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93A - Inductor - Google Patents

Indu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493A
KR20170097493A KR1020160019327A KR20160019327A KR20170097493A KR 20170097493 A KR20170097493 A KR 20170097493A KR 1020160019327 A KR1020160019327 A KR 1020160019327A KR 20160019327 A KR20160019327 A KR 20160019327A KR 20170097493 A KR20170097493 A KR 2017009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il
remaining portion
inducto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9961B1 (en
Inventor
최용운
이경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61B1/en
Publication of KR2017009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93A/en
Priority to KR1020220083627A priority patent/KR1025298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61B1/en
Priority to KR1020230057104A priority patent/KR102604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or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substrate and inner coils therein; and an external electrod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inner coils. The inner coils include a first coil patter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ncludes a substrate overlapping portion cover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l pattern and the second coil pattern, and a substrate remaining portion.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includes a substrate inner remaining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most coil among the inner coils and a substrate outer remaining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most coil among the same.

Description

인덕터{INDUCTOR}Inductor {INDUCTOR}

본 발명은 인덕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파워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uctor, for example, to a power inductor.

코일 부품 중 하나인 인덕터(INDUCTOR)는 저항, 커패시터와 더불어 전자회로를 이루어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동소자이다.INDUCTOR, which is one of the coil parts, is a typical passive element that removes noise by forming an electronic circuit together with a resistor and a capacitor.

파워 인덕터의 분야는 크게 페라이트 파우더와 갭(GAP)으로 적용하기 위한 유전체 파우더를 적용하는 적층형 파워 인덕터, Cu코일을 메탈 파우더로 이루어진 본체 내부에 적용하는 권선형 파워 인덕터, 기판 위에 성장시킨 코일을 메탈 파우더로 제작된 시트로 덮어 제작하는 박막형 파워 인덕터로 구분되어 진다. 이들은 각각의 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존재하는데, 적층형은 고전류에는 불리하나 경제적으로 유리하고, 박막형은 고전류 소형 사이즈에 대응이 용이하며, 권선형은 고전류 대용량에 대응이 용이하나. 메탈 파우더를 적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field of power inductors, there are a laminated power inductor that applies a dielectric powder for application to a ferrite powder and a gap (GAP), a coiled power inductor that applies a Cu coil to the inside of a body made of metal powder, And a thin film type power inductor which is covered with a sheet made of powder. They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methods. The stacking type is advantageous for economical advantage, while the stacking type is advantageous for high current. Thin film type is easy to cope with high current and small size, and the winding type is easy to cope with high current capacity. It is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because metal powder is applied.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 또는 고용량화 추세에 맞추어 메탈 파우더의 단가를 낮추는 방향을 모색하면서 파워 인덕터의 주력이 적층형에서 박막형 혹은 권선형으로 이동되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박막형 혹은 권선형 파워 인덕터의 특성 개선이 주요한 이슈이다.Recently, since the main power of the power inductor is shifted from the stacked type to the thin film type or the wound type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the metal powder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r high capacity of the product, the improv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such thin film or wound type power inductor to be.

하기의 특허문헌 1 은 절연 기판의 상하면에 도금으로 내부 코일 패턴을 형성하는 박막형의 인덕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절연 기판의 구체적인 사이즈를 한정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hin film type inductor that forms an inner coil pattern by plating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n insulating substrate, but the specific siz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is not limited.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06721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067214

본 발명은 내부 코일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는 기판의 폭을 한정하여 인덕턴스 및 Isat 특성을 개선하면서, 외관이 우수한 인덕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inductor having excellent appearance while improving inductance and Isat characteristics by limiting the width of a substrate not covered by the inner coil.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덕터는 기판과 내부 코일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내부 코일과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 코일은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과 기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제1 코일 패턴과 제2 코일 패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덮여지는 기판 중첩부과 그 이외의 기판 잔류부를 포함하는데, 이 경우, 상기 기판 잔류부는 내부 코일 중 최내측 코일과 인접한 기판 내잔류부와 최외측 코일과 인접한 기판 외잔류부를 포함한다.An indu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a body including an inner coil therein, and an outer electrod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inner coil. The inner coil includes a first coil patter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The substrate includes a substrate overlap portion covered by at least one of a first coil pattern and a second coil pattern and a remaining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n this case,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ncludes a residual portion in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innermost coil, And an out-substrate residual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most coil.

본 발명은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내부 코일을 사용하더라도 칩 전체의 인덕턴스 값과 Isat 값을 개선할 수 있는 인덕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uctor capable of improving an inductance value and an Isat value of the entire chip even if an internal coil having the same condition is used.

본 발명은 내부 코일의 손상으로 인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인덕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uctor that can prevent reliability degradation due to damage to an inner coil.

도1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덕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3(a)는 기판 잔류부 중 기판 내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3(b)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Isat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4(a)는 기판 잔류부 중 기판 외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4(b)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Isat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Fig. 3 (a) is a graph showing inductance vari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idth of a remaining portion in a substrat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Fig. 3 (b) is a graph showing Isat value according to a change in width of a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FIG. 4A is a graph showing the inductance varia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and FIG. 4B is a graph showing the Isat valu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이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ymbol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덕터를 설명하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induc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인덕터Inductor

도1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덕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2 는 도1 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1 을 참조하면, 인덕터(100)는 바디(1)와 바디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전극(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n inductor 100 includes a body 1 and an external electrode 2 disposed outside the body.

상기 바디(1)는 인덕터의 외형을 결정하며,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재료라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금속계 연자성 재료를 충진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1 determines the external shape of the inductor, an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exhibiting magnetic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body 1 can be formed by filling a ferrite or a metal-based soft magnetic material.

상기 바디(1)는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면 및 하면, 길이(L)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면 및 제2 면, 폭(W)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3면 및 제4 면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body 1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 length T and a top surface and a third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a width W direction, It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our sides.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는 외부전극(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극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니켈(Ni), 구리(Cu), 주석(Sn), 또는 은(Ag)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페이스트일 수 있다. 외부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외부전극의 형상에 따라 프린팅 뿐만 아니라, 디핑(dipping)법 등을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outer electrode 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external electrode may be formed using a paste containing a met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external electrode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nickel (Ni), copper (Cu), tin (Sn) Or the like, and the like. The method of forming the external electrode may be performed by not only printing but also dipp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nal electrode.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내부 코일(11)과 기판(12)이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coil 11 and the substrate 12 may be disposed inside the body.

상기 내부 코일(11)은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11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코일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코일의 자성 코어는 바디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내부 코일 중 제1 코일 패턴, 기판, 및 제2 코일 패턴이 바디의 상면 또는 하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부 코일(11)은 바디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코일 패턴, 기판, 및 제2 코일 패턴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The inner coil 11 includes a first coil pattern 11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The inner coi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il pattern 11b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magnetic core of the inner coil is dispose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first coil pattern,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coil pattern of the inner coil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n this case, the inner coil 11 sequentially includes the first coil pattern,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coil pattern with reference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상기 내부 코일 내 기판(12)은 절연 특성을 가지는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2)은 예를 들어, 전해 도금(electroplating)으로 코일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일 수 있거나,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하는 얇은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oil inner substrate 12 may be an insulating substrate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The substrate 12 may be, for example, a polypropylene glycol (PPG) substrate, or may include an epoxy resin or the like. The substrate 12 may be made of any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coil pattern by electroplating, Or the like.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11a)과 타면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11b)은 각각 바디의 길이 방향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제1 인출부와 바디의 길이 방향의 타면으로 노출되는 제2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il pattern 11a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coil pattern 11b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are expos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lead-out portion.

상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일 패턴은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비아 전극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il patterns dispos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via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상기 기판의 중앙부에는 기판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은 바디를 형성하는 자성재료로 충진되어 코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성재료로 충진되는 코어부를 형성함에 따라 인덕턴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A hole penetrating the substrate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hole may be filled with a magnetic material forming a body to form a core portion. The inductance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core portion filled with the magnetic material.

한편, 상기 기판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코일 패턴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여기서, 대칭적이라는 것은 코일 패턴의 재료, 코일 패턴을 이루는 패턴부의 폭과 두께 등을 포함하는 사이즈, 구체적인 코일 패턴의 형상 등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하여, 바디의 상면에서 볼 때 제1 코일 패턴과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이 보이지 않고, 바디의 하면에서 볼 때 제2 코일 패턴과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coil patterns dispos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Here, the symmetry means that the material of the coil pattern, the size including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pattern portion constituting the coil pattern, and the shape of the specific coil pattern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oil pattern The second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coil pattern is not visible and the first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oil patter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s not visible.

한편, 도2 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2)은 제1 및 제2 코일 패턴 중 하나이상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는 표면 영역을 포함하며, 이를 기판 잔류부(12a)라고 한다. 반대로, 상기 기판(12)은 중 제1 및 제2 코일 패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덮여지는 표면 영역을 포함하며, 이를 기판 중첩부(12b)라고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ubstrate 12 includes a surface region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il patterns, and is referred to as a substrate residual portion 12a. Conversely, the substrate 12 includes a surface region cover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il patterns, which is referred to as a substrate superposition portion 12b.

박막형 파워 인덕터 제품은 구조적으로 기판 위에 내부 코일을 형성시켜 인덕턴스, 직류 저항 등의 특성값을 구현한다. 이 때, 상기 기판 중 코일이 형성되어 고착되어 있는 표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 영역은 제거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기판 중 내부 코일에 의해 덮여지지 않는 기판 잔류부(12a)의 면적을 제어한다. 상기 기판 잔류부(12a)는 기판 내잔류부(121)와 기판 외잔류부(122)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판 내잔류부는 내부 코일의 최내측 코일과 인접하는 것이고, 상기 기판 외잔류부는 내부 코일의 최외측 코일과 인접하는 것이다.Thin-film power inductors form internal coils on the substrate structurally to realize characteristics such as inductance and DC resistance. At this time, the surface area except for the surface area where the coil is formed and fixed in the substrate is to be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rea of the substrate residual part 12a which is not covered by the inner coil in the substrate.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12a includes a remaining portion 121 in the substrate and a remaining portion 122 outside the substrate,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being adjacent to the innermost coil of the inner coil, And the outermost coil of the coil.

도3(a)는 기판 잔류부 중 기판 내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3(b)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Isat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 3 (a) is a graph showing inductance vari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idth of a remaining portion in a substrat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Fig. 3 (b) is a graph showing Isat value according to a change in width of a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도3(a)를 참조하면, 기판 잔류부 중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0㎛ 부터 60㎛까지 변화될 때, 인덕턴스(Ls)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표면 영역 이외에 잔류하는 기판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내부 코일의 내부 유효면적이 감소하면서 인덕턴스 값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3 (a), it can be seen that the inductance Ls decreases whe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in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s changed from 0 탆 to 60 탆. This means that the internal effective area of the inner coil decreases and the inductance value decreases as the area of the remaining substrate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surface area where the inner coil is disposed.

마찬가지로, 도3(b)를 참조하면,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표면 영역 이외에 잔류하는 기판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Isat 특성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Similarly, referring to FIG. 3 (b), it can be seen that as the area of the remaining substrate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surface area where the inner coil is disposed, the Isat characteristic also decreases.

도3(a)와 도3(b)를 종합할 때,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0㎛이상 60㎛이하인 경우, 인덕턴스 값 및 Isat 특성이 크게 저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3 (a) and 3 (b), it can be seen that the inductance value and the Isat characteristic are not largely reduced whe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is 0 탆 or more and 60 탆 or less.

물론, 인덕터의 전기적 성능의 측면에서 보면, 가장 바람직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실시예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0㎛가 되어 실질적으로 최내측 코일의 단부와 기판의 단부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실제 공정상 내부 코일의 손상없이 실현하기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Of course, in terms of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inductor,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 to be implemented is a case in which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becomes 0 mu m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innermost coil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is embodiment is somewhat difficult to realize without damaging the inner coil in the actual process.

따라서, 내부 코일이 고착된 기판에서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않은 기판의 표면 영역을 제거할 때 내부 코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기판을 제거하는 정도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20㎛이상 6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20㎛이상 40㎛이하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인덕턴스 및 Isat 특성의 감소를 작게 하면서 내부 코일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urface area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ner coil is not disposed is removed from the substrate to which the inner coil is fixed, the degree of removal of the substrate without damaging the inner coil is preferably 20 mu m or more and less than 60 mu m Do. More preferably,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may be 20 占 퐉 or more and 40 占 퐉 or less. In this case, damage to the inner coil can be minimized while reducing the decrease of the inductance and Isat characteristics.

다음, 도4(a)는 기판 잔류부 중 기판 외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인덕턴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4(b)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의 변화에 따른 Isat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4 (a)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inductanc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width of the rest of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and FIG. 4 (b) is a graph showing Isat valu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width of the rest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도4(a)를 참조하면, 기판 잔류부 중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0㎛ 부터 60㎛까지 변화될 때, 인덕턴스(Ls)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표면 영역 이외에 잔류하는 기판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내부 코일의 내부 유효면적이 감소하면서 인덕턴스 값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4A, it can be seen that the inductance Ls decreases whe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remaining portion is changed from 0 mu m to 60 mu m. This means that the internal effective area of the inner coil decreases and the inductance value decreases as the area of the remaining substrate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surface area where the inner coil is disposed.

마찬가지로, 도4(b)를 참조하면,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표면 영역 이외에 잔류하는 기판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Isat 특성도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Similarly, referring to FIG. 4 (b), it can be seen that as the area of the remaining substrate increases in addition to the surface area where the inner coil is disposed, the Isat characteristic also decreases.

도4(a)와 도4(b)를 종합할 때,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0㎛이상 60㎛이하인 경우, 인덕턴스 값 및 Isat 특성이 크게 저감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4 (a) and 4 (b), it can be seen that the inductance value and the Isat characteristic are not largely reduced whe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0 탆 or more and 60 탆 or less.

물론, 인덕터의 전기적 성능의 측면에서 보면, 가장 바람직하게 구현하고자 하는 실시예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0㎛가 되어 실질적으로 최내측 코일의 단부와 기판의 단부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이다. 하지만, 이는 실제 공정상 내부 코일의 손상없이 실현하기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Of course, in view of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inducto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to be implemented is a case where the width of the residual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0 占 퐉, so that the end of the innermost coil coincides substantially with the end of the substrat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is is somewhat difficult to realize without damaging the inner coil in the actual process.

따라서, 내부 코일이 고착된 기판에서 내부 코일이 배치되는 않은 표면 영역을 제거할 때 내부 코일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기판을 제거하는 정도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20㎛이상 60㎛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20㎛이상 40㎛이하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인덕턴스 및 Isat 특성의 감소를 작게 하면서 내부 코일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when removing the surface area where the inner coil is not disposed on the substrate to which the inner coil is fixed, it is desirable that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less than 20 mu m and less than 60 mu m to remove the substrate without damaging the inner coil. More preferably, the width of the residual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may be 20 占 퐉 or more and 40 占 퐉 or less. In this case, damage to the inner coil can be minimized while reducing the decrease of the inductance and Isat characteristics.

한편, 도3(b)와 도4(b)를 참조하면, 기판 외잔류부와 기판 내잔류부의 폭을 증가할수록 인덕터의 특성(Ls 및 Isat)이 감소하는데, 기판 외잔류부의 폭이 0㎛부터 40㎛까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잔류 정도에 따른 Isat편차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판 외잔류부가 기판 내잔류부에 비하여 자성 코어가 형성되는 코어부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일 수 있다. 이로부터, 기판 내잔류부의 폭과 기판 외잔류부의 폭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서로 상이하게 할 경우, 코어부의 영향을 민감하게 받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이 영향을 덜 받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에 비하여 더 작게 형성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인덕턴스 값과 Isat 특성의 저감을 방지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3 (b) and FIG. 4 (b), the inductance characteristics (Ls and Isat) decrease as the width of the residual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and the residual portion within the substrate increases. To 40 [mu] m,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Isat deviation according to the residual degree of the substrate. This may be becaus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is less influenced by the core portion in which the magnetic core is formed as compared with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This makes it possible to make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and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equal to each other. Whe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s less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the core portion, It is understood that designing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ductance value and Isat characteristic is a method of preventing reduction of the inductance value and the Isat characteristic.

다음, 하기의 표 1 은 기판 내잔류부 폭과 기판 외잔류부 폭을 서로 동일하게 하면서 그 폭을 변경하여 내부 코일의 손상여부를 측정한 것이다. Next, Table 1 below shows the measurement of the damage of the inner coil by changing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while making the width equal to each other.

기판 내잔류부 폭
(기판 외잔류부 폭과 동일)
Residual width in substrate
(The same as the remaining width of the substrate)
내부 코일 손상 여부Internal coil damage 제품 적용 가능 여부 Applicability of products
-10㎛-10 탆 내부 코일 표면부 손상Damage to inner coil surface 적용 불가능Not applicable 0㎛0 탆 내부 코일 표면부 표면 스크래치(scratch)Internal coil surface Part surface scratch 적용 가능Applicable 10㎛10 탆 내부 코일 손상 없음No internal coil damage 적용 가능Applicable 20㎛20 탆 내부 코일 손상 없음No internal coil damage 적용 가능Applicable

상기 표1 을 참조하면, 기판 내잔류부의 폭 또는 기판 외잔류부의 폭은 0㎛ 이상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폭이 0㎛ 이라서 내부 코일 중 제1 코일 패턴의 하면의 형상이 기판의 상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내부 코일 중 제2 코일 패턴의 상면의 형상이 기판의 하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면 인덕턴스(Ls)나 Isat특성의 감소는 없어 인덕터의 성능은 우수할 수 있으나, 공정상 내부 코일 표면부 표면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표면 스크래치는 제품의 외관이나 전기 특성을 저감시키는 정도에 이르는 영향은 아니다. 표면 스크래치는 내부 코일과 중첩되는 기판 중첩부를 제외한 표면 영역을 제거하기 위하여 CO2 레이져(laser) 드릴(drill)시 발생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or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required to be 0 탆 or more.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il pattern of the inner coils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il pattern of the inner coils differs from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bstantially , There is no decrease in inductance (Ls) and Isat characteristics,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ductor can be excellent.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inner coil surface may occur in the process. However, surface scratches do not affect the appearance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Surface scratches are generated when a CO 2 laser drill is used to remove the surface area except the substrate overlap that overlaps the inner coil.

다음, 하기의 표2 는 기판 내잔류부의 폭과 기판 외잔류부의 폭을 동일하게 하면서 그 폭을 변경하여 Ls 특성, Isat 특성, 내부 코일 손상 여부, 및 제품 적용 가능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표이다.Table 2 below is a table comprehensively evaluating Ls characteristics, Isat characteristics, internal coil damage, and applicability of products by changing the widths of the remaining portions in the substrate an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substrate while changing the widths .

기판 내잔류부 폭
(기판 외잔류부 폭과 동일)
Residual width in substrate
(The same as the remaining width of the substrate)
Ls 특성Ls attribute Isat 특성Isat attribute 내부 코일
손상 여부
Inner coil
Damaged
제품 적용
가능 여부
Product Application
Availability
-10㎛-10 탆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불만족(손상)Dissatisfied (damaged) 적용 불가Not applicable 0㎛0 탆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적용 가능Applicable 20㎛20 탆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적용 가능Applicable 40㎛40 탆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만족satisfied 적용 가능Applicable 60㎛60 탆 불만족dissatisfaction 불만족dissatisfaction 만족satisfied 적용 불가Not applicable

상기 표 2 를 참조하면, 인덕터의 성능 및 외관상 문제가 없는 기판 내잔류부 폭 또는 기판 외잔류부 폭은 0㎛ 이상 6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코일의 표면 스크래치조차 허용하지 않으면서, 인덕터의 성능을 크게 저감시키지 않는 기판 내잔류부 폭 또는 기판 외잔류부 폭은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Tabl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remaining width of the substrate or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which is free from problems in performance and appearance of the inductor, is 0 탆 or more and less than 60 탆. 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or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which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inductor without allowing even the surface scratch of the inner coil is 20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내부 코일을 사용하더라도 칩 전체의 인덕턴스 값과 Isat 값을 개선할 수 있고, 내부 코일의 손상으로 인한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인덕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ductor capable of improving an inductance value and an Isat value of the entire chip even when an internal coil having the same condition is used, and preventing reliability degradation due to damage to the internal coil .

상기의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 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인덕터의 특징과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Except for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indu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her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 예"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일 예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expression "an example" used in this disclosure does not mean the same embodiment but is provided for emphasizing and explaining different unique features. However, the above-mentioned examples do not exclude that they ar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eatures of other examples. For example, although a matter described in a particular example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xample, it may be understood as an explanation related to another example, unless otherwise stated or contradicted by that example in another example.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used only to illustrate an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W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100: 인덕터
1: 바디
11: 내부 코일
11a: 제1 코일 패턴
11b: 제2 코일 패턴
12: 기판
12a: 기판 잔류부
121, 122: 기판 내잔류부, 기판 외잔류부
12b: 기판 중첩부
100: inductor
1: Body
11: inner coil
11a: first coil pattern
11b: second coil pattern
12: substrate
12a: Substrate residual portion
121, 122: Residual portion in the substrate, Residual portion on the substrate
12b: substrate overlap portion

Claims (10)

기판과 내부 코일을 내부에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코일과 연결되는 외부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코일은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과 기판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제1 코일 패턴 및 제2 코일 패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덮여지는 기판 중첩부와 그 이외의 기판 잔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기판 잔류부는 내부 코일 중 최내측 코일과 인접한 기판 내잔류부와 최외측 코일과 인접한 기판 외잔류부를 포함하는,
인덕터.
A body including a substrate and an inner coil therein; And
An outer electrod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inner coil; / RTI >
Wherein the inner coil includes a first coil patter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substrate includes a substrate overlap portion covered by at least one of a first coil pattern and a second coil pattern and a remaining substrate remaining portion, and a substrat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includes a residual portion in the substrate adjacent to the innermost coil And an out-substrate residual portion adjacent the outermost coil,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잔류부의 폭은 0㎛ 이상 60㎛ 미만인,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is in a range of 0 占 퐉 to less than 60 占 퐉,
Indu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잔류부의 폭은 20㎛ 이상 40㎛ 이하인,
인덕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is 20 占 퐉 or more and 40 占 퐉 or less,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외잔류부의 폭은 0㎛ 이상 60㎛ 미만인,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in a range of 0 탆 to 60 탆,
Indu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외잔류부의 폭은 20㎛이상 40㎛ 이하인,
인덕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s 20 占 퐉 or more and 40 占 퐉 or less,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잔류부의 폭과 상기 기판 외잔류부의 폭은 동일한,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and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substrate are the same,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잔류부의 폭은 상기 기판 외잔류부의 폭보다 더 작은,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in the substr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maining portion outside the substrate,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패턴과 상기 제2 코일 패턴은 상기 기판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il pattern and the second coil pattern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패턴 중 최외측 코일 패턴은 제1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 패턴 중 최외측 코일 패턴은 제2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출부는 외부전극 중 제1 외부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인출부는 외부전극 중 제2 외부전극과 연결되는,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most coil pattern of the first coil pattern includes a first lead portion and the outermost coil pattern of the second coil pattern includes a second lead portion,
Wherein the first lead portion is connected to a first outer electrode of the outer electrodes and the second lead portion is connected to a second outer electrode of the outer electrodes,
Indu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기판인,
인덕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strate is a polypropylene glycol (PPG) substrate,
Inductor.

KR1020160019327A 2016-02-18 2016-02-18 Inductor KR102419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27A KR102419961B1 (en) 2016-02-18 2016-02-18 Inductor
KR1020220083627A KR102529896B1 (en) 2016-02-18 2022-07-07 Inductor
KR1020230057104A KR102604149B1 (en) 2016-02-18 2023-05-02 I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27A KR102419961B1 (en) 2016-02-18 2016-02-18 Induc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627A Division KR102529896B1 (en) 2016-02-18 2022-07-07 Indu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93A true KR20170097493A (en) 2017-08-28
KR102419961B1 KR102419961B1 (en) 2022-07-13

Family

ID=5975963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327A KR102419961B1 (en) 2016-02-18 2016-02-18 Inductor
KR1020220083627A KR102529896B1 (en) 2016-02-18 2022-07-07 Inductor
KR1020230057104A KR102604149B1 (en) 2016-02-18 2023-05-02 Induc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627A KR102529896B1 (en) 2016-02-18 2022-07-07 Inductor
KR1020230057104A KR102604149B1 (en) 2016-02-18 2023-05-02 Indu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199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9680A1 (en) * 2020-12-14 2022-06-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214A (en) 2005-08-31 2007-03-15 Taiyo Yuden Co Ltd Power inductor
KR20140011693A (en) *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ubstance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81802A (en) * 2014-01-07 2015-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27490A (en) * 2014-05-07 2015-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80411B1 (en) * 2014-09-22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214A (en) 2005-08-31 2007-03-15 Taiyo Yuden Co Ltd Power inductor
KR20140011693A (en) *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Magnetic substance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81802A (en) * 2014-01-07 2015-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127490A (en) * 2014-05-07 2015-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80411B1 (en) * 2014-09-22 2015-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Chip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9680A1 (en) * 2020-12-14 2022-06-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961B1 (en) 2022-07-13
KR20230067589A (en) 2023-05-16
KR102604149B1 (en) 2023-11-20
KR20220101590A (en) 2022-07-19
KR102529896B1 (en)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959B2 (en) Magnetic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83150B1 (en) Laminated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0184B1 (en) 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51943B2 (en) Multilayer type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27811B1 (en) 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39879B1 (en) Chip electronic component
KR102632343B1 (en) Inductor array component and board for mounting the same
KR20170032057A (en) 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KR20140003056A (en)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30672B1 (en) Multilayered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00612A (en) Chip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43248A (en) Inductor
KR102494320B1 (en) Coil component
KR20150033343A (en) Inductor
KR102194727B1 (en) Inductor
KR102604149B1 (en) Inductor
JP6673298B2 (en) Coil parts
KR101983149B1 (en) Laminated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08318A (en) Chip coil component
KR20130134075A (en) Laminated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58925A (en) Coil component
KR20150089211A (en) Chip-type Coil Component
KR101963263B1 (en) Chip electronic component
KR20130112241A (en) Multilayer type inductor
KR102004815B1 (en) Magnetic Substance Module for Power Inductor, Power Indu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