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88A -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488A
KR20170097488A KR1020160019317A KR20160019317A KR20170097488A KR 20170097488 A KR20170097488 A KR 20170097488A KR 1020160019317 A KR1020160019317 A KR 1020160019317A KR 20160019317 A KR20160019317 A KR 20160019317A KR 20170097488 A KR20170097488 A KR 2017009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sensing sensor
digital sensing
digit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018B1 (ko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진성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전기(주) filed Critical 진성전기(주)
Priority to KR102016001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0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01J5/0018Flames, plasma or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 가능한 배전함 도어를 구비하며, 특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배전설비가 내장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 지지벽체; 상기 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함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상기 측면 지지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Power distributor having digital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공장,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별 고압의 전기를 실제 사용하는 각종 설비 및 장비의 정격에 맞는 낮은 전압 및 정격용량으로 변환시켜 전기 시설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작, 제어 및 감시하는 장치이다.
수배전반은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22.9㎸, 24㎸, 25.8㎸ 등의 특고압이 인가되는 특고압반과, 전력을 변압하는 변압반(Transformer;전력용 변압기)과, 저압배전반과, MCC반(MOTOR CONTROL CENTER) 및 분전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감전 또는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제한하거나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용도인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되는 함체를 포함한다. 함체 내부에는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전압 시설물인 수배전반은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근자에 들어 전기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접속부분에 열화 및 접속불량으로 인한 화재 및 정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압 변환 등을 처리하는 전력 기기, 다시 말해 함체 내에 갖춰지는 배전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전력 기기의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불꽃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도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기능이 수배전반에 갖춰지기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에 대한 조속한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174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198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0-000691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1-00102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개폐 가능한 배전함 도어를 구비하며, 특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배전설비가 내장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 지지벽체; 상기 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함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상기 측면 지지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함체의 내부, 상기 측면 지지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표시부; 및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램프 또는 부저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유해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누출여부 감지부; 상기 불꽃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이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동작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상태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부; 및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측면 지지벽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벽체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모듈 삽입부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가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 삽입홈에는 상기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가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마그네트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 삽입홈들 사이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통기구를 향해 냉각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부의 입구에는 힌지에 의해 상기 모듈 삽입부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마련되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메모판과 거울이 부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폴리아미드 수지 15∼73 중량%, 폴리알킬렌 수지 10∼69 중량%, 유리섬유 6∼22 중량% 및 탄소섬유 8∼32 중량%의 조성물을 갖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을 위해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네크가 인서트(insert)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 영역의 확대도로서 커버 플레이트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분해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뒤집은 상태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배전설비(미도시)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함체(110), 측면 지지벽체(120), 베이스 플레이트(130), 탑 플레이트(140),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 표시부(170), 그리고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의 외관 하우징(또는 캐비닛)이다. 이러한 함체(110)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전설비가 갖춰진다.
여기서, 배전설비라 함은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22.9㎸, 24㎸, 25.8㎸ 등의 특고압이 인가되는 특고압반과, 전력을 변압하는 변압반(Transformer;전력용 변압기)과, 저압배전반과, MCC반(MOTOR CONTROL CENTER) 및 분전반을 비롯하여 이들과 유기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주변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함체(110)의 내부에 갖춰지는 배전설비 등의 기기에 대한 설치, 유지보수를 위해 함체(11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배전함 도어(11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전함 도어(111)는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배전함 도어(111)에는 잠금유닛(112)을 구비하는 손잡이(1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손잡이(113)들의 상부에는 게이지(114)가 마련되고, 손잡이(113)들의 하부에는 슬롯(115)이 형성된다. 슬롯(115)을 통해 함체(110) 내외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측면 지지벽체(120), 베이스 플레이트(130) 및 탑 플레이트(140)는 각각 함체(110)의 외벽체를 이룬다.
즉 측면 지지벽체(120)는 함체(110)의 측면을 이루고,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함체(11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탑 플레이트(140)는 함체(110)의 상부를 지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탑 플레이트(140)는 별도의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측면 지지벽체(120)는 함체(110)의 측벽 자체를 가리킬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은 함체(110)의 내부, 측면 지지벽체(120), 베이스 플레이트(130), 탑 플레이트(140)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하드(hard)한 하우징 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감지부(161~166)들이 구비되는 일종의 모듈 타입(module type), 즉 박스나 블록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취급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별도의 단위기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은 측면 지지벽체(120)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위치에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이 탑재되어도 무방하다.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이 측면 지지벽체(120)에 설치되는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은 유해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누출여부 감지부(161)와, 불꽃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 감지부(162)와, 배전설비의 동작이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동작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상태 감지부(163)와,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164)와,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부(165)와,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해가스 누출여부 감지부(161)에서 감지되는 유해가스는 SF6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SF6 가스는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이산화탄소보다 수만 배나 더 높은 가스를 가리킨다.
표시부(170)는 함체(110), 측면 지지벽체(120), 베이스 플레이트(130), 탑 플레이트(140)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램프 또는 부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70)는 램프로 마련되며, 탑 플레이트(140)의 일측에 상방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70)에는 녹색, 노란색, 적색 등의 색상이 표시될 수 있는데, 적색의 경우가 비상상황이어서 관리자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표시부(170)로서 램프가 마련되고 있으나 램프 대신에 부저가 적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램프와 부저 모두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컨트롤러(180)는 각종 감지부(161~166)를 포함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각종 감지부(161~166)를 포함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과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은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80)는 각종 감지부(161~166)를 포함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80)가 각종 감지부(161~166)를 포함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160)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 영역의 확대도로서 커버 플레이트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분해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7에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뒤집은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200) 역시, 배전함 도어(111)를 구비하는 함체(110), 측면 지지벽체(220), 베이스 플레이트(130), 탑 플레이트(140),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 표시부(170), 그리고 컨트롤러(18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각종 감지부(161~166,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이 수배전반(200)의 측면 지지벽체(220)에 마련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의 착탈 결합구조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처럼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면서도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측면 지지벽체(220)에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부(221)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모듈 삽입부(221)의 사이즈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의 사이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모듈 삽입부(221)에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261)가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 삽입홈(223)이 형성된다. 이때, 돌기 삽입홈(223)에는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261)가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마그네트(224)가 마련된다. 마그네트(224)는 영구자석일 수도 있고, 혹은 전자석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돌기 삽입홈(223)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돌기 삽입홈(223) 사이에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의 배면에 형성되는 통기구(262)를 향해 냉각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22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모듈 삽입부(221)에 송풍팬(226)이 마련되어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을 향해 냉각공기를 송풍함에 따라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모듈 삽입부(221)의 입구에는 힌지(227)에 의해 모듈 삽입부(221)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230)가 마련된다. 커버 플레이트(230)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 플레이트(230)가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면 곤란하기 때문에 커버 플레이트(230)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230)는 폴리아미드 수지 15∼73 중량%, 폴리알킬렌 수지 10∼69 중량%, 유리섬유 6∼22 중량% 및 탄소섬유 8∼32 중량%의 조성물을 갖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폴리아미드 수지 15∼73 중량%, 폴리알킬렌 수지 10∼69 중량%의 기본 재료에 강화제로서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동시에 사용하여 얇은 판체의 커버 플레이트(230)를 사출함으로써, 얇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강도는 오히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260)을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커버 플레이트(230)의 내부에는 커버 플레이트(230)의 보강을 위해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네크(235)가 인서트(insert)된다.
이처럼 커버 플레이트(230)의 내부에 보강용 네크(235)가 인서트될 경우, 설사 커버 플레이트(230)가 충격을 받더라도 보강용 네크(235)로 인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230)의 배면에는 메모판(231)과 거울(232)이 부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안전사고 없이 최적의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수배전반 110 : 함체
111 : 배전함 도어 120 : 측면 지지벽체
130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탑 플레이트
160 :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 161 : 유해가스 누출여부 감지부
162 : 불꽃 감지부 163 : 동작상태 감지부
164 : 진동 감지부 165 : 열 감지부
166 : 온도 감지부 170 : 표시부
180 : 컨트롤러

Claims (6)

  1. 개폐 가능한 배전함 도어를 구비하며, 특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배전설비가 내장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 지지벽체;
    상기 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함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함체의 내부, 상기 측면 지지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유해가스의 누출여부, 불꽃 발생여부, 정상 또는 비정상 동작여부, 진동 정도, 열, 온도를 감지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부, 상기 측면 지지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표시부; 및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상기 배전설비가 최적으로 동작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램프 또는 부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유해가스의 누출여부를 감지하는 유해가스 누출여부 감지부;
    상기 불꽃의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이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동작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상태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부; 및
    상기 배전설비의 동작 시 발생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측면 지지벽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벽체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이 삽입되는 모듈 삽입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모듈 삽입부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가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 삽입홈에는 상기 정위치 장착용 자성돌기가 자기적으로 부착되는 마그네트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 삽입홈들 사이에는 상기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통기구를 향해 냉각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듈 삽입부의 입구에는 힌지에 의해 상기 모듈 삽입부의 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마련되되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메모판과 거울이 부착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폴리아미드 수지 15∼73 중량%, 폴리알킬렌 수지 10∼69 중량%, 유리섬유 6∼22 중량% 및 탄소섬유 8∼32 중량%의 조성물을 갖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보강을 위해 격자상으로 형성되는 보강용 네크가 인서트(inser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20160019317A 2016-02-18 2016-02-18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77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17A KR101774018B1 (ko) 2016-02-18 2016-02-18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17A KR101774018B1 (ko) 2016-02-18 2016-02-18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88A true KR20170097488A (ko) 2017-08-28
KR101774018B1 KR101774018B1 (ko) 2017-09-01

Family

ID=59759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317A KR101774018B1 (ko) 2016-02-18 2016-02-18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0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564B1 (ko) * 2020-05-21 2020-11-11 윤은수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20200128690A (ko) * 2020-07-21 2020-11-16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배전함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KR102290100B1 (ko) * 2020-12-10 2021-08-17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KR102439182B1 (ko) * 2022-02-21 2022-09-01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675118B1 (ko) * 2024-03-25 2024-06-1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실시간 통신설비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920A (ja) 1998-10-07 2000-04-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分電盤
KR101035647B1 (ko) * 2010-11-02 2011-05-19 (주) 동보파워텍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507921B1 (ko) 2014-08-01 2015-06-25 진성전기(주) 하이테크 수배전반
KR101587530B1 (ko)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407B1 (ko) * 2020-05-20 2021-03-16 주식회사 성운엔지니어링 154kv 이상급 변전소용 원격감시 가능 변전설비
KR102177564B1 (ko) * 2020-05-21 2020-11-11 윤은수 154kv 이상급 변전소에 구비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장치
KR102177562B1 (ko) * 2020-05-26 2020-11-11 윤은수 설비 이상 경보가 가능한 154kv 이상급 변전소의 변전설비
KR20200128690A (ko) * 2020-07-21 2020-11-16 난징 즈진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서비스 센터 스마트 배전함
KR102290100B1 (ko) * 2020-12-10 2021-08-17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KR102439182B1 (ko) * 2022-02-21 2022-09-01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전기화재 초기 소화장치가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675118B1 (ko) * 2024-03-25 2024-06-13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실시간 통신설비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018B1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018B1 (ko)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101275864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KR20150006206A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20200006777A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배전반(고·저압배전반, mcc, 분전반, ess)
KR101493432B1 (ko) 아크가스로부터 보호를 위한 배전반용 도어
CN206542098U (zh) 一种高性能的高压开关成套设备
CN108521734A (zh) 继电器寿命负载柜
CN207588247U (zh) 低压开关柜及开关柜监测系统
CN204681695U (zh) 机械五防锁不锈钢防护装置
JP5456579B2 (ja) スイッチギヤ
CN104269750A (zh) 一种具有可移动顶棚的配电箱
CN207459462U (zh) 一种防触电型安全配电箱
CN213026981U (zh) 一种港口机电控制设备用控制柜
CN205960466U (zh) 一种供电所接入层机柜
CN213989790U (zh) 一种plc水处理电源控制柜
CN209071854U (zh) 一种用于充气柜新型开关设备的外壳结构
CN208690767U (zh) 一种方便检修的建筑电气柜
CN209183985U (zh) 一种方便检修的建筑电气柜
KR101977621B1 (ko) 데이터센터의 비상전원 절체시스템
CN211829663U (zh) 一种具有防辐射防误开保护功能的电力控制柜
CN219226952U (zh) 一种移动式电控柜
CN209266899U (zh) 一种具有自我监控功能的电气柜
KR102261657B1 (ko) 외부 이중 안전표시가 가능한 수배전반
CN216121231U (zh) 一种电压自适应补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