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283A -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 Google Patents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283A
KR20170092283A KR1020160013428A KR20160013428A KR20170092283A KR 20170092283 A KR20170092283 A KR 20170092283A KR 1020160013428 A KR1020160013428 A KR 1020160013428A KR 20160013428 A KR20160013428 A KR 20160013428A KR 20170092283 A KR20170092283 A KR 20170092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a
ceramic
coating
steel pipe
pri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875B1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16001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8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09D7/12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 관한 것으로,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은 수용성 에폭시 수지 25~55중량%, 물 10~35중량%, 세라믹계 결합재 25~45중량%, 첨가제 0.01~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제와, 폴리머캡탄 25~55중량%,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 5~10중량%, 무수물 경화제 5~20중량%, 페날카민 10~15중량%, 및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주제 3~4 중량 대 경화제 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냄새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 이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고 습윤면에 시공가능할 뿐만 아니라, 강관 면의 습기를 제거하여, 폴리우레아 도장막의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CERAMIC PRIMER COMPOSITIONS FOR COATING METAL PIPE HARDENED IN HIGHLY WET ENVIRONMENT, POLYUREA COATING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강관 내면 또는 외면의 코팅을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서, 폴리우레아 시공전 사용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프라이머로서, 냄새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 이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고 습윤면에 시공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습기를 제거하여 폴리우레아 도장막의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의 강관은 물, 화학물질, 또는 이물질이 혼입된 하수 등의 다양한 물질을 이송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어, 내수성, 내식성, 내구성, 내굴곡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등 양호한 특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강관의 내부면 및/또는 외부면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 등의 수지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는 공법이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건조가 빠르고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스프레이 장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폴리우레아 수지를 강관에 도장하는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폴리우레아는 일반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Isocyanate Prepolymer)와 아민(Amine)의 연쇄 반응으로 생성되는 수지로서, 기존의 에폭시나 우레탄에 비하여 건조시간이 빠르고 매우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용범위가 광범위하다. 예컨대 폴리우레아는 약품탱크, 배관, 파이프, 강관용, 각종 철근이나 강관 구조물, 선박, 화학공장, 정유시설, 발전소, 수처리시설 등등의 표면보호용이나 바닥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코팅공법은, 일반적으로 바탕정리단계, 프라이머 도포단계, 폴리우레아 도포 단계, 및 탑코팅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우레아를 강관 면에 직접 도장하는 경우, 강관 면의 건조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져 들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우레아를 도장하기 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된다. 기존에는 프라이머로서 우레탄 또는 에폭시 계열의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있으나, 휘발 성분이 많아 환기가 필요하거나, 반응 속도가 늦거나, 온도와 습기에 취약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많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7247호(2007년 11월 19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001577호(2010년 12월 17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금속 관인 강관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의 코팅을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서, 특히 폴리우레아 시공전 사용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프라이머로서, 냄새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 이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고 습윤면에 시공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장면의 습기를 제거하여 폴리우레아 도장막의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은 수용성 에폭시 수지 25~55중량%, 물 10~35중량%, 세라믹계 결합재 25~45중량%, 첨가제 0.01~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제와, 폴리머캡탄 25~55중량%,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 5~10중량%, 무수물 경화제 5~20중량%, 페날카민 10~15중량%, 및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3~4 중량 대 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제 중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Figure pat00001
(여기서, R1, R2는 탄소수 1~6의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t-부틸, s-부틸, n-펜틸, 이소펜틸, t-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등을 나타내고, n은 평균 반복수로 1<n<30이며, Ep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다)으로 표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제 중 세라믹계 결합재는 알루미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패각 중 적어도 하나의 미분말(입도 10~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제 중 첨가제는, 노닐 페놀 에톤시레이트 또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혼합물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과황산 암모늄 또는 아황산수소 나트륨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침전방지제, 지연제, 난연제, 소포제, 분산제, 결합제, 가소제 및 무기계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제 중 경화촉진제는 트리-n-부틸아민, 벤질메틸아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닐)페놀을 포함하는 제3급 아민류,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을 포함하는 이미다졸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은 강관 구조물의 표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청소단계; 청소된 강관 표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장하는 단계; 도장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이 경화된 후 그 위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 도장하는 단계; 및 도장된 폴리우레아 위에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 면의 코팅을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에서, 특히 폴리우레아 시공전 사용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프라이머로서, 냄새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 이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고, 습윤면에 시공가능할 뿐만 아니라, 강관면 습기를 제거하여, 폴리우레아 도장막의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에폭시 수지 및 세라믹계 결합재를 포함하는 주제와 상온 이하 저온에서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는 폴리머캡탄 등의 화합물을 경화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냄새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며 상온 이하 저온에서 경화 가능하고 습윤면에 시공가능하며, 강관 면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계 결합재에 패각 부산물을 사용함으로써 부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유용하고, 친환경성이 향상된 새로운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 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습윤 프라이머이다. 주제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 25~55중량%, 물 10~35중량%, 세라믹계 결합재 25~45중량%, 첨가제 0.01~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경화제는 폴리머캡탄 25~55중량%,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 5~10중량%, 무수물 경화제 5~20중량%, 페날카민 10~15중량%, 및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제와 경화제는 따로 보관하다가 필드에서 작업시 3~4 중량 대 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2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의 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성 에폭시 수지 25~55중량%, 물 10~35중량%, 세라믹계 결합재 25~45중량%, 첨가제 0.01~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제 중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종래에 알려져 있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 및 수분산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기 화학식:
Figure pat00002
(여기서, R1, R2는 탄소수 1~6의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t-부틸, s-부틸, n-펜틸, 이소펜틸, t-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등을 나타내고, n은 평균 반복수로 1<n<30이며, Ep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다)으로 표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무색 무취 투명하며 물에 의해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서, 종래 단독으로 또는 세라믹계 충전재를 추가한 프라이머, 또는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형 프라이머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내충격성, 내마모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내약품성, 내수성, 내용제성 등 화학적 성능이 우수하며 부착성과 내구력 등이 우수하고, 특히 냄새가 거의 나지 않아 환기가 잘 되지 않는 장소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상기 주제 중량에 대해 25~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가 주제 중량에 대해 25중량%보다 적으면, 원하는 부착성을 얻기 어렵고 주제 중량에 대해 55중량%보다 많으면, 세라믹계 결합재의 양이 적어져서 본 발명에서 원하는 추가 물성을 얻기 어렵다.
상기 주제 중 세라믹계 결합재는 알루미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패각 중 적어도 하나의 미분말(입도 10~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알루미나 분말(입도 10~60㎛)은 내마모성, 내부식성, 및 절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에 비해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분말(입도 10~60㎛)은 열충격에 강한 특성을 가지며, 내부식성이 뛰어나고 고온 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지르코니아 분말(입도 10~60㎛)는 실온에서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며, 금속에 가까운 인성을 가진다.
실리콘 카바이드 분말(입도 10~60㎛)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특히 1400℃의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패각 미분말(입도 10~60㎛)은, 굴, 조개 등과 같은 패류의 껍데기로서, 단백질 등을 제거한 후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제 중 물은 성분들을 혼합하여 적절한 작업 농도(예컨대, 프라이머 조성물의 고형물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제 중량에 대해 10~3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프라이머 작업시 프라이머 조성물의 고형분의 함량을 예컨대 조성물 중량 대비 10중량% 정도로 낮추어 시공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프라이머의 고형분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 도장된 프라이머 피막 두께가 두꺼워져 도리어 부착성능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2액형 프라이머 조성물의 경화제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가 상온 이하의 저온에서 중합반응을 유도하여 경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폴리머캡탄 25~55중량%,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 5~30중량%, 페날카민 10~15중량%, 및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머캡탄은 에폭시 수지의 경화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점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 폴리머캡탄으로서 예컨대 3-플루오로-보로모-폴리머캡탄계를 사용하는 경우 에폭시 수지가 상온이하의 저온에서 경화가 가능해진다. 폴리머캡탄은 25~55중량%을 경화제 중량에 대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캡탄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경화 온도가 상승할 수 있고, 그 함량이 5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경화제 성분의 첨가량이 제한될 수 있다.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은 경화반응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을 높이며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흡수를 억제하고 경화제의 독성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은 경화제 중량에 대해 5~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의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 효과가 미약할 수 있고, 그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경화제 성분의 첨가량이 제한될 수 있다.
페날카민은 수분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페날카민은 경화제 중량에 대해 10~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날카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프라이머 조성물이 습윤면에 적용될 때 기능저하 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그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경화제 성분의 첨가량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주제 중 첨가제는, 노닐 페놀 에톤시레이트 또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혼합물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과황산 암모늄 또는 아황산수소 나트륨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침전방지제, 감수제, 지연제, 난연제, 소포제, 결합제, 가소제 및 무기계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소포제는 강관 내의 기공을 제거하여 강관의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소포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물질, 예컨대 알콜계 소포제, 실리콘계 소포제, 지방산계 소포제, 오일계 소포제, 에스테르계 소포제,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소포제로는 디메틸실리콘유, 폴리오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이 있고, 상기 지방산계 소포제로는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오일계 소포제로는 등유, 동식물유, 피마자유 등이 있고, 상기 에스테르계 소포제로는 솔리톨트리올레이트, 글리세롤모노리시놀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옥시알킬렌계 소포제로는 폴리옥시알킬렌,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등이 있으며, 상기 알콜계 소포제로는 글리콜(glycol) 등이 있다.
분산제는 내구성이 개선된 초속경 칼라 시멘트 강관 조성물의 분산성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분산제는 폴리칼본산계,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등이 있으나 폴리칼본산계 분산제 사용이 바람직하다.
지연제는 조성물의 급격한 작업성 손실 방지 및 이상응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되, 상기 지연제는 타르타릭산 및 시트릭산을 1종 또는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계 안료는 조성물의 칼라를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 안료는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크롬 (Cr2O3), 자색 산화철 및 흑색 산화철(카본 블랙) 중 1 또는 2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색, 녹색, 황색, 흑색, 청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중 경화촉진제는 경화제 중량 대비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트리-n-부틸아민, 벤질메틸아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닐)페놀을 포함하는 제3급 아민류,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을 포함하는 이미다졸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주제와 경화제는 사용시 중량비로 3~4 : 1로 교반하여 붓 등의 도구로 1차적으로 부분 도포하고, 롤러나 분사장비 등을 이용하여 1회 또는 수회 전체적으로 도포한다. 프라이머의 도막 두께는 1회 도포시 약 0.1~3mm 정도이며, 수회 도포시 전체 두께가 1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 도막은 도포된 후 약 1 ~ 2시간 안에 경화되며, 경화된 프라이머층 위에 폴리우레아를 도포할 수 있다. 폴리우레아 수지는 약 70~80℃ 온도에서 토출압력 150~200kg/㎠으로 분사될 수 있고, 1~2회 도장하여 폴리우레아 도막층을 1.5~2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은 강관 구조물의 표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청소단계; 청소된 강관 표면에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장하는 단계; 도장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이 경화된 후 그 위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 도장하는 단계; 및 도장된 폴리우레아 위에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장한 후, 폴리우레아를 도장함으로써, 강관 표면과 폴리우레아 도막층이 강하게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윤면에 대해 작업 가능하고, 강관 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 폴리우레아 도장막의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 등 품질이 향상된 폴리우레아 코팅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수용성 에폭시 수지 25~55중량%, 물 10~35중량%, 세라믹계 결합재 25~45중량%, 첨가제 0.01~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제와,
    폴리머캡탄 25~55중량%, 변성 지방성 폴리아민 5~10중량%, 무수물 경화제 5~20중량%, 페날카민 10~15중량%, 및 경화촉진제 10~3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제를
    상기 주제 3~4 중량부 대 상기 경화제 1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중 수용성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Figure pat00003

    (여기서, R1, R2는 탄소수 1~6의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n-부틸, t-부틸, s-부틸, n-펜틸, 이소펜틸, t-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등을 나타내고, n은 평균 반복수로 1<n<30이며, Ep는 에폭시계 화합물이다)으로 표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중 세라믹계 결합재는 상기 주제 중 세라믹계 결합재는 알루미나,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지르코니아, 실리콘 카바이드, 패각 중 적어도 하나의 미분말(입도 10~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 중 첨가제는, 노닐 페놀 에톤시레이트 또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혼합물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과황산 암모늄 또는 아황산수소 나트륨을 포함하는 산화방지제, 침전방지제, 지연제, 난연제, 소포제, 분산제, 결합제, 가소제 및 무기계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중 경화촉진제는 트리-n-부틸아민, 벤질메틸아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닐)페놀을 포함하는 제3급 아민류, 2-메틸이미다졸, 2에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을 포함하는 이미다졸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하는 폴리우레아 코팅공법으로서,
    강관 구조물의 표면의 불순물 및 열화 부위를 제거하는 청소단계;
    청소된 강관 표면에 상기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장하는 단계;
    도장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이 경화된 후 그 위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스프레이 도장하는 단계; 및
    도장된 폴리우레아 위에 탑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을 이용하는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KR1020160013428A 2016-02-03 2016-02-03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KR101782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428A KR101782875B1 (ko) 2016-02-03 2016-02-03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428A KR101782875B1 (ko) 2016-02-03 2016-02-03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283A true KR20170092283A (ko) 2017-08-11
KR101782875B1 KR101782875B1 (ko) 2017-10-23

Family

ID=5965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428A KR101782875B1 (ko) 2016-02-03 2016-02-03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8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647B1 (ko) * 2019-02-18 2019-08-21 안희섭 고습윤 환경의 강 구조물 보수 공법
KR102097662B1 (ko) * 2019-01-09 2020-04-07 승탑건설(주) 고습윤 환경의 구조물 보수 공법
CN111777920A (zh) * 2020-06-28 2020-10-16 武汉开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自迁移型表面亲水罩面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820B1 (ko) * 2014-05-22 2015-01-02 고삼석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용 페이스트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KR101502037B1 (ko) * 2014-08-12 2015-03-12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녹 치환성능이 우수한 복합 도막 구조를 이용한 강관 도장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662B1 (ko) * 2019-01-09 2020-04-07 승탑건설(주) 고습윤 환경의 구조물 보수 공법
KR102012647B1 (ko) * 2019-02-18 2019-08-21 안희섭 고습윤 환경의 강 구조물 보수 공법
CN111777920A (zh) * 2020-06-28 2020-10-16 武汉开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自迁移型表面亲水罩面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77920B (zh) * 2020-06-28 2021-08-10 武汉开思新材料有限公司 一种自迁移型表面亲水罩面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875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711B1 (ko) 콘크리트 방수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미네랄계 습윤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US20080311305A1 (en) Waterborne epoxy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801619B1 (ko) 기능성 및 내후성이 개선된 친환경 강재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 구조물의 표면 보호 마감 방법
EP2943518B1 (de) Härter für emissionsarme epoxidharz-produkte
US20210348000A1 (en) Zinc-rich waterborne epoxy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s
KR101857070B1 (ko) 수중 구조물용 부식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 코팅방법
KR101893380B1 (ko) 열악한 환경하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보호용 친환경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마감 공법
KR101782875B1 (ko) 고습도 경화형 강관 코팅용 폴리우레아를 위한 세라믹계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코팅공법
KR102097662B1 (ko) 고습윤 환경의 구조물 보수 공법
WO2001029109A1 (fr) Agent de durcissement pour resine epoxy et composition de resine epoxy
JP2008247958A (ja) 水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2341582B1 (ko) 에폭시 도료 조성물
JP2016186021A (ja) 水系エポキシ樹脂塗料組成物、塗装体及び塗装体の製造方法
KR101575125B1 (ko) 수용성 하이브리드 고성능 코팅 조성물
CA3087093A1 (e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coating purposes
KR102317341B1 (ko) 도포된 내화재료용 수성 에폭시 제형
JP2015511983A (ja) アミン硬化型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2339245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및 이의 도막을 갖는 해양 구조물
JP2808223B2 (ja) 防水被覆用組成物
AU2015247667B2 (en) Water-based epoxy formulations for applied fireproofing
KR101596779B1 (ko) 친환경 바닥재용 폴리머-세라믹 유무기 하이브리드 바인더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바닥재 조성물
KR101064250B1 (ko) 강관 내면용 bpf epoxy 수지도료 조성물 및 이를 내면에 도포한 강관 및 이형관
KR20230092035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저온 경화성, 고내구성, 무용제형 에폭시 수지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JP5969555B2 (ja) 2液硬化形エポキシ樹脂塗料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塗装体
KR1026140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다기능성 에폭시 수지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