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45A - Coil component - Google Patents

Coil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445A
KR20170097445A KR1020160019204A KR20160019204A KR20170097445A KR 20170097445 A KR20170097445 A KR 20170097445A KR 1020160019204 A KR1020160019204 A KR 1020160019204A KR 20160019204 A KR20160019204 A KR 20160019204A KR 20170097445 A KR20170097445 A KR 2017009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layers
layer
support memb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4312B1 (en
Inventor
윤호진
엄지현
이우진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12B1/en
Publication of KR2017009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component which can reduce a defect risk such as a short and secure coil uniformity and low direct current resistance. The coil component has a coil unit arranged in a body unit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The coil un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a first coil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an insulation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to cover the first coil layer; and a second coil layer formed on the insulation layer. The first and the second coil layer have different numbers of turns of coil patterns.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Coil Components {COIL COMPONENT}

본 개시는 코일 부품, 예를 들면, 파워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coil components, such as power inductors.

디지털 TV, 모바일 폰,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수반하여 이러한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코일 부품에도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권선 타입 또는 박막 타입의 코일 부품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With the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TVs, mobile phones, laptops, etc., coil parts applied to such electronic devices are required to be downsized and thinned. In order to meet these demands, various types of winding type or thin film typ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il parts is actively proceeding.

코일 부품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따른 주요한 이슈는 이러한 소형화 및 박형화에도 불구하고 기존과 동등한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자성물질이 충전되는 코어의 크기 및 낮은 직류저항(Rdc)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코일 패턴의 종횡비와 코일부의 단면적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술, 예를 들면, 이방 도금 기술이 적용되는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The major issue of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coil parts is to realiz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existing ones despite this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In order to satisfy such a dem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ize of the core charged with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low DC resistance (R dc ). For this purpos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products that can increase the aspect ratio of the coil patter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il portion, for example, anisotropic plating technology.

한편, 소형화 및 박형화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서 이방 도금 기술을 적용하여 코일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종횡비 상승에 따라 도금 성장의 균일도 저하 및 코일부간 쇼트 발생 등의 불량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il part is manufactured by applying the anisotropic plating technique in a limited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downsizing and thinning, the risk of badness such as lowered uniformity of plating growth and occurrence of short-circuit between the coil part is increasing with increasing aspect ratio.

본 개시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쇼트 발생 등의 불량 리스크가 작으면서도 코일의 균일도 및 낮은 직류저항(Rdc)의 확보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f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provide a coil component with a new structure which can reduce the unevenness of the coil, such as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and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coil and the low DC resistance (R dc ).

본 개시를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지지부재 상에 절연층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복수의 코일층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코일층의 코일 패턴의 턴 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One of various solutions proposed through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form a plurality of coil layers stably by using an insulating layer on a supporting member so that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s of the plurality of coil lay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코일 부품은,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부 내에 코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코일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형성된 제 1 코일층,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코일층을 덮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 2 코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층은 코일 패턴의 턴 수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il part is arranged in a body part including a magnetic substance, and the coil part is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a first coil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covering the first coil layer, and a second coil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have different numbers of turns of the coil pattern.

본 개시의 여러 효과 중 일 효과로서, 쇼트 발생 등의 불량 리스크가 작으면서도 코일의 균일도 및 낮은 직류저항(Rdc)의 확보가 가능하며,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As one of the various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il component of a new structure which is capable of ensuring uniformity of a coil and securing a low DC resistance (R dc ) while reducing defective risks such as short- have.

도 1은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코일 부품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코일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I-I' 면 절단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코일 부품의 A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Ⅱ-Ⅱ' 면 절단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코일 부품의 바디부의 개략적인 B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코일부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il component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il part.
FIG. 3 is a schematic II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2;
4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region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elevation II-II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2;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B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il portion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전자 기기Electronics

도 1은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코일 부품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coil component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부품들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pplication Processor 를 중심으로, DC/DC, Comm. Processor, WLAN BT / WiFi FM GPS NFC, PMIC, Battery, SMBC, LCD AMOLED, Audio Codec, USB 2.0 / 3.0 HDMI, C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전자 부품 사이에는 노이즈 제거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코일 부품이 그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파워 인덕터(Power Inductor, 1), 고주파 인덕터(HF Inductor, 2), 통상의 비드(General Bead, 3), 고주파용 비드(GHz Bead, 4), 공통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5) 등을 들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can be seen that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used in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DC / DC, Comm. Processor, WLAN BT / WiFi FM GPS NFC, PMIC, Battery, SMBC, LCD AMOLED, Audio Codec, USB 2.0 / 3.0 HDMI, CAM can be used. For example, a power inductor (1), a high frequency inductor (2), a high frequency inductor (2), and a high frequency inductor (2) may be used. , General beads (General Bead) 3, beads for high frequency (GHz Bead) 4, common mode filters (5),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파워 인덕터(Power Inductor, 1)는 전기를 자기장 형태로 저장하여 출력 전압을 유지하여 전원을 안정시키는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인덕터(HF Inductor, 2)는 임피던스를 매칭하여 필요한 주파수를 확보하거나, 노이즈 및 교류 성분을 차단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비드(General Bead, 3)는 전원 및 신호 라인의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고주파 리플을 제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용 비드(GHz Bead, 4)는 오디오와 관련된 신호 라인 및 전원 라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통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5)는 디퍼런셜 모드에서는 전류를 통과시키고, 공통 모드 노이즈 만을 제거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inductor 1 may be used to stabilize the power source by storing electric power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to maintain an output voltage. Further, the high frequency inductor (HF Inductor) 2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a necessary frequency by matching the impedance, blocking the noise and the AC component, and the like. Further, a normal bead (General Bead) 3 can be used for eliminating noise in a power source and a signal line, removing high-frequency ripple, and the like. Further, the high frequency bead (GHz Bead) 4 can be used for eliminating high frequency noise of a signal line and a power supply line associated with audio. Further, the common mode filter (5) can be used for passing the current in the differential mode and removing only the common mode noise.

전자 기기는 대표적으로 스마트 폰(Smart Pho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컴퓨터(computer), 모니터(monitor), 텔레비전(television), 비디오 게임(video gam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일 수도 있다. 이들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른 다양한 전자 기기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smart 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digital video camera, a digital still camera ), A network system, a computer, a monitor, a television, a video game, a smart watch, and the like. But may be other various electronic device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코일 부품Coil parts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코일 부품을 설명하되, 편의상 인덕터(Inductor)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다양한 용도의 코일 부품에도 본 개시의 코일 부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the coil compon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il compon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to other various coil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inductor.

도 2는 코일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il part.

도 3은 도 2의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I-I' 면 절단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line I-I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도 4는 도 3의 코일 부품의 A 영역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 region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도 5는 도 2의 코일 부품의 개략적인 Ⅱ-Ⅱ' 면 절단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sectional elevation II-II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2;

도 6은 도 5의 코일 부품의 바디부의 개략적인 B 방향 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n the B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il component of Fig.

도 7은 도 2의 코일부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il portion of Fig. 2;

도면을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코일 부품(10)은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부(100) 내부에 코일부(200)가 배치된 구조이다. 바디부(100) 외부에는 코일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300)가 배치된다. 코일부(200)는 지지부재(230) 및 지지부재(230)의 양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층(211, 212, 221, 222)을 포함한다. 상측의 제 1 및 제 2 코일층(211, 212) 및 하측의 제 1 및 제 2 코일층(221, 222) 사이에는, 지지부재(230) 양면 상에 각각 배치되며 내측에 형성된 제 1 코일층(211, 221)을 덮는 절연층(213, 223)이 각각 배치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il component 10 according to an example is a structure in which a coil part 200 is disposed inside a body part 100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An electrode unit 3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unit 20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100. The coil portion 200 includes a support member 230 and a plurality of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30. [ The first coil layer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 22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3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211 and 212 and the lower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11 and 221, respectively.

바디부(100)는 코일 부품(10)의 외관을 이룬다. 바디부(100)는 제 1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 1 면 및 제 2 면과, 제 2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 3 면 및 제 4 면과, 제 3 방향으로 마주보는 제 5 면 및 제 6 면을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이와 같이 대략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내지 제 6 면이 만나는 6 개의 모서리는 그라인딩(Grinding) 등에 의하여 둥글 수 있다. 바디부(100)는 자기 특성을 나타내는 자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바디부(100)는 페라이트 또는 금속 자성 입자가 수지에 충진 된 것일 수 있다. 페라이트는, 예를 들면,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Mn-Mg계 페라이트, Ba계 페라이트 또는 Li계 페라이트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자성 입자는 철(Fe), 실리콘(Si), 크롬(Cr), 알루미늄(Al)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Fe-Si-B-Cr계 비정질 금속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자성체 입자의 직경은 약 0.1㎛ 내지 30㎛일 수 있다. 바디부(100)는 이러한 페라이트나 금속 자성 입자가 에폭시 수지나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바디부(100)의 두께는 적용되는 전자 기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대략 500㎛ 내지 900㎛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dy part (10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il part (10). The body 100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ifth surface and a sixth surface facing the third direction, . The body 100 may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ix corners where the first to sixth surfaces meet can be rounded by grinding or the like.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magnetic material that exhibits magnetic properties. For example, the body part 100 may be one in which ferrite or metal magnetic particles are filled in the resin. The ferrite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n-Zn ferrite, Ni-Zn ferrite, Ni-Zn-Cu ferrite, Mn-Mg ferrite, Ba ferrite or Li ferrite. The metal magnetic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ron (Fe), silicon (Si), chrome (Cr), aluminum (Al), and nickel (Ni) B-Cr amorphous met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ameter of the metal magnetic body particles may be about 0.1 mu m to 30 mu m.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by dispersing such ferrite or metal magnetic particles in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or a polyimide resin. Th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electronic device to be applied, and may be about 500 μm to 9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디부(100)의 자성 물질은 금속 자성체 분말 및 수지 혼합물이 혼합된 자성체 수지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자성체 분말은 철(Fe), 크롬(Cr), 또는 실리콘(Si)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철(Fe)-니켈(Ni), 철(Fe), 철(Fe)-크롬(Cr)-실리콘(Si)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혼합물은 에폭시(epoxy), 폴리이미드(polyimide),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자성체 분말은 적어도 둘 이상의 평균 입경을 갖는 금속 자성체 분말이 충진된 것일 수 있다. 또는, 금속 자성체 분말은 적어도 셋 이상의 평균 입경을 갖는 금속 자성체 분말이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금속 자성체 분말을 사용하여 압착함으로써, 자성체 수지 복합체를 가득 채울 수 있어 충진율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코일 부품의 용량 증대가 가능하다.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body 100 may be a magnetic resin composite in which a metal magnetic powder and a resin mixture are mixed. The metal magnetic material powder may include iron (Fe), chromium (Cr), or silicon (Si) as a main component. Examples of the metal magnetic powder include iron (Fe) Chromium (Cr) -silicon (Si), and the like. The resin mixtur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epoxy, polyimide, Liquid Crystal Polymer (LCP), and the like. The metal magnetic body powder may be filled with a metal magnetic body powder having at least two average particle sizes. Alternatively, the metal magnetic powder may be a metal magnetic powd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t least three. In this case, by using the metal magnetic powder powders of different sizes, the magnetic resin composite can be filled, thereby increasing the filling rate. As a result, the capacity of the coil component can be increased.

코일부(200)는 코일 부품(10)의 코일로부터 발현되는 특성을 통하여 전자 기기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코일 부품(10)은 파워 인덕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부(200)는 전기를 자기장 형태로 저장하여 출력 전압을 유지하여 전원을 안정시키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재(230)의 양면 상에 각각 적층된 복수의 코일층(211, 212, 221, 222)은 지지부재(230)를 관통하는 비아(24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코일층(211, 212, 221, 222) 중 내측에 배치된 코일층(211, 221)과 외측에 배치된 코일층(212, 222)은 그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213, 223)을 관통하는 비아(214, 22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복수의 코일층(211, 212, 221, 2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코일을 형성한다. 코일부(200)의 중심부에는 관통 홀(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홀(105)은 바디부(100)를 구성하는 자성 물질로 충전된다. 코일부(200)는 지지부재(230) 양면 상에 형성된, 즉 내측에 적층된 제 1 코일층(211, 221)과, 절연층(213, 223) 상에 형성된, 즉 외측에 적층된 제 2 코일층(212, 222)를 포함한다.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 사이에는 절연층(213, 223)이 배치된다. 제 2 코일층(212, 222)은 절연막(215, 225)에 의하여 커버된다.
The coil part 200 function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from the coil of the coil part 10. For example, the coil component 10 may be a power inductor. In this case, the coil part 200 may store electricity in the form of a magnetic field to maintain the output voltage and stabilize the power supply. A plurality of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via 243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0. The coil layers 211 and 221 disposed on the inner side and the coil layers 212 and 222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hav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disposed therebetween, Via vias 214 and 224, which extend through the vias 214 and 224,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form one coil. A through hole 10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il part 200 and the through hole 105 is filled with a magnetic material constituting the body part 100. The coil part 200 includes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30, that is, laminated on the inner side, and second coil layers 211 and 221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Coil layers 212 and 222, respectively.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re covered by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21, 222)의 코일 패턴은 모두 복수의 턴 수를 가진다. 이때,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21, 222)은 코일 패턴의 턴 수가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면, 외층인 제 2 코일층(221, 222)의 코일 패턴의 턴 수가 내층인 제 1 코일층(211, 221)의 코일 패턴의 턴 수보다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층(211, 221)을 통한 불량 리스크 저하 및 균일도 향상이 가능하고, 제 2 코일층(221, 222)을 통한 높은 인덕턴스 구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들은 대부분 얇은 선폭을 가지는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는바, 수평 방향, 즉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서 기본적으로 많은 수의 턴 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코일층(211, 212, 221, 222)은 동일한 회전 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은 비아(214, 224, 23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바, 적층 방향, 즉 제 3 방향으로도 코일 턴 수가 증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바 보다 더 많은 수의 턴 수를 가지거나, 이 보다는 적은 턴 수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The coil pattern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all have a plurality of turns. At this time,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have different coil pattern turns. For example,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s of the outer layers of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may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s of the inner layer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failure and uniformity through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o realize a high inductance through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In addition, they are mostly constituted by a coil pattern having a thin line width, and can basically have a large number of tur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The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may have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vias 214, 224 and 234 so that the coil layers 211, 212,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turns is obtain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number of turns may be greater than that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have a smaller number of turns tha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21, 222)은 코일 패턴의 간격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제 2 코일층(212, 222)의 코일 패턴 간의 간격(L2)은 제 1 코일층(211, 221)의 코일 패턴 간의 간격(L1) 보다 좁을 수 있다. 즉,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코일층(211, 221)은 코일 패턴의 간격(L1)을 상대적으로 넓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쇼트 발생 등의 불량 리스크를 줄이면서, 이를 덮는 절연층(213, 223)의 평탄하게 해주어,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코일층(221, 222)의 코일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외측에 형성되는 제 2 코일층(221, 222)은 코일 패턴의 간격(L2)을 상대적으로 좁게 함으로써 코일부(200)가 전체적으로 많은 턴 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코일층(211, 221)은 최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의 선폭(w2)이 내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의 선폭(w1) 보다 넓을 수 있다. 즉, 내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은 선폭(w1)을 상대적으로 얇게 구현하여 많은 턴 수를 가지게 함과 동시에, 외측에 배치된 코일 패턴은 선폭(w2)을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현하여 낮은 직류저항(Rdc)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have different coil patterns. For example, the gap L 2 between the coil patterns of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may be narrower than the gap L 1 between the coil pattern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That is,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formed on the inner side relatively increase the interval L 1 of the coil pattern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poor overall occurrence such as short-circuiting and preventing the insulation layers 213 and 223 The coil uniformity of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formed on the outer sid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formed on the outer side can relatively reduce the interval L 2 of the coil patterns so that the coil part 200 can have a large number of turns as a whole.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may be wider than the line width w 1 of the coil pattern in which the line width w 2 of the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That is, the coil patterns disposed on the inner side is to have a number of turns with a relatively thin implement a line width (w 1), and at the same time, the coil patterns disposed on the outer side by a relatively thick implement a line width (w 2) low DC resistance (R dc ) characteristics can be ensured.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21, 222)의 코일 패턴은 서로 다른 종횡비(AR)를 가진다. 예를 들면, 제 2 코일층(221, 222)의 코일 패턴의 종횡비(AR)는 제 1 코일층(211, 221)의 코일 패턴의 종횡비(AR) 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코일층(211, 221)을 통한 불량 리스크 저하 및 균일도 향상이 가능하고, 제 2 코일층(221, 222)의 높은 종횡비(AR)을 통한 직류저항(Rdc) 저하가 가능해진다. 제 1 코일층(211, 221)의 코일 패턴은 폭(w1)에 대한 두께(h1)의 비(h1/w1)인 종횡비(AR)가 1 미만인 것과 폭(w2)에 대한 두께(h1)의 비(h1/w2)인 종횡비(AR)가 1 초과인 것을 모두 포함한다. 제 2 코일층(212, 222)의 코일 패턴은 폭(w3)에 대한 두께(h2)의 비(h2/w3)의 비인 종횡비(Aspect Ratio: AR)가 대부분 1 초과이다. 예를 들면, 제 1 코일층(211, 221)의 코일 패턴은 폭(w1)이 약 30㎛ 내지 50㎛ 정도일 수 있고, 폭(w2)이 약 90㎛ 내지 150㎛ 정도일 수 있으며, 두께(h1)가 약 40㎛ 내지 60㎛ 정도일 수 있다. 제 2 코일층(212, 222)의 코일 패턴은 폭(w3)이 약 40㎛ 내지 60㎛ 이고, 두께(h2)가 약 40㎛ 내지 70㎛ 정도일 수 있다.
The coil pattern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AR. For example,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il patterns of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may be larger tha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il pattern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failure and uniformity through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o lower the DC resistance Rdc through the high aspect ratio AR of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 Claim the aspect ratio (AR) is about 1 less than that the width (w 2), one coil layer ratio (h 1 / w 1) of the thickness (h 1) of the coil pattern has a width (w 1) of 211 and 221 (H 1 / w 2 ) of the thickness (h 1 ) is greater than 1. The coil pattern of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has an aspect ratio (AR) which is a ratio of the ratio (h 2 / w 3 ) of the thickness (h 2 ) to the width (w 3 ) For example, a first coil layer 211 and 221 the coil pattern can be on the order of about 30㎛ to 50㎛ width (w 1) of width (w 2) may be the order of about 90㎛ to 150㎛, thickness (h 1 ) may be about 40 μm to 60 μm. The coil patterns of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may have a width w 3 of about 40 μm to 60 μm and a thickness h 2 of about 40 μm to 70 μm.

코일층(211, 221, 212, 222)은 대부분 얇은 선폭을 가지는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는바, 코일부의 두께가 얇다. 이때, 충분한 턴 수를 가지기 위하여 각각의 코일층(211, 221, 212, 222)이 그 수평 방향, 즉 제 1 방향 및/또는 제 2 방향에서 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하로 적층된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는 중복되는 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박형이면서도 충분한 코일 특성을 갖는 코일 부품을 구현함에 유용하다.
Since the coil layers 211, 221, 212, and 222 are formed by coil patterns having a thin line width, the thickness of the coil portion is thin. At this time, in order to have a sufficient number of turns, each of the coil layers 211, 221, 212, and 222 is formed to utilize the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stacked one above the other have overlapping regions. Therefore, it is useful for realizing a coil part having a thin and sufficient coil characteristic.

도면에서는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 만을 도시하였으나, 그 이상의 코일층이 제 2 코일층(212, 222) 상에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들 사이에 비아가 형성된 절연층이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코일층(22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 사이에 코일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들 사이에 비아가 형성된 절연층이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only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re shown in the drawing, it is understood that further coil layers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nd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via formed therebetween may be dispo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coil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il layers 22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nd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via formed therebetween may be dispo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f course.

지지부재(230)는 복수의 코일층(211, 212, 221, 222)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이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동박적층판(CC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기판, 페라이트 기판 또는 금속계 연자성 기판 등일 수 있다. 또한, 절연 수지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일 수도 있다. 절연 수지로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유리 섬유 또는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가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 ABF(Ajinomoto Build-up Film), FR-4, BT(Bismaleimide Triazine) 수지, PID(Photo Imagable Dielectric)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강성 유지의 관점에서는, 유리 섬유 및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230)의 두께는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pport member 2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upport a plurality of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made of a copper clad laminate (CCL), polypropylene glycol ) Substrate, a ferrite substrate, a metal-based soft magnetic substrate, or the like. It may also be an insulating substrate made of an insulating resin. As the insulating resin,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imide, or a resin impregnat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 glass fiber or an inorganic filler such as prepreg, ABF (Ajinomoto Build- Film, FR-4, bismaleimide triazine (BT) resin, and PID (Photo Imagable Dielectric) resin. From the standpoint of stiffness maintenance, an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glass fiber and epoxy resin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80 占 퐉 or less, preferably 6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40 占 퐉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지지부재(230)를 관통하는 비아(234)는 지지부재(230) 양면 상에 각각 배치된 상측의 제 1 코일층(211) 및 하측 제 1 코일층(22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만 있으면, 그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측의 및 하측은 도면의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비아(234)의 형상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거나 커지는 테이퍼 형상,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거의 일정한 원통형상, 모래시계 형상 등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아(234)의 재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d),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vias 234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0 can only electrically connect the upper first coil layer 211 and the lower first coil layer 22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230, The shape and material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Here,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judged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via 234 may be any shape known in the art, such as a tapered shape whose diameter becomes smaller or larger toward the low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 As the material of the via 234,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tin (Sn), gold (Au), nickel (Ni), lead (Pd) Of a conductive material can be used.

절연층(213, 223)은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절연층(213, 223)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빌드업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폴리이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이들에 무기 필러와 같은 보강재가 함침된 수지, 예를 들면, ABF(Ajinomoto Build-up Fil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공지의 감광성 절연(Photo Imageble Dielectric: PID)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필름일 수도 있다. 절연층(213, 223)의 두께는 제 1 코일층(211, 221)의 두께 보다 두꺼워, 이를 덮으면서 이를 제 2 코일층(212, 222)와 절연시킬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절연층(213, 223)에 의한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 사이의 절연 거리는, 예를 들면, 3㎛ 내지 20㎛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serve to insulate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from each other. The insulating layer 213, 223 may be a build-up film comprising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imide, or a resin impregnat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n inorganic filler, for example, ABF (Ajinomoto Build-up Film) may be used. Alternatively, it may be an insulating film containing a known Photo Image Dielectric (PID) res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is sufficient to cover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nd to insulate them from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The insulat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by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may be, for example, about 3 mu m to 20 mu m, no.

절연층(213, 223)을 관통하는 비아(214, 224)는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만 있으면, 그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아(214, 224)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퍼 형상, 원통 형상 등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아(214, 224)의 재질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주석(Sn), 금(Au), 니켈(Ni), 납(Pd),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층(213, 223)의 두께는 통상 지지부재(230)의 두께보다 얇다.
The vias 214 and 224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shapes of the vias 214 and 224 may be any shape known in the art, such as a tapered shape as described abo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ike. The vias 214 and 22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copper (Cu), aluminum (Al), silver (Ag), tin (Sn), gold (Au), nickel (Ni), lead (Pd)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n alloy may be use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is usual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절연막(215, 225)은 제 2 코일층(221, 222)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절연막(215, 225)의 재질은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절연 코팅에 사용되는 절연 물질, 예컨대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액정 결정성 폴리머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의 감광성 절연(Photo Imageble Dielectric: PID) 수지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막(215, 225)은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절연층(213, 223)과 일체화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serve to protect the second coil layers 221 and 222.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may be any material including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used for a normal insulating coating such as an epoxy resin, a polyimide resin, a liquid crystal crystalline polymer resin, or the like, and a known photo insulator (PID) resin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may be integrated with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metho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코일부(200)의 우측 인출 단면은, 지지부재(230)의 인출 단면, 지지부재(230)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상측 및 하측의 절연층(213, 223)의 인출 단면, 및 상측의 절연층(213)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상측의 제 2 코일층(212)의 인출 단면을 포함한다. 또한, 코일부(200)의 좌측 인출 단면은, 지지부재(230)의 인출 단면, 지지부재(230)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상측 및 하측의 절연층(213, 223)의 인출 단면, 및 하측 절연층(213)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하측 제 2 코일층(222)의 인출 단면을 포함한다. 즉, 외부전극과 연결되기 위하여 인출되는 코일 패턴의 인출 단자는 지지부재 및 절연층에 의하여 지지대고 있다. 따라서, 코일 패턴의 인출 단자는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외부전극과 우수한 접속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좌우는 도면의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하는 도면의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절연막(215)을 생략하였으나, 절연막(215) 역시 인출될 수 있다. 또는, 인출 단면에서 절연막(215)은 거의 남아있지 않을 수도 있다.
The right-side drawing end surface of the coil portion 200 is connected to the leading end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the drawing-out end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disposed on the drawing-out end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And a lead-out end face of the upper second coil layer 212 disposed on the lead-out end face of the insulating layer 213. The leftward drawing-out end face of the coil portion 200 is connected to the leading end 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the drawing end face of the upper and lower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disposed on the drawing end 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And a drawing-out end face of the lower second coil layer 222 disposed on the drawing-out end face of the lower insulating layer 213. That is, the lead-out terminal of the coil pattern drawn out to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insulating layer. Therefore, the lead-out terminal of the coil pattern can be stably formed, and can have a good connecting force with the external electrode. Here, the left and right ar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of the drawing. Further, it is judged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in the drawing. Although the insulating film 215 is omitted in the drawing, the insulating film 215 may also be drawn out. Alternatively, the insulating film 215 may not remain in the drawing section.

코일부(200)의 우측 인출 단면은, 상측의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략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사하게, 좌측 인출 단면 역시, 하측에서 상측의로 갈수록 대략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하는 도면의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는, 코일 부품(10)의 제조 단계에서 트리밍(Trimming) 공정 등에 의하여 지지부재(230) 및 절연층(213, 223)의 코일층(211, 221, 212, 222)을 지지하는 영역 외의 다른 영역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데, 이때 제거되는 과정에서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지지부재(230) 및 절연층(213, 223)이 그 중심으로 갈수록 더 많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코일층(211, 221, 212, 222)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인출 단면의 형상을 가진다는 것은, 지지부재(230) 상에 절연층(213, 223)을 적층하고 그 위에 안정적으로 제 2 코일층(212, 22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적층 방향으로 코일 턴수가 증가하는 코일부(200)를 형성하고, 그 후에 트리밍(Trimming) 공정 등을 통하여 최대한의 공간을 자성 물질로 채워 바디부(100)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쇼트 발생 등의 불량 리스크가 작으면서도 코일의 균일도 및 낮은 직류저항(Rdc)의 확보가 가능하며,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The right-side drawing end surface of the coil section 200 may have a tapered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similarly, the left-side drawing section may also have a tapered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lower side toward the upper side. Here, it is judged based on the third direction in the drawing. This is because in the manufacturing step of the coil component 10,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for supporting the coil layer 211, 221, 212, 222 of the support member 230 and the insulating layers 213, 223 by a trimming process or the like The supporting member 230 including the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may be removed more toward the center thereof during the removing process. The coil layers 211, 221, 212, and 222 are hardly affected.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hape of the drawing section is that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re laminated on the support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re formed thereon in a stable manner, Means that the body part 100 is formed by forming a coil part 200 having an increased number of teeth and then filling a maximum space with a magnetic material through a trimming process or the like. Accordingly, uniformity of the coil and low DC resistance (R dc ) can be ensured while the risk of defects such as short-circuit is small,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device with a thin shape.

전극부(300)는 바디부(10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2 코일층(212, 222) 각각의 인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외부전극(301, 302)을 포함한다. 외부전극(301, 302)은 코일 부품(10)이 전자 기기에 실장 될 때, 코일 부품(10) 내의 코일부(200)를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전극(301, 302)은, 예를 들어, 도전성 수지층과, 상기 도전성 수지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수지층은 구리(Cu), 니켈(Ni) 및 은(A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도전성 금속과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금층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층과 주석(Sn)층이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that are disposed on the body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terminals of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do. The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il portion 200 in the coil component 10 with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il component 10 is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The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ductive resin layer and a plating layer formed on the conductive resin layer. The conductive res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conductiv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Cu), nickel (Ni), and silver (Ag) and a thermosetting resin.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opper (Cu) and tin (Sn). For example, a nickel (Ni) layer and a tin .

일례에 따른 코일 부품(10)은, 예를 들면, 지지부재(2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코일부(200)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복수의 코일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 자성체 시트를 적층하여 복수의 바디부(100)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복수의 바디부(100)를 절단하고, 다음으로 각각의 개별 바디부(100) 상에 전극부(300)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il parts 200 are formed by using a support member 230 and then a magnetic sheet is stacked on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lurality of coil parts 200 A plurality of body parts 100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ody parts 100, and then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0 may be cut and then the electrode part 300 may be formed on each individual body part 100 .

지지부재(230)를 이용하면 복수의 코일부(20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바디부(10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다이싱(Dicing) 등의 싱귤레이션 공정으로 다수의 코일 부품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즉,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복수의 코일부(200)는 지지부재(230)의 일면 또는 양면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양면을 모두 이용하여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재(230)을 관통하는 관통 홀을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도금으로 채우는 방법으로 비아(234)를 형성할 수 있다.
By using the support member 230, a plurality of coil parts 200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and a plurality of body parts 100 can be formed at the same time. Thereafter, a plurality of coil parts can be simultaneously manufactured by a singulation process such as dicing. That is, it is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The plurality of coil parts 200 may be formed using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230. When the coil part 200 is formed using both surfaces,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formed by a mechanical drill and / The via 234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such as drilling or the like and then filling with a plating method.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30)의 양면 상에 각각 제 1 코일층(211, 221)을 형성한다. 제 1 코일층(211, 221)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 및 도금 공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은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를 이용한 노광 및 현상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금 공법은 전해 동도금 또는 무전해 동도금 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스퍼터링(sputtering), 서브트랙티브(Subtractive), 애디티브(Additive), SAP(Semi-Additive Process), MSAP(Modified Semi-Additive Process) 등의 방법을 이용하는 도금 공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 1 코일층(211, 221)을 형성할 때, 지지부재(230)를 관통하는 관통 홀을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도금으로 채우는 방법으로 비아(23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30)의 양면 상에 각각 형성된 상측의 및 하측 제 1 코일층(211, 221)은 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230, respectively.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photolithography and plating methods can be used. For example, the photolithography method may be one which uses exposure and development using a photoresist. In addition, the plating method may be an electrolytic copper plating or an electroless copper plating.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use a chemical vapor deposition (PVD), a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a sputtering, a subtractive, an additive, a semi-additive process, Additive proc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re formed,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230 is formed by a known method such as a mechanical drill and / or a laser drill, The upper and lower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respectively.

다음으로, 지지부재(230)의 양면 상에 제 1 코일층(211, 221)을 덮도록 절연층(213, 223)을 적층한다. 절연층(213, 223)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술한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전구체 필름을 제 1 코일층(211, 221)이 형성된 지지부재(230) 상에 라미네이션 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절연 물질을 제 1 코일층(211, 221)이 형성된 지지부재(230) 상에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라미네이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고온에서 일정시간 가압한 후 감압하여 실온까지 식히는 핫 프레스 후, 콜드 프레스에서 식혀 작업 툴을 분리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퀴즈로 잉크를 도포하는 스크린 인쇄법, 잉크를 안개화하여 도포하는 방식의 스프레이 인쇄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Next,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re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230 so as to cover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The method of forming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precursor film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material may be laminated on a support member 230 on which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re formed Followed by post-curing. Alternatively, the above-described insul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on the support member 230 on which the first coil layers 211 and 221 are formed, and then cured. As the lamination method, for example, a hot pressing method in which the resin is press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reduced in pressure to room temperature, and then cooled in a cold press to separate the working tool can be used. As the application method, for example, a screen printing method in which ink is applied by squeezing, a spray printing method in which ink is fogged and applied, and the like can be used.

다음으로, 절연층(213, 223) 상에 제 2 코일층(212, 222)을 형성한다. 제 2 코일층(212, 222)을 형성하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 및 도금 공법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 2 코일층(212, 222)을 형성할 때, 절연층(213, 223)을 각각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 기계적 드릴 및/또는 레이저 드릴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도금으로 채우는 방법으로 비아(214, 22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1 코일층(211, 221) 및 제 2 코일층(212, 222)은 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Next,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respectively. The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known photolithography method and pla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forming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the through holes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are formed in a known manner such as a photolithography method, a mechanical drill, and / The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211 and 221 and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via holes 214 and 224 .

다음으로, 제 2 코일층(212, 222)을 커버하는 절연막(215, 225)을 형성한다. 절연막(215, 225)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코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절연막(215, 225)는 절연층(213, 223)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화 후 일체화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ext,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covering the second coil layers 212 and 222 are formed. The method of forming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coating method can be used. The insulating films 215 and 22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s as the insulating layers 213 and 223, but may be integrated after cur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공지의 트리밍(Trimming) 공법 등을 이용하여 코일부(200)의 코일층(211, 212, 221, 222)이 형성된 영역 외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코일부(200)의 중앙부가 제거되어 관통 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자성체 시트 등의 적층으로 코일부(200)를 수용하는 바디부(100)를 형성하고, 다이싱(Dicing) 공정 등을 이용하여 싱귤레이션 하면, 내부에 코일부(100)가 형성된 개별적인 바디부(100)를 형성한다.
Next, regions other than the regions where the coil layers 211, 212, 221, and 222 of the coil portion 200 are formed are selectively removed by using a known trimming method or the like. In this process, the center portion of the coil portion 200 is removed, and the through hole 105 can be formed. Thereafter, the body part 100 for accommodating the coil part 200 is formed by lamination of a magnetic material sheet or the like and singulated by a dicing process or the like, Thereby forming the body portion 100.

복수의 바디부(100)는 복수의 코일부(200)를 형성한 후 그 상부 및 하부에 자성체 시트를 적층한 후 이를 압착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성체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금속 자성 입자, 바인더 수지 및 용제 등을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 법으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상에 수십 ㎛의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시트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0 may b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coil parts 200, stacking the magnetic substance sheets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of, and then pressing and curing the magnetic substance sheets. The magnetic sheet may be one comprising a known magnetic material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metal magnetic particles, a binder resin, and a solvent, and the slurry may be coated on a carrier film film to a thickness of several tens of mu m and then dried to form a sheet.

전극부(300)는 바디부(100)의 일면으로 노출되는 코일부(200)의 인출 단면과 접속하도록 바디부(100)의 외측에 외부전극(301, 302)를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전극(301, 3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도전성이 뛰어난 금속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 구리(Cu), 주석(Sn) 또는 은(Ag)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극(301, 302)은 이들 페이스트 층 상에 도금층을 더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도금층은 니켈(Ni), 구리(Cu) 및 주석(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니켈(Ni)층과 주석(Sn)층이 순차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300 may be formed by forming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ead-out end face of the coil unit 200 ex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100 . The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may be formed using a paste containing a met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nickel (Ni), copper (Cu), tin (Sn) Ag) or the like, an alloy thereof, or the like can be used. The external electrodes 301 and 302 may be formed by further forming a plating layer on these paste layers. The plating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ickel (Ni), copper (Cu) and tin (Sn). For example, a nickel (Ni) layer and a tin .

한편, 본 개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경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표현은 한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 electrically connected " means a concept including both a physical connection and a non-connection. Also, the first, second, etc. expression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and /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In some cas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일례 라는 표현은 서로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각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을 강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그 러나, 상기 제시된 일례들은 다른 일례의 특징과 결합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한 일례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일례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일례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일례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Furthermore, the expression " an exampl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mean the same embodiment but is provided for emphasizing and explaining different unique features. However, the presented examples do not exclude that they ar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features of other examples. For example, although the description in the specific example is not described in another example, it can be understood as an explanation related to another example, unless otherwise described or contradicted by the other example.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때,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used to illustrate only one exampl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W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1: 파워 인덕터
2: 고주파 인덕터
3: 통상의 비드
4: 고주파용 비드
5: 공통 모드 필터
10: 코일 부품
100: 바디부
105: 관통 홀
200: 코일부
211, 212, 221, 222: 코일층
213, 223: 절연층
214, 224, 234: 비아
215, 225: 절연막
230: 지지부재
300: 전극부
301, 302: 외부 전극
1: Power inductor
2: High frequency inductor
3: Normal bead
4: High frequency beads
5: Common mode filter
10: Coil parts
100: Body part
105: Through hole
200: coil part
211, 212, 221, 222: coil layer
213, 223: insulating layer
214, 224, 234: Via
215, 225: insulating film
230: Support member
300:
301, 302: external electrode

Claims (10)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바디부 내에 코일부가 배치된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형성된 제 1 코일층,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코일층을 덮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 2 코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층은 코일 패턴의 턴 수가 서로 상이한,
코일 부품.
1. A coil component in which a coil portion is disposed in a body portion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The coil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A first coil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An insulating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to cover the first coil layer,
And a second coil layer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have different numbers of turns of the coil pattern,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층의 코일 패턴의 턴 수는 상기 제 1 코일층의 코일 패턴의 턴 수보다 많은,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 of the second coil layer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 of the first coil layer,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층은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이 서로 상이한,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il layers have different coil patterns,
Coil par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층의 코일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제 1 코일층의 코일 패턴 간의 간격보다 좁은,
코일 부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coil patterns of the second coil layer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coil patterns of the first coil layer,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층은 코일 패턴의 종횡비(AR)가 서로 상이한,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il layer and the second coil layer have different aspect ratios (AR) of coil patterns,
Coil part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일층의 코일 패턴의 종횡비(AR)는 상기 제 1 코일층의 코일 패턴의 종횡비(AR)보다 큰,
코일 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il pattern of the second coil layer is larger tha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il pattern of the first coil layer,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인출 단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 단면,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절연층의 인출 단면, 및 상기 절연층의 인출 단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제 2 코일층의 인출 단면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lead-out end surface of the coil portion has a lead-out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 lead-out end surface of the insulation layer disposed on the lead-out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Layer, < / RTI >
Coil part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인출 단면은, 테이퍼 형상을 갖는,
코일 부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leading end surface of the coil section has a tapered shape,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 2 코일층을 덮는 절연막, 을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il portion further comprises an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second coil layer,
Coil pa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상에는 상기 코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가 배치된,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ortion is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Coil parts.
KR1020160019204A 2016-02-18 2016-02-18 Coil component KR102404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04A KR102404312B1 (en) 2016-02-18 2016-02-18 Coil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04A KR102404312B1 (en) 2016-02-18 2016-02-18 Coil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45A true KR20170097445A (en) 2017-08-28
KR102404312B1 KR102404312B1 (en) 2022-06-07

Family

ID=5975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04A KR102404312B1 (en) 2016-02-18 2016-02-18 Coil compon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1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95A (en) 2018-11-07 2020-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electronic component
CN111326312A (en) * 2018-12-17 2020-06-23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KR20200092910A (en) * 2018-12-17 2020-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US20220181072A1 (en) * 2020-12-08 2022-06-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214A (en) 2005-08-31 2007-03-15 Taiyo Yuden Co Ltd Power inductor
WO2007040029A1 (en) * 2005-10-03 2007-04-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oil
JP2010034171A (en)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Corp Laminated co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7214A (en) 2005-08-31 2007-03-15 Taiyo Yuden Co Ltd Power inductor
WO2007040029A1 (en) * 2005-10-03 2007-04-1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oil
JP2010034171A (en)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Corp Laminated coi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95A (en) 2018-11-07 2020-05-15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electronic component
US11664149B2 (en) 2018-11-07 2023-05-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electronic component
CN111326312A (en) * 2018-12-17 2020-06-23 三星电机株式会社 Coil component
KR20200074479A (en) * 2018-12-17 2020-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KR20200092910A (en) * 2018-12-17 2020-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Coil component
US11574768B2 (en) 2018-12-17 2023-0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US20220181072A1 (en) * 2020-12-08 2022-06-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312B1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5189B2 (en) Coil part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101792364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899136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2365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62027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58006A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86713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123300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32598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97883A (en) Coil component
KR102404312B1 (en) Coil component
KR102105388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64118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90045749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281448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87213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1501915B2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90130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04313B1 (en) Coil component
KR20170097865A (en) Coil component
KR102404332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97864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14846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70073136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