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223A -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 Google Patents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223A
KR20170097223A KR1020177022181A KR20177022181A KR20170097223A KR 20170097223 A KR20170097223 A KR 20170097223A KR 1020177022181 A KR1020177022181 A KR 1020177022181A KR 20177022181 A KR20177022181 A KR 20177022181A KR 20170097223 A KR20170097223 A KR 2017009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ransparent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992B1 (ko
Inventor
히로후미 가타미
도루 우메모토
히로유키 다카오
아츠시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2Layer formed of wires, e.g.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86/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r polyaddition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63/00 - B32B238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는, 양면에 PET 세퍼레이터를 첩합한 구성으로 제공하는 경우, 점착제 시트 자체의 표리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1) 미리 도전층을 갖는 기재와 적층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취급의 번잡함 (굴절률 조정 구분이 있는 면과 없는 면의 구별이 쉬움) 을 해소함과 함께, (2) 첩합 공수의 삭감이나, 공정 부재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3)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첩합하여 적층한 적층체의 구성으로서, 도전층의 각 층에 대해 당해 점착제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그 적층체의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CONDUCTIVE FILM LAMINATE HAVING TRANSPARENT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를 첩합 (貼合) 한 도전성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커버 유리 등의 투명 커버 부재, 그 외 여러 가지의 투명 광학 부재를, 다른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서 점착제를 사용한다. 즉, 접합되는 2 개의 광학 부재의 사이에 점착제층이 배치되고, 그 2 개의 광학 부재는, 이들을 서로 가압함으로써 접합되어, 광학 부재 적층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광학 부재 적층체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광학 부재의 측이 시인 (視認) 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시인측의 투명 광학 부재로부터 외광이 입사했을 때, 입사광이 점착제층과 비시인측의 광학 부재의 계면에서 반사하여 시인측으로 돌아온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외광의 입사각이 얕을 때, 특히 현저해진다.
또, 최근 증가 경향이 있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투명 광학 부재가 접합되는 피접합측 광학 부재의 표면에는, 패턴화된 ITO (인듐·주석 산화물) 와 같은 투명하고 도전성의 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점착제층과 투명 도전성층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입사광의 내부 반사의 영향으로, 시인측으로부터 투명 도전성층의 패턴이 보이게 된다는 「패턴 보임」 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어느 경우에도, 내부 반사는, 점착제와 피접합측 광학 부재 및 투명 도전성층의 굴절률차에서 기인한다. 일본 특허공보 제4640740호 (특허문헌 1) 는,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법을 교시한다. 즉, 그 특허문헌 1 은, 투명 광학 부재와 점착제층의 사이의 계면, 및, 점착제층과 피접합측 광학 부재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전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여기에 개시된 조성물은, 건조 후 및/또는 경화 후의 굴절률이 높고, 투명 광학 부재 및 피접합측 광학 부재의 굴절률에 가까운 것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교시는, 2 개의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점착제층 전체를, 그 2 개의 광학 부재의 굴절률에 가까운 굴절률을 가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다.
이 특허문헌 1 에 의해 교시된 수법은, 계면 반사를 억제하는 점에서는 효과가 있겠지만, 특정의 모노머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성물 자체가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564748호 (특허문헌 2) 는, 분산 평균 입자경이 1 nm 이상, 또한 20 nm 이하의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티탄 입자를,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 점착제의 두께 전체에 걸쳐 분산시킨 구성의 굴절률이 조정된 점착제를 개시 한다. 이 점착제는, 고굴절률 재료인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티탄 입자를 투명 점착제에 혼합하고 있으므로, 점착제층 전체의 굴절률이 높아져, 상기 서술한 계면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의 수법에서는, 고굴절률 재료를 다량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어, 점착제로서의 특성의 저하가 우려되고, 또한 고가가 된다. 또, 사용되는 고굴절률 재료는 무기 물질의 입자이기 때문에, 분산이 곤란하고, 산란에 의한 백탁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유기 재료의 입자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경우에는, 착색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5520752호 (특허문헌 3) 는,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수법을 개량하기 위해서, 점착제에 분산되는 금속 산화물 입자를 고분자로 피복하는 것을 제안한다. 특허문헌 3 이 교시하는 것은, 특허문헌 2 의 점착제층에서는, 점착제층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이 노출되기 때문에, 점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금속 산화물 입자를 고분자에 의해 피복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이다. 이 특허문헌 3 에 의해 제안되는 수법은, 점착제층의 점착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개선은 가능할지도 모르지만, 특허문헌 2 에 관련하여 지적한 문제의 대부분은 해결되지 않는다. 특히,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구성은, 금속 산화물 입자를 특정의 고분자로 피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2 의 구성보다, 한층 더 고가가 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4640740호 일본 특허공보 제5564748호 일본 특허공보 제5520752호
본 발명은,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접합에 사용되었을 때,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 시트 (굴절률 조정 구분 (굴절률 조정층이라고도 한다) 을 갖는 점착제 시트) 를 제공하고,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라고도 부른다) 를,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사용했을 때에 생기는 하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는, 양면에 PET 세퍼레이터를 첩합한 구성으로 제공하는 경우, 점착제 시트 자체의 표리를 구별하는 것이 어렵다. 구별하는 방법으로서는, PET 세퍼레이터를 벗길 때의 박리력의 차로 표리를 구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에 있어서,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면에 첩합된 PET 세퍼레이터를 가벼운 힘으로 박리 (경박리) 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측의 점착제의 면에 첩합한 PET 세퍼레이터를 무거운 힘으로 박리 (중박리)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표리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박리력의 차를 1.5 내지 3 배 정도 낼 필요가 있어,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공급한 처의 고객의 적층 공정에 있어서, 캐리어재와의 박리력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만을 공급했을 경우에, 공급처에 있어서 적층체의 작성 공정의 수가 늘어나, 공정의 많음·번잡함에서 기인하여 수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공정이 많아짐에 따라, 폐기 부재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간결하게 기술하면,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1) 미리 도전층을 갖는 기재와 적층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취급의 번잡함 (굴절률 조정 구분이 있는 면과 없는 면의 구별하기 쉬움) 을 해소함과 함께, (2) 첩합 공수의 삭감이나, 공정 부재의 삭감에 공헌한다. (3)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첩합하여 적층한 적층체의 구성으로서, 도전층의 각 층에 대해 당해 점착제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그 적층체의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의 투명한 점착제층과,
상기 투명한 점착제층 상에 투명한 필름 기재와,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 상에 투명 도전성층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점착제층은, 일방의 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제 구분과, 그 점착제층의 타방의 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투명한 점착성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점착제 구분은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와 접하고,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상기 지지체와 접하고,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두께가 20 nm ∼ 6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동일한 점착성 재료에, 그 점착성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가 분산되어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평균 굴절률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의 굴절률은 1.60 ∼ 2.74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는, TEM 관찰에 의한 평균 1 차 입자경이 3 nm ∼ 1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굴절률 재료는, TiO2, ZrO2, CeO2, Al2O3, BaTiO3, Nb2O5, 및 Sn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된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는, 상기 투명 도전성층은 패턴화되어 있거나, 또는 패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굴절률 조정층은, 투명 도전층측 굴절률 조정층과 필름 기재측 굴절률 조정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도전층측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은, 상기 필름 기재측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그 타방의 주면에는, 고굴절 재료의 입자가 그 타방의 주면에 노출되는 영역과,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점착성 재료가 그 타방의 주면에 노출되는 매트릭스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굴절 재료의 입자가 그 주면에 노출되는 그 영역은, 면적비 30 ∼ 99 % 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와 그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의 차는 0.15 ∼ 1.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는, 복수의 입자가 응집한 응집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두께를 20 nm ∼ 600 n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동일한 점착성 재료에 그 점착성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가 분산된 구성으로 하고, 이 고굴절률 재료 입자에 의해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평균 굴절률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을 1.40 ∼ 1.55 로 하고,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의 굴절률을 1.60 ∼ 2.7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이 광학 부재에 접합되는 접합면에는, 고굴절 재료의 입자가 그 광학 부재에 접촉하는 영역과,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점착성 재료가 그 광학 부재에 접촉하는 매트릭스 영역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고굴절 재료의 입자가 광학 부재에 접촉하는 영역은, 면적비 30 ∼ 99 % 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의 차가 0.15 ∼ 1.34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동일한 점착성 재료에, 그 점착성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입자,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의 형태의 유기 재료가 포함됨으로써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평균 굴절률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의 점착제층이, 광학 부재에 투명 도전성층이 형성된 구성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투명 도전성층의 굴절률은 1.75 ∼ 2.14 로 하고,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은 1.40 ∼ 1.55 로 하고, 유기 재료의 굴절률은 1.59 ∼ 2.04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고굴절률을 갖는 유기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티렌계와 같은 방향 고리를 갖는 수지 외에, 황이나 질소 등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수지 (예를 들어 티올이나 트리아진 고리를 포함하는 폴리머) 를 들 수 있다. 또, 입자로서는 나노미터 사이즈의 유기 나노 입자, 구상 고분자를 포함하고, 입경은 TEM 관찰에 의한 평균 1 차 입자경이 3 nm ∼ 100 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전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는, 복수의 입자가 응집한 응집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에 포함되는 고굴절 재료의 입자는, 점착제층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한 깊이로 존재한다.
투명한 제 1 광학 부재를, 예를 들어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제 2 광학 부재에 접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지지체로부터 벗겨, 투명한 점착성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이 투명 도전성층 및 제 2 광학 부재에 면하고, 점착제층의 반대측의 면이 제 1 광학 부재에 면하는 상태로, 그 투명 도전성층 및 그 제 2 광학 부재 상에 그 투명한 점착성 굴절률 조정용 구분을 접합하고, 점착제층의 그 반대측의 면을 제 1 광학 부재에 접합하여, 굴절률 조정용 구분이, 그 투명 도전성층과 상기 제 2 광학 부재의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그 투명 도전성층과 그 제 2 광학 부재의 양방에 접하는 상태로 하고, 제 1 광학 부재를 통하여 입사하는 외광의, 점착제 베이스층과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 굴절률 조정용 구분과 투명 도전성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광학적 간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여 내부 반사를 억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제 1 광학 부재를 통하여 입사하는 외광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구분과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광과, 굴절률 조정용 구분과 제 2 광학 부재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광이, 광학적 간섭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하나의 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점착제층의 베이스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굴절률 조정 구분을 형성하므로, 헤이즈치를 높이는 일 없이 고굴절률의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2 개의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경우에, 고굴절률의 영역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제 2 광학 부재의 사이의 굴절률차를 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점착제층과 제 2 광학 부재의 사이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2 광학 부재측에 패턴화된 투명 도전성층이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는, 그 투명 도전성층과 제 2 광학 부재의 굴절률에 대한 점착제층의 굴절률 조정 구분의 굴절률을 조정함으로써, 계면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투명 도전성층에 있어서의 반사광과 제 2 광학 부재 표면에 있어서의 반사광, 및 점착제층 내부에 생기는 반사광의 사이에 있어서의, 반사광끼리의 위상차에 의한 상쇄 효과로 제 1 광학 부재측으로 돌아오는 반사광을 대폭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 시트를, 미리 도전층을 갖는 기재와 적층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취급의 번잡함 (굴절률 조정 구분이 있는 면과 없는 면의 구별이 쉬움) 을 해소함과 함께, 첩합 공수의 삭감이나, 공정 부재의 삭감에 공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패턴화된 투명 도전성층이 형성된 구성에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13) 이 적용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제 2 광학 부재에 접촉하는 점착제층의 주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산액의 도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b)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굴절률 재료 입자의 침투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c)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건조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작한 제 1 광학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 (A) 를 나타낸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작한 제 1 광학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 (B) 를 나타낸다.
도 6(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작한 제 1 광학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투명 도전성 필름 (C) 를 나타낸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나타낸다.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를 나타낸다.
도 7(c)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을 나타낸다.
도 7(d)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를 나타낸다.
도 7(e)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를 나타낸다.
도 7(f) 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6) 을 나타낸다.
도 8(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1 을 나타낸다.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2 를 나타낸다.
도 8(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3 을 나타낸다.
도 8(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시예 4 를 나타낸다.
도 9(a) 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교예 1 을 나타낸다.
도 9(b) 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교예 2 를 나타낸다.
도 9(c) 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교예 3 을 나타낸다.
도 9(d) 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교예 4 를 나타낸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점착제층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20000 배 SEM 사진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 분포를 나타내는 30000 배 TEM 단면 사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 분포를 나타내는 30000 배 TEM 단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 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 시트를 사용하는 가장 단순한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 (1) 의 단면도이다. 도 1(a)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제 시트 (S) 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 (3) 과, 그 점착제층 (3) 의 일방의 주면에 첩합된 박리지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체 (S1) 와, 그 점착제층 (3) 의 타방의 주면에 첩합된 박리지로 이루어지는 제 2 지지체 (S2) 로 구성된다. 도 1(b) 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 적층체 (1) 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 1 광학 부재 (2) 와, 그 제 1 광학 부재 (2) 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제층 (3) 을 개재하여 접합된 제 2 광학 부재 (4) 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 (3) 은, 도 1(a) 에 나타내는 점착제 시트 (S) 로부터, 지지체 (S1, S2) 를 벗겨, 제 1 및 제 2 광학 부재에 첩합한 것이다. 그 투명한 제 1 광학 부재 (2) 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그 밖의 광학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혹은 광학적 표시 장치의 시인측 커버 유리와 같은 투명 커버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 1 광학 부재 (2) 는, 점착제층 (3) 의 제 1 주면 (5) 에, 제 2 광학 부재 (4) 는, 점착제층 (3) 의 제 2 주면 (6) 에, 각각 접합된다.
투명한 점착제층 (3) 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제 구분 (3a) 과, 그 베이스 점착제 구분 (3a)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 (3b) 을 갖는다. 베이스 점착제 구분 (3a) 을 형성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은, 제 1 광학 부재 (2) 의 굴절률에 가까운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광학 용도로 사용 가능한 점착성을 갖는 투명한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및 폴리에테르계 점착제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성, 가공성 및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는, 상기의 점착제의 어느 것을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로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지만,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노머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 이라는 표현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경우도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폴리머라는 용어는, 상기 서술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외에,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도 포함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은, 일반적으로, 1.40 ∼ 1.55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다습 조건하에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종의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 커플링제는, 점착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응집력을 부여하는 효과도 갖는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제층에는,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의 내구성에 관계되는 응집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점도 조정제, 박리 조정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연화제,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안료, 염료 등), pH 조정제 (산 또는 염기), 방청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 (3)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는 5 ㎛ ∼ 500 ㎛, 바람직하게는, 5 ㎛ ∼ 4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500 ㎛ 이다. 이 중, 굴절률 조정용 구분 (3b)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nm ∼ 600 n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m ∼ 3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nm ∼ 200 nm 이다. 굴절률 조정 구분 (3b) 과 베이스 점착제 구분 (3a) 의 경계는, 불규칙한 요철 형상이 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굴절률 조정 구분 (3b) 의 두께는, 요철 형상의 깊이의 측정치를 평균함으로써 결정된다. 베이스 점착제 구분의 두께는, 점착제층 (3) 의 두께로부터 굴절률 조정 구분 (3b) 의 두께를 뺀 값이 된다. 점착제층 (3) 전체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 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점착제층 (3) 의 전광선 투과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게다가 또, 헤이즈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 (3b) 은, 예를 들어 점착제 베이스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수지 재료의 용액을,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의 일방의 면에 소정량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이 있다. 혹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유기물, 예를 들어 스티렌 올리고머를 고형물로서 분산시킨 분산액을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도 2 에 대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의 일방의 면에서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를 침투시켜, 점착제층의 그 일방의 면에 인접하는 영역에, 그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가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제층 (13) 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점착제층 (1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의 점착제층 (3) 과 마찬가지로, 제 1 주면 (15) 및 제 2 주면 (16) 을 가지며,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제 구분 (13a) 과, 그 베이스 점착제 구분 (13a)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을 갖는 구성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은, 제 2 주면 (16) 으로부터 두께 방향의 깊이에 걸쳐서 점착제 베이스 재료 내에 침투하고, 점착제 베이스 재료 내에 분산된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 (17) 를 포함함으로써, 베이스 점착제 구분 (13a)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의 굴절률은, 1.6 ∼ 2.7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의 차는 0.2 ∼ 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이 점착제 베이스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유기물을 함침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그 유기물과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의 차를 0.1 ∼ 0.6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이나 고온 고습하에 있어서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유기물보다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높은 무기물의 고굴절률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굴절률 조정용 구분에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고굴절률 재료로서는, TiO2, ZrO2, CeO2, Al2O3, BaTiO2, Nb2O5 및 SnO2 가 있고, 이들의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를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의 평균 1 차 입경은, 3 nm ∼ 100 nm 로 하면 되고, 입자는, 개개로 분산 상태로, 혹은 일부가 응집한 상태로,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내에 분포된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과 베이스 점착제 구분 (13a) 의 경계는, 도 1 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불규칙한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의 두께 측정에 있어서는, 각 측정 위치에 있어서,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의 90 % 가 존재하는 깊이의 범위를, 그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구분 (13b) 의 두께 측정치로 하고, 복수의 측정 위치에 있어서의 측정치를 평균하여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의 두께로 한다.
도 3 은, 터치 패널 센서를 구성하기 위해, 제 2 광학 부재 (4) 의 점착제층측 표면에, 예를 들어 패턴화된 ITO 막과 같은 투명 도전성층 (7) 이 형성된 구성에,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13) 이 적용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광학 부재 (4) 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유리 기판을 들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13) 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 (13b) 의 주면 (16) 은, 제 2 광학 부재 (4) 와 투명 도전성층 (7) 사이의 단차를 메우도록, 제 2 광학 부재 (4) 의 점착제층측 표면과 투명 도전성층 (7) 의 양방에 접합된다. 도 4 는, 제 2 광학 부재 (4) 에 접촉하는 점착제층 (13) 의 주면 (16) 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매트릭스 (18) 에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가 섬형상으로 분산된, 해도 (海島) 구성이 되어 있고, 제 2 광학 부재 (4) 에 점착제층 (13) 이 접촉하는 면에서는, 제 2 광학 부재 (4) 에 대해 점착제 베이스 재료가 접촉하는 부분과,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가 접촉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합계 면적에 대한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의 면적비는, 30 ∼ 99 %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비는, 한 변이 10 ㎛ ∼ 200 ㎛ 의 방형 영역에 있어서, 그 방형 영역의 전체 면적에 대한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 하고, 복수의 방형 영역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여, 그 측정치를 평균함으로써 면적비가 구해진다.
도 5(a) (b) (c)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13) 을 제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서술한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를 용매에 분산시킨 분산액 (19) 과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층 (20) 을 준비한다. 이어서,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분산액 (19) 을 점착제 베이스 재료층 (20) 의 표면에 도포한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층 (20) 의 표면은, 분산액 (19) 의 용매에 의해 팽윤되어, 그 과정에서 분산액 (19) 내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가, 점착제 베이스 재료층 (20) 내에, 두께 방향으로 침투한다. 이 상태를 도 5(b) 에 나타낸다. 그 후, 건조 공정에 의해 점착제 베이스 재료층 (20) 을 건조시킴으로써, 분산액 (19) 의 용매를 증발시켜,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제층 (13) 을 얻을 수 있다. 이 상태를 도 5(c) 에 나타낸다.
점착제 베이스 재료층 (20) 에 대한 고굴절률 재료 입자 (17) 의 침투 깊이는,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분산액 (19) 의 용매의 관계로 정해진다. 용매는, 침투 깊이가 상기 서술한 값이 되도록, 적당하게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점착제 베이스의 제작]
(아크릴 올리고머의 제작)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DCPM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6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메타크릴산메틸) 40 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의 α-티오글리세롤 3.5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의 톨루엔 100 중량부를,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이들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70 ℃ 에서 1 시간 교반했다. 다음으로, 중합 개시제로서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70 ℃ 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80 ℃ 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 ℃ 온도 분위기하에 투입하고,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시켜, 고형상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를 「아크릴계 폴리머 (A-1)」 이라고 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5.1 × 103 이었다.
(점착제 A 의 제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68 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NVP) 14.5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A) 17.5 중량부로 구성되는 모노머 혼합물에,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BASF 사 제조) 0.035 중량부, 및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이르가큐어 651」, BASF 사 제조) 0.035 중량부를 배합한 후, 이 모노머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 중합시킴으로써, 중합률 약 10 중량% 의 부분 중합물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 을 얻었다.
얻어진 그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에,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 5 중량부,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HDDA) 0.15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상품명 「KBM-403」,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필름 (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점착제 조성물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 (상품명 「다이아호일 MRN#38」,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을 당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측이 되도록 하여 피복했다. 이로써, 모노머 성분의 도포층을 산소로부터 차단했다. 그 후, 조도 : 5 mW/㎠, 광량 : 1500 mJ/㎠ 의 조건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점착제 조성물층을 광 경화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 B 의 제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28.5 중량부,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ISTA) 28.5 중량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HBA) 20 중량부, 2 종의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 이르가큐어 184, BASF 제조) 0.05 중량부, 및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 이르가큐어 651, BASF 제조) 0.05 중량부를 배합한 후, 이 모노머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자외선에 폭로하여 부분적으로 광 중합시킴으로써, 중합률 약 10 중량% 의 부분 중합물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 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의 100 중량부에,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HDDA) 0.3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 (상품명 「KBM-403」,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0.3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필름 (상품명 「다이아호일 MRF#38」,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가 25 ㎛ 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점착제 조성물층의 표면에, 박리 필름 (상품명 「다이아호일 MRN#38」,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을, 당해 필름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측이 되도록 하여 피복했다. 이로써, 모노머 성분의 도포층을 산소로부터 차단했다. 그 후, 조도 : 5 mW/㎠, 광량 : 1500 mJ/㎠ 의 조건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고, 점착제 조성물층을 광 경화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점착제 C 의 제작〉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63 중량부, N-비닐-2-피롤리돈 (NVP) 15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 9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A) : 13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 200 중량부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1 시간 교반했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 0.2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 로 승온하여 10 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톨루엔을 첨가하고, 고형분 농도 30 중량% 의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 80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의 용액 (고형분 100 부) 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 (주) 제조 「타케네이트 D110N」) 1.0 부, 실란 커플링제 (신에츠 화학 (주) 제조 「KBM-403」) 0.2 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 (용액) 을 조제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한 점착제 용액을, 박리 필름 (상품명 「다이아호일 MRF#75」,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의 박리 처리된 면 상에, 점착제층 형성 후의 두께가 25 ㎛ 가 되도록 도포하고, 상압하, 60 ℃ 에서 3 분간, 계속해서, 155 ℃ 에서 4 분간 가열 건조시키고, 다시 50 ℃ 에서 72 시간 에이징을 실시하여 점착제층을 제작했다.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의 제작]
〈점착제 A/고굴절률 재료의 나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하는 사례〉
(점착제 A/나노 입자 분산액 (분산매 : 에탄올) 을 사용한 사례)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 로서, 그 점착제층의 양면이 PET 박리 시트로 보호되어 있는 상태의 점착제 A (점착제층의 굴절률 : 1.49) 의 일방의 경박리 PET 시트를 박리했다. 노출된 점착제층의 표면에, 고굴절률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으로서의 지르코니아 입자 (ZrO2, 굴절률 : 2.17, 평균 1 차 입자경 : 20 nm) 를 함유하는 도포용 처리액 (분산매 : 에탄올, 입자 농도 : 1.2 중량%, 분산액의 투과율 : 82 %, CIK 나노텍 (주) 제조) 을,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가 20 nm ∼ 180 nm 가 되도록 바 코터 RDS No. 5 로 도포하고, 110 ℃ 의 건조 오븐으로 180 초간 건조시켰다. 이어서, 지르코니아 (ZrO2) 입자가 분산된 점착제층 표면에, 지지체로서 올리고머 방지층을 갖는 PET 박리 시트 (75 ㎛) 를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A1)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A1) 라고도 한다.) 를 얻었다.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는, 140 nm 였다. 또한, 지르코니아 입자의 평균 1 차 입자경은, TEM 관찰에 의해 계측했다.
〈다른 사례〉
상기의 사례와 동일하게 하여, 하기의 점착제 및 고굴절률 재료의 나노 입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동일하게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B1),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B2) 및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C1) (각각,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2) 및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라고도 한다.) 를 제작했다. 사용한 점착료는, 점착제 B (굴절률 1.48) 및 점착제 C (굴절률 1.49) 이다.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는, 110 nm,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2)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는, 120 nm,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는, 200 nm 였다.
박리 시트 (박리지) 는, 굴절률 조정 구분의 풀면측에 이형 처리가 되어 있다. 캐리어재로서의 기계적 강도도 요구된다. 투명 도전성층이 ITO 의 경우,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구체적으로는, PET, 폴리카보네이트 (PC), COP (제오노아) 이다.
이형 처리와는 별도로 박리 시트 (박리지) 의 편면 또는 양면에, 단일 또는 복수층의 기능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드 코트 (HC) 층 / 올리고머 방지층 / 블로킹 방지 (AB) 층 / 대전 방지층이다. 이들을 임의로 조합·복합화하여 형성된다. 박형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좋지만, 너무 얇으면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핸들링이 곤란해진다. 너무 두꺼우면, 권취 등으로 롤 형상으로의 취급이 곤란해져, 생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두께는 2 ∼ 2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125 ㎛ 이다.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있어서 기재와의 수축률차에서 기인하는 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투명 기체와 박리지의 동일 방향의 가열 치수 변화 (수축률) 의 차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의 각각의 구성 및 특징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점착제는, 광학적 투명성, 접착성, 응집성 (가공성) 이 우수한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성층이 ITO 의 경우,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및 폴리에테르계 점착제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응집성 및 접착성 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는 5 ㎛ ∼ 500 ㎛, 바람직하게는, 10 ㎛ ∼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150 ㎛ 이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보다 굴절률이 높은 재료가 좋다.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견딜 필요성에서, 수지 재료보다, 무기계의 고굴절률 재료가 바람직하다. TiO2, ZrO2, CeO2, Al2O3, BaTiO2, Nb2O5 및 SnO2 이들의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고굴절률 재료 입자의 평균 1 차 입경은, 3 nm ∼ 100 nm 가 바람직하다.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nm ∼ 600 nm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nm ∼ 3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nm ∼ 200 nm 이다.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와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적층체의 제작]
〈기재로서 제오노아 (COP) 를 사용하는 투명 도전성층 (투명 도전성 필름 (A)) 의 제작〉
두께 75 ㎛ 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상품명 : 「제오노아 ZF16」, 면내 복굴절률 : 0.0001, 닛폰 제온 (주) 제조) 의 양면에, 직경 3 ㎛ 의 복수의 입자 (상품명 : 「SSX105」, 세키스이 수지 (주) 제조) 를, 바인더 수지 (상품명 : 「유니디크 RS29-120」, DIC 사 제조) 100 부에 대해 0.07 부 첨가한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의 오븐하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각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양면에 안티 블로킹층을 갖는 필름을 형성했다 (이하, COP 기재). 다음으로, COP 기재의 편면에, 굴절률 조정제 (상품명 : 「오프스타 KZ6661」, JSR (주) 제조) 를 바 코터에 의해 도포하고, 80 ℃ 의 오븐하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각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두께 100 nm, 굴절률 1.65 의 굴절률 조정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COP 기재의 굴절률 조정층의 표면에, 권취식 스퍼터 장치에 있어서, 투명 도전성층으로서 두께 23 nm 의 인듐주석 산화물층 (ITO) 을 적층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투명 도전성층은, 도 6(a)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필름 (A) 에 상당하는 것이며,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재로서 PET 를 사용하는 투명 도전성층 (투명 도전성 필름 (B)) 의 제작〉
두께 50 ㎛ 의 PET 필름 (상품명 : 「루미라 : U40」 토오레사 제조) 의 편면에 직경 3 ㎛ 의 복수의 입자 (상품명 : 「SSX105」, 세키스이 수지 (주) 제조) 를, 바인더 수지 (상품명 : 「유니디크 RS29-120」, DIC 사 제조) 100 부에 대해 0.1 부 첨가한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80 ℃ 의 오븐하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각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편면에 막두께 1.5 ㎛ 의 안티 블로킹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조금 전 도공한 면과는 반대면에, 하드 코트용 수지 (상품명 : 「오프스타 KZ7540 (실리카 나노 입자 함유)」, JSR (주) 제조) 를 MIBK 로 고형분 10 % 가 되도록 조정한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80 ℃ 의 오븐하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막두께 1.5 ㎛ 의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필름을 형성했다 (이하, PET 기재).
다음으로, 조금 전 얻어진 하드 코트층 상에, 굴절률 조정제 (상품명 : 「오프스타 H0001 (지르코니아 나노 입자 함유)」, JSR (주) 제조) 를 MIBK 로 고형분 10 % 가 되도록 조정한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80 ℃ 의 오븐하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막두께 35 nm, 굴절률 1.63 의 굴절률 조정층 2 를 형성했다. 다음으로, 전술한 굴절률 조정층 2 상에, 굴절률 조정제 (상품명 : 「L-005 (중공 나노 실리카 입자 함유)」, JSR (주) 제조) 를 MIBK 로 고형분 1.5 % 가 되도록 조정한 도공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80 ℃ 의 오븐하에서 1 분간 건조 후, 적산 광량 300 mJ 의 자외선 (고압 수은등) 을 조사함으로써 막두께 40 nm, 굴절률 1.49 의 굴절률 조정층 1 을 형성했다. 그 후, 굴절률 조정층 (1, 2) 을 갖는 PET 기재 1 을, 권취식 스퍼터 장치에 투입하고, 굴절률 조정층 1 의 표면에, 투명 도전성층으로서 두께 23 nm 의 인듐주석 산화물층 (ITO) 을 적층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투명 도전성층은, 도 6(b)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필름 (B) 에 상당하는 것이며,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재로서 유리를 사용하는 투명 도전성층 (투명 도전성 유리 (C)) 의 제작〉
두께 1 mm 의 무알칼리 유리 (굴절률 1.53) 의 일방의 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20 nm 의 ITO 막을 형성하고, 비결정화 ITO 막 (굴절률 1.85) 을 갖는 투명 도전성 기재를 제작했다. 이 비결정성 ITO 박막의 Sn 비율은, 3 중량% 였다. 또한, ITO 박막의 Sn 비율은, Sn 원자의 중량/(Sn 원자의 중량 + In 원자의 중량) 으로부터 산출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투명 도전성층은, 도 6(c)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유리 (C) 에 상당하는 것이며,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투명 도전층은, 도전성을 갖는 투명성, 시인성을 가지며, 패터닝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TO 외에, 은나노 와이어나 메탈 메시 (은, 구리) 등이 있다. 또, 투명 기재는, 고투명성 (고투과율, 저헤이즈)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성층이 ITO 의 경우,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에칭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 가공성, 핸들링성도 우수하다.
투명 기재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PET, 폴리카보네이트 (PC), COP (제오노아) 등이다.
(투명 기재)
투명 기재로서는, 고투명성 (고투과율, 저헤이즈)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 도전성층이 ITO 의 경우, 고온의 결정화 처리 공정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에칭성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 가공성, 핸들링성도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예를 들어, PET, 폴리카보네이트 (PC), COP (제오노아) 등이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2 ∼ 2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25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두께가 2 ㎛ 미만이면, 투명 기재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필름 기재를 롤상으로 하여 투명 도전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조작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면, 권취 등으로 롤 형상으로의 취급이 곤란해져, 생산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투명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단일 또는 복수층의 기능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착 용이층 / 굴절률 조정층 / 하드 코트 (HC) 층 / 올리고머 방지층 / 블로킹 방지 (AB) 층이다. 이들을 임의로 조합·복합화하여 형성된다. 투명 기재에는, 표면에 미리 스퍼터링, 코로나 방전, 화염, 자외선 조사, 전자선 조사, 화성, 산화 등의 에칭 처리나 하도 (下塗) 처리를 실시하여, 기재 상에 형성되는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기능층을 형성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용제 세정이나 초음파 세정 등에 의해, 투명 기재 표면을 제진, 청정화해도 된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작〉
상기 서술에서 제작한 투명 도전성 필름 (A)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그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A1) 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면의 반대측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함으로써, 필름 기재의 일방의 면에 투명 도전성층이 있고, 반대의 면에 굴절률 조정 구분을 외측으로 하여 점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얻었다. 도 7(a) 는, 이와 같이 제작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사례〉
상기의 사례와 동일하게 하여, 투명 도전성 필름 (B)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그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면의 반대측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한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투명 도전성 필름 (A)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그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면의 반대측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한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을 각각 얻었다. 도 7(b) 및 (c)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및 (3) 을 나타낸다. 그들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투명 도전성 필름 (A)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A 의 일방의 면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투명 도전성 필름 (B)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B 의 일방의 면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및, 투명 도전성 필름 (A) 의 투명 도전성층을 갖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C 의 일방의 면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첩합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6) 을 각각 얻었다. 도 7(d) (e) 및 (f)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5) 및 (6) 을 나타낸다. 그들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레이어 구조로서 일반적인 GFF 타입 (커버 유리 + 편면 ITO 필름 2 매) 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만을 공급했을 경우, 종래형 GFF 작성 공정에 있어서는, X 패턴의 작성에서, 점착제 시트를 첩합하고, X 패턴측의 반송 캐리어재를 박리 (폐기) 하는 것을 실시하고, Y 패턴의 작성에서도, 점착제 시트를 첩합하고, Y 패턴측의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 (폐기) 하게 된다. 그리고, X 패턴과 Y 패턴을 첩합하는 공정에서, X 패턴측의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 (폐기) 하여, 커버 유리에 첩합하고, Y 패턴측의 반송 캐리어재를 박리 (폐기) 하게 된다. 요컨대, 종래형 GFF 작성 공정에서는, 첩합 횟수가 4 회가 되어, 반송 캐리어재 2 매 및 PET 세퍼레이터 2 매를 폐기하게 된다.
상기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작〉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공급했을 경우의 GFF 작성 공정 (즉, 일체품 사용 GFF 작성 공정) 에 있어서는, X 패턴의 작성에서, 점착제 시트를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의 PET 세퍼레이터의 박리 (폐기) 를 실시하여,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면에 Y 패턴을 첩합한다. 그리고, X 패턴과 Y 패턴을 첩합하는 공정에서, X 패턴측의 PET 세퍼레이터를 박리 (폐기) 하여, 커버 유리에 첩합하고, Y 패턴측의 반송 캐리어재를 박리 (폐기) 하게 된다. 요컨대, 일체품 사용 GFF 작성 공정에서는, 첩합 횟수가 3 회가 되어, 반송 캐리어재 1 매 및 PET 세퍼레이터 2 매를 폐기하게 된다. 종래형 GFF 작성 공정에 비해, 작성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대신에,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서 미리 도전층을 갖는 기재와 적층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점착제 시트의 표리의 반별이 곤란 등의 취급의 번잡함을 해소함과 함께, 첩합 공수의 삭감이나, 공정 부재의 삭감에 공헌한다.
〈터치 패널 센서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상기 투명 도전성층, 및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상의 일부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한 후, 이것을 25 ℃, 5 중량% 의 염산 (염화수소 수용액) 에 1 분간 침지하여, 투명 도전성층의 에칭을 실시했다. 이로써 전극 배선 패턴에 상당하는 투명 도전성층이 존재하는 부분 (패턴부) 과 제거된 부분 (개구부) 을 제작했다. 상기 서술한 점착제 시트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측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패터닝된 투명 도전성층 상에, 그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 (상기 고굴절률 입자를 갖는 측) 과 그 투명 도전성층이 접촉하도록, 그 점착제 시트를 적층했다. 점착제 시트의 반대측의 PET 박리 시트를 박리한 후에, 표면 보호 및 광학 측정을 위해서 슬라이드 유리 혹은, 두께 100 ㎛ 의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상품명 : 「제오노아 ZF16」, 면내 복굴절률 : 0.0001, 닛폰 제온 (주) 제조) 을 첩합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d) 및 도 9(a) 내지 (d)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들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평가 방법]
〈점착제층의 표면 상태의 관찰〉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측의 표면을, FE-SEM 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2 kV, 관찰 배율 500 배, 2,000 배, 5,000 배, 및 20,000 배로 관찰했다. 도 10 에 그 20,000 배 사진을 나타낸다. 고굴절률 재료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라데이션 구조의 관찰〉
실시예의 점착제층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를 갖는 측의 표면 근방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을 사용하여, 배율 30,000 배로 관찰했다. 그 결과를 도 9(a) (b) 에 나타낸다. 도 11(a) 에서는,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두께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고굴절률 재료 입자가 거의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지만, 도 11(b) 의 예에서는,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고굴절률 재료 입자의 분포가, 점착제층의 표면에서 가장 높고, 점착제층의 두께 방향에 따라 감소해 가는 분포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균 표면 굴절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층의 평균 표면 굴절률을, 분광 엘립소미터 (EC-400, JA. Woolam 제조) 를 사용하여 나트륨 D 선 (589 nm) 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측정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층에서는, 양면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입자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면에 흑판을 첩합한 상태로, 입자가 도포되어 있는 면의 평균 굴절률을 측정했다. 비교예의 점착 시트에서는, 양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일방의 면에 흑판을 첩합한 상태로, 점착제층 표면의 평균 굴절률을 측정했다.
〈굴절률 조정 구분 (층) 의 두께의 측정〉
점착제층의 깊이 방향의 단면을 조정하여, TEM 관찰을 실시했다. 얻어진 TEM 이미지 (직접 배율 3000 ∼ 30000 배) 로부터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의 측정을 계측했다. 굴절률 조정 구분의 두께는, 점착제 베이스층과의 조정 구분 (층) 의 계면의 요철의 평균치로 하고, 점착제 베이스층과의 계면의 판별이 곤란한 경우에는, 표면 TEM 이미지를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J) 로 2 치화 화상 처리하고, 나노 입자의 90 % 가 존재하는 영역의 깊이를 조정 구분 (층) 의 두께로 했다.
〈고굴절률 입자의 면적 비율〉
점착제층의 입자 도포측의 표면을, FE-SEM 을 사용하여, 가속 전압 2 kV, 관찰 배율 500 배, 2,000 배, 5,000 배로 관찰했다. 얻어진 표면 SEM 이미지를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 (ImageJ) 로 2 치화 화상 처리함으로써, 장변 23 ㎛, 단변 18 ㎛ 의 장방형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면적에 대한 면적으로서 고굴절률 입자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 (%) 을 구했다.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에서는, 고굴절률 재료를 도포한 측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슬라이드 유리 (상품명 : 백연마 No. 1, 두께 : 0.8 ∼ 1.0 mm, 전광선 투과율 : 92 %, 헤이즈 : 0.2 %, 마츠나미 글라스 공업 (주) 제조) 에 첩합했다. 또한 타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베이스 점착제층/점착성의 굴절률 조정용층/슬라이드 유리의 층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했다. 또, 비교예의 점착 시트에서는, 일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슬라이드 유리 (상품명 : 백연마 No. 1, 두께 : 0.8 ∼ 1.0 mm, 전광선 투과율 : 92 %, 헤이즈 : 0.2 %, 마츠나미 글라스 공업 (주) 제조) 에 첩합하고, 또한 타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베이스 점착제층/슬라이드 유리의 층 구성을 갖는 시험편을 제작했다. 상기 시험편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치를, 헤이즈미터 (장치명 : HM-150, (주)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180 도 필 접착력 (유리판에 대한 180 도 박리 접착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길이 100 mm, 폭 25 mm 의 시트편을 잘랐다.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편에서는, 입자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측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PET 필름 (상품명 : 루미라 S-10, 두께 : 25 ㎛, 토오레 (주) 제조) 을 첩부 (배접) 했다. 또, 비교예 1, 2 의 시트편에서는, 일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PET 필름 (상품명 : 루미라 S-10, 두께 : 25 ㎛, 토오레 (주) 제조) 을 첩부 (배접) 했다. 다음으로, 타방의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시험판으로서의 유리판 (상품명 : 소다라임 유리 #0050, 마츠나미 글라스 공업 (주) 제조) 에, 2 kg 롤러, 1 왕복의 압착 조건으로 압착하고, 시험판/점착제층/PET 필름으로 구성되는 샘플을 제작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해, 오토클레이브 처리 (50 ℃, 0.5 MPa, 15 분) 하고, 그 후, 23 ℃, 50 % R. H. 의 분위기하에서 30 분간 방랭했다. 방랭 후, 인장 시험기 (장치명 : 오토 그래프 AG-IS, (주)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이용하여, JIS Z0237 에 준거하여, 23 ℃, 50 % R. H. 의 분위기하, 인장 속도 300 mm/분, 박리 각도 180 °의 조건으로, 시험판으로부터 점착 시트 (점착제층/PET 필름) 를 떼어내고, 180 °박리 접착력 (N/25 mm) 을 측정했다. 또,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 미도포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고, 당해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 미도포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하게, 180 도 필 접착력을 측정했다.
〈고굴절률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투과율〉
고굴절률 입자를 함유하는 분산액의 투과율은, 광전 비색계 (AC-114, OPTIMA 사 제조) 로 530 nm 의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분산 용매 단독의 투과율을 100 % 로 하여,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분산액의 투과율 (%) 을 측정했다.
〈반사 억제율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부재 적층체의 일방의 면을 반사율 측정면으로 하고, 반대측의 면에 편면 점착이 형성된 흑색 PET (PET75NBPET38, 린텍 (주) 제조) 를 붙여 반사율 측정용의 시료로 했다. 광학 부재 적층체의 반사율 측정면측의 반사율 (Y 값) 을 반사형 분광 광도계 (U4100, (주)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제조) 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은, 투명 도전성층을 에칭한 부분과 에칭하지 않은 부분의 쌍방의 위치에서 실시했다. 즉, 투명 도전성층을 에칭한 부분 (개구부) 의 측정은, 점착제층의 굴절률 조정 구분과 광학 부재 적층체의 굴절률 조정층의 계면의 반사율이며, 에칭하지 않은 부분 (패턴부) 의 측정은, 점착제층의 굴절률 조정 구분과 투명 도전성층 계면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반사 억제율은, 에칭한 부분과 에칭하지 않은 부분의 각각에 대해, 하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했다. 또한, 하기 식 중의 「입자가 없는 경우의 반사율 (%)」 이란, 비교예 (입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의 광학 부재 적층체의 반사율이다. 즉, 반사 억제율은, 굴절률 조정 구분 (층) 을 가짐으로써 어느 정도 반사율을 저감할 수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반사 억제율 (%) = 반사율 (%) - 입자가 없는 경우의 반사율 (%)
[제 1 광학 부재의 제작]
제 1 광학 부재 (2) 로서, 도 6(a) 에 나타내는 적층체 (21) 와 도 6(b) 에 나타내는 적층체 (31) 를 준비했다. 도 6(a) 에 나타내는 적층체 (21) 는, 굴절률 1.53 의 COP 기재 (22) 의 일 표면 상에 굴절률 1.65 의 굴절률 조정층 (23) 이 형성되고, 그 굴절률 조정층 (23) 의 일 표면 상에, 패턴화된 ITO 층 (24) 이 형성된 구성이다. ITO 층의 굴절률은, 1.9 였다. 도면 중의 각 층에 기재한 수치는,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게 그 밖의 도면 (도 6 내지 도 9) 에 있어서 각 층에 기재된 수치는, 단위의 표기가 없으면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 적층체 (21) 를 「투명 도전성 필름 (A)」 라고 부른다.
도 6(b) 에 나타내는 적층체 (31) 는, 굴절률 1.57 의 PET 기재 (32) 의 일 표면 상에 굴절률 1.63 의 굴절률 조정층 (33) (굴절률 조정층 1) 이 형성되고, 그 굴절률 조정층 (33) 의 일 표면 상에, 추가로 굴절률 1.49 의 다른 굴절률 조정층 (33a) (굴절률 조정층 2) 이 형성되고, 그 굴절률 조정층 (33a) 상에, 패턴화된 ITO 층 (34) 이 형성된 구성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ITO 층의 굴절률은, 1.9 였다. 이 적층체 (31) 를 「투명 도전성 필름 (B)」 라고 부른다.
또한, 도 6(c)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유리 (C)」 라고 부르는 적층체 (41) 를 제작했다.
이 투명 도전성 유리 (C) 의 적층체 (41) 는, 굴절률 1.53 의 유리 기판 (42) 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ITO 층 (44) 을 형성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도 7(a) 에 나타내는 적층체 (51)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9 의 점착제 A 와 굴절률 1.66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A1) 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도 7(b) 에 나타내는 적층체 (52)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8 의 점착제 B 와 굴절률 1.75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에,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도 7(c) 에 나타내는 적층체 (53)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8 의 점착제 B 와 굴절률 1.64 의 굴절률 조정 구분을 갖는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도 7(d) 에 나타내는 적층체 (54)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9 의 시트상의 점착제 A 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이 첩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도 7(e) 에 나타내는 적층체 (55)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8 의 시트상의 점착제 B 에,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을 첩합하고,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이 첩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6)]
도 7(f) 에 나타내는 적층체 (56) 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에 대응하는 것이며, 굴절률 1.49 의 시트상의 점착제 C 에,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을 첩합하고,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이 첩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PET 박리 시트를 구비한 구성이다.
[실시예 1]
상기 서술한 〈터치 패널 센서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의 방법에 기초하여, 도 8(a)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8(a)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적층체 (5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적층체 (51)) 의 ITO 측의 면에,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A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A1)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광학 부재 적층체의 광학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b)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8(b)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적층체 (52))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2) (적층체 (52)) 의 ITO 측의 면에,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1)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c)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8(c)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적층체 (53))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3) (적층체 (53)) 의 ITO 측의 면에,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C1)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8(d)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8(d)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적층체 (51))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유리 (C) (적층체 (41)) 를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적층체 (51)) 의 ITO 측의 면에,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2) 의 굴절률 조정 구분측의 면을 첩합하고, 굴절률 조정층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 (B2)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비교예 1]
상기 서술한 〈터치 패널 센서로서 기능하는 광학 부재 적층체의 제조〉 의 방법에 기초하여, 도 9(a)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9(a)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적층체 (54)) 의 점착제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적층체 (54)) 의 ITO 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A 를 첩합하고, 시트상의 점착제 A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도 9(b)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9(b)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적층체 (55)) 의 점착제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5) (적층체 (55)) 의 ITO 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B 를 첩합하고, 시트상의 점착제 B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B) (적층체 (3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도 9(c)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9(c)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6) (적층체 (56)) 의 점착제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을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6) (적층체 (56)) 의 ITO 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C 를 첩합하고, 시트상의 점착제 C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필름 (A) (적층체 (2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비교예 4]
상기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도 9(d)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를 제작했다. 도 9(d) 에 나타내는 광학 부재 적층체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적층체 (54)) 의 점착제측의 면에, 투명 도전성 유리 (C) (적층체 (41)) 를 첩합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적층체 (54)) 의 ITO 측의 면에, 시트상의 점착제 (B') 를 첩합하고, 시트상의 점착제 (B') 의 다른 일방의 면에 평가용 제오노아 (57) 를 첩합한 구성이다. 반사율 측정을 위해서, 투명 도전성 유리 (C) (적층체 (41)) 의 COP 기재측의 면에 평가용의 흑색의 PET 필름 (58) 을 붙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에 대해, ITO 부분의 반사율 및 반사 억제율과 기재 부분의 반사율 및 반사 억제율을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내지 (3) 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 의 반사 억제율은 마이너스 1.3 % 내지 마이너스 0.8 % 가 되고,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내지 (3) (적층체 (51) 내지 (53)) 에 포함되는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에 의해, 반사가 억제되어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4 에서는,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4) 내지 (6) (적층체 (54) 내지 (56)) 에는 굴절률 조정 구분이 형성된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반사가 억제되는 일도 없어 개선 효과는 볼 수 없었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점착제가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 (1) 내지 (3) 은,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광학 부재와 제 2 광학 부재를 접합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제 2 광학 부재측의 면에서 두께 방향으로,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굴절률 조정 구분을 형성했으므로, 외광의 내부 반사광이 제 1 광학 부재를 통하여 돌아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광학적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터치 센서를 갖는 터치 패널 방식의 표시 장치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S : 점착제 시트
S1, S2 : 지지체
1 : 광학 부재 적층체
2 : 제 1 광학 부재
3, 13 : 투명한 점착제층
3a, 13a : 베이스 점착제 구분
3b, 13b : 굴절률 조정용 구분
4 : 제 2 광학 부재
7 : 투명 도전성층
17 : 고굴절률 재료 입자
19 : 분산액
20 : 점착제 베이스 재료
21, 31, 41 : 적층체
22 : COP 기재
23, 33, 33a, : 굴절률 조정층
24, 34, 44 : ITO 층
51, 52, 53, 54, 55, 56 : 적층체
57 : 평가용 제오노아
58 : 평가용 흑 PET

Claims (16)

  1.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로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의 투명한 점착제층과,
    상기 투명한 점착제층 상에 투명한 필름 기재와,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 상에 투명 도전성층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한 점착제층은, 일방의 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투명한 점착제 베이스 재료에 의해 본질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점착제 구분과, 그 점착제층의 타방의 주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투명한 점착성의 굴절률 조정용 구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점착제 구분은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와 접하고,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상기 지지체와 접하고,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와 상기 투명 도전성층의 사이에, 투명한 굴절률 조정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성층은 패턴화되어 있거나, 또는 패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정층은, 투명 도전층측 굴절률 조정층과 필름 기재측 굴절률 조정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도전층측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은, 상기 필름 기재측 굴절률 조정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필름 기재는, 두께가 2 ㎛ ∼ 2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두께가 20 nm ∼ 6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동일한 점착성 재료에, 그 점착성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가 분산되어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평균 굴절률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의 굴절률은 1.60 ∼ 2.7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는, TEM 관찰에 의한 평균 1 차 입자경이 3 nm ∼ 1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와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의 차가 0.15 ∼ 1.3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는, TiO2, ZrO2, CeO2, Al2O3, BaTiO3, Nb2O5, 및 SnO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복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와 동일한 점착성 재료에 그 점착성 재료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입자,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의 형태의 유기 재료가 포함됨으로써 그 굴절률 조정용 구분의 평균 굴절률을 높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베이스 재료의 굴절률은 1.40 ∼ 1.55 이며, 상기 유기 재료의 굴절률은 1.59 ∼ 2.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5. 제 7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재료의 입자는, 복수의 입자가 응집한 응집체의 형태로 존재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조정용 구분은,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 방향으로, 불규칙한 깊이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KR1020177022181A 2015-07-22 2016-07-11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KR101840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5219A JP6076419B2 (ja) 2015-07-22 2015-07-22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
JPJP-P-2015-145219 2015-07-22
PCT/JP2016/070434 WO2017014087A1 (ja) 2015-07-22 2016-07-11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導電性フィルム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223A true KR20170097223A (ko) 2017-08-25
KR101840992B1 KR101840992B1 (ko) 2018-03-21

Family

ID=5783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181A KR101840992B1 (ko) 2015-07-22 2016-07-11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59193B2 (ko)
JP (1) JP6076419B2 (ko)
KR (1) KR101840992B1 (ko)
CN (1) CN107405869A (ko)
SG (1) SG11201706970PA (ko)
TW (1) TWI602708B (ko)
WO (1) WO20170140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66B1 (ko) * 2018-10-02 2019-05-31 주식회사 한엘 마이크로 와이어와 비드를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제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안필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0367B (zh) * 2014-01-17 2017-04-26 日东电工株式会社 具有粘合剂层的光学构件叠层体及其制造方法
JP6060223B1 (ja) * 2015-07-22 2017-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カバー部材
WO2020110772A1 (ja) * 2018-11-28 2020-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フォルダブルデバイス、および、ローラブルデバイス
JP2021123611A (ja) * 2020-01-31 2021-08-3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12666312A (zh) * 2020-12-10 2021-04-16 成都冠佳科技有限公司 一种离型膜类型材质识别正反面的装置
CN116106999B (zh) * 2023-04-13 2023-08-22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扩散膜及偏光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430A (en) * 1991-06-26 1992-07-21 Polaroid Corporation High refractive index polymers
JP2000323075A (ja) * 1999-05-07 2000-11-24 Hitachi Ltd 陰極線管
JP4640740B2 (ja) 2000-12-04 2011-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組成物、感圧性接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JP3908934B2 (ja) * 2001-10-23 2007-04-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3342546A (ja) * 2002-05-30 2003-12-03 Panac Co Ltd 屈折率調整光学粘着剤及び光学用粘着シート
JP4618993B2 (ja) * 2003-10-02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US6842288B1 (en) 2003-10-30 2005-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optical adhesives and articles
JP2005322490A (ja) 2004-05-07 2005-11-17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564748B2 (ja) * 2007-11-15 2014-08-06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屈折率調整光学部材用透明粘着剤と光学用透明粘着層及び屈折率調整光学部材用透明粘着剤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用透明粘着層の製造方法
JP4756099B2 (ja) 2009-03-18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素子、光拡散素子付偏光板、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光拡散素子の製造方法
WO2011063089A2 (en) * 2009-11-20 2011-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face-modified adhesives
JP2011209512A (ja) 2010-03-30 2011-10-20 Lintec Corp 画像表示装置用飛散防止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JP5520752B2 (ja) 2010-09-01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を用いた光学部材,有機発光素子および照明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844996B2 (ja) * 2011-05-11 2016-01-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3142773A (ja) * 2012-01-11 2013-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低反射フィルム
JP5878056B2 (ja) 2012-03-27 2016-03-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US9477354B2 (en) 2012-11-16 2016-10-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ductive trace hiding materials, articles, and methods
KR20160048862A (ko) 2013-08-28 2016-05-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화성 아이소부틸렌 접착제 공중합체
JP6194358B2 (ja) 2014-01-17 2017-09-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粘着剤シート
CN105190367B (zh) * 2014-01-17 2017-04-26 日东电工株式会社 具有粘合剂层的光学构件叠层体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966B1 (ko) * 2018-10-02 2019-05-31 주식회사 한엘 마이크로 와이어와 비드를 포함하는 아크릴 점착제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안필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992B1 (ko) 2018-03-21
SG11201706970PA (en) 2017-09-28
WO2017014087A1 (ja) 2017-01-26
US10259193B2 (en) 2019-04-16
CN107405869A (zh) 2017-11-28
JP6076419B2 (ja) 2017-02-08
TWI602708B (zh) 2017-10-21
JP2017024262A (ja) 2017-02-02
TW201718250A (zh) 2017-06-01
US20170361568A1 (en)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992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JP6644752B2 (ja) 粘着剤層を有する光学部材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7521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가지는 투명 도전층부 커버 부재
KR101797081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제 시트
TW201710073A (zh) 具有透明黏著劑層及圖案化透明導電層的偏光薄膜層積體、和液晶面板及有機el面板
KR101939528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커버 부재
KR101819437B1 (ko) 투명한 점착제층을 갖는 도전성 필름 적층체
JP2017179383A (ja) 透明な粘着剤層を有する透明導電層付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