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45A -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45A
KR20170098545A KR1020160020592A KR20160020592A KR20170098545A KR 20170098545 A KR20170098545 A KR 20170098545A KR 1020160020592 A KR1020160020592 A KR 1020160020592A KR 20160020592 A KR20160020592 A KR 20160020592A KR 20170098545 A KR20170098545 A KR 2017009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version
temperature
valve
conversion apparatus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545A/ko
Priority to ES16198592T priority patent/ES2873356T3/es
Priority to EP16198592.4A priority patent/EP3208556B1/en
Priority to US15/357,304 priority patent/US10426065B2/en
Priority to JP2016226565A priority patent/JP6279058B2/ja
Priority to CN201611045551.5A priority patent/CN107124089B/zh
Publication of KR2017009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25B4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using Joule-Thompson effect; using vortex effect
    • F25B9/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using Joule-Thompson effect; using vortex effect using vortex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45Thermal management, e.g. inverte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바탕으로 저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및 제 2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로 저온 공기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로 밸브 개방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다.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Cooling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텍스 튜브를 적용하여 냉각 장치가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모터 구동용 인버터, 태양광 인버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EES: Electrical energy storage) 등의 장치는 전력변환장치로서 구동 시 열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전력변환장치가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장치의 성능 저하, 수명 감소, 동작 정지 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장치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력변환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냉각장치가 마련되며, 냉각장치는 송풍식과 수냉식으로 구분된다.
이때, 송풍식은 전력변환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팬(Fan)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방열시키는 방법으로서, 강제 공랭식 냉각기법이라고도 하며, 팬을 구동하여 냉각핀 사이로 공기를 순환시켜 전력변환장치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기법이다.
이때, 기존의 송풍식 냉각장치는 상황에 따라 냉각 효율의 저하, 분진으로 인한 아크(arc)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설치 환경에 제약을 받는다.
또한, 기존의 송풍식 냉각장치는 팬의 구동 시간 및 환경에 따른 교체 주기가 발생하며, 이때 팬의 교체 시 발생하는 인버터 연결 제품군을 정지 및 교체에 따른 관리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송풍식 냉각장치는 대기 중에 개방되어 있어 방폭 성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송풍식 냉각장치는 적정 냉각을 위한 개수의 냉각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냉각핀의 무게, 부피의 한계로 인한 전력변환장치의 소형화, 경량화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텍스 튜브를 적용하여 냉각 장치가 안정적으로 전력변환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는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바탕으로 저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및 제 2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로 저온 공기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로 밸브 개방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는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압축기; 상기 다수의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바탕으로 저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보텍스 튜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및 제 2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보텍스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로 저온 공기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로 개방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압축기, 보텍스 튜브 및 밸브는 동일한 개수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제 1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밸브들 및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제 2 온도에 의해 제어되는 제2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를 기 설정된 제 1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밸브들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밸브들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를 기 설정된 제 2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들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들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온도 센서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보텍스 튜브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 1 보텍스 튜브들 및 상기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보텍스 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팬리스(fanless)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팬을 교체하는 데 소요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보텍스 튜브의 반영구적 내구성능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를 밀폐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방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방폭 성능 또한 확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낮아 냉각 핀의 부피 및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를 밀폐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팬리스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음 성능이 향상되어 저소음 전력변환장치의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에 적용되는 열교환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100, 이하 '냉각 장치’)는 전력변환장치(110), 온도 센서(120), 압축기(130), 제 1 밸브(140), 제 2 밸브(150), 제 1 보텍스 튜브(160), 제 2 보텍스 튜브(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장치(1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력변환장치(110)는 전력의 형태를 사용하는 곳에 따라 전류, 전압, 주파수 등을 변환해주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모터 구동용 인버터, 태양광 인버터,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컨버터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변환장치(110)는 케이스(111) 내에 설치되는 냉각 핀(112),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1)는 밀폐형으로 형성된다.
즉, 종래의 전력변환장치는 팬을 포함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방형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110)는 밀폐형으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 핀(112)이 상기 전력변환장치(110) 내 가장 아래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가 냉각 핀(112)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수개의 전력변환용 반도체(113)가 전력변환장치(110) 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전력변환장치(110)에 포함되는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20)는 전력변환장치(110) 내에 설치되어, 전력변환장치(110)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120)는 전력변환장치(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 센서(121)와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온도 센서(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센서(121)는 케이스(111)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온도 센서(121)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케이스(111)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1)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122)는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에 설치되어, 전력 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30)는 압축 공기를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압축 공기의 온도 및 압력에 따라 보텍스 튜브(150)로부터 발생되는 저온 공기 및 고온 공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3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 및 압력은 냉각 장치(100)의 용도,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기(130)는 압축 공기를 발생하는 펌프와 펌프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압력 탱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밸브(140)는 압축기(130)와 제 1 보텍스 튜브(160)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개방 혹은 폐쇄되어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 1 밸브(14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어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1 보텍스 튜브(16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되어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1 보텍스 튜브(16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130)와 제 1 보텍스 튜브(160)는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밸브(140)는 배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밸브(150)는 압축기(130)와 제 2 보텍스 튜브(170)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개방 혹은 폐쇄되어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 2 밸브(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어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2 보텍스 튜브(170)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폐쇄되어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2 보텍스 튜브(17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압축기(130)와 제 2 보텍스 튜브(170)는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밸브(150)는 배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는 Ranque-Hilsch vortex tube라고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압축기(13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분리하여 고온 공기와 저온 공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 및 설계 제반사항은 사용 목적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보텍스 튜브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부터 발생된 저온 공기는 전력변환장치(110) 내부로 공급되어 전력변환장치(110)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160)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케이스(111)의 온도를 낮추기에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170)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의 온도를 낮추기에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160)는 제 1 보텍스 튜브(160)로부터 발생된 저온 공기가 직접적으로 케이스(111)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170)는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12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한 온도를 바탕으로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온도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 설정된 제 1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1 보텍스 튜브(16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온도 센서(122)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 설정된 제 2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제 2 보텍스 튜브(17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설정 온도는 적용 시스템,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 1 설정 온도는 80℃ ~ 100℃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고, 제 2 설정 온도는 100℃ ~ 120℃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보텍스 튜브(160, 170)에 의해 공급되는 저온 공기의 유량은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온도 센서(12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보다 높다고 판단되어 밸브(140, 150)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경우 밸브(140, 150)의 열림 정도를 제어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초과하는 정도에 따른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정도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10℃ 초과하는 경우의 유량, 11℃~20℃ 초과하는 경우의 유량을 미리 설정해 두고, 제어부(180)는 설정된 유량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밸브(140, 15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보텍스 튜브(16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 1 밸브(140)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보텍스 튜브(17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 2 밸브(150)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는 제어부(160)의 밸브 개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개방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를 거쳐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 공급된다.
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온도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제 1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 1 보텍스 튜브(16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온도 센서(122)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면(제 2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 2 보텍스 튜브(17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보텍스 튜브(16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 1 밸브(140)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제 2 보텍스 튜브(170)를 이용하여 전력변환장치(110)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 2 밸브(150)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는 제어부(180)의 밸브 폐쇄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폐쇄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130)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가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에 의해 차단되어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 공급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도 1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113)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핀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배관형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핀형 열교환기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용 반도체 소자(113)위에는 열교환기(210)가 형성되어 있고, 열교환기(210)는 전력변화장치의 케이스(111)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210))가 핀형 열 교환기인 경우, 상기 열 교환기(210)는 밀폐형 케이스(111), 그리고 밀폐형 케이스(111) 내에 교대로 적층되는 기둥(212)과 원판(2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열 교환기(21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밀폐형 케이스(111) 내의 하단에 기둥(212)이 마련되고, 그 위에 원판(214)이 마련되며, 다시 원판(214)에 기둥(212)이 마련되는 적층 구조로 열 교환기(210)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폐형 케이스(111)는 열전달 효율이 낮고, 단열 효과가 큰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212)은 다수 개일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유동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하여, 열이 전력 반도체 소자(113)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밀폐형 케이스(111)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밀폐형 케이스(111) 내측면에 혹은 내측면에 인접하게 유동 가이드(21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가이드(216)는 밀폐형 케이스(111) 내로 공급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마련되며, 최외곽에 위치하는 기둥(212)과 밀폐형 케이스(1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배관형 열교환기(310)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 교환기(310)가 배관형 열 교환기인 경우, 상기 열 교환기(310)는 공기의 유동 길이를 늘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열 교환을 이루는 방식으로서, 열 교환 효과가 좋으나, 유동 관(312)의 길이가 늘어날수록, 유동 관(312)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유동 저항이 커져 보텍스 튜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열 교환기(310) 내에 설치되는 유동 관(312)의 길이와 직경을 당업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유동 관(312)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열 교환기(310)는 S자관형 열 교환기 또는 나선형 열 교환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열교환기를 도시하였다.
이때, S자관형보다 달팽이관형인 경우에 열교환기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하는 효과가 높으나, 유동 저항이 커져 효율은 낮아질 수 있으므로, 유동 관(312)의 길이와 직경은 보텍스 튜브의 성능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보텍스 튜브가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보텍스 튜브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텍스 튜브는 케이스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그룹과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에 설치되는 제 2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압축기에 다수의 보텍스 튜브가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압축기 또한 보텍스 튜브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기와 보텍스 튜브는 1:1로 대응되도록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각 배관에는 동일한 수의 밸브가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1 온도 센서(121)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제 1 온도) 및 제 2 온도 센서(122)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제 2 온도)를 수신하고(S200), 수신된 제 1 온도를 제 1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 수신된 제 2 온도를 제 2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10).
만약, 단계 S210에 따른 판단 결과, 제 1 온도는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나, 제 2 온도는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제 2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밸브(140)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제 2 밸브(150)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한다(S220).
이에 따라, 제 1 밸브(140)가 개방되어 압축 공기가 제 1 보텍스 튜브(160)로 공급되고, 제 1 보텍스 튜브(160)가 저온 공기를 전력변환장치(110) 내로 공급한다(S260). 특히, 단계 S260에 따라 공급되는 저온 공기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케이스(111) 측으로 공급된다.
만약, 단계 S210에 따른 판단 결과, 제 1 온도는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으나(제 1 설정 온도 이하이나), 제 2 온도는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밸브(140)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하고, 제 2 밸브(150)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한다(S230).
이에 따라, 제 2 밸브(150)가 개방되어 압축 공기가 제 2 보텍스 튜브(170)로 공급되고, 제 2 보텍스 튜브(170)가 저온 공기를 전력변환장치(110) 내로 공급한다(S270). 특히, 단계 S270에 따라 공급되는 저온 공기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 측으로 공급된다.
만약, 단계 S210에 따른 판단 결과, 제 1 온도가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고, 제 2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한다(S240).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가 개방되어 압축 공기가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 공급되고,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가 저온 공기를 전력변환장치(110) 내로 공급한다(S280). 특히, 단계 S280에 따라 제공되는 저온 공기는 전력변환장치(110)의 케이스(111) 및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113) 측으로 공급된다.
만약, 단계 S210에 따른 판단 결과, 제 1 및 제 2 온도 모두 제 1 및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제 1 및 제 2 설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한다(S250).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밸브(140, 150)가 폐쇄되어 압축 공기가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고,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160, 170)가 저온 공기를 전력변환장치(110) 내로 공급하는 것이 차단된다(S29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팬리스(fanless)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팬을 교체하는 데 소요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보텍스 튜브의 반영구적 내구성능으로 유지보수 비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를 밀폐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방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방폭 성능 또한 확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낮아 냉각 핀의 부피 및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전력변환장치의 부피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를 밀폐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팬리스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음 성능이 향상되어 저소음 전력변환장치의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의 구성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110 : 전력변환장치
111 : 케이스 112 : 냉각 핀
113 :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 120 : 온도 센서
121 : 제 1 온도 센서 122 : 제 2 온도 센서
130 : 압축기 140 : 제 1 밸브
150 : 제 2 밸브 160 : 제 1 보텍스 튜브
170 : 제 2 보텍스 튜브 180 : 제어부

Claims (7)

  1.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바탕으로 저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및 제 2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보텍스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로 저온 공기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로 밸브 개방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2.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압축기;
    상기 다수의 압축기로부터 제공되는 압축 공기를 바탕으로 저온 공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보텍스 튜브;
    상기 압축기와 상기 보텍스 튜브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
    전력변환장치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및 제 2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보텍스 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변환장치 내로 저온 공기 공급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밸브로 개방신호 또는 폐쇄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압축기, 보텍스 튜브 및 밸브는 동일한 개수가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를 기 설정된 제 1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1 밸브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밸브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온도를 기 설정된 제 2 설정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로 밸브 개방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설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로 밸브 폐쇄신호를 전송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온도 센서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에 설치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텍스 튜브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보텍스 튜브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텍스 튜브는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케이스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 1 보텍스 튜브들 및 상기 상기 전력변환장치의 전력변환용 반도체 소자 측으로 저온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제 2 보텍스 튜브들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KR1020160020592A 2016-02-22 2016-02-22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KR20170098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92A KR20170098545A (ko) 2016-02-22 2016-02-22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ES16198592T ES2873356T3 (es) 2016-02-22 2016-11-14 Aparato de refrigeración para un convertidor de energía
EP16198592.4A EP3208556B1 (en) 2016-02-22 2016-11-14 Cooling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US15/357,304 US10426065B2 (en) 2016-02-22 2016-11-21 Cooling apparatus for power converter
JP2016226565A JP6279058B2 (ja) 2016-02-22 2016-11-22 電力変換装置用冷却装置
CN201611045551.5A CN107124089B (zh) 2016-02-22 2016-11-24 用于电力转换器的冷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92A KR20170098545A (ko) 2016-02-22 2016-02-22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45A true KR20170098545A (ko) 2017-08-30

Family

ID=5734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92A KR20170098545A (ko) 2016-02-22 2016-02-22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26065B2 (ko)
EP (1) EP3208556B1 (ko)
JP (1) JP6279058B2 (ko)
KR (1) KR20170098545A (ko)
CN (1) CN107124089B (ko)
ES (1) ES287335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2707B (zh) * 2017-12-29 2021-03-02 北汽(常州)汽车有限公司 一种纯电动车空调系统下电控制方法
US10856448B1 (en) * 2018-11-19 2020-12-01 Facebook, Inc. Compressed air cooling
US10854532B1 (en) 2019-04-08 2020-12-01 Facebook, Inc. Compressed air and lattice structure cooling
CN110530047B (zh) * 2019-07-17 2020-10-27 西安交通大学 一种双涡流管辅助的跨临界co2系统及其控制方法
FR3128181A1 (fr) * 2021-10-15 2023-04-21 Alstom Transport Technologies Système de refroidissement d’équipement(s) électrique(s) embarqué(s) à bord d’un véhicule
CN117663543B (zh) * 2023-11-09 2024-05-17 宏源地能热泵科技(中山)有限公司 一种热泵控制方法及空气源系统、装置、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768A (en) * 1970-06-16 1972-04-11 Vortec Corp Vortex tube cooling system
JPH08316673A (ja) * 1995-05-17 1996-11-29 Fujitsu Ltd 冷却構造
US6108206A (en) * 1999-06-21 2000-08-22 General Electric Company Semiconductor thermal protection arrangement
KR100461313B1 (ko) 2002-11-28 2004-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방장치
KR100726461B1 (ko) 2005-12-21 2007-06-11 조소곤 보텍스 튜브를 이용한 모터 냉각 장치
JP4769117B2 (ja) 2006-04-20 2011-09-07 虹技株式会社 ボルテックスチューブにおける温度、風量制御装置。
KR100765983B1 (ko) 2006-06-22 2007-10-11 김영훈 반도체 또는 lcd 생산장비용 냉각장치
US7751188B1 (en) * 2007-06-29 2010-07-06 Em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oling of components in a data storage system
US8402773B2 (en) * 2008-03-21 2013-03-26 Illinois Tool Works Two-stage cooling system
US8186174B2 (en) * 2009-03-03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n electronic device cabinet
JP3160814U (ja) 2010-04-26 2010-07-08 株式会社Miyasa 冷却装置
JP5813300B2 (ja) * 2010-08-23 2015-11-17 三桜工業株式会社 冷却装置
KR101200513B1 (ko) * 2010-12-02 2012-11-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출입문 결빙 방지장치
KR20130079763A (ko)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냉각장치 및 그 운영방법
CN102795076B (zh) * 2012-09-06 2014-12-10 上海中科深江电动车辆有限公司 车载储能系统的冷却装置
JP2014117121A (ja) 2012-12-12 2014-06-26 Toshiba Corp 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並びに鉄道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73356T3 (es) 2021-11-03
EP3208556B1 (en) 2021-03-31
JP6279058B2 (ja) 2018-02-14
US20170241676A1 (en) 2017-08-24
CN107124089B (zh) 2020-06-16
JP2017153340A (ja) 2017-08-31
US10426065B2 (en) 2019-09-24
EP3208556A1 (en) 2017-08-23
CN107124089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8545A (ko)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장치
US9250023B2 (en) Explosion-proof enclosures with active thermal management by heat exchange
EP3849294A1 (en) Cooling-heat dissipating case and heat dissipation control method
US11038222B2 (en) Power storage device
EP1641067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JP6416174B2 (ja) 2次元配列電力変換装置用冷却システム
CN114929000A (zh) 一种WBG和Si器件混合的电源水冷系统及其控制策略
CN104238596A (zh) 电子设备工作温度调节系统及开关电源装置
CN108336447B (zh) 一种电池模组热管理结构
KR20170097417A (ko)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시스템
CN211556073U (zh) 一种电池控温装置
CN210865779U (zh) 一种变压器冷却装置
KR101651455B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차량의 냉난방장치
KR20170092869A (ko) 보텍스 튜브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1086339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입변압기 냉각장치
CN220732162U (zh) 电气设备及储能系统
KR20140146438A (ko) 열 교환 모듈
CN219286051U (zh) 一种ssd固态硬盘稳定性测试装置
KR20170092864A (ko) 전력변환장치용 냉각 시스템
CN117039269B (zh) 一种储能系统及其温控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6780023A (zh) 一种储能设备的换热装置及换热方法
TW201347658A (zh) 用於冷卻電信器件之方法及裝置
CN113823862A (zh) 热管理系统和机器人
CN112433550A (zh) 一种冷却液缓存箱、热电温控设备及方法
CN113654266A (zh) 一种具有双循环半导体温度调节装置的自组网制冷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