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916B1 -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916B1
KR101476916B1 KR20130082854A KR20130082854A KR101476916B1 KR 101476916 B1 KR101476916 B1 KR 101476916B1 KR 20130082854 A KR20130082854 A KR 20130082854A KR 20130082854 A KR20130082854 A KR 20130082854A KR 101476916 B1 KR101476916 B1 KR 10147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dy
mask
outside
outer side
na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성
Original Assignee
윤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성 filed Critical 윤주성
Priority to KR2013008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61M15/085Fix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여과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공삽입관을 테이퍼 형태로 하고 연질 코팅부를 형성하여 비공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쿨맥스층을 설치하여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며, 비공삽입관에 탈착가능한 항균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외측부와 내측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부와 내측부의 가장자리가 밀봉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이분하도록 설치되어 마스크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들어온 유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여과부재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에 통공 설치되는 한쌍의 비공삽입관과, 상기한 마스크 본체를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코 마스크{Mask}
이 발명은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여과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공삽입관을 테이퍼 형태로 하고 연질 코팅부를 형성하여 비공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쿨맥스층을 설치하여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며, 비공삽입관에 탈착가능한 항균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세균, 먼지, 황사, 꽃가루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코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 마스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코 마스크에 관한 기술로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대화나 간단한 음식물의 섭취가 가능하고, 흡입공기의 여과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부피를 작게하여 인중위에 가볍게 착용할 수 있어 착용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고, 입체적으로 형성된 공기여과부 내부의 여과된 공기만을 흡입 할 수 있으며, 방향제 또는 호흡기 치료제 등과 같은 기능성 제재를 흐흡과 함께 흡입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00654호(등록일자: 2002년 12월 28일)의 "비공 삽입식 방진 마스크"에서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코 마스크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여과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공삽입관을 테이퍼 형태로 하고 연질 코팅부를 형성하여 비공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쿨맥스층을 설치하여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며, 비공삽입관에 탈착가능한 항균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외측부와 내측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부와 내측부의 가장자리가 밀봉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이분하도록 설치되어 마스크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들어온 유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여과부재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에 통공 설치되는 한쌍의 비공삽입관과, 상기한 마스크 본체를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의 외부면에는 연질 코팅부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은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양단의 반경이 서로 다른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필터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필터용 홈을 이용하여 교체가능한 항균필터가 추가로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와 내측부의 내부면에 쿨맥스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의 외부에 제거가능한 제2 외측부와 제2 여과부재가 추가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여과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지지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기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공삽입관을 테이퍼 형태로 하여 비공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마스크 본체의 내부에 쿨맥스층을 설치하여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며, 비공삽입관에 탈착가능한 항균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구성은, 외측부(1a)와 내측부(1b)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부(1a)와 내측부(1b)의 가장자리가 봉제선(11)으로 밀봉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마스크 본체(1)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1)의 내부 공간을 이분하도록 설치되어 마스크 본체(1)를 지지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1)의 내부로 들어온 유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여과부재(2)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1)의 내측부에 통공 설치되는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과, 상기한 마스크 본체(1)를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4a, 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마스크 본체(1)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부직포로서, 건식 부직포 또는 습식 부직포를 사용한다.
상기한 여과부재(2)로서는 스폰지를 사용하며, 건식 스폰지 또는 습식 스폰지를 사용한다.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은 마스크 본체(1)의 내측부(1b)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양단의 반경이 서로 다른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밴드(4a, 4b)는 탄성재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있다고 여겨지는 장소에서, 사용자는 코 마스크를 꺼내어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을 비공에 삽입한 후, 밴드(4a, 4b)를 귀에 걸음으로써 코 마스크를 착용한다.
사용자가 코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호흡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비강은 비공삽입관(3a, 3b)을 통하여 마스크 본체(1)의 내부 공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마스크 본체(1)의 내부 공간은 봉제선(11)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마치 풍선처럼 내부 공간이 마스크 본체(1)의 외부와 차단된다.
마스크 본체(1)의 외부의 공기는 마스크 본체(1)의 외측부(1a)와 내측부(1b)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유해 물질이 걸러져서 마스크 본체(1)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1)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은, 마스크 본체(1)의 지지기능을 겸하고 있는 여과부재(2)에 의해 집진됨으로써 2차적으로 제거된다. 상기한 여과부재(2)의 밀도에 따라 공기 흡입정도가 결정된다.
상기한 여과부재(2)에 의해 2차적으로 유해물질이 걸러져서 청정해진 공기는 비공삽입관(3a, 3b)을 통하여 사용자의 비강으로 흡입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게 된다.
도 4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점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1)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의 외부면에는 연질 코팅부(34)가 추가로 형성된다.
2)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에 복수의 필터용 홈(31, 32, 3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필터용 홈(31, 32, 33)을 이용하여 항균 필터(41, 42, 43)가 추가로 설치된다.
3) 상기한 마스크 본체(1)의 외측부(1a)와 내측부(1b)의 내부면에 쿨맥스층(12)이 추가로 형성되어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한다.
4) 상기한 마스크 본체(1)의 외측부(1a)의 위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외측부(1a'), 제2 쿨맥스층(12'), 제2 여과부재(2')가 추가로 형성되어 장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쿨맥스층(12, 12')은 천연 소재인 면보다 흡수 발산력이 높은 폴리에스터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흡습 속건성 소재로서, 원사를 뽑아 낼때 4개의 움푹한 채널을 만들어 일반 실에 비해 넓은 표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4채널 구조에서 일어나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신속한 수분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있다고 여겨지는 장소에서, 사용자는 코 마스크를 꺼내어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을 비공에 삽입한 후, 밴드(4a, 4b)를 귀에 걸음으로써 코 마스크를 착용한다.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3a, 3b)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질 코팅부(34)는 마스크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사용자가 코 마스크를 착용한 후에 호흡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비강은 비공삽입관(3a, 3b)을 통하여 마스크 본체(1)의 내부 공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마스크 본체(1)의 내부 공간은 봉제선(11)에 의해 밀봉되어 있으므로, 마치 풍선처럼 내부 공간이 마스크 본체(1)의 외부와 차단된다.
마스크 본체(1)의 외부의 공기는 마스크 본체(1)의 제2 외측부(1a') 및 외측부(1a), 내측부(1b)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유해 물질이 걸러져서 마스크 본체(1)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본체(1)의 내부로 들어온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은, 마스크 본체(1)의 지지기능을 겸하고 있는 제2 여과부재(2') 및 여과부재(2)에 의해 집진됨으로써 2차적으로 제거된다. 상기한 제2 여과부재(2') 및 여과부재(2)의 밀도에 따라 공기 흡입정도가 결정되며, 상기한 제2 여과부재(2') 및 여과부재(2)의 밀도는 각각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제2 여과부재(2') 및 여과부재(2)에 의해 2차적으로 유해물질이 걸러져서 청정해진 공기는 비공삽입관(3a, 3b)의 항균 필터(41, 42, 43)를 거치면서 세균의 침입이 방지되면서 사용자의 비강으로 흡입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게 된다.
코 마스크를 사용하는 도중에, 제2 외측부(1a')가 오염물질로 더러워지게 되면 전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제2 외측부(1a'), 제2 쿨맥스층(12'), 제2 여과부재(2')를 제거하고난 나머지를 다시 사용하면 되는데, 나머지가 코 마스크의 기능을 동일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깨끗한 외관을 유지하고 있는 외측부(1a)로 인하여 재사용할 수가 있어서 코 마스크를 상대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항균 필터(41, 42, 43)는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항상 항균 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내뿜는 호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제2 쿨맥스층(12') 및 쿨맥스층(12)에 의해 흡수되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코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축축해지는 듯한 불쾌한 기분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1 : 마스크 2 : 스펀지
3a, 3b : 비공삽입관 41, 42, 43 : 항균 필터

Claims (5)

  1. 외측부와 내측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부와 내측부의 가장자리가 밀봉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유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마스크 본체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부 공간을 이분하도록 설치되어 마스크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들어온 유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여과부재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에 통공 설치되는 한쌍의 비공삽입관과,
    상기한 마스크 본체를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은 마스크 본체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반경이 작아짐으로써 양단의 반경이 서로 다른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필터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한 필터용 홈을 이용하여 교체가능한 항균필터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쌍의 비공삽입관의 외부면에는 연질 코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와 내측부의 내부면에 쿨맥스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신속한 수분의 흡수와 배출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외측부의 외부에 제거가능한 제2 외측부와 제2 여과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마스크.
KR20130082854A 2013-07-15 2013-07-15 코 마스크 KR10147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854A KR101476916B1 (ko) 2013-07-15 2013-07-15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2854A KR101476916B1 (ko) 2013-07-15 2013-07-15 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916B1 true KR101476916B1 (ko) 2014-12-26

Family

ID=5268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2854A KR101476916B1 (ko) 2013-07-15 2013-07-15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7242A (zh) * 2016-02-04 2016-05-25 陈坚 一种空气净化口罩
WO2021042421A1 (zh) * 2019-09-06 2021-03-11 深圳奥郎格环保有限公司 鼻罩
WO2022162675A1 (en) 2021-01-31 2022-08-04 Sion Biotext Medical Ltd. Filtration element and use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478A (ja) * 1995-05-08 1996-11-19 Takeshi Shimizu 鼻孔マスク
KR20040097868A (ko) * 2003-05-13 2004-11-18 벤텍스 주식회사 필터 교환이 가능한 다기능 방독 휴대마스크
KR200389362Y1 (ko) * 2005-04-04 2005-07-14 이건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KR20070042720A (ko)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방진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9478A (ja) * 1995-05-08 1996-11-19 Takeshi Shimizu 鼻孔マスク
KR20040097868A (ko) * 2003-05-13 2004-11-18 벤텍스 주식회사 필터 교환이 가능한 다기능 방독 휴대마스크
KR200389362Y1 (ko) * 2005-04-04 2005-07-14 이건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KR20070042720A (ko)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방진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7242A (zh) * 2016-02-04 2016-05-25 陈坚 一种空气净化口罩
WO2021042421A1 (zh) * 2019-09-06 2021-03-11 深圳奥郎格环保有限公司 鼻罩
WO2022162675A1 (en) 2021-01-31 2022-08-04 Sion Biotext Medical Ltd. Filtration element and uses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568B1 (ko)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CN204393421U (zh) 一种新型医用口罩
KR101455070B1 (ko) 탈착 가능한 마스크 패드가 구비된 두건
JPWO2003097168A1 (ja) 鼻マスク
KR20110137291A (ko) 가습 안면 마스크
KR102026892B1 (ko) 코수용공간 및 교체식 필터카트리지를 갖는 안면마스크
JP2009247735A (ja) 防塵マスク
CN103169174B (zh) 立体防尘过滤罩
KR20150146350A (ko) 마스크
KR101476916B1 (ko) 코 마스크
KR101856620B1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20190120716A (ko) 기능성마스크 제조방법 및 그 마스크
KR20160094153A (ko) 필터 마스크
CN106690512A (zh) 加湿立体吸湿抗菌过滤加厚口罩
KR102065578B1 (ko) 이필름 필터를 구비한 마스크
CN106360842B (zh) 一种具有实用性强的防雾霾口罩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KR200187062Y1 (ko) 흡습/방진/방취 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CN102462899A (zh) 一种鼻罩
TWM580438U (zh) Mask with filter
KR102540576B1 (ko) 다공성 흡배기 튜브 끈이 구비된 위생 마스크
CN214677700U (zh) 一种医用高阻隔防尘口罩
RU180271U1 (ru) Назальный фильтр
CN215537898U (zh) 一种高透气性的紧贴式杯型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