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5474A -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 Google Patents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5474A
KR20170095474A KR1020160016816A KR20160016816A KR20170095474A KR 20170095474 A KR20170095474 A KR 20170095474A KR 1020160016816 A KR1020160016816 A KR 1020160016816A KR 20160016816 A KR20160016816 A KR 20160016816A KR 20170095474 A KR20170095474 A KR 20170095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line
truck
automated materia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승훈
Original Assignee
주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승훈 filed Critical 주승훈
Priority to KR102016001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5474A/ko
Publication of KR2017009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coustic signals, e.g. ultra-sonic sing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non-visible light signals, e.g. IR or UV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인력중심의 지개차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화물시스템과 연동을 통하여 효율적인 화물적재를 돕고 인력낭비와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한다. 주행 방법은 라인트레이서를 응용하며 장애물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지개차 앞에 초음파 센서를 구비해 놓았다.

Description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Automated material redirect Truck}
본 발명은 물류창고에서 인력의 비용 및 인원을 최소화 하기위해 지게차를 무인으로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시스템입니다. 물류 시스템 메인 서버에서는 화물 적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지게차는 라인 트레이서의 기술을 응용하여 행선지를 찾고 물건을 적재 장소에 올려놓습니다.
일반적인 지게차의 경우 지게차 안에 운전수가 조종을 해야 하므로 인력의 필요는 필수가 되고 물류가 많이 들어오는 택배회사의 경우 주야간으로 계속적인 물류가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인력에는 한계가 있고 안전사고 역시 일어나기 쉬운 환경입니다.
본 발명품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물류시스템과 지게차량의 통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창고안의 환경에 따라서 통신의 범위 및 통신 신호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사람이 직접운전하는 것은 아니므로 장애처리는 시간이 걸린다. 또한 라인 트레이서의 특징상 라인이 있는 장소만을 따라서 주행하기 때문에 공장의 구조 변환 또는 확장시 라인을 재 설계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 발명품에 사용되는 통신 기기인 블루투스 통신 대신에 무선랜 통신을 이용한여 통신 거리를 대폭 늘리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좋으며 빠른 장애 처리를 위한 장애 발생시에 관리자에게 TCP를 통한 핸드폰 메시지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라인트레이서를 영상처리로 대처하여 특정 장소에 붙어있는 이미지를 인식시켜서 그곳에 물류를 적재하는 방법으로 라인트레이서를 대처하는 방법이 있다.
사람이 지게차를 이용하여 물건을 옮기는 인건비와 안전사고 방지 및 야간 작업에 훌륭하며 또한 라인트레이서용 적외선 모튤과 영상처리용 카메라를 함께 운영함으로써 더욱오차율이 줄어들 것이다. 이는 24시간 운영되는 택배 물류센터에서의 지대한 장점이 될것 이고 자동 화물관리 시스템으로 인해 사람의 실수를 방지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것 이다.
도 1 : 부품과 지개차의 내부 전경
적외선 센서는 흰색 또는 검은색 라인을 인식하여 1의 전압 출력값을 가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면 지게차가 진행하는 반향아래에 흰색 라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데 이런 적외선 센서를 3개 이상 지게차 아랫쪽에 배치해두고 가운데 센서가 휜색의 라인을 인식하면 양쪽의 바퀴쪽의 모터를 돌리고 만약 오른쪽의 센서에서 흰색의 라인이 검출되면 왼쪽의 바퀴만을 돌려서 중심을 잡고 오른쪽의 센서에 흰색 라인이 검출된다면 오른쪽 바퀴만을 돌려서 다시 라인으로의 중심을 잡는 것으로 주행을 하게 되도록 하고, 화물의 파렛트 부분의 하단에 NFC를 통해서 화물의 내용물을 확인한 후 지게차 내부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서 외부의 메인 서버에 정보를 보냅니다. 그 후 메인 서버인 컴퓨터에서는 관리자가 입력한 데이터 내용으로 화물이 적재되어야할 공간의 위치지점을 전송해줍니다.
1 : 해당 카메라는 라인의 오차를 줄이기위한 영상처리 카메라 부분으로 적외선센서에서 나오는 오차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2 : 초음파센서로 주행시의 장애물의 유무 판단
3 : 서보모터를 이용한 주행
4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명령하달

Claims (1)

  1. 청구항1.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화물의 주행간의 장애물 인식 및 무인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하는 라인트레이서의 응용 과 화물인식을 위한 NFC통신부분
KR1020160016816A 2016-02-14 2016-02-14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KR20170095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816A KR20170095474A (ko) 2016-02-14 2016-02-14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816A KR20170095474A (ko) 2016-02-14 2016-02-14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474A true KR20170095474A (ko) 2017-08-23

Family

ID=5975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816A KR20170095474A (ko) 2016-02-14 2016-02-14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5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4615A (zh) * 2018-09-20 2019-02-12 深圳蓝胖子机器人有限公司 办公楼送货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4615A (zh) * 2018-09-20 2019-02-12 深圳蓝胖子机器人有限公司 办公楼送货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0416A1 (en) Method, system and related device of implementing vehicle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US11203337B2 (en) Vehicle with autonomous driving capability
US10043154B2 (en) Processing container images and identifiers using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nd geolocation
US10662045B2 (en) Control augm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guided vehicles
KR101319045B1 (ko) 무인 화물 이송로봇
KR101812088B1 (ko)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원격제어방식의 무인반송시스템
US11927956B2 (en) Methods for transitioning between autonomous driving modes in large vehicles
US11975955B2 (en) Autonomous material transport vehicl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of
WO2020010859A1 (zh) 实现自动运输货物的系统及相关设备
US11360478B2 (en)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n autonomous industrial truck and intra-logistics system with an autonomous industrial truck
CN109081272A (zh) 一种基于激光与视觉混合引导的无人转运叉车及方法
US20120013453A1 (en) RFID Safety System and Method
KR20170095474A (ko) 자동 물류 적재 지게차
US20240025717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90088135A (ko) 자율주행 화물차량 관제 시스템 및 방법
Bostelman Towards improved forklift safety: white paper
KR20200119401A (ko) 자율주행물류로봇 및 자율주행물류로봇의 주행방법
US20240017696A1 (en) Chain of custody provenance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1999384B2 (en) Travel route generation device and control device
WO2024057871A1 (ja) 移動ロボット、サーバ、移動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制御方法
KR20230134633A (ko) 차량,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49349A (ko) 배송로봇 및 엘리베이터 간 연계 기반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E542850C2 (en) A safety method, a control device, a vehicle, a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60137157A (ko)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경광등 신호 자동인식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ulf et al. Assistance and Automation for Commercial Vehicles at Freight Dep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