 막혀,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546) 내부로 인입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510) 측에서 인입된 공기, 즉 사용자가 날숨으로 내뿜은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545) 외에도 상기 아파타이트(532)를 경유하여 상기 관통 홀(542)을 통해 직접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덮개 부재(520) 측에서 인입되는 공기가 아파타이트(532)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546)을 통해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베이스 부재(510) 측에서 인입된 공기는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545)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546)을 통해 토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날숨이 보다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외기 흡입 과정에서 외기와 함께 사용자의 인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110 : 베이스 부재
120 : 덮개 부재
130 : 아파타이트 필터링층

Claims (6)

  1.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이격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덮개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아파타이트가 수용된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파타이트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가 서로 융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파타이트가 함유된 용액에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가 침지되어, 상기 아파타이트가 상기 아파타이트 함유용 몸체에 함유됨으로써,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하게 펼쳐진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 상에 상기 아파타이트가 나열된 상태에서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가 서로 겹쳐지게 복수 번 접힌 상태로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아파타이트 지지 몸체가 서로 조밀해짐으로써,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파타이트 필터링층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이격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체의 양 단은 각각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와 맞닿아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이격체에는 상기 아파타이트 수용을 위한 복수 개의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각 관통 홀에서 상기 덮개 부재 측의 개구가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의 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각 관통 홀의 마주보는 내벽면은 상기 덮개 부재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로 갈수록 서로 근접되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체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서 인입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는 인입 공기 유동 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체의 경사진 상기 내벽면에는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유동된 공기가 상기 관통 홀 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입 공기 유동 홀과 연통 형성된 인입 공기 토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 측에서 인입된 공기는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을 통해 토출되되 상기 덮개 부재 측에서 인입되는 공기는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을 통해 인입되지 않도록, 상기 인입 공기 토출 홀의 주변부 중 상기 덮개 부재 측 부분을 덮을 수 있게 상기 이격체의 경사진 상기 내벽면에서 토출 홀 역류 방지 처마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KR1020160021524A 2016-02-23 2016-02-23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KR101862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524A KR101862075B1 (ko) 2016-02-23 2016-02-23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524A KR101862075B1 (ko) 2016-02-23 2016-02-23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12A true KR20170099312A (ko) 2017-08-31
KR101862075B1 KR101862075B1 (ko) 2018-05-29

Family

ID=5976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524A KR101862075B1 (ko) 2016-02-23 2016-02-23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0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4794A (ko) * 2019-09-23 2021-03-31 손충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4690A (ja) 2004-02-12 2005-08-25 Japan Communications 株式会社 フィルタ、清潔用品及び衛生用品
JP2008272375A (ja) * 2007-05-07 2008-11-13 Just Knit:Kk 衛生用マ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703A (ko) * 2018-03-02 2019-09-11 김한주 주름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4794A (ko) * 2019-09-23 2021-03-31 손충현 정전기를 이용한 먼지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075B1 (ko) 201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1070B (en) Personal inhalation filter
CN106659257B (zh) 包括对比层的呼吸器
KR20100118447A (ko) 마스크용 커버체
CN105492084B (zh) 具有与过滤结构一体形成的刚性构件的过滤式面罩呼吸器
KR101782696B1 (ko) 자석필터 구비 마스크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2026892B1 (ko) 코수용공간 및 교체식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안면마스크
KR101862075B1 (ko) 마스크용 아파타이트 공기 필터
WO2016042623A1 (ja) 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ーバッグ及び通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KR101611952B1 (ko) 방진마스크 구조형성의 제조방법
KR20200008642A (ko) 필터구간의 이송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1956637B1 (ko) 위생 마스크 제조방법
KR20190064753A (ko) 마스크
JP2002301152A (ja) 鼻マスク
KR101867157B1 (ko) 방진마스크
CN106307709A (zh) 防雾霾口罩
KR101476916B1 (ko) 코 마스크
JP2018524487A (ja) マスク構造
KR100884820B1 (ko) 코 마스크
JP2010119755A (ja) 鼻腔装着具
JP2023510567A (ja) マスクと取り外し可能な殺性金属または殺性金属合金インサート
CN206604030U (zh) 折叠收缩式空气净化口罩
KR101816637B1 (ko) 마스크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102280710B1 (ko) 세척할 수 있는 복수의 필터로 구성된 습식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