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25A - 교반 및 탈포 장치 - Google Patents

교반 및 탈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25A
KR20170098525A KR1020160020545A KR20160020545A KR20170098525A KR 20170098525 A KR20170098525 A KR 20170098525A KR 1020160020545 A KR1020160020545 A KR 1020160020545A KR 20160020545 A KR20160020545 A KR 20160020545A KR 20170098525 A KR20170098525 A KR 2017009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ontainer
air flow
tub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208B1 (ko
Inventor
이건의
Original Assignee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엠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2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9/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using rotary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F15/00993
    • B01F3/10
    • B01F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29B7/845Venting, degassing or removing evaporated components in devices with rotary stirrers
    • B01F2215/005
    • B01F2215/00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를 자전 및 공전시키면서 교반과 동시에 탈포를 진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어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 유동관이 형성된 공전축, 상기 공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전 수단,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공전축에 고정된 회전 프레임, 시료를 수용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전 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동관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볼텍스 튜브, 상기 공기 유동관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반 및 탈포 장치{APPARATUS FOR STIRRING AND DEFOAMING}
본 발명은 교반 및 탈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시료를 자전 및 공전시키면서 교반과 동시에 탈포를 진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료, 에폭시 수지, 그리스, 코팅용액 또는 실런트와 같은 유동체는 내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탈포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코팅용액이나 실런트(sealant)는 서로 다른 성분의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고점도 유동체로서, 각 성분들이 골고루 분산되도록 교반하여야 하는데, 교반 과정에서는 기포가 혼입되기 쉽다. 기포가 함유된 코팅용액이나 실런트는 최종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므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포(Defoaming)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은 교반 및 탈포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교반 및 탈포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85161호에 개시된 것이다.
이 종래기술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에서 시료는 교반통(351)에 수용되는데, 교반통(351)은 공전축(280)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동시에 자전회전축(340)을 중심으로 자전을 한다. 이 과정에서 교반통(351)은 진공호스(362)를 통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시료의 탈포가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 교반통(351)은 공전 및 자전을 하지만 진공호스(362) 및 이에 연결될 진공흡입기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교반통(351)의 공전과 자전 운동이 고스란히 진공호스(362)에 대한 비틀림, 굽힘 응력을 유발시켜, 진공호스가 탈락 또는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진공호스(362)가 교반통(3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므로, 교반 및 탈포 장치 전체의 높이가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교반 과정에서 시료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로 인해 시료가 열변성되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KR20-0385161 Y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료를 수용한 용기 내부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관로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하고 공전 및 자전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음으로서 사용수명을 향상시킨 교반 및 탈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료를 냉각시킴으로써 시료의 열변성을 억제할 수 있는 교반 및 탈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보어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 유동관이 형성된 공전축, 상기 공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전 수단,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공전축에 고정된 회전 프레임, 시료를 수용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전 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동관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볼텍스 튜브, 상기 공기 유동관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전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공전용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고정된 제1 풀리, 상기 공전축에 고정된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 걸쳐진 공전용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전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자전용 모터, 상기 자전용 모터의 회전자에 고정된 제3 풀리, 상기 공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풀리,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1 자전용 벨트, 상기 공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반대편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5 풀리, 상기 제4 풀리와 제5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2 자전용 벨트, 상기 제5 풀리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6 풀리, 상기 컨테이너의 둘레에 형성된 제7 풀리, 상기 제6 풀리와 제7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3 자전용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전축의 공기 유동관은,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볼텍스 튜브로 연결되고, 타단이 진공흡입기 및 공기압축기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유동관의 일단과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로터리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과 상기 공기압축기 또는 상기 진공흡입기 사이에 배치된 로터리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은 그 직경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공전축에는 상기 공기 유동관으로부터 상기 공전축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반경방향 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에 상응하는 위치에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로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전축의 공기 유동관은 2개의 관체로서 제1 관체와 제2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체의 일단은 상기 컨테이너로 연결되고 타단은 진공흡입기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은 상기 볼텍스 튜브로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압축기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컨테이너를 둘러싸되, 상기 볼텍스 튜브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전축에 공기 유동관을 구비하고, 시료의 탈포를 위한 공기 흡입기는 이 공기 유동관을 통해 컨테이너로 연결되므로 진공 흡입을 위한 관로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가 공전축과 함께 공전하므로 진공 흡입을 위한 관로가 적어도 공전에 의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텍스 튜브가 컨테이너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므로, 시료의 열변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런 효과는 케이싱을 통해 더욱 강화된다. 아울러, 볼텍스 튜브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이 공전축의 공기 유동관을 통해 이루어지며 볼텍스 튜브가 공전축과 함께 회전하므로, 공기 유동관과 볼텍스 튜브 사이의 관로에 상대적인 이동이 없으므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고정 프레임(110)은 이후에 설명될 회전 프레임(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으로써, 공전축(120), 공전용 모터(50), 자전용 모터(60)와 같은 다른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고정 프레임(110)은 대략 평평한 판재 형상의 수평부(111)와 중공 원기둥 형상의 보어부(112)로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형태는 바뀔 수 있다.
보어부(112)의 중공, 즉 보어에는 공전축(120)이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공전축(120)은 중공 원기둥 형상인데, 그 내부의 중공은 공전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 유동관(122)이 된다.
공전축(120)을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공전 수단이 구비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공전 수단은 공전용 모터(50), 제1 풀리(51), 제2 풀리(121), 공전용 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공전용 모터(50)는 전기 모터로서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공전용 모터(50)의 회전자에는 제1 풀리(51)가 고정되며, 공전축(120)에는 제2 풀리(121)가 고정되고, 공전용 벨트(도시 생략)가 제1 풀리(51)와 제2 풀리(121) 사이에 걸쳐서 공전용 모터(50)로부터의 회전동력을 공전축(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전 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통상의 수단, 예컨대 기어, 체인, 마찰차 등의 다른 구성으로 대체할 수 있다.
회전 프레임(13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프레임으로써, 컨테이너(240) 등의 다른 구성을 지지하며, 공전축(120)에 결합되어 공전축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 프레임(130)은 공전축(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프레임(110)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프레임(130)은 고정 프레임(110)의 경우와 유사하게 평판 형상의 수평부(132)와 중공 원기둥 형상의 보어부(131)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회전 프레임(130)의 보어부(131)는 공전축(12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회전 프레임(130)의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테이너(240)는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회전 프레임(13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시료란 교반 및 탈포의 대상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점성 있는 유체이다. 컨테이너(240)는 시료를 직접 수용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보조 용기에 시료를 수용하고 이 보조 용기를 컨테이너(240)에 탈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효과적인 탈포를 위해서 컨테이너(240)는 외부에 대해 밀봉되도록 조치되어야 하므로, 착탈 가능한 뚜껑(2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관(124)은 뚜껑(250)을 통해 컨테이너(240)에 연결되어 컨테이너(2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컨테이너(240)는 자전축(230)을 통해 회전 프레임(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컨테이너(240)의 자전축(230)은 도면에서 공전축(120)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는데, 이는 공전에 의한 원심력을 고려한 조치이다. 컨테이너(240)의 이와 같은 자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자전 수단이 제공된다. 도 2의 실시예서 자전 수단은 자전용 모터(60), 제3 풀리(61), 제4 풀리(500), 제5 풀리(420), 제6 풀리(410), 제7 풀리(241), 제1 자전용 벨트(도시 생략), 제2 자전용 벨트(도시 생략), 제3 자전용 벨트(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자전용 모터(60)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공전용 모터(50)와 마찬가지로 전기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자전용 모터(60)의 회전자에는 제3 풀리(61)가 고정된다. 공전축(120)에는 제4 풀리(500)가 설치되는데, 제4 풀리(500)는 공전축(12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공전축(12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4 풀리(500)는 상하로 2개의 벨트가 걸쳐질 수 있는 형태로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홈에 제 제1 자전용 벨트가 걸쳐지고 이 제1 자전용 벨트는 제3 풀리(61)로부터 제4 풀리(500)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4 풀리(500)의 상단 홈에는 제2 자전용 벨트가 걸쳐지는데, 이 제2 자전용 벨트는 회전 프레임(13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5 풀리(420)에 걸쳐져 제4 풀리(500)의 회전 동력을 제5 풀리(420)로 전달하게 된다. 제5 풀리(420)는 도 4에서 회전 프레임(130)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6 풀리(410)는 제5 풀리(420)와 동축으로 함께 회전하되, 회전 프레임(1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5 풀리(420)와 제6 풀리(410)는 공전축(120)을 사이에 두고 컨테이너(240)를 바라보도록 회전 프레임(13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컨테이너(240)의 둘레에는 제7 풀리(2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컨테이너(240)와 함께 회전한다. 제6 풀리(410)와 제7 풀리(241) 사이에 제3 자전용 벨트(300)가 걸쳐져 양자 사이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축(230)이 공전축(120)에 대해 기울어진 배치에서 제3 자전용 벨트(300)는, 공전축(120)의 위치에 배치된 보조 풀리(140)를 통해 꺾여져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전 수단의 구성을 통해 컨테이너(240)는 회전 프레임(130)에 대해 자전축(230)을 중심으로 자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130)이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하는 만큼, 컨테이너(240)는 공전축(120)을 중심으로 공전도 할 수 있다. 공전 수단과 마찬가지로, 자전 수단 역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벨트 구동 이외에 체인 구동, 기어 구동 등으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볼텍스 튜브(vortex tube)(600)는 회전 프레임(130)에 고정되는데, 그 냉기를 분사하는 단부가 컨테이너(24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볼텍스 튜브는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일측으로 냉기를, 타측으로 온기를 분사할 수 있는 튜브를 지칭한다. 볼텍스 튜브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은 공전축(120)의 공기 유동관(122)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전축(120)이나 볼텍스 튜브(600)나 모두 회전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므로, 공기 유동관(122)으로부터 볼텍스 튜브(600)에 이르기까지의 공기 유로 상에서 상대적인 이동이 없으므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관(122)의 일단부, 즉 상단부에 간단한 고정 조인트(150)를 설치함으로써 압축공기관(151)을 통해 공기 유동관(122)과 볼텍스 튜브(600)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흡입관(124)은 컨테이너(240)와 공기 유동관(122)을 연결한다. 도 4의 예에서 흡입관(124)은 일단이 공기 유동관(122)의 일단(122c), 즉 상단에 제1 조인트(123)를 통해 연결되며, 컨테이너(240)의 상단에 제2 조인트(125)를 통해 연결된다. 컨테이너(240)는 공전축(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전 운동을 하므로, 제1 조인트(123)와 제2 조인트(125) 중 적어도 하나는 로터리 조인트(rotary joint)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유동관(122)의 타단(122a), 즉 도면 기준 하단은 외부의 공기 압축기 및 진공흡입기에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 압축기를 작동시키면 공기 유동관(122)을 통해 볼텍스 튜브(600)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컨테이너(24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진공흡입기를 작동시키면 공기 유동관(122)을 통해 컨테이너(24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컨테이너에 수용된 시료에 대해 탈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공기 압축기와 진공 흡입기의 각 작동을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공기 유동관(122)으로부터 공기 압축기 및 진공 흡입기 사이의 관로 상에 밸브를 개재할 수 있다.
한편, 교반 및 탈포 과정에서 탈포 및 냉각 효과를 상시적으로 얻기 위해서 공기 압축기로부터 볼텍스 튜브(600)로 이어지는 공압 계통과 진공 흡입기로부터 컨테이너(240)로 이어지는 공압 계통을 별개로 유지해야할 필요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관(122)이 제1 관체(122d)와 제2 관체(122e)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1 관체(122d)는 공기 압축기와 볼텍스 튜브(600)를, 제2 관체(122e)는 진공 흡입기와 컨테이너(240)를 각각 연결하는 데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보다 직경이 큰 제1 관체(122d) 내부에 보다 직경이 작은 제2 관체(122e)가 삽입되어 공기 유동관(122)이 이중관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진 2개의 관체를 병렬적으로 배치하여 공기 유동관(12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 압축기나 진공 흡입기 역시 외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들이므로, 회전하는 공전축(120)과의 연결을 위해 공전축(120)의 하단, 즉 공기 유동관(122)의 타단(122a)에 로터리 조인트로 된 제3 조인트(12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리 조인트를 대체하는 구성도 가능한데, 도 4의 예에서 고정 프레임(110)의 보어부(112)의 내경이 공전축(120)의 외경보다 크게 만들고, 공전축(120)에는 반경방향으로 유동로(122b)를 형성하여 공전축(120) 내부의 공기 유동관(122)과 연통되게 하며, 보어부(112)에는 이 반경방향 유동로(122b)에 상당한 위치에 역시 반경방향으로 관통홀(112a)을 형성한 다음, 이 관통홀(112a)과 공기 압축기 및/또는 진공 흡입기를 연결한다면, 로터리 조인트가 없이도 공기 압축기 및/또는 진공 흡입기를 공기 유동관(122)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텍스 튜브(600)로부터의 냉기가 컨테이너(240)를 냉각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컨테이너(240)를 둘러싸는 케이싱(2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20)은 회전 프레임(130)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볼텍스 튜브(600)의 냉기 분사단이 관통하는 구멍과, 제3 자전용 벨트(300)가 관통하는 구멍을 제외하고는 컨테이너(240)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냉각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케이싱(220)은 조립의 편의를 위해 상부 케이싱(222)과 하부 케이싱(221)으로 나뉘어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그 형태 및 구성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보어가 형성된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 유동관이 형성된 공전축,
    상기 공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전 수단,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공전축에 고정된 회전 프레임,
    시료를 수용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를 회전시키기 위한 자전 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 유동관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컨테이너를 향해 냉기를 분사하는 볼텍스 튜브,
    상기 공기 유동관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된 공전용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고정된 제1 풀리,
    상기 공전축에 고정된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 걸쳐진 공전용 벨트를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자전용 모터,
    상기 자전용 모터의 회전자에 고정된 제3 풀리,
    상기 공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4 풀리,
    상기 제3 풀리와 제4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1 자전용 벨트,
    상기 공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반대편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5 풀리,
    상기 제4 풀리와 제5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2 자전용 벨트,
    상기 제5 풀리와 동축으로 회전하는 제6 풀리,
    상기 컨테이너의 둘레에 형성된 제7 풀리,
    상기 제6 풀리와 제7 풀리 사이에 걸쳐진 제3 자전용 벨트를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축의 공기 유동관은,
    일단이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볼텍스 튜브로 연결되고,
    타단이 진공흡입기 및 공기압축기로 연결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관의 일단과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배치된 로터리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과 상기 공기압축기 또는 상기 진공흡입기 사이에 배치된 로터리 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은 그 직경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공전축에는 상기 공기 유동관으로부터 상기 공전축을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된 반경방향 유동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공기 유동관의 타단에 상응하는 위치에 외부로부터 상기 고정 프레임의 보어로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교반 및 탈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축의 공기 유동관은 2개의 관체로서 제1 관체와 제2 관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체의 일단은 상기 컨테이너로 연결되고 타단은 진공흡입기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은 상기 볼텍스 튜브로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압축기로 연결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컨테이너를 둘러싸되, 상기 볼텍스 튜브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KR1020160020545A 2016-02-22 2016-02-22 교반 및 탈포 장치 KR10184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45A KR101841208B1 (ko) 2016-02-22 2016-02-22 교반 및 탈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45A KR101841208B1 (ko) 2016-02-22 2016-02-22 교반 및 탈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25A true KR20170098525A (ko) 2017-08-30
KR101841208B1 KR101841208B1 (ko) 2018-03-22

Family

ID=5976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45A KR101841208B1 (ko) 2016-02-22 2016-02-22 교반 및 탈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6147A (zh) * 2018-07-13 2018-12-21 安徽昊利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性肥料生产设备
CN113893717A (zh) * 2021-11-17 2022-01-07 连云港荷润化工有限公司 一种白油混合液的密度调合装置及方法
CN117245853A (zh) * 2023-09-04 2023-12-19 苏州市同发塑业有限公司 一种注塑机用输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1425B2 (ja) * 2012-06-04 2015-04-30 三星工業株式会社 攪拌・脱泡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6147A (zh) * 2018-07-13 2018-12-21 安徽昊利肥业有限公司 一种水溶性肥料生产设备
CN113893717A (zh) * 2021-11-17 2022-01-07 连云港荷润化工有限公司 一种白油混合液的密度调合装置及方法
CN113893717B (zh) * 2021-11-17 2022-05-31 连云港荷润化工有限公司 一种白油混合液的密度调合装置及方法
CN117245853A (zh) * 2023-09-04 2023-12-19 苏州市同发塑业有限公司 一种注塑机用输料装置
CN117245853B (zh) * 2023-09-04 2024-04-16 苏州市同发塑业有限公司 一种注塑机用输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208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075B2 (en) Agitation/deaeration device
KR101841208B1 (ko) 교반 및 탈포 장치
KR20070037321A (ko) 스크롤 유체기계
US8562317B2 (en) Scroll expansion machine with air flow passage around outer periphery of sealing surface
EP3119506B1 (en) System, container,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CN206974058U (zh) 一种双锥回转干燥设备
WO2013183554A1 (ja) 攪拌・脱泡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WO2010113410A1 (ja) ロータ駆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ポンプ装置
CN106079092A (zh) 一种卧式双轴搅拌水泥发泡机
JPH11290668A (ja) 攪拌脱泡装置
US9174180B2 (en) Agitator and a method of replacing a shaft seal of an agitator
KR101133192B1 (ko) 특히 탱크 세정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동장치
US4729728A (en) Compressor with improved lubricating system
KR100318347B1 (ko) 동심의흡입관을가진회전식교반기
CN205905200U (zh) 一种卧式双轴搅拌水泥发泡机
CN102282372A (zh) 软管泵
KR100812190B1 (ko) 공기공급식 스크류장치
CN212360130U (zh) 一种蠕动泵
JP2006263728A (ja) 高粘度・非ニュートン流体用竪型攪拌装置
CN108404764A (zh) 一种温度可控式混合机
JP7025965B2 (ja) 撹拌装置の回転軸冷却構造
CN220257972U (zh) 一种反应釜用定量投料装置
US2862451A (en) Centrifugal pump
CN217140183U (zh) 一种气搅拌装置
CN114215787B (zh) 角度可调的隔舌组件及离心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