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486A -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486A
KR20170093486A KR1020160014944A KR20160014944A KR20170093486A KR 20170093486 A KR20170093486 A KR 20170093486A KR 1020160014944 A KR1020160014944 A KR 1020160014944A KR 20160014944 A KR20160014944 A KR 20160014944A KR 20170093486 A KR20170093486 A KR 20170093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sub terminal
dispose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2688B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88B1/ko
Priority to JP2017017488A priority patent/JP6831255B2/ja
Publication of KR2017009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소형화가 가능한 플러크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부, 상기 제1 측부과 마주 보는 제3 측부, 상기 제2 측부과 마주 보는 제4 측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부를 포함하는 제1 몰드부, 상기 제1 측부에 배치된 제1 서브 단자, 상기 제4 측부에 배치된 제2 서브 단자 및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된다.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PLUG CONNECTOR, SOCKE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형화된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플러그이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플러그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2015-0068919호는 커넥터 본체에 장전되는 보강 기구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수요자들은 단자들의 피치를 더 좁게 형성하고, 커넥터들의 전체적인 높이를 감소시키며, 소형화할 것을 점점 더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커넥터들은 기판 상의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전기 소자들을 위하여 충분한 크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함과 동시에 소형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소형화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형화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강한 체결력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곳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부, 상기 제1 측부과 마주보는 제3 측부, 상기 제2 측부과 마주보는 제4 측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부를 포함하는 제1 몰드부; 상기 제1 측부에 배치된 제1 서브 단자, 상기 제4 측부에 배치된 제2 서브 단자 및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부에 배치되는 제3 서브 단자, 상기 제2 측부에 배치되는 제4 서브 단자 및 상기 제3 서브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서브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4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4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부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 체결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태이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사각형태를 둘로 나누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하여 선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비대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단자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부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3 서브 단자의 일부는 상기 제3 측부의 상면을 감쌀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소켓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5 측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6 측부, 상기 제5 측부과 마주 보는 제7 측부, 상기 제6 측부과 마주 보는 제8 측부 및 상기 제5 내지 제8 측부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플러그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몰드부; 상기 제5 측부에 배치된 제5 서브 단자, 상기 제6 측부에 배치된 제6 서브 단자 및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5 단자; 및 상기 제8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5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8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7 측부에 배치되는 제7 서브 단자, 상기 제8 측부에 배치되는 제8 서브 단자 및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7 단자; 및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6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7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6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태이며,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상기 사각형태를 둘로 나누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7 단자와 상기 제6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고, 상기 제6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가 입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6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서로 비대면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서로 체결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서브 단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서브 단자 및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5 서브 단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6 서브 단자 및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5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5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8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5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제8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와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4 서브 단자,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배치된 제3 서브 단자 및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상기 제3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3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4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마주보는 제7 서브 단자, 상기 제8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8 서브 단자 및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7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6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6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단자는 상기 제6 단자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제4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와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단자는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2 서브 단자는 제6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되, 상기 제3 서브 단자는 상기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4 서브 단자는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6 서브 단자는 상기 제2 서브 단자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2 서브 단자의 두 측벽과 접촉하고, 상기 제8 서브 단자는 상기 제4 서브 단자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4 서브 단자의 두 측벽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전원 전기 신호이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데이터 전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의 두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되는 단자를 포함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은 제1 몰드부(110), 제1 단자(120), 제2 단자(140), 제3 단자(130) 및 제4 단자(150)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몰드부(110)은 제1 측부(111), 제2 측부(112), 제3 측부(113) 및 제4 측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111), 제2 측부(112), 제3 측부(113) 및 제4 측부(11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측부(111)와 제3 측부(113) 각각은 제2 측부(112)와 제4 측부(114)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제1 몰드부(1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측부(111)과 제3 측부(113)은 제1 방향(Y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부(112) 및 제4 측부(114)는 제2 방향(X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측부(111)은 제3 측부(113)과 서로 마주 볼 수 있으며, 제2 측부(112)와 제4 측부(114)는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제1 몰드부(110)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측부(111)에는 제1 단자(120)의 일부가 배치되고, 제2 측부(112)에는 제2 단자(140)과 제3 단자(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부(113)에는 제3 단자(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측부(150)에는 제4 단자(150)과 제1 단자(12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내지 제4 단자(120, 140, 130, 150)의 배치 및 형태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과 비교하여, 제1 내지 제4 단자(120, 140, 130, 150)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 몰드부(110)을 생략하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자(120)은 제1 서브 단자(121), 제2 서브 단자(123) 및 제1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단자(121)은 제1 측부(111)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서브 단자(123)은 제4 측부(11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자(140)은 제2 측부(112)에 배치되어, 제2 서브 단자(123)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제3 서브 단자(131)은 제3 측부(113)에 배치되어, 제1 서브 단자(121)과 서로 마주 볼 수 있고, 제4 서브 단자(133)는 제2 측부(112)에 배치되어 제4 단자(150)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제4 단자(150)은 제4 측부(114)에 배치되어, 제4 서브 단자(133)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단자(121)은 제1 측부(111)의 측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제2 서브 단자(123)은 제4 측부(114)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4 측부(114)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단자(121)은 제1 측부(111)의 상면 및 외측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단자(123)은 제4 측부(114)의 내측벽, 외측벽 및 상면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2 단자(140)은 제2 측부(112)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2 측부(1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제2 측부(112)의 내측벽, 외측벽 및 상면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3 서브 단자(131)은 제3 측부(113)의 측면 및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며, 제3 측부의 상면 및 외측벽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제4 서브 단자(133)는 제2 측부(112)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2 측부(1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제2 측부(112)의 내측벽, 외측벽 및 상면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4 단자(150)은 제4 측부(114)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4 측부(114)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제4 측부(114)의 내측벽, 외측벽 및 상면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2 서브 단자(123), 제2 단자(140), 제4 서브 단자(133) 및 제4 단자(150)은 각각이 배치된 측부의 내측벽 및 외측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단자(121)과 제3 서브 단자(131) 각각은 제1 측부(111)와 제3 측부(113)의 상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100)가 소켓 커넥터로 삽입 시에 제1 몰드부(110),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측부(111)와 제3 측부(113)의 뭉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서브 단자(121)와 제3 서브 단자(131)은 각각이 배치된 측부의 외측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체결되는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서브 단자(123)은 제4 측부(114)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4 측부(114)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단자(123)은 제4 측부(114)의 내측벽과 외측벽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2 단자(140)은 제2 측부(112)의 상면 및 측면을 덮으면서 제2 측부(1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고, 제2 측부(112)의 내측벽과 외측벽 상에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단자(121)가 제1 방향(Y1)을 따라 배치된다면, 제2 서브 단자(123)과 제4 단자(15)은 제2 방향(X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서브 단자(131)이 제1 방향(Y1)을 따라 배치된다면, 제4 서브 단자(133)과 제2 단자(140)은 제2 방향(X1)으르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몰드부(110)은 플러그 커넥터(100)의 상면에서 바라봤을 때, 사각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20)와 제3 단자(130)은, 제1 측부(111)과 제2 측부(112)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제3 측부(113)과 제4 측부(114)가 연결되는 지점으로 연결되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서로 선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140)와 제4 단자(150)은 서로 비대면할 수 있다.
제1 서브 단자(121)과 제2 서브 단자(123)은 제1 연결부(122)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22)를 통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3 서브 단자(131)과 제4 서브 단자(133)은 제2 연결부(132)를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32)를 통해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자(120)는 제2 단자(140)과 다른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자(130)은 제4 단자(150)과 다른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자(120)과 제3 단자(130)은 플러그 커넥터(100)가 배치되는 보드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120)과 제3 단자(13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1 단자(120)과 제3 단자(1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120)이 플러스 전원 단자인 경우, 제3 단자(130)은 마이너스 전원 단자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단자(140)과 제4 단자(150)은 상기 보드 상의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2 단자(140)과 제4 단자(150)가 동일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단자(120, 130, 140, 150) 각각은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단자(120)와 제3 단자(130) 각각은 두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된다. 따라서, 세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단자(120)와 제3 단자(130) 각각은 두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되므로, 플러그 커넥터(100)와 연결된 보드 및 전자 소자에 충분한 크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단자(120, 140, 130, 150) 각각은 플러그 커넥터(100)가 배치되는 보드 등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내지 제4 솔더 영역(123b, 140b, 133b, 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솔더 영역(123b, 140b, 133b, 150b)에 솔더(solder)가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100)와 보드 간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120)은 제1 걸림쇠(121a)를 포함하고, 제3 단자(130)은 제2 걸림쇠(13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걸림쇠(121a)와 제2 걸림쇠(131a)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100)와 소켓 플러그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제2 서브 단자(123)은 제1 체결홈(123a)을 포함하고, 제4 단자(150)은 제4 체결홈(150a)를 포함한다. 도면 상에 표현되지 않았지만, 제2 단자(140)과 제3 서브 단자(131) 역시 제1 체결홈(123a)과 동일한 형태의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0a, 150b)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100)와 소켓 플러그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소켓 커넥터(200)은 제2 몰드부(210), 제5 단자(220), 제6 단자(250), 제7 단자(230) 및 제8 단자(240)을 포함한다. 또한, 도 4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몰드부(210)은 제5 측부(211), 제6 측부(212), 제7 측부(213) 및 제8 측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부(211), 제6 측부(212), 제7 측부(213) 및 제8 측부(21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5 측부(211)와 제7 측부(213) 각각은 제6 측부(212)와 제8 측부(214)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어 제2 몰드부(210)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측부(211)과 제7 측부(213)은 제1 방향(Y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6 측부(212) 및 제8 측부(214)는 제2 방향(X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5 측부(211)은 제7 측부(213)과 서로 마주 볼 수 있으며, 제6 측부(212)와 제8 측부(214)는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제2 몰드부(210)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을 다시 참조하면, 제5 측부(211)에는 제5 단자(220)의 일부가 배치되고, 제6 측부(212)에는 제5 단자(220)의 나머지 일부와 제6 단자(25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 측부(213)에는 제7 단자(2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고, 제8 측부(214)에는 제8 단자(240)과 제7 단자(2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5 내지 제8 단자(220, 230, 240, 250)의 배치 및 형태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와 비교하여, 제5 내지 제8 단자(220, 230, 240, 250)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2 몰드부(210)을 생략하였다.
제5 단자(220)은 제5 서브 단자(221), 제6 서브 단자(223) 및 제3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제5 서브 단자(121)은 제5 측부(211)에 배치될 수 있고, 제6 서브 단자(223)은 제6 측부(2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22)를 통해, 제5 서브 단자(221)는 제6 서브 단자(223)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6 서브 단자(223)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벤딩부(223b)와 제1 돌출부(2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벤딩부(223b)와 제5 돌출부(223a)를 통해, 소켓 커넥터(200)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단자와 적어도 두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제6 단자(250)은 제6 측부(2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단자(250)는 제6 벤딩부(250b)와 제6 돌출부(2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단자(230)은 제7 서브 단자(231), 제8 서브 단자(233) 및 제4 연결부(232)를 포함한다. 제7 서브 단자(231)은 제7 측부(213)에 배치될 수 있고, 제8 서브 단자(233)은 제8 측부(214)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연결부(232)를 통해, 제7 서브 단자(231)는 제8 서브 단자(233)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8 서브 단자(233)은 서로 마주보는 제7 벤딩부(233b)와 제7 돌출부(2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단자(240)은 제8 측부(214)에 배치되어, 제6 서브 단자(223)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제8 단자(240)은 서로 마주보는 제8 벤딩부(240b)와 제8 돌출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5 서브 단자(221)가 제1 방향(Y1)을 따라 배치된다면, 제6 서브 단자(223)과 제6 단자(250)은 제2 방향(X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 서브 단자(231)이 제1 방향(Y1)을 따라 배치된다면, 제8 서브 단자(233)과 제8 단자(240)은 제2 방향(X1)으르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몰드부(110)은 소켓 커넥터(200)의 상면에서 바라봤을 때, 사각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5 단자(220)와 제7 단자(230)은, 제5 측부(211)과 제8 측부(214)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제6 측부(213)과 제7 측부(213)가 연결되는 지점으로 연결되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서로 선대칭될 수 있다.
또한, 제6 단자(250)와 제8 단자(240)은 서로 비대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5 단자(220)는 제8 단자(240)과 다른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7 단자(230)은 제6 단자(250)과 다른 종류의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5 단자(220)과 제7 단자(230)은 소켓 커넥터(200)가 배치되는 보드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5 단자(220)과 제7 단자(23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5 단자(220)과 제7 단자(2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단자(220)가 플러스 전원 단자인 경우, 제7 단자(230)는 마이너스 전원 단자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6 단자(250)과 제8 단자(240)은 상기 보드 상의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6 단자(250)과 제8 단자(240)가 동일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 단자(220, 230, 240, 250) 각각은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5 단자(220)와 제7 단자(230) 각각은 두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된다. 따라서, 세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소켓 커넥터(2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제5 단자(220)와 제7 단자(230) 각각은 두 개의 측부에 걸쳐 형성되므로, 소켓 커넥터(200)와 연결된 보드 및 전자 소자에 충분한 크기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자(220)은 제5 걸림턱(221a)를 포함하며,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시에, 제1 걸림쇠(121a)와 제5 걸림턱(221a)는 서로 맞닿아 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7 단자(230)은 제7 걸림턱(231a)를 포함하며,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 시에, 제2 걸림쇠(131a)와 제7 걸림턱(231a)는 서로 맞닿아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플러그 커넥터(100)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소켓 커넥터(200)가 결합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제1 몰드부(110)은 도 1의 제1 몰드부(110)와 달리 제2 몰드부(210) 내로의 삽입을 위하여 뒤집힌 형상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서브 단자(123)과 제2 단자(140)은 점선 방향으로 제2 몰드(210) 내로 삽입되어, 각각 제6 서브 단자(223)와 제8 단자(240)와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체결홈(140a) 내로 제8 돌출부(240b)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단자(140)는 제8 돌출부(240b)와 제8 밴딩부(240a)의 적어도 두 지점에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홈(123a) 내로 제5 돌출부(223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서브 단자(123)은 제5 돌출부(223a)와 제5 밴딩부(223b)의 적어도 두 지점에서 접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서브 단자(121)과 제3 서브 단자(131)은 점선 방향으로 제2 몰드(210) 내로 삽입되어, 각각 제5 서브 단자(221)과 제7 서브 단자(231)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7 걸림턱(231a)과 제2 걸림쇠(131)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비록, 도면 상에는 제7 걸림턱(231a)과 제2 걸림쇠(131)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7 걸림턱(231a)과 제2 걸림쇠(131)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제5 걸림턱(221a)과 제1 걸림쇠(121a)는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비록, 도면 상에는 제5 걸림턱(221a)과 제1 걸림쇠(121a)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5 걸림턱(221a)과 제1 걸림쇠(121a)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플러그 커넥터와 비교하여, 제2 단자와 제3 서브 단자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고, 제2 서브 단자와 제4 단자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몰드부(110), 제1 단자(120), 제2 단자(140), 제3 단자(130) 및 제4 단자(150)을 포함한다. 제1 단자(120)은 제1 서브 단자(121), 제2 서브 단자(123) 및 제1 연결부(122)를 포함하고, 제3 단자(130)는 제3 서브 단자(131), 제4 서브 단자(133) 및 제2 연결부(132)를 포함한다.
나아가, 제2 단자(140)과 제4 서브 단자(133)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170)을 포함하고, 제4 단자(150)과 제2 서브 단자(123)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신호 단자(16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2 신호 단자(160) 각각은 신호 단자 체결홈(16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록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170) 역시 신호 단자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170)과 복수 개 의 제2 신호 단자(160) 각각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170) 각각과 복수 개 의 제2 신호 단자(160) 각각이 서로 마주 보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신호 단자(170)와 제2 신호 단자(160) 각각을 다섯 개씩 도면 상에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발명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제1 신호 단자(170)와 제2 신호 단자(160)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소켓 커넥터와 비교하여, 제2 단자와 제3 서브 단자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고, 제2 서브 단자와 제4 단자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신호 단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가 포함하는 단자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제2 몰드부(210), 제5 단자(220), 제6 단자(250), 제7 단자(230) 및 제8 단자(240)을 포함한다. 제5 단자(220)은 제5 서브 단자(221), 제6 서브 단자(223) 및 제3 연결부(222)를 포함한다. 제7 단자(230)은 제7 서브 단자(231), 제8 서브 단자(233) 및 제4 연결부(232)를 포함한다.
나아가, 제6 단자(250)과 제6 서브 단자(223) 사이에 복수 개의 제3 신호 단자(270)을 포함하고, 제8 단자(240)과 제8 서브 단자(233) 사이에 복수 개의 제4 신호 단자(26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3 신호 단자(270) 각각은 제3 신호 단자 돌출부(270a)와 제3 신호 단자 밴딩부(270b)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4 신호 단자(260) 역시 제4 신호 단자 돌출부와 제4 신호 단자 밴딩부(26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신호 단자(270)과 복수 개 의 제4 신호 단자(260) 각각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제3 신호 단자(270) 각각과 복수 개 의 제4 신호 단자(260) 각각이 서로 마주 보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신호 단자(270)와 제4 신호 단자(260) 각각을 다섯 개씩 도면 상에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발명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제3 신호 단자(270)와 제4 신호 단자(260)의 개수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였다. 상술한 설명에서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가 보드 또는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는 프린트 회로 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플렉시블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 및 케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제1 몰드
120: 제1 단자
140: 제2 단자
130: 제3 단자
150: 제4 단
210: 제1 몰드
220: 제5 단자
250: 제6 단자
230: 제7 단자
240: 제8 단자

Claims (20)

  1. 소켓 커넥터로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측부, 상기 제1 측부과 마주 보는 제3 측부, 상기 제2 측부과 마주 보는 제4 측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측부를 포함하는 제1 몰드부;
    상기 제1 측부에 배치된 제1 서브 단자, 상기 제4 측부에 배치된 제2 서브 단자 및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부에 배치되는 제3 서브 단자, 상기 제2 측부에 배치되는 제4 서브 단자 및 상기 제3 서브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서브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3 단자; 및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4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4 단자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부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 체결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태이며,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는 상기 사각형태를 둘로 나누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 대칭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플러그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는 서로 비대면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단자의 일부는 상기 제1 측부의 상면을 감싸고, 상기 제3 서브 단자의 일부는 상기 제3 측부의 상면을 감싸는 플러그 커넥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신호 단자들과,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상기 제4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신호 단자들을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9.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5 측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6 측부, 상기 제5 측부과 마주 보는 제7 측부, 상기 제6 측부과 마주 보는 제8 측부 및 상기 제5 내지 제8 측부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는 플러그 커넥터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몰드부;
    상기 제5 측부에 배치된 제5 서브 단자, 상기 제6 측부에 배치된 제6 서브 단자 및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5 단자; 및
    상기 제8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5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8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소켓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측부에 배치되는 제7 서브 단자, 상기 제8 측부에 배치되는 제8 서브 단자 및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7 단자; 및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이격되고 상기 제6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상기 제7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6 단자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몰드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태이며,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상기 사각형태를 둘로 나누는 대각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 대칭되는 소켓 커넥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자와 상기 제6 단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소켓 커넥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전원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고, 상기 제6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소켓 커넥터.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자와 상기 제8 단자는 서로 비대면하는 소켓 커넥터.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3 신호 단자들과, 상기 제8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신호 단자들을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16. 서로 체결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서브 단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서브 단자 및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단자와,
    상기 제2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5 서브 단자,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6 서브 단자 및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5 단자와,
    상기 제6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5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8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5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와 제8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와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4 서브 단자, 상기 제1 서브 단자와 마주 보고 배치된 제3 서브 단자 및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상기 제3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3 단자와, 상기 제4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4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마주보는 제7 서브 단자, 상기 제8 단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8 서브 단자 및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7 단자와,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마주보고 상기 제6 단자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6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7 단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단자는 상기 제6 단자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3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상기 제4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와 다른 종류의 전기 신호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
  18. 상기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단자는 상기 제5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2 서브 단자는 제6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되,
    상기 제3 서브 단자는 상기 상기 제7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고, 상기 제4 서브 단자는 상기 제8 서브 단자와 대면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서브 단자는 상기 제2 서브 단자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2 서브 단자의 두 측벽과 접촉하고, 상기 제8 서브 단자는 상기 제4 서브 단자의 일부를 감싸 상기 제4 서브 단자의 두 측벽과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전원 전기 신호이고,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제4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데이터 전기 신호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60014944A 2016-02-05 2016-02-05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47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44A KR102472688B1 (ko) 2016-02-05 2016-02-05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7017488A JP6831255B2 (ja) 2016-02-05 2017-02-02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44A KR102472688B1 (ko) 2016-02-05 2016-02-05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486A true KR20170093486A (ko) 2017-08-16
KR102472688B1 KR102472688B1 (ko) 2022-11-30

Family

ID=5956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944A KR102472688B1 (ko) 2016-02-05 2016-02-05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831255B2 (ko)
KR (1) KR102472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1847A1 (ja) * 2021-03-26 2022-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996A (ja) * 2009-02-27 2010-09-09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5106529A (ja) * 2013-12-02 2015-06-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KR20150075029A (ko) * 2013-12-24 2015-07-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JP2015135816A (ja) * 2014-01-17 2015-07-2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60009491A (ko) * 2014-07-16 2016-01-2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996A (ja) * 2009-02-27 2010-09-09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5106529A (ja) * 2013-12-02 2015-06-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KR20150075029A (ko) * 2013-12-24 2015-07-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JP2015135816A (ja) * 2014-01-17 2015-07-27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20160009491A (ko) * 2014-07-16 2016-01-2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688B1 (ko) 2022-11-30
JP2017139226A (ja) 2017-08-10
JP6831255B2 (ja)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2233B2 (en) Connector having a reduced height and increased soldering strength and socket for use in the same
US7575439B2 (en) Speaker connector
US848583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10195589A1 (en) Socket connector having a recess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on a side thereof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6866524B2 (en)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and connector mounting method
KR102333832B1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654814B1 (ko) 기판조립체
JP2007109522A (ja) 電気コネクタ
US7547236B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103920B1 (ko)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조립체
KR20190048538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20070026708A1 (en)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WO2008001453A1 (fr) Connecteur de câble coaxial
US1120141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93486A (ko) 플러그 커넥터,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516938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5026439B2 (ja) コネクタ
KR102319024B1 (ko)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80060651A (ko)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US20230378687A1 (en) Connection Structure
CN106450851B (zh) 公端连接器
KR100587008B1 (ko) 기판모듈의 섀시 결합구조
US20130035002A1 (en) Power connector assembly
JP2001143833A (ja) 接続変換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