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100B1 -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100B1
KR102290100B1 KR1020200171856A KR20200171856A KR102290100B1 KR 102290100 B1 KR102290100 B1 KR 102290100B1 KR 1020200171856 A KR1020200171856 A KR 1020200171856A KR 20200171856 A KR20200171856 A KR 20200171856A KR 102290100 B1 KR102290100 B1 KR 10229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display member
enclosure
detach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to KR102020017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수배전반을 점검할 때 작업자가 작업 전에 접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배전반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는, 외함의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되면서 접지 상태를 안내하는 표시부재; 및 상기 표시부재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면서 외함 내부의 부스바에 접지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에는, 외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외함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Detachable Ground State Guidance Device}
본 발명은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수배전반 등(이하 '수배전반'으로 통칭한다)에서 접지 작업을 수행할 때, 이를 작업자가 쉽게 인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에 대한 점검이나 보수 시 작업자가 함체의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수배전반의 접지 작업 상태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수배전반의 점검 및 보수시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접지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8443호의 접지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수배전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수배전장치는, 특고압연결부, 변압기, 피뢰기 등으로 구성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함체의 한 쪽 측벽에, 제1종 접지단자와 결합되는 수배전반의 적어도 어느 한 구성요소에 대한 허용 저항값 및 실제 측정된 접지 저항값을 표시하는 제1종 접지지시창과, 제2종 접지단자와 결합되는 수배전반의 적어도 어느 다른 한 구성요소에 대한 허용 저항값 및 실제 측정된 접지 저항값을 표시하는 제2종 접지지시창과, 제3종 접지단자와 결합되는 수배전반의 적어도 또 다른 어느 한 구성요소에 대한 허용 저항값 및 실제 측정된 접지 저항값을 표시하는 제3종 접지지시창이 각각 형성된 절연상태 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절연상태 표시장치는 수배전반의 측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절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 경우에도 수배전반 내부에서 수행하는 접지 작업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따라서 여전히 접지 작업시에는 작업자가 접지 작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접지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수배전반을 점검할 때 작업자가 작업 전에 접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배전반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10-0058443 A (2010. 06. 03.) KR 10-1149520 B1 (2012. 05. 17.) KR 10-1580188 B1 (2015. 12. 18.) KR 20-0436919 Y1 (2007. 10. 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연 표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지 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수배전반을 점검할 때 작업자가 작업 전에 접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배전반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는, 외함의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되면서 접지 상태를 안내하는 표시부재; 및 상기 표시부재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면서 외함 내부의 부스바에 접지되는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에는, 외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외함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외함장착부가 전자석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부재가 LED 전광판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접지부재가 상기 부스바에 연결되는 제1, 2, 3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접지부재 사이의 전선 상에 상기 부스바에 연결된 제1, 2, 3 접지부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나타내는 통전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표시부재와 상기 통전표시부 사이의 전선 상에 상기 전선을 선택적으로 자동 권취하는 코드릴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재가 자석을 통해 수배전반의 외함에 쉽게 탈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지 작업시 접지부재를 부스바에 연결한 다음 표시부재를 외함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접지 작업 상태에 대한 안내 문구가 출력되게 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접지 작업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기 설치된 수배전반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접지 작업을 수행할 때 표시부재를 설치하여 감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지부재와 근접하여 통전표시부가 설치되므로 접지부재를 부스바에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때, 활선 및 사선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전하게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재의 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접지 표시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기존의 수배전반을 점검할 때 작업자가 작업 전에 접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수배전반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재(10)와 접지부재(20)를 포함한다.
표시부재(10)는 후술되는 접지부재(20)를 통해 접지 작업에 따른 안내 문구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표시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LED 전광판으로 이루어져 활선 및 사선 상태에 따라 미리 입력된 안내 문구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표시부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접지부재(20)를 통해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12)와, 상기 전류감지부(12)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정해진 알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알람발생부(13)와, 상기 전류감지부(12)를 통해 전류가 감지되면 미리 입력된 안내 문구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14) 및 상기 알람발생부(13)와 화면 출력부(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표시부재(10)에 내장되는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공급부(16)와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어부(15)를 통해 알람발생부(13)와 화면 출력부(14)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표시부재(10)의 일측면(후면)에는 외함에 표시부재(10)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외함장착부(1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외함장착부(11)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어부(15)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외함장착부(11)가 전자석으로 구성되면 이동 간에 표시부재(10)가 불필요하게 다른 구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함에서 표시부재(10)를 분리할 때에는 제어부(15)를 통해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만으로 자력이 상실되어 표시부재(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표시부재(10)는 수배전반의 외함 출입구 쪽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수배전반의 외함 내측으로 진입하기 전에 표시부재(10)의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표시부재(10)는 접지부재(20)를 통한 전류 감지여부에 따라 활선 및 사선 여부가 안내 문자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더해 활선 상태인 경우 작업자가 소리를 통해서도 활선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발생부(13)를 통해 주기적으로 경고음 또는 음성 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접지부재(20)는 부스바에 연결되어 접지 작업 상태가 표시부재(1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지부재(20)는 일단이 표시부재(10)의 전류감지부(12)에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선에 설치되고, 이때 접지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접지부(21, 22, 23)로 구성되어 3개의 부스바에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2, 3 접지부(21, 22, 23)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집게로 구성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제1, 2, 3 접지부(21, 22, 23)를 부스바에 안전하면서도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부스바에 연결된 접지부재(20)를 부스바에서 분리시킬 때, 부스바의 활선 및 사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전표시부(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전표시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일단과 접지부재(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전선을 따라 흐르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LED로 된 표시부가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표시부재(10)를 확인하지 않고도 통전표시부(30)를 통해 부스바의 활선 여부를 확인하고 접지부재(20)를 부스바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전표시부(30)는 제1, 2, 3 접지부(21, 22, 23)에 대응하여 각각의 LED 표시부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제1, 2, 3 접지부(21, 22, 23)의 활선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재(10)와 통전표시부(30) 사이의 전선 상에는 전선을 코일 스프링을 통해 선택적으로 자동 권취하는 코드릴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드릴유닛(40)을 통해 작업자는 표시부재(10)와 접지부재(20)를 연결하는 소정 길이의 전선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는 접지부재(20)를 끌어당겨 코드릴유닛(40)에 권취된 전선을 소정 길이 인출시키는 것만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위에서는 표시부재(10)와 접지부재(20)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전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표시부재(1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고, 접지부재(20)의 일단에는 통전표시부(30)와 함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되어 상호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표시부재(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전류감지부(12)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부재(20) 측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은 통전표시부(30)와 같이 전선을 따라 흐르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미리 설정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15)는 무선통신모듈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활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안내 문자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가 사용되는 예에 따라 설명한다.
접지 작업이 요구되는 수배전반의 외측에 자석을 통해 표시부재(10)가 부착되어 고정되고, 접지부재(20)의 제1, 2, 3 접지부(21, 22, 23)가 부스바에 연결된다.
이때 부스바는 접지 작업을 수행하는 접지 장치 또는 접지 로봇 등에 구비되어 수배전반 내의 부스바에 접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표시부재(10)가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접지부재(20)를 통한 전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접지 작업 여부가 판단되어 화면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접지 작업 중 작업자가 표시부재(10)를 통해 접지 작업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부재가 자석을 통해 수배전반의 외함에 쉽게 탈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지 작업시 접지부재를 부스바에 연결한 다음 표시부재를 외함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접지 작업 상태에 대한 안내 문구가 출력되게 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접지 작업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기 설치된 수배전반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접지 작업을 수행할 때 표시부재를 설치하여 감전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지부재와 근접하여 통전표시부가 설치되므로 접지부재를 부스바에 연결하거나 분리시킬 때 활선 및 사선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표시부재 11: 외함장착부
12: 전류감지부 13: 알람발생부
14: 화면 출력부 15: 제어부
16: 전원 공급부 20: 접지부재
21: 제1 접지부 22: 제2 접지부
23: 제3 접지부 30: 통전표시부
40: 코드릴유닛

Claims (5)

  1. 외함의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되면서 접지 상태를 안내하는 표시부재(10); 및
    상기 표시부재(10)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면서 외함 내부의 부스바에 접지되는 접지부재(20);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10)에는,
    외함에 탈착 가능하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외함장착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접지부재(20)는,
    상기 부스바에 연결되는 제1, 2, 3 접지부(21, 22, 23)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재(10)와 상기 접지부재(20) 사이의 전선 상에는,
    상기 부스바에 연결된 제1, 2, 3 접지부(21, 22, 23)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나타내는 통전표시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장착부(11)는,
    전자석에 의해 선택적으로 자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10)는,
    LED 전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10)와 상기 통전표시부(30) 사이의 전선 상에는,
    상기 전선을 선택적으로 자동 권취하는 코드릴유닛(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KR1020200171856A 2020-12-10 2020-12-10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KR10229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856A KR102290100B1 (ko) 2020-12-10 2020-12-10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856A KR102290100B1 (ko) 2020-12-10 2020-12-10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100B1 true KR102290100B1 (ko) 2021-08-17

Family

ID=7746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856A KR102290100B1 (ko) 2020-12-10 2020-12-10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1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19Y1 (ko) 2007-05-11 2007-10-17 (주)프라임솔루션 능동형 접지 단자함
KR20100058443A (ko) 2010-05-13 2010-06-03 문은상 접지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수배전장치
KR101149520B1 (ko) 2011-01-28 2012-05-25 주식회사 티지오 지능형 단자함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80188B1 (ko) 2015-04-22 2015-12-24 이창우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
KR101608964B1 (ko) * 2014-11-12 2016-04-04 지투파워(주) 초음파 및 과도접지전압 기반의 상태 감시진단 시스템이 탑재된 고압반,저압반,분전반,모터제어반
KR20170097488A (ko) * 2016-02-18 2017-08-28 진성전기(주)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80136808A (ko) * 2017-06-15 2018-12-26 한국전기연구원 접지 안전성 측정 기능을 구비한 gis용 접지개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919Y1 (ko) 2007-05-11 2007-10-17 (주)프라임솔루션 능동형 접지 단자함
KR20100058443A (ko) 2010-05-13 2010-06-03 문은상 접지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수배전장치
KR101149520B1 (ko) 2011-01-28 2012-05-25 주식회사 티지오 지능형 단자함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08964B1 (ko) * 2014-11-12 2016-04-04 지투파워(주) 초음파 및 과도접지전압 기반의 상태 감시진단 시스템이 탑재된 고압반,저압반,분전반,모터제어반
KR101580188B1 (ko) 2015-04-22 2015-12-24 이창우 작업자 에러방지 무선센서 네트워크 종합시스템
KR20170097488A (ko) * 2016-02-18 2017-08-28 진성전기(주) 디지털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수배전반
KR20180136808A (ko) * 2017-06-15 2018-12-26 한국전기연구원 접지 안전성 측정 기능을 구비한 gis용 접지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2521B2 (ja) 電線におけるac電流を測定するためのac電流センサ及びこのようなセンサを含む表示器システム
KR102402793B1 (ko) 고전압 배선선로용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KR102290100B1 (ko) 탈착형 접지상태 안내장치
KR102070650B1 (ko) 테스트 플러그용 단락점검장치
KR100971996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 장치
KR200448842Y1 (ko) 변압기의 누설전류 통합 감시장치
JP2007312466A (ja) 雷保護通信システム
KR20200021862A (ko) 스마트 분전반
KR200322546Y1 (ko) 전력계통선로의 통전상태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변류기조립체가 장착된 공통연결 단자대
KR101303316B1 (ko) 전력 설비용 다중표시 검출기
CN205247174U (zh) 一种基于本质安全型的供电所用自动报警装置
EP0757365A2 (en) Integrated transformer having functions of receiving and transforming equipment
KR20050080716A (ko) 감전 재해 예방용 경보장치
KR200386954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US9598093B2 (en) Sign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003896A1 (en) Wireless remote power equipment tes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EP3588109B1 (en) Fail-safe retrofitting kit for a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ystem and a preinstalled voltage indication system (vis)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KR101193220B1 (ko)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KR20170061210A (ko) 제어출력 단말 장치 및 그 접점점검 시스템
KR102620379B1 (ko) 미세전류 검출 및 제거 기능을 갖는 자동접지장치
KR102415448B1 (ko) 전기철도의 고장구간 자동 검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219498411U (zh) 一种带电显示绝缘堵头
CN220709214U (zh) 线路转换装置及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