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609A -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609A
KR20170095609A KR1020160017242A KR20160017242A KR20170095609A KR 20170095609 A KR20170095609 A KR 20170095609A KR 1020160017242 A KR1020160017242 A KR 1020160017242A KR 20160017242 A KR20160017242 A KR 20160017242A KR 20170095609 A KR20170095609 A KR 20170095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marketing
product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팡코리아
심재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팡코리아, 심재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팡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1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5609A/ko
Publication of KR2017009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06Q20/045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 권한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ARKETING SERVICE}
본 발명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품 모델을 기초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 또는 서비스(이하, 상품이라 통칭함)에 대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비 시장의 활황으로 수많은 종류의 상품들이 생산, 유통, 판매되고 있다. 특히, 과일 음료 등과 같은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해서도 수많은 기업에서 생산된 상품들이 유통, 판매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점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상점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상품들이 판매되는 시장의 규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다수의 기업들은 자신의 상품에 대한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장 조사, 선전, 광고 등과 같은 마케팅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종래의 일반적인 광고는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과 같은 광고 매체의 사용에 따른 막대한 광고비가 들었다. 특히, 음식, 음료 등과 같은 식음료는 실제 마셔보거나, 실제 먹어보지 않고는 그 맛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에, 막대한 광고비를 들이고도 시장 진입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한 개의 상품을 구매하면 덤으로 동일한 상품 또는 다른 상품을 한 개 더 제공하는 1+1 행사를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하였으나, 이에 따른 신규 고객의 유입 효과는 미미하였다. 특히, 식음료 등의 경우, 고객이 실제 경험해보지 않은 신제품을 구매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신제품의 무상 배포 효과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경쟁사 대비 차별화 마케팅을 통한 신규 고객 창출 및 고정 고객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갖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면,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마케팅 서비스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고객에게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권한은, 상기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정 권한을 경품으로하는 증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경품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 중 당첨 고객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경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경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상기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정 정보는,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 상기 상품의 금액 정보, 상기 경품의 유효 기간 정보 및 상기 소정 권한에 따라 환급 가능한 아이템을 나타내는 환급 아이템 정보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정 권한을 알리는 경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품 메시지를 상기 당첨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영수증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되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영수증이 상기 환급을 위하여 재차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영수증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되고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상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아이템을 기 지정된 아이템 또는 상기 고객의 선택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후기 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고객에게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마케팅을 요청한 회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9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권한은, 상기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정 권한을 경품으로하는 증정 정보를 생성하는 증정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경품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 중 당첨 고객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경품을 결정하는 추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상기 당첨 고객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 요청에 따라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 모두의 상호 시너지 극대화로, 동반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고, 경쟁사 대비 절대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는 신상품 또는 기존 상품의 체험 마케팅를 통하여 저비용으로 고객들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하여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는 고객층이 주로 찾는 가맹점을 선정하여 방문 고객들에게 경품으로 또는 무상으로 해당 마케팅 상품의 이용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비용 대비 탁월한 마케팅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상품의 전략적 시장 공략, 재고 품목 조기 소진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가 있어 좋은 마케팅 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신상품의 경우 체험해보지 않고는 초기 구매가 쉽게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경품을 통한 배포 또는 무상 배포에 따른 고객 체험 마케팅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면,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는 경품 수령을 통하여 고객 방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고, 이는 신규 고객의 창출 또는 고객 이미지(인지도) 향상 등의 간접 효과 뿐만 아니라, 방문시 추가 구매 등을 통한 직접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면,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무상 또는 저렴하게 다양한 상품을 협찬받을 수 있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 입장에서도 본인이 원하는 날짜에 상점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구매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거부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의 사업 모델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품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 정보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영수증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 정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매 정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매 정보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의 사업 모델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케팅 서비스의 사업 모델(1000)은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이하, 의뢰사로 통칭함)(10),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이하, 마케팅 상품으로 통칭함)을 전시, 판매하는 회사(이하, 상점으로 통칭함)(20),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하, 서비스 제공사로 통칭함)(30), 판매점에 방문하여 판매 중인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의뢰사(10)는, 식음료 제조 회사 등과 같이, 상기 상점(20)에서 판매 가능한 상품을 생산, 유통, 제조하는 회사일 수 있다. 이러한 의뢰사(10)는 신상품 또는 기존 상품을 협찬, 무상 증정 또는 저가 제공 등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사(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뢰사(10)는 상기 제공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을 서비스 제공사(3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점(20)은 편의점, 쇼핑몰 등과 같이 상품을 전시, 판매하는 회사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사(30)는 의뢰사로부터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을 데이터화하여 고객(40)에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일 수 있다.
이러한, 마케팅 서비스의 사업 모델(1000)에 따르면, 의뢰사(10)는 마케팅이 필요한 상품을 선정하고, 마케팅이 필요한 상품(50)을 무상 또는 할인가로 서비스 제공사(30)에 제공할 수 있다(①). 마케팅 상품(50)은 상점(30)에 보내지고(②), 상점(20)은 해당 상품을 전시, 판매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사(30)는 마케팅 상품(50)에 대하여 데이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사(30)는 상점(30) 주변의 경품 서비스 가맹점들을 방문한 고객(40)들에게 경품으로 또는 무상 증정으로 마케팅 상품(50)에 대한 소정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③).
여기서, 소정 권한은 상품 구매 후 특정 시점에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즉, 소정 권한은 환급 권한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한을 구비한 고객(40)은 상점(20)을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50)을 구매하고, 구매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④). 일 예로, 마케팅 상품이 음료수인 경우, 고객은 음료수를 구매 후 마실 수 있다.
이 후, 고객(40)은 구매 후 이용한 마케팅 상품(50)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다(⑤).
이러한 본 발명의 마케팅 서비스 사업 모델(1000)에 따르면, 의뢰사는 신상품 또는 기존 상품의 체험 마케팅를 통하여 저비용으로 원하는 고객들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하여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의뢰사는 고객층이 주로 찾는 가맹점을 선정하여 방문 고객들에게 경품으로 또는 무상으로 해당 마케팅 상품의 이용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비용 대비 탁월한 마케팅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뢰사는 특정 상품의 전략적 시장 공략, 재고 품목 조기 소진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가 있어 좋은 마케팅 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신상품의 경우 체험해보지 않고는 초기 구매가 쉽게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경품 배포 또는 무상 배포에 따라 고객 체험 마케팅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사업 모델(1000)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도 2 내지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0)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 고객 단말 장치(200), 결제 단말 장치(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의뢰사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증정 대상으로 이용하기 위한 증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증정이란 고객에게 소정 권한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무상으로 증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권한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증정 정보는 마케팅이 요청된 복수의 상품 각각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상품 식별 정보, 마케팅이 요청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금액을 나타내는 금액 정보,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소정 권한에 따라 환급 가능한 아이템을 나타내는 환급 아이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증정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 중 당첨 고객을 결정하고,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증정품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정된 증정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는 고객 휴대폰 번호, 고객 ID 등과 같이 복수의 고객들 각각을 식별 가능하게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경품에 응모하는 경우, 고객의 단말 장치(200-1,..200-N)는 유무선 통신망(300)을 통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경품 응모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경품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 중 당첨 고객을 결정하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증정 정보를 기초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수량 내에서 당첨 고객에게 제공할 경품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에 따라 당첨 고객에게 마케팅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이 부여되고, 해당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기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관련 정보는 구매 상품의 식별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금액 정보, 바코드 정보, 영수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 관련 정보는 고객 단말 장치(200) 및 결제 단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단말 장치(200)는 상점을 이용하는 고객이 구비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 장치(300)는 상점에 구비되어 주인, 종업원, 매니저 등과 같은 판매자의 결제 처리를 도와주는 장치, 예를 들어, 상점의 상품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와 자료를 수집, 처리해 주는 POS(Point Of Sales) 장치, 신용 카드 조회 단말기(Credit Authorization Terminal : CAT),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의 자격 여부를 검증하고, 고객이 구매한 상품과 증정품의 일치 여부를 검증하며, 환급 신청의 중복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만약, 권한을 갖는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고객이 구매한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모바일 쿠폰, 기프티콘, 문화 상품권, 현금 및 백화점 상품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0)은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 의뢰사 서버(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2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해당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고객에게 마케팅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들로부터 마케팅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마케팅 정보는 의뢰사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신부(110), 증정 정보 생성부(120), 추첨부(130), 저장부(140), 구매 정보 처리부(150),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 제어부(17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증정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증정 서비스 응모 요청을 수신하고, 당첨된 고객의 단말 장치(100)에 증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통신부(110)는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관련 정보는 구매 상품의 식별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금액 정보, 바코드 정보, 영수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 관련 정보는 상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구비한 고객 단말 장치(200) 및 상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모바일 아이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쿠폰, 기프티콘 등이 생성되면, 통신부(110)는 생성된 아이템을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메시지 서버를 이용하여 IM(Instant Messag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등의 형태로 모바일 아이템을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통신하는 USB 인터페이스 모듈,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증정 정보 생성부(120)는 의뢰사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마케팅이 요청된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증정품으로 이용하기 위한 증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권한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일 예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상점 내 판매 금액이 4000원인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증정품으로 제공받은 고객은 신용 카드, 현금 등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금액 4000원을 결제할 수 있다. 이 후, 고객은 구매 상품의 금액 4000원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가치를 갖는 아이템으로 지출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증정 정보는 마케팅이 요청된 복수의 상품 각각을 식별 가능하게하는 상품 식별 정보, 마케팅이 요청된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한 금액을 나타내는 상품 금액 정보,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증정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증정품 유효 기간 정보, 상기 소정 권한에 따라 환급 가능한 아이템을 나타내는 환급 아이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증정 정보 생성부(120)는 증정 정보를 이용하여 증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증정 메시지는 당첨된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정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정 메시지는 서비스 제공사(30)의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201), 증정품에 대한 의뢰사 정보, 판매점 정보,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202), 증정품으로 제공받은 메시지의 권한을 나타내는 영역(203), 권한의 유효 기간, 수량을 나타내는 영역(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정 메시지는 IM(Instant Messag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등의 형태로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은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증정 서비스 응모에 대한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추첨부(130)는 응모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응모 요청에 대한 당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사는 상술한 마케팅 서비스 뿐만 아니라, 경품 응모, 경품 당첨 등을 관리하는 경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경품 서비스 가맹점에 방문하면, 해당 가맹점은 방문 고객에게 경품 서비스에 응모할 수 있는 응모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가맹점에서 제공된 응모권을 이용하여 경품 서비스에 응모한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추첨부(130)는 수신된 경품 응모 요청에 대한 당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첨부(130)는 복수의 가맹점 각각에 대한 당첨 확율을 가맹점 별 마케팅 비용에 따라 차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품 응모 요청이 수신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추첨부(130)는 경품 응모 요청에 포함된 가맹점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가맹점 정보에 대응되는 당첨 확율에 기초하여 수신된 경품 응모 요청에 대한 당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첨부(130)는 다양한 추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품 응모 요청에 대한 당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첨부(130)는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증정품을 결정하고, 결정된 증정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당첨 고객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첨부(130)는 음료수, 과자, 아이스크림 등과 같이 마케팅이 요청된 복수의 상품들 중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증정품을 결정하고, 결정된 증정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당첨 고객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첨부(130)는 증정 정보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증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증정 메시지는 통신부(110) 및 메시지 서버를 통하여 당첨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40)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의뢰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 식별 정보, 상품 금액 정보, 수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하기 표 1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의뢰사 식별 정보 상품 식별 정보 금액 정보 수량 정보
의뢰사 A
음료수 A 1000원 1000개
과자 B 800원 2000개
의뢰사 B
음료수 C 1500원 3000개
아이스크림 D 1200원 2500개
또한, 증정 정보 생성부(120)에서 상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기초로 증정 정보가 생성되면, 저장부(140)는 추첨부(130)에서 결정된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에 상기 증정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의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 등과 같이 복수의 고객들을 식별 시킬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140)는 하기 표 2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고객 식별 정보 상품 식별 정보 금액 정보 유효 기간 정보 환급 아이템
정보
고객 A 음료수 A 1000원 2016.01.31까지 모바일 쿠폰 A
고객 B 과자 B 800원 2016.02.25까지 기프티콘 B
또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통신부(110)는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고, 저장부(140)는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해당 고객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관련 정보는 구매 상품의 식별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금액 정보, 바코드 정보, 영수증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의 구매 후기가 업로드되면, 저장부(140)는 구매 후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에서 마케팅을 요청한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마케팅 정보가 생성되면, 저장부(140)는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매 정보 처리부(150)는 고객의 마케팅 상품 구매에 따라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종 판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 정보 처리부(15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매 정보 처리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매 정보 처리부(150)는 권한 판단부(151), 중복 판단부(153), 아이템 결정부(155)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권한 판단부(151)는 고객의 환급 신청에 따라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권한 판단부(151)는 상품 구매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를 이용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는 도 7과 같을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영수증 이미지는 상점 정보(501), 상품 식별 정보(502), 상품 수량 정보(502), 상품 금액 정보(502), 결제 수단 정보(503), 바코드 정보(5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 정보(504)는 상술한 상점 정보(501), 상품 식별 정보(502), 상품 수량 정보(502), 상품 금액 정보(502), 결제 수단 정보(503) 뿐만 아니라, 결제 시기 정보 등을 담고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바코드 정보(504)는 각각의 결제 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코드 형태로 삽입되어, 복수의 영수증 각각을 구별가능하게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권한 판단부(151)는, 아래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같이,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로, 마케팅 상품에 대한 환급 권한을 갖는 고객이 마케팅 상품 구매 후 구매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수증을 촬영하면, 통신부(110)는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 및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권한 판단부(151)는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수신된 고객의 식별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술한 표 2의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로, 마케팅 상품에 대한 환급 권한을 갖는 고객이 마케팅 상품 구매 후 구매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수증을 촬영하면, 고객 단말 장치(200)는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 장치(200)는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권한 판단부(151)는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고객 식별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술한 표 2의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로, 마케팅 상품에 대한 환급 권한을 갖는 고객이 마케팅 상품 구매 후 구매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기 위하여, 판매자에게 환급을 요청하면, 상점에 구비된 POS 장치와 같은 결제 단말(300)은 상품 식별 정보,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권한 판단부(151)는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고객 식별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상술한 표 2의 매핑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로, 권한 판단부(151)는 제1,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객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제3 실시 예에 따른 결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크로스체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 따르면, 영수증은 종이 위에 구매 관련 정보가 인쇄된 실물 영수증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영수증은 구매 관련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전자 장치에서 표출 가능한 형태인 전자 영수증일 수 있다. 만약, 영수증이 전자 영수증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술한 예시에서 실물 영수증 촬영 과정을 생략될 수 있고, 단지 전자 영수증을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상술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구매 영수증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급을 신청하는 경우, 상품 구매에 따른 영수증은 한 개이나, 영수증 이미지는 공유되어 복수의 사람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한 개의 영수증을 기초로 복수의 환급 신청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한 개의 영수증으로 여러 번 환급 신청하거나 또는 한 개의 영수증으로 복수의 사람 각각이 환급 신청하는 경우, 복수의 환급 신청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중복 판단부(153)는 고객의 환급 신청이 중복 신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복 판단부(153)는 고객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환급 신청이 중복 신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복 판단부(153)는 고객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영수증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독출하고, 환급 신청이 완료되면 독출된 바코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의 환급 신청이 접수되면, 기 저장된 바코드 정보와 환급 신청에 따라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에 포함된 바코드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의 환급 신청이 중복 신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 판단부(153)는 영수증이 환급을 위하여 재차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이 환급 권한을 갖는다고 판단되면, 아이템 결정부(155)는 고객에게 제공할 아이템을 기 지정된 아이템 또는 고객의 선택 아이템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모바일 쿠폰, 기프티콘, 문화 상품권, 현금 및 백화점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결정된 아이템이 모바일 쿠폰, 기프티콘 등과 같이 모바일 상에서 이용 가능한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 결정부(155)는 모바일에서 이용 가능한 형태의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아이템은 IM(Instant Messag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등의 메시지 형태로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아이템이 현금인 경우, 현금은 계좌 이체를 통하여 해당 고객의 계좌로 자동으로 입금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아이템이 문화 상품권, 백화점 상품권 등과 같이 실물 형태의 아이템인 경우, 우편 등을 통하여 해당 고객의 거주지에 배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된 아이템은 상술한 다양한 형태로 고객 측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아이템 결정부(155)는 구매한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가 수신된 건에 대해서만 아이템 결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아이템 결정부(155)를 제어하여 후기 정보가 수신된 이 후,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기 정보를 작성한 고객에게만이 상기 아이템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구매 후기 작성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자신의 단말 장치(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구매 후기를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후기는 상품에 대한 느낌을 문장으로 서술하는 주관식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선호도 등을 등급으로 나눠서 선택형으로 입력가능한 객관식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입력된 후기를 기초로 고객에 대한 평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구매 후기가 주관식 형태로 입력되는 경우, 좋은 내용, 성의 없는 내용을 구분하여 고객을 평가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수신된 고객의 후기 정보를 기초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마케팅 상품의 기간 별 판매 수량, 상점 별로 판매 수량 등을 기초로 판매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마케팅 상품들 중 판매되지 않은 상품의 수량을 기초로 회수 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고객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영수증 이미지를 기초로 영수증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등을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마케팅 정보는 의뢰사 서버(400) 또는 의뢰사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이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증정 정보 생성부(120), 추첨부(130), 저장부(140), 구매 정보 처리부(150), 마케팅 정보 생성부(16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여,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게되면,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여기서, 구매 관련 정보는 구매 상품의 식별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 고객의 식별 정보, 구매 금액 정보, 바코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 관련 정보는 고객 단말 장치(200) 및 결제 단말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2). 구체적으로,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이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고객이 환급 신청이 중복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소정 권한은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경품으로하는 증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1). 여기서, 증정 정보는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 상기 상품의 금액 정보, 유효 기간 정보 및 상기 소정 권한에 따라 환급 가능한 아이템을 나타내는 환급 아이템 정보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202).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경품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 중 당첨 고객을 결정하고, 당첨된 고객에게 제공할 경품을 결정할 수 있다(S203).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결정된 경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S204).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마케팅 상품을 구매하면,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05).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와 기 저장된 증정 정보를 비교하여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6).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7).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생성된 증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정 권한을 알리는 경품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경품 메시지를 상기 당첨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마케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마케팅을 요청한 회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207)는 후기 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고객에게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 권한을 증정품으로 제공받은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특정 상품을 구매/결제한 경우, 구매 정보 처리부(15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권한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특정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상품에 대한 영수증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증정품으로 제공받은 소정 권한에 따라 구매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수증을 촬영할 수 있다(S301). 여기서,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는 도 7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 장치(200)는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 및 고객 식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302).
이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의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에서 상품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S303).
그리고,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와 수신된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표 2와 같은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소정 권한은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S304:Y),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S305). 그리고, 생성된 아이템을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306).
다만,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지 않는 경우(S304:N),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권한 없을음 통지할 수 있다(S307).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권한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특정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상품에 대한 영수증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증정품으로 제공받은 소정 권한에 따라 구매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기 위하여, 자신의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수증을 촬영할 수 있다(S401).
그리고, 고객 단말 장치(200)는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S402).
그리고, 고객 단말 장치(200)는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403).
이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표 2와 같은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다(S404). 여기서, 소정 권한은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S404:Y),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S405). 그리고, 생성된 아이템을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406).
다만,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지 않는 경우(S404:N),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권한 없을음 통지할 수 있다(S407).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권한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특정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상점의 판매원에게 소정 권한을 기초로 구매 상품에 대한 환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원은 고객에게 휴대폰 번호, ID 등과 같은 고객 식별 정보를 문의하고, 문의에 따라 획득된 고객 식별 정보를 결제 단말 장치(300)의 결제 화면에 입력할 수 있다(S501). 그리고, 판매원은 결제 화면 상에서 상품에 대한 환급을 신청할 수 있다(S502).
이 경우, 결제 단말 장치(300)는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S503).
이 경우,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표 2와 같은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다(S504). 여기서, 소정 권한은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일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S504:Y),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생성할 수 있다(S505). 그리고, 생성된 아이템을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S506).
다만, 고객이 소정 권한을 갖지 않는 경우(S404:N), 고객의 단말 장치(200)에 권한 없을음 통지할 수 있다(S507).
한편, 상술한 도 10 내지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결제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고객이 구매 상품에 대하여 환급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크로스체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 요청에 따라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 모두의 상호 시너지 극대화로, 동반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고, 경쟁사 대비 절대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는 신상품 또는 기존 상품의 체험 마케팅를 통하여 저비용으로 고객들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수행하여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마케팅을 요청하는 회사는 고객층이 주로 찾는 가맹점을 선정하여 방문 고객들에게 증정품 해당 마케팅 상품의 이용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비용 대비 탁월한 마케팅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상품의 전략적 시장 공략, 재고 품목 조기 소진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가 있어 좋은 마케팅 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신상품의 경우 체험해보지 않고는 초기 구매가 쉽게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경품 배포 또는 무상 증정에 따른 고객 체험 마케팅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본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면,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는 경품 수령을 통하여 고객 방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고, 이는 신규 고객의 창출 또는 고객 이미지(인지도) 향상 등의 간접 효과 뿐만 아니라, 방문시 추가 구매 등을 통한 직접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을 활용하게 되면,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무상 또는 저렴하게 다양한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어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 입장에서도 본인이 원하는 날짜에 상점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해당 구매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거부감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장치들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200 : 고객 단말 장치
300 : 결제 단말 장치 400 : 의뢰사 서버

Claims (15)

  1.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고객에게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권한은,
    상기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정 권한을 증정 대상으로 하는 증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증정 서비스에 응모한 고객에게 제공할 증정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증정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상기 당첨 고객의 식별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정 정보는,
    상기 상품의 식별 정보, 상기 상품의 금액 정보, 유효 기간 정보 및 상기 소정 권한에 따라 환급 가능한 아이템을 나타내는 환급 아이템 정보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소정 권한을 알리는 증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증정 메시지를 상기 당첨 고객의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영수증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되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의 식별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수신된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바코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영수증이 상기 환급을 위하여 재차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영수증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에서 촬영되고 상기 촬영에 따른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상품 식별 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고객의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독출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에 따른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상점에 구비된 결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상품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매핑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상기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고객에게 제공할 아이템을 기 지정된 아이템 또는 상기 고객의 선택 아이템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후기 정보가 수신된 이후에 상기 고객에게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마케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마케팅을 요청한 회사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케팅 정보는,
    마케팅 상품에 대한 고객 후기 정보, 회수 내역 정보, 판매 내역 정보, 영수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14.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에 대하여 소정 권한을 가지는 고객이 상점에 방문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구매에 따른 구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구매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객이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소정 권한을 갖는 경우, 상기 고객에게 상기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되는 소정 금액의 가치를 갖는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권한은,
    상기 마케팅이 요청된 상품의 구매 후, 상품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권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품에 대한 마케팅이 요청되면, 상기 상품에 대한 상기 소정 권한을 증정 대상으로 하는 증정 정보를 생성하는 증정 정보 생성부;
    상기 생성된 증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증정 서비스에 응모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할 증정품을 결정하는 추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경품에 대응되는 증정 정보를 상기 당첨 고객의 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17242A 2016-02-15 2016-02-15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70095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242A KR20170095609A (ko) 2016-02-15 2016-02-15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242A KR20170095609A (ko) 2016-02-15 2016-02-15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609A true KR20170095609A (ko) 2017-08-23

Family

ID=5975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242A KR20170095609A (ko) 2016-02-15 2016-02-15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56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81B1 (ko) * 2018-10-15 2019-10-10 주식회사 블루비즈 Ccp를 인터페이스 하는 smart haccp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81B1 (ko) * 2018-10-15 2019-10-10 주식회사 블루비즈 Ccp를 인터페이스 하는 smart haccp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391B2 (ja) 特典付与方法、特典付与装置及び特典付与システム
RU230145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хран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электронных ваучер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или персонального цифрового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600987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dynamic purchase incentive
US20130080321A1 (en) Method for Recipient Orientated Financial Services
US20120215615A1 (en) Conditional Partial Refund Based on Units Sold
US20140095219A1 (en) Use of Ticket for Purchasing
US20120116919A1 (en) Method for Recipient Orientated Financial Services
US20130297403A1 (en) Marketing based discounts and local heat clouds
JP2010092087A (ja) 商品販売システム、商品販売方法
US201500325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n-line transactions and/or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JP7203940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910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 selling of goods and services among non-affiliated retail merchants
KR101838242B1 (ko) 장바구니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JP2019021286A (ja) 情報処理装置
JP4703836B2 (ja) メンバー管理システム
JP720497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361753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95609A (ko)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3026835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ffering promotions based on real time tracking of consumer activities
KR2013009769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US20220245660A1 (en) Payment system and payment method, which use discount coupon capable of changing discount rate
TW201903671A (zh) 用於共享電子票據的方法
KR102221705B1 (ko) 가맹점과 구매자 간에 합리적 보상을 지원하는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4048A (ko) 광고출력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0658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