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493A - 복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493A
KR20170091493A KR1020160092326A KR20160092326A KR20170091493A KR 20170091493 A KR20170091493 A KR 20170091493A KR 1020160092326 A KR1020160092326 A KR 1020160092326A KR 20160092326 A KR20160092326 A KR 20160092326A KR 20170091493 A KR20170091493 A KR 20170091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medication
passage
opening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17001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28B1/ko
Priority to KR1020170012914A priority patent/KR20170091524A/ko
Priority to PCT/KR2017/001023 priority patent/WO2017135654A1/ko
Priority to CN201780007684.XA priority patent/CN108602610B/zh
Priority to JP2018540154A priority patent/JP6765029B2/ja
Priority to EP17747699.1A priority patent/EP3412600A1/en
Priority to US16/071,375 priority patent/US11033460B2/en
Publication of KR20170091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2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dispensed by inverting the container each time, by which action movable parts may be displaced by their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09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of dates or follow-nu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13Tactile indication, e.g. Brail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27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기구의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통과 공간을 통해 배출시키는 통과 작동부; 및 상기 통과 작동부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복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복약 스케쥴에 따라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Description

복약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FOR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약품의 개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비타민제, 과자류 등의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및 식품류는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인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함)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내용물들은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용이나 중독을 막기 위해 정량 또는 필요량을 복용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물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내용물 보관용기는 다수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내용물의 복용이나 섭취를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캡을 개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손바닥 또는 뚜껑 상으로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798호(2012.08.31)의 '알약 정량배출 캡'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정량 배출 용기는 사용자가 내용물 습득을 위해 매번 용기 기구와 같은 수용 기구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와,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수요량(需要量) 만큼 꺼내기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수용 기구 내에서 내용물을 낱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 기구가 제시된 바 있으나, 현재 고안되어 사용 중인, 수용 기구 내부에 내용물을 지지하는 심대가 있고, 수용 기구 몸체가 위아래 이동하여 심대에 의하여 내용물 일부가 수용 기구 상부의 통과구로 나오도록 하는 펌프식 수용 기구는, 뚜껑 부분을 포함한 수용 기구 몸체 전체를 최대한 상향으로 옮기고 다시 하향 이동해야 해서 작동을 위한 조작 거리가 크고, 내용물 전부를 들었다가 내려놓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에는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었으며, 정확한 복약 지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토출되는 약품의 개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하는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복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복약 스케쥴에 따라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수용 기구의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통과 공간을 통해 배출시키는 통과 작동부; 및 상기 통과 작동부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과 작동부는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 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과 운동부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으로 운동되어 내용물의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내용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로 전달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통과 공간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바탕으로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광이 방출된 시각과 수광된 시각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시간차가 기 설정된 설정값 이내이면 내용물이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출력부; 및 센서 모듈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상태 정보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시각 및 상기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오복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토출되는 약품의 개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복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복약 스케쥴에 따라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의 내용물 통과 측을 개방하는 개방부재의 운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수취부를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하여 내용물을 정량 통과함에 연동되어 통과 공간을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폐쇄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통과 운동부의 무게와 무게 중심 위치를 통한 평형 작용에 의해 자중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여, 필요량의 내용물이 통과하기 이전에 통과 공간이 폐쇄되지 않도록 하여 필요량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500)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510)의 감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지도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스케쥴이 복약 지도 단말에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스케쥴에 따른 복약 지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5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5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감지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지도 모듈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스케쥴이 복약 지도 단말에 저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스케쥴에 따른 복약 지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수용 기구, 복약 안내 단말(600) 및 복약 관리 서버(700)를 포함한다.
수용 기구는 내용물을 보관하고 기 설정된 정량만큼만 토출되도록 하는 통과작동부를 구비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분리판(135) 및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분리판(135)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보관부(113)와 내용물의 통과 측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고,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의 통과 진입측과 통과 배출측 사이에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내부에 있는 보관부(113) 측으로 형성된다.
특히,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을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하는 내용물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통과 통로부(139)는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는 내용물 낱개의 일측 단부 길이가 타측 단부 길이와 다른 경우, 통과 통로부(139)의 내부 공간 중 최소 길이 내경(內徑)인 통로 최소 내경(L1)이 내용물 낱개의 최대 외경(外徑) 길이인 내용물 최대 외경(L2)의 두 배보다 작거나 같아서, 두 개 이상의 낱개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에 동시에 진입 또는 통과하지 못하고, 한 번에 한 개의 낱개 내용물만이 통과 통로부(139)에 진입 또는 통과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과 통로부(139)는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는 내용물 낱개의 일측 단부 길이가 타측 단부 길이와 다른 경우, 내용물이 장방향 단부 길이 방향(L3)으로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도록 가이드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하고, 한 개의 낱개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를 전방 통과시, 다른 낱개 내용물이 전방 통과 내용물의 뒤에 인접하며 통과 통로부(139)를 후방 통과하고, 후방 통과 내용물이 이동하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하여,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통과 통로부(139)의 하부에 내용물을 통과 통로부(139)로 유입하는 이동 안내부(130)를 구비한다.
특히, 이동 안내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134)으로 형성되고,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가 위치한 곳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을 기울이는 경우, 내용물이 이동 안내부(130)의 중력 방향의 경사면(134)을 타고 이동한다.
또한, 이동 안내부(130)와 분리판(13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통기부(122b)를 포함하고, 통기부(122b)에 구비되는 통공을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지만, 통기부(122b)에 구비되는 통공의 크기가 내용물의 낱개의 크기보다 작아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통기부(122b)를 포함하는 통과작동부(120), 분리판(135), 이동 안내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내용물의 보관 공간인 보관부(113)로부터 분리되는 비보관 공간부(113a)가 구획되고, 비보관 공간부(113a)에 방부제(200)가 위치하는 경우, 통과작동부(120)의 통기부(122b)를 통해 방부제(200)의 성분이 공기를 통해 보관부(113)로 이동되고, 비보관 공간부(113a)에 있는 방부제(200)가 보관부(113)와 분리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의 통과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안내부(130)의 경사면(134)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용물이 이동시 곡면을 통해 내용물이 곡면이 좁아지는 방향인 통과작동부(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3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측으로 통공되는 가이드홀(132)을 통공하고, 가이드홀(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13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재(124)의 운동 각도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구비되는 스토퍼(129)와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커버(3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기구(1)는 용기 기구일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한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이 기 설정된 양만큼만 토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면 해당 수용 기구(1)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내용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된다. 센서 모듈(500)은 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500)은 내용물이 감지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및 센싱 제어부(520)를 포함한다.
센서부(510)는 통과작동부(120)의 작동에 의해 통과 공간(112c)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5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공간(112c)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통과 공간(112c)을 중심으로 통과작동부(120)의 타측에 설치된다.
센서부(510)는 통과 공간(112c)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방출된 통과작동부(120) 또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광한다.
즉, 센서부(510)는 통과 공간(112c)을 중심으로 통과작동부(120)의 타측에 설치되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이후 내용물에 반사되어 광을 수광함으로써,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통과하는 내용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즉,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통과 공간(112c)을 향해 광을 방출한다. 센서부(5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과작동부(120) 또는 내용물에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센서부(510)에 의해 수광된다.
센서부(510)에 의해 광이 수광되면,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한 시각과 센서부(510)에 의해 광이 수광된 시각의 시간차를 검출한다.
이어 센싱 제어부(520)는 이 시간차를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시간차가 설정값 이내이면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되는 값이다. 통상,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통과할 경우, 센서부(510)와 내용물 간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이에 시간차가 설정값 이내이면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설정값은 통과 공간(112c)의 내경이나, 내용물의 종류, 내용물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수용 기구(1)가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 공간(112c)으로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기구(1)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되므로, 센서부(5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간차가 기 설정된 설정값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을 감지하는 바, 센싱 제어부(520)는 내용물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다. 내용물 정보는 센싱 제어부(520) 등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내용물 감지 여부 및 감지 시간은 센서부(510)의 내용물 감지 여부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으며, 이 복약 스케쥴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지도 정보를 출력한다.
복약 스케쥴 정보에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약 스케쥴 정보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복약 관리 서버(7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복약 안내 단말(600)은 스마트 단말, 컴퓨터, 노트북, 고정 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고정 단말로는 복약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복약 안내 단말(600)은 입력부(610), 출력부(620) 및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입력부(6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 제어명령에는 사용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메뉴 설정 명령 등과 같이, 복약 안내 단말(600)의 이용과 동작 및 설정에 대한 정보와 제어명령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610)로는 기계식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출력부(620)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복약 상태 정보, 복약 스케쥴 정보, 복약 지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20)는 영상 또는 음성을 통해 내용물의 오복용을 경고한다.
이러한 출력부(620)는 상기한 정보 또는 경고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각각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음성 출력부를 모두 포함한다.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복약 스케쥴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지도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가 전달되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쥴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 경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내용물의 오복용을 출력부(620)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복용에는 내용물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는 것, 내용물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는 것, 내용물을 복약하지 않는 것 등과 같이 내용물을 복용하지 않거나 정해진 처방전에 따라 복약하지 않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가 포함되고,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이 포함되는 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들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내용물 오복용 여부를 체크하고, 내용물을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시각 및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 또는 복약 간격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복약할 복약 시간이 도래하면, 출력부(620)를 통해 복약하여야할 내용물 정보 및 해당 내용물의 복약량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내용물을 정확한 시간에 정량 복약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복약 이력 정보에는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 및 복용량 등이 포함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입력부(61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복약 이력 정보, 예를 들어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 및 복용량 등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복약한 시간과 내용물 및 복용량 등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서버(70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스케쥴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복약 관리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720), 및 제어 서버(730)를 포함한다.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72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에 의해 수집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별로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다.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를 제어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미도시)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약 스케쥴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약 지도 방법을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수집부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처방전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처방전 정보를 통해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720)에 의해 복약 스케쥴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다(S110).
아울러, 복약 스케쥴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중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한다(S120).
복약 스케쥴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해당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저장하고(S130),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상태 정보 및 복약 스케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과정을 수행한다(S140).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 복약 스케쥴 정보의 복약 시간을 체크(S210)하고,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 예를 들어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S2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약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인지하게 되고, 내용물 정보와 내용물별 복약량을 참고하여 복약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수용 기구(1)를 기울이게 되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된다.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통과 공간(112c)을 향해 광을 방출하는 바, 센서부(510)에 의해 토출된 광은 내용물에 반사된다.
즉,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과작동부(120) 또는 내용물에 반사된다.
이 경우 센싱 제어부(520)는 센서부(510)를 통해 광을 방출한 시각과 센서부(510)에 의해 광이 수광된 시각의 시간차를 검출하고, 이 시간차를 기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시간차가 설정값 이내이면 내용물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시간차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내용물이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센싱 제어부(520)는 내용물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한편, 복약 안내 단말(600)은 센싱 제어부(520)로부터 전달되는 복약 상태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스케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지도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쥴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내용물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거나, 내용물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거나, 내용물을 복약하지 않는 등의 오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출력한다(S240,S250).
이 경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단말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내지 제 1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실시예 내지 제 14실시예는 수용 기구(1) 또는 이동 기구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재하지는 않았으나, 제 2실시예 내지 제 14실시예에서도 센서 모듈(500), 복약 안내 단말(600) 및 복약 관리 서버(700)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수취부(181)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과 보관부(113), 수취부(181) 및 통과작동부(120)는 제 1실시예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내부에 있는 보관부(113) 측으로 형성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의 내측 벽인 고정부재(121)를 포함하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형성한다. 내용물의 통과를 안내하는 통과 공간(112c)은 개방부(122)에 형성된다.
고정부재(121)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134)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을 기울이는 경우, 내용물이 고정부재(121)의 중력 방향의 경사면(134)을 타고 이동한다.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한 내용물은 수취부(181)에 수납된다. 특히, 내용물이 수취부(181)에 수요량 수취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용물 통과측 가장자리에는 저항상판부재(182)가 구비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개방부(122)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의 타측 내부면에는 스토퍼(129)를 구비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제 1실시예, 제 2실시예 및 하기의 제 5실시예에서 보관부(113)의 양측을 개방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실시 가능하게 된다.
즉, 밸브(100)는 내용물이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에 구비되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의 내용물 이동 기구(1) 내에서의 이동을 제어한다.
하우징(110)과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밸브(100)는 내용물이 이동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10)에 구비되고, 내용물을 통과 유도하는 통과 장치로서,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기 이전에 위치하는 통과 이전부(113)와 통하는 개방부(122)가 형성되고, 통과작동부(120)는, 개방부(122) 측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하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의 내용물 이동 기구(110) 내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통과작동부(120)는, 개방부(122)를 통하여 내용물을 이동시키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통과 이전부(113)의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에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기 전 공간인 통과 이전부(113)에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후 공간인 통과 후 공간으로 이동된 내용물의 수요량이 내용물 통과 이전부(113)로 다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100)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액상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는 내용물 이동 관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내부에 있는 보관부(113) 측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에 연장되어 이동 안내부(130)를 구비하고, 이동 안내부(130)를 통과하는 내용물이 수요량 통과되도록 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구비한다. 이때,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과 같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 가능한 내용물이다.
특히, 내용물이 통과 방향 또는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부재(125)의 외부 곡면 또는 개방부재(124)의 외부면에 접촉하며 이동할 때, 운동 고정부(125a)의 원주 바깥 방향으로 내용물이 저항되며 이동된다.
이때, 내용물의 운동 고정부(125a)의 원주 바깥 방향의 이동으로 인해 개방부(122)의 유효통과 공간이 좁아져서, 수요량 이외의 내용물의 통과를 막는다.
아울러, 내용물이 운동부재(125)의 곡면인 외부면을 따라 축 반대 방향으로 밀리며 이동해서 다른 내용물이 함께 통과하는 유효 통과 공간이 없게 된다.
이때, 다른 내용물이 함께 통과하는 유효 통과 공간을 줄이는, 운동부재(125)의 외부면을 따라 곡면 등으로 형성되는 돌출되어진 구성은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이며, 내용물이 통과하며 접하는 운동부재(125)의 바닥 높이가 상대적으로 상승되며 내용물이 통과되어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122) 공간을 좁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적어도 개방부재(124)를 포함하는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의 무게 또는 무게 중심이,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이 기울어지는 경우, 필요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기 전에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통과 운동부(140)의 형상이 이루어지거나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방부재(124), 막음부재(127), 운동제어부재(123a), 운동부재(125) 또는 운동부재 돌출부(125b)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무게 또는 무게 중심에 의해 개방부재(124)의 회전이 억지되어, 내용물의 수요량이 통과하기 전에, 개방부재(124)와 연동되는 막음부재(127)가 먼저 회전되지 않고, 내용물의 수요량이 통과하기 전에 내용물의 개방부(122) 통과를 막지 않는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었을 때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평형을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더 이상 기울지 않는 평형부(123b)가 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별도의 운동제어부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와 운동제어부재(123a)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 운동제어부재(123a) 및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의 무게에 의해,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며 중력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와 함께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는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어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어짐을 초과하며 기울어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위치와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별도의 개폐 기구 또는 커버가 없거나 개폐 기구 또는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수요량 내용물이 외부로 통과되는 것이 가능하다.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및 수취부(115)를 형성한다.
보관부(113)는 내용물(5)을 담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관부(113)는 내용물(5)을 담거나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다. 물론, 보관부(113)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수취부(115)는 보관부(113)에 보관된 내용물(5)의 인출(취출)측에 형성된다. 보관부(113)와 수취부(115)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준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하우징(110)은 내부에 이동 안내부(130)를 구비하고, 이동 안내부(130)를 통과하는 내용물(5)이 수요량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한다.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을 보관부(113)와 수취부(115)로 구획한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통공한다. 개방부(122)는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와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5)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를 통해 내용물(5)을 수요량씩 통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 내벽의 전체 개방 공간인 개방부(1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자중 또는 내용물(5)의 누르는 힘에 의해 내용물(5)을 수요량씩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 통과 격실부(124a), 운동부재(125), 운동 고정부(125a), 막음부재(127) 및 스토퍼(129)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의 내측면 또는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닫아 내용물(5)의 임의적 통과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뉘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진 사용 상태에서, 개방부재(124)는 자중 또는 내용물(5)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젖혀짐으로써, 내용물(5)은 통과된다.
즉, 개방부재(124)와 연결된 운동부재(125) 각각은 일측이 운동 고정부(125a)에 회동(回動)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래서, 내용물(5) 통과를 위해, 하우징(110)을 기울이거나 흔들 경우, 개방부재(124)의 타측은 서로 벌어지며 통과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내용물(5)은 하우징(110)의 보관부(113)로부터 통과된다.
그리고,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역할을 한다.
한 개 또는 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의 개방으로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시, 후행하는 내용물(5)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통과 격실부(124a)는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의 공간으로서, 통과하려는 설정량 또는 한 알의 내용물(5)이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스토퍼(129)는 운동부재(125)에서 연장되어 개방부재(124)가 더 이상 운동되지 않고,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30)는 분리판(135)을 포함한다. 분리판(135)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보관부(113)와 내용물(5)의 통과 측을 구획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고,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5)의 통과 진입측과 통과 배출측 사이에 연장 형성된다.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수용 기구(1)는 용기 기구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과 보관부(113) 및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개방부재(124)는 절곡되어 구성되고, 개방부재(124)가 절곡되는 개방부재 절곡부(124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개방부재(124)는 직각 이상의 각도로 절곡되어,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고, 내용물이 장방향의 형태인 경우,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의 공간에 장방향 길이 방향으로 진입한 수요량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밀어 개방부재(124)가 막음부재(127)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하는 막음부재(127)가 개방부재(124)를 밀은 수요량 내용물(5)을 간섭하지 않고, 막음부재(127)는 수요량 내용물(5)을 초과하여 통과작동부(120)로 진입하는 내용물이 있는 경우 초과하는 내용물을 막는다. 이때,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으로, 막음부재(127)에 의해 내용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저항받는 것이 가능한 내용물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막음부재(127)가 포함되는 경우,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작동 한번만으로 사용자가 수요량 내용물(5)을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수취하는 기구에 바로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막음부재(127)가 수요량 이외의 내용물의 통과를 자동적으로 막음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장방형의 알약과 같은 약품을 보관하는 일반적인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경우, 개구부가 좁아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내용물인 알약을 집기 위해 두 개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없으며, 이때 본 실시예와 같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에서는 별도의 개폐 기구 또는 커버 등의 장치 없이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이거나 흔드는 동작만으로 수요량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개방부재(124)가 절곡되는 개방부재 절곡부(124b)의 각도는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의 외부로 통과가 용이하도록 완만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막음부재(127)는 절곡되어 구성되고, 막음부재(127)의 막음부재 절곡부(127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절곡되는 막음부재 절곡부(127b) 각도는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직각에 가까운 가파른 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자중에 의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운동을 제어하는 평형부(123b)를 포함하고, 평형부(123b)는 운동제어부재(123a), 개방부재(124), 막음부재(127) 및 운동부재(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운동제어부재(123a), 개방부재(124), 막음부재(127) 및 운동부재(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게 및 구비되는 위치를 통해 평형부(123b) 전체의 무게 중심이 결정되고, 이를 통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자중에 의한 이동이 발생된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개방부재(124)의 이동 거리와 이동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제어부재(123a)는,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세우거나 기울였을 때, 수요량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밀기 이전에 개방부재(124) 또는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부재의 자중에 의한 회전으로 막음부재(127)가 수요량 내용물(5)의 통과를 막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개방부재(124)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와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의 무게에 대응하여, 개방부재(124)를 포함하는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의 자중에 의한 이동을 제어하는 무게와 위치로 구성된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와 운동제어부재(123a)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 운동제어부재(123a) 및 개방부재(124)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의 무게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며, 개방부재(124)의 위치를 유지한다. 물론, 운동제어부재(123a)는 한 개 또는 복수로 평형부(123b)에 구비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세워지거나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를 포함한 평형부(123b)의 구성 부재와 운동제어부재(123a)가 무게 평형을 이루며, 평형부(123b)가 중력 방향으로 자세 또는 위치를 유지한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용기가 기울어질 때 평형부(123b)의 평형을 유지하며 회전 운동이 일어나거나 줄어지도록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평형 유지의 역할을 한다.
또한 운동제어부재(123a)와 달리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여 내용물의 무게가 개방부재(124)에 전달되어 평형부(123b)의 운동이 진행될 때 평형부(123b)의 운동 방향으로 평형을 깨며 평형부(123b)의 운동력을 가중시키는 운동가중제어부재(123c)가 평형부(123b)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운동제어부재(123a)를 이용한 무게 중심 조절을 통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어지기 이전의 초기 상태와 같이 세워져 있을 때의 평형부(123b)의 자중에 의한 초기 상태 위치가,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막거나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막음부재(127)가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일 수 있고, 운동제어부재(123a)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막음부재(127)가 운동제어부재(123a)의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과작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저항부재(110a)를 포함하고, 저항부재(110a)는 통과작동부(120) 내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제한한다.
통과작동부(120) 내에 구비되는 저항부재(110a)를 포함하고, 저항부재(110a)는 통과작동부(120) 내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제한하고, 저항부재(110a)는 막음부재(127)와 연계하여 내용물의 통과를 저항할 수 있다.
저항부재(110a)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도록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운동하는 막음부재(127)와 연계하여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진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용기 기구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1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통과작동부(120)를 기준으로 보관부(113)와 수취부(115)로 나뉘어진다. 편의상, 수취부(115)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개방측의 외부인 것으로 한다.
보관부(113)는 알약 등과 같은 내용물(5)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수취부(115)는 내용물(5)이 투입 및 통과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의미한다.
물론, 보관부(113)와 수취부(115)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110)은 보관부(113)의 내용물(5)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보관부(113)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내부에 통과작동부(120)를 형성한다.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보관부(113)에 담긴 내용물(5)을 정량(定量) 또는 수요량(需要量)만큼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5)을 받는다.
또한,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 또는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5)이 이동하는 것으로서, 고정부재(121), 내용물 통과수단(123), 이동 안내부(180) 및 가이드부재(19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에서 고정부재(121)의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통공한다. 개방부(122)는 하우징(110)의 수취부(115)와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5)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과작동부(120)는 보관부(113)에 해당되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기 이전(以前) 공간인 보관부(113)와 통하는 개방부(122)를 형성한다.
특히, 개방부(122)는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홀(hole)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하우징(110)으로부터 부속되거나 돌출되는 별도의 고정부재(121)가 없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벽은 고정부재(121)를 형성하고, 하우징(110) 내측의 공간에는 개방부(12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를 통해 수요량의 내용물(5)을 통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에 접하여 수요량 또는 정량의 내용물(5)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 내측면 또는 고정부재(121)에서 보관부(11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편의상, 이동 안내부(180)는 고정부재(121)에서 보관부(11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이동 안내부(180)는 개방부(122)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이동 안내부(180)는 내용물(5)을 개방부(122)로 집중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동 안내부(18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5)은 자중 또는 관성에 의해 이동 안내부(180)의 면을 따라 안내되며 이동하게 된다.
특히,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안내 부재일 수 있으나, 하우징(110)의 내측면 자체일 수도 있다.
아울러, 이동 안내부(180)는 보관부(113)의 내용물(5)이 하우징(110)의 벽면을 따라 개방부(122)로 집중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도 있고, 개방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부재(121)에서 연장되는 덕트 형상일 수도 있다. 편의상, 이동 안내부(180)는 나란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인 것으로 도시한다. 물론, 이동 안내부(18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190)는 이동 안내부(180)에서 하우징(110)의 바닥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관부(113)의 내용물(5)이 이동 안내부(180)로 집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부재(190)는 이동 안내부(180)의 테두리 또는 단부에서 점차적으로 벌어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부재(19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안내부(180)와 가이드부재(19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나씩(한 알씩) 또는 설정량의 내용물(5)을 수취부(115)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개방부(122) 내측과 이동 안내부(180)에 구비된다.
여기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 지지부재(150), 지연부재(160) 및 닫힘지지부재(17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내용물(5)의 인출을 허용하고, 개방부(122)를 막아 내용물(5)의 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자체 하중, 내용물(5)의 자중, 내용물(5)의 누르는 힘 및 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자체 하중 및 인출되려는 내용물(5)의 누르는 힘에 의해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 통과유지부(144) 및 막음부재(127)를 포함한다.
특히,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개방부재(142)는 자중 및 내용물(5)의 누르는 힘 여부에 의해 개방부(122)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이는 경우 무게 중심에 의해서 또는 자체 하중에 의해서만 개방부(122)를 내용물(5)이 통과되는 정도로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를 저항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기 전에, 통과 운동부(140)가 개방부(122)를 내용물(5)이 통과되는 정도로 개방 방지된다.
즉,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5)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5)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부재(142)가 고정부재(121)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21)는 브라켓(122a)을 연장 형성한다. 물론, 개방부재(142)와 브라켓(122a)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개방부재(142)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세워지거나 기울어질 때 운동 응답성이 빠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통과유지부(144)는 개방부재(142)가 내용물(5)이 통과되는 개방부(122)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나씩 또는 설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통과유지부(144)는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통과유지부(144)는 개방부재(142)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브라켓(122a)에 피벗팅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개방부재(142)와 통과유지부(144)는 동일 방향으로 운동된다. 즉, 개방부재(142)와 통과유지부(144)가 일방향으로 운동되면서, 개방부(122)는 개방된다. 반대로, 개방부재(142)와 통과유지부(144)가 타방향으로 운동되면서, 개방부(122)는 닫히게 된다.
이때, 통과유지부(144)는 구속부재(145)를 포함한다. 구속부재(145)는 개방부재(142)에 연장되어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된다.
특히, 구속부재(145)가 고정부재(121)의 내측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10)이 세워질 경우에도, 개방부재(142)는 내용물(5)이 인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운동 방지된다.
즉, 구속부재(145)는 하우징(110)이 세워진 경우 하우징(110) 내부에 걸려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닫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42)와 별도로, 개방부재(142)에 반대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내용물(5)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닫는 역할을 한다.
즉, 막음부재(127)는 이동 안내부(180)에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일 경우, 개방부재(142)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무게 중심이 설정된다.
상세히,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개방부재(142)와 통과유지부(144)의 구속부재(145)가 일방향으로 운동됨에 연동되어 막음부재(127)는 타방향으로 운동된다. 그래서, 개방부(122)는 개방되고, 막음부재(127)는 구속부재(145)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110)이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막음부재(127)가 일방향으로 운동됨에 연동되어 개방부재(142)와 구속부재(145)가 타방향으로 운동된다. 그래서, 막음부재(127)로부터 구속 해제된 구속부재(145)와 개방부재(142)가 타방향으로 운동됨으로써, 개방부(122)는 닫히게 된다. 이때, 구속부재(145)가 고정부재(121)에 접하면서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막을 때까지, 구속부재(145)와 개방부재(142)가 타방향으로 운동된다.
물론, 막음부재(12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막음부재(127)는 구속부재(145)가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연동되어 타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초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그래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50)는 막음부재(127)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재(150)는 이동 안내부(18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막음부재(127)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막음부재(127)를 지지함으로써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내용물(5) 통과를 위하여 기울어지는 경우 운동을 통한 내용물(5) 막음 반응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물론, 지지부재(1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포함되는 지연부재(160)는 이동 안내부(180) 내측에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지연부재(160)는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이동 안내부(180)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개방부재(142)를 통과하는 내용물(5)에 후속되어 이동하는 내용물(5)이 이동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선행하는 내용물(5)이 개방부재(142)를 통과시, 후행하는 내용물(5)은 지연부재(160)로부터 저항을 받음에 따라 이동이 지연된다. 그래서, 내용물(5)은 하나씩 또는 정량씩 인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지연부재(160)는 내용물(5)을 지연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 안내부(18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물론, 지연부재(16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포함되는 닫힘지지부재(170)는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방부재(142)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막음부재(127)와 달리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편의상 막음부재(127)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초기 상태인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개방부재(142)는 자중 및 내용물(5)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으로 운동되고, 구속부재(145)는 개방부재(142)와 동일하게 일방향으로 운동된다.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42)와 반대 방향인 타방향으로 운동된다. 이때, 구속부재(145)는 막음부재(127)를 가압함으로써 막음부재(1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부재(142)를 가압하는 선행의 내용물(5)이 인출된다.
특히, 지연부재(160)는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는데, 후행하는 내용물(5)의 이동 속도를 줄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초기 상태'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정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서, 구속부재(145)가 고정부재(121)의 내측에 접하여 걸림으로써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고, 막음부재(127)가 지지부재(150)에 지지되고 있으며, 지연부재(160)가 자중에 의해 보관부(113)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이다.
물론, 사용자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를 정방향으로 세워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면, 개방부재(142)는 자중에 의해 타방향으로 운동되고, 구속부재(145)는 개방부재(142)와 동일하게 타방향으로 운동되며,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42)와 반대 방향인 일방향으로 운동되어 초기화가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하나씩(한 일씩) 또는 정량씩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 또는 흔들음에 의해 발생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5)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 내용물 통과수단(123), 이동 안내부(180) 및 가이드부재(19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에서 고정부재(121)의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통공한다. 개방부(122)는 하우징(110)의 수취부(115)와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5)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나씩(한 알씩) 또는 설정량의 내용물(5)을 수취부(115)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개방부(122) 내측과 이동 안내부(180)에 구비된다.
아울러,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5)을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 안내부(18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5)의 자중 또는 관성에 의해 이동 안내부(180)의 면을 따라 안내하며 내용물(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 내측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개방부(122)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12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 자체일 수도 있고,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안내 부재일 수도 있다.
물론, 이동 안내부(18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190)는 보관부(113)에 보관된 내용물(5)이 개방부(122) 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이동 안내부(18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9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 및 닫힘지지부재(17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내용물(5)의 인출을 허용하고, 개방부(122)를 막아 내용물(5)의 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자체 하중, 내용물(5)의 자중, 내용물(5)의 누르는 힘 및 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자체 하중 및 인출되려는 내용물(5)의 누르는 힘에 의해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 수용부재(127a), 통과 격실부(124a), 바닥부(146), 운동제어부재(123a), 운동가중제어부재(123c) 및 스토퍼(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개방부재(142)는 자중 및 내용물(5)의 누르는 힘 여부에 의해 개방부(122)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개방부재(142)는 통과되는 내용물(5)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5)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부재(142)가 고정부재(121)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21)는 브라켓(122a)을 연장 형성한다. 물론, 개방부재(142)와 브라켓(122a)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개방부재(142)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세워지거나 기울어질 때 운동 응답성이 빠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27a)는 개방부재(142)에서 연장되어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재(142)에 연동되어 정량의 내용물(5)을 수용(收容)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수용부재(127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가 일방향으로 운동됨에 연동되어 보관부(113)의 내용물(5)이 수용부재(127a)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27a)가 더 운동되며 후행하는 내용물(5)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행하는 내용물(5)은 개방부재(142)를 통과하거나, 또는 개방부재(142) 상에 위치한 내용물(5)은 꺼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110)이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가 타방향으로 운동되고,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막는다.
그리고, 통과 격실부(124a)는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 사이 특히,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에 걸쳐진 영역(공간)으로서, 수용부재(127a)를 통과한 정량 또는 정량 이하의 내용물(5)을 수용한다. 통과 격실부(124a)에 수용된 내용물(5)이 개방부재(142)를 통해 통과 유도된다. 이때, 통과 격실부(124a)의 길이는 내용물(5)의 길이와 유사하거나 조금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바닥부(146)는 수용부재(127a)를 통과하는 내용물(5)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통과 운동부(140) 내의 내용물(5)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바닥부(146)는 수용부재(127a)와 개방부재(142)를 연결하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닥부(146)의 길이는 장방향 길이의 내용물(5)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5)의 장변 방향의 단부 길이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129)는 개방부재(14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중심 부위에서 연장되어 이동 안내부(180) 또는 가이드부재(190) 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완전히 개방 후 더 이상 운동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포함되는 닫힘지지부재(170)는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개방부재(142)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부재(121)나 이동 안내부(180) 또는 가이드부재(190)에 형성된다. 특히, 닫힘지지부재(170)는 스토퍼(129)를 지지하도록 이동 안내부(180)에 형성될 수 있다.
통과 장치는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하고,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에 의해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되는 내용물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부재(142)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42)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개방되도록 운동되며 내용물을 통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져 개방부재(142)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내용물이 개방부재(142)를 통과하기 전에 이루어져 내용물의 통과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져 개방부재(142)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려 하는 경우, 개방부재(142), 막음부재(127) 및 운동부재(125)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무게와 무게 중심의 위치에 의해 개방부재(142)의 회전이 억지되어, 내용물의 수요량이 통과하기 전에 내용물의 통과를 막지 않고 내용물의 통과와 함께 개방부재(14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었을 때,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기울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평형부(123b)이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운동제어부재(123a)가 통과 운동부(140)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운동부재(125)는 운동제어부재(123a)를 연결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 또는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이 이동 안내부(180)의 중력 방향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180)를 포함하고, 이동 안내부(18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의 자중 또는 관성에 의해 이동 안내부(180)의 면을 따라 안내하여 내용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 통과 운동부(140)의 관성,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누르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와 별도로 개방부재(142)와 같은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닫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와 막음부재(127) 사이에 구비되는 통과 격실부(124a)를 포함하고, 통과 격실부(124a)에 격실부 수용량의 내용물이 수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 유도할 수 있다. 통과 격실부(124a)는, 통과 격실부(124a)가 수용하는 격실부 수용량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수요량 이상이고, 통과 격실부(124a)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통과 격실부(124a) 통과를 저항하는 통과 저항부를 포함하고, 통과 격실부(124a)에 수용된 격실부 수용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경우, 수요량을 초과한 내용물이 통과 격실부(124a)를 통과하지 않도록 저항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와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 중심인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가,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후방인, 통과 장치의 외부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히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어지는 경우,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와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차이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이 억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만의 자중에 의해서는,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과 가능한 개방이 되는 회전 운동을 하지 않거나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저항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기 전에,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서는 개방부(122)를 내용물이 통과되는 정도로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생기는 회전 변형시 나타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과 운동부 무게중심(215)에 의해, 내용물의 접촉 이전에 발생하지 않거나 접촉 이전의 근접한 시점까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접촉 이전에 발생하지 않고,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접촉과 함께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동작되며 발생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에 연장되어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재(142)와 연동되어 수요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며 운동하는 수용부재(127a)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 사이에 구비되는 통과 격실부(124a)를 포함하고, 통과 격실부(124a)에 격실부 수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여 수용된 내용물을 이동 유도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수용을 위한 바닥부(146)를 포함하고, 바닥부(146)는 통과 운동부(140) 내의 내용물의 중력 방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바닥부(146)의 높아지거나 돌출되는 부위인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에 의해 바닥부(146)에 지지되어 통과되는 내용물의 위치가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이 통과되어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122)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좁아진 개방부(122) 공간으로 인해, 수용량을 초과한 내용물이 통과 격실부(124a)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항하여, 수용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승되어지는 내용물의 위치에 의해 내용물의 개방부재 통과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운동가중제어부재(123c)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바닥부(146)가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를 포함하여, 바닥부(146)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내용물이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저항으로 바닥부(146)가 내용물의 이동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때, 바닥부(146)가 바닥부(146)와 접촉하는 저항으로, 통과되는 내용물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를 구비하거나, 또는 통과 운동부(140)에 별도의 개방부재(142) 없이 바닥부(146)의 이동만으로 통과 운동부(140)가 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닥부(146) 또는 바닥부(146)에 구비되는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다양한 마찰 재질 또는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146)는 개방부재(142)와 개방부재(142)와 연동되어 수요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며 운동하는 수용부재(127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닥부(146)는 장방형 내용물의 장방향(長方向) 길이의 수용을 위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의 통과작동부(120) 측에서 하우징(110)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 또는 커버가 없거나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통과 유도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의 통과작동부(120) 측 개폐 기구 또는 개폐 기구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에, 접촉 또는 저항받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통과 유도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통과 유도가 가능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에 의해, 필요한 내용물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누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이동부의 운동에 의한 변형일 수 있다.
내용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면 또는 통과 수단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며 이동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할 수 있다.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시 내용물의 통과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내용물이 통과한 수량, 일자,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 또는 측정한다.
감지부의 내용물 측정은 전자 센서 또는 기계 작동에 의한 측정일 수 있다. 감지부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물리적 움직임을 기계 측정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감지부는,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근접 센서, 동작 인식 센서, 전자 나침반, 자력계 센서, 제스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가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각 방법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숫자, 문자, 기호, 점자, 발광, 점등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가 내용물이 일정 기간 또는 시간에 정해진 양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내용물이 정해진 양을 초과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내용물 이동 작동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시 내용물의 통과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의 표시는 LCD 또는 LED를 이용한 숫자, 문자, 기호,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감지부가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을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근접 또는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가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을 감지하여 지정된 양의 내용물이 통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 장치를 통과하지 않도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는 통과 장치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운동을 막거나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 통과수단(123) 운동의 막음은, 내용물 통과 수단의 운동 부위를 접촉 저항하여 이루어지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이동 경로의 차단은, 내용물의 통과 진입측과 통과 배출측에 구비되는 통과 통로부(139)에서 내용물을 차단하거나 저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부는, 침해 환자의 복용 제한이 필요한 복용 약이나 정상인의 섭취 제한이 필요한 식품 같이 통제가 필요한 경우, 지정된 시간 또는 상황 종료 이전에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표면 또는 내용물의 내부에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지 않은 내용물의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 또는 흔릴림 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자중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연결된 통과작동부(120)의 적어도 한 부위의 자중에 의해 통과작동부(120)의 수직 방향 축을 중심으로 중력 방향으로 회전하고, 중력 방향으로 이동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중력 방향에서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하우징(11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은 하우징(110)과 내측 면과 접하여 이루어지거나, 하우징(110)의 축부재에 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진입하는 경우, 수요량을 초과하는 수요량 이외의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를 완전히 통과 하지 못하도록 저항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진입하는 경우,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 또는 수요량을 포함한 모든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지 않도록 저항하는 저항 부재 또는 저항 형상을 구비하여,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에 구비되는 저항 부재 또는 저항 형상에 의하여, 통과 통로부(139)에 진입한 내용물을 접촉 또는 저항하여 수요량을 초과한 내용물의 통과가 방해될 수 있다.
개방부재(142)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폐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액상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고형물은, 고형 상태의 약품, 식품, 기구, 공구, 재료, 식자재, 산업용 자재, 일반 자재 중 적어도 하나이고, 분말은, 분말 상태의 약품, 식품, 기구, 공구, 재료, 식자재, 산업용 자재, 일반 자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지거나 내용물(5)이 통과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개방부재(142)는 자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채 닫힘지지부재(170)에 지지된다. 이때, 수용부재(127a)는 개방부(122)를 개방하고 있게 된다.
특히, 바닥부(146)의 축 방향을 따라 대략 중간 부위가 브라켓(122a)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세워져 내용물(5)을 통과하는 상태일 때, 내용물(5)이 가이드부재(190)와 이동 안내부(180)를 따라 한 개 또는 설정량이 수용부재(127a)를 통과 후 바닥부(146)에 접하게 된다.
이 후, 스토퍼(129)가 이동 안내부(180)나 가이드부재(190)에 접할 때까지, 개방부재(142)가 타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수용부재(127a)가 개방부(122)를 막음으로써 더 이상의 내용물(5)이 인출되지 않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밸브(100)는 제 7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양측을 개방하여 파이프 형상으로 실시 가능하게 된다.
즉, 밸브(100)는 하우징(110)으로써 외형을 형성하고,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5)의 이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와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가이드부재(190)를 포함하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5)의 하우징(110) 내에서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밸브(100)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5)은 고형물, 분말, 액상 내용물(5)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특히, 밸브(100)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5)은 고형물로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와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가이드부재(19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3 및 도 4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보관부(113)는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관부(113)는 내용물을 담거나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된다. 물론, 보관부(113)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내용물을 담은 보관부(113)의 통과측에 구비된다. 즉, 하우징(110)의 하측은 보관부(113)에 연결된다. 이때,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으로 한다.
특히, 하우징(110)은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보관부(113)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하우징(110)은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외형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개방되는 통공부(121a)를 형성한다.
그리고,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보관부(113)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定量)이나 수요량(需要量)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 '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상측에 커버(30)를 구비한다. 커버(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이동되는 내용물을 받는다. 커버(30)는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우징(110)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보관부(113)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의 하우징인 경우,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개폐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보관부(113)와 별도의 내용물 보관부인 대기 수납부(115)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작동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개폐 기구가 아니고,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분리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또한,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 내측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 내측 특히, 통공부(121a)를 구획한다. 즉, 하우징(110)의 통공부(121a)는 고정부재(121)에 의해 나뉘어진다. 다시 말해서, 통공부(121a)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보관부(113)와, 보관부(113)에서 정량 통과된 후 인출 대기하는 대기 수납부(115)로 나뉘어진다. 보관부(113)는 보관부(113)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대기 수납부(115)는 커버(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통공부(121a) 내측에 구비되는데, 형성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통공한다. 개방부(122)는 하우징(110)의 대기 수납부(115)와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과작동부(120)는 보관부(113)에 해당되는,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기 이전(以前) 공간인 통과 이전부(113)와 통하는 개방부(122)를 형성한다.
특히, 개방부(122)는 평면상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사각형으로 도시한다.
또한,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2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하우징(110)으로부터 부속되거나 돌출되는 별도의 고정부재(121)가 없는 경우, 하우징(110)의 내벽은 고정부재(121)를 형성하고, 하우징(110) 내측의 통공부(121a)는 개방부(122)를 형성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를 통해 수요량의 내용물을 통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에 접하여 수요량 또는 정량의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 운동부재(125), 운동 고정부(125a), 막음부재(127) 및 가이드판부재(102)를 포함한다.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와 운동 고정부(125a)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때, 운동부재(125)는 고정부재(121)에 운동 가능하게 결속되고, 개방부재(124)에 결합되어 개방부재(124)가 함께 운동하도록 지지한다. 운동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일부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개방부재(124)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운동 고정부(125a)는 고정부재(121)에 구비된다. 특히, 운동 고정부(125a)는 개방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구비된다.
그리고, 운동 고정부(125a)는 운동부재(125) 또는 개방부재(124)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가 자중이나 내용물의 가압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폐하는 동작에 연동되어 운동부재(125)가 운동된다. 운동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한데, 편의상, 원통 형상으로 도시한다.
특히,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을 기준으로 서로 운동되며 개방부(122)의 중앙 부위를 개방한다. 다시 말해서, 개방부(122)는 개방부재(124)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124a)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누름, 밀음[push], 접촉, 하우징(110)의 흔들림, 개방부재(124)의 자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운동되며 개방되어 통과 공간(112c)이 형성된다.
아울러, 개방부재(124)와 운동부재(125)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경우, 개방부재(124)가 개방시, 개방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운동부재(125)가 구비되는 않은 부위인 측면 공간을 통해 내용물이 집중적으로 쏠리거나, 진입한 내용물이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부재(125)가 구비되지 않은 개방부(122)의 진입측에는 측판부재(104)가 구비된다. 측판부재(104)는 개방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운동부재(125) 사이의 부위로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측으로 집중되거나, 진입 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측판부재(104)는 내용물이 막음부재(127)를 따라 개방부재(124)로 수요량 유입되고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측판부재(104)는 개방부(122)의 진입측면에서 고정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측판부재(10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측판부재(104)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측판부재(104)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운동 고정부(125a)는 개방부(122)측에서 고정부재(121)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12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측판부재(10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측판부재(104)의 개수 및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측판부재(104)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운동부재(125)는 고정부재(121) 또는 측판부재(104)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편의상, 운동부재(125)는 측판부재(10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마주하는 측판부재(104) 중 어느 하나의 측판부재(104)에는 한 쌍의 운동 고정부(125a)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운동 고정부(125a)는 대응되는 운동부재(125)를 운동 가능하게 축 삽입할 수 있다. 아울러, 운동 고정부(125a) 각각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측판부재(104)에 거치된다. 그래서, 운동부재(125)와 개방부재(124)가 함께, 또는 개방부재(124)가 단독으로 운동 고정부(125a)를 기준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개방하거나 닫는다.
또는, 운동 고정부(125a)가 운동부재(125)에 구비되어 측판부재(104)에 축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지거나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한 쌍의 개방부재(124)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의 운동을 중지시키기 위해 개방부재(124)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블록(302)이 형성된다. 서포트블록(302)은 개방부재(124)를 지지함으로써 개방부재(124)가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임의적으로 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포트블록(302)은 측판부재(104)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세워져 내용물이 통과하는 상태일 때, 개방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방부재(124)가 너무 젖혀지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방부재(124)는 초기 상태로 미복귀하거나 복귀 응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 각각은 개방부(122) 개방을 위해 젖혀지는 각도가 제한되어야 한다. 즉, 개방부재(124)를 통해 개방부(122)의 개방을 위한 운동부재(125)의 회전량이 제한되어야 한다.
한편,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게 구비된다. 그래서, 막음부재(127)는 대응되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운동된다.
즉, 막음부재(127)는 운동부재(125)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막고 있을 때, 막음부재(127)는 내용물이 개방부재(124) 측으로 유입되도록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할 때, 막음부재(127)는 내용물이 더 이상 개방부(122)를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개방부(122)를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막음부재(127)는 운동부재(125)에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운동부재(125) 각각은 가이드판부재(10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판부재(102)는 각 운동부재(125)의 둘레면을 따라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판부재(102)의 길이는 개방부재(12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래서, 가이드판부재(102)는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보관부(113) 또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으로 인해 내용물이 누르거나 부딪히는 힘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개방부재(124)의 개방 응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마주하는 가이드판부재(102) 사이로 소량이 개방부재(124)로 이동함으로써, 내용물은 정량 통과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관부(113)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는 이동 안내부(130)가 구비된다. 편의상, 이동 안내부(130)는 판 형상으로서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30)는 개방부(122)에 대응되는 가이드홀(132)을 통공한다. 특히, 이동 안내부(130)는, 내용물 통과를 위해 보관부(113) 또는 통과작동부(120)를 기울였을 때,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이 경사 궤적을 따라 세워져 있는 막음부재(127) 사이의 내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 안내부(130)는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부재(136)를 연장 형성한다. 테두리부재(136)는 보관부(113)의 상측 둘레면을 삽입한다. 즉, 테두리부재(136)는 보관부(113)의 상측 둘레면에 조립된다. 물론, 테두리부재(136)는 보관부(113)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36)는 보관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관부(113)는 테두리부재(136)를 제거 후 내용물 보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하측이 테두리부재(136)의 외측 둘레면에 접하게 끼움 조립된다. 그래서, 이동 안내부(130)는 하우징(11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이동 안내부(130)는 보관부(113)에 저장된 내용물이 가이드홀(132)로 집중되도록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30)는 막음부재(127)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막음부재(127)와 소정 유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부(122)를 막음부재(127)가 막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홀(132)을 통과한 내용물이 개방부(122)로 통과되고, 개방부(122)를 막음부재(127)가 회전하여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막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가이드홀(132)을 통과하지 않도록, 이동 안내부(130)는 막음부재(127)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즉, 이동 안내부(130)는 세워진 상태의 막음부재(127) 및 측판부재(104)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되지 않고 이동 안내부(130)와 고정부재(121)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외부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3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커버(30)에 의해 대기 수납부(115) 공간으로 이동된 내용물을 커버(30) 개방 후 꺼낸다. 커버(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하우징(110)에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고, 하우징(110)에 힌지 연결되어 개폐되거나 하우징(1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며 개폐될 수도 있다. 물론, 커버(3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10)은 개방된 일측이 커버(30)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폐되거나, 커버(30) 없이 수취부(181)만 구비되어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을 보관부(113)의 외측으로 통과 유도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통과 장치(10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별개로 수취부(181)를 포함한다. 수취부(181)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이 필요한 수요량을 초과해서 대기 수납부(115)로 유입되는 것을 저항하여, 결과적으로 잔류하는 내용물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요량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개폐 기구(110)의 하우징인 경우,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의 보관부(113)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작동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은 개폐 기구의 기능이 없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분리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수취부(181)는 저항상판부재(182), 저항측판부재(183)를 포함하며, 하기의 제 15실시예에 설명된 구획부재(184), 차단부재(185), 유입부재(186), 대기턱(187) 및 대기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물은 수취부(181)에 구비되는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개방부(122)를 통과한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한다.
저항상판부재(182)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저항측판부재(183)는 하우징(110), 저항상판부재(182), 고정부재(121)나 커버(3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저항측판부재(183)가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방되는 커버(3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시에 함께 이동해서 내용물을 집을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과 통과 측면 방향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부재(124), 운동부재(125), 운동 고정부(125a), 막음부재(127) 및 가이드판부재(102)를 포함한다.
또한, 보관부(113)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는 이동 안내부(130)가 구비된다. 편의상, 이동 안내부(130)는 판 형상으로서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 안내부(130)는 보관부(113)에 저장된 내용물이 가이드홀(132)로 집중되도록 경사면(134)을 형성한다. 이동 안내부(130)는 막음부재(127)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막음부재(127)와 소정 유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개방부(122)를 막음부재(127)가 막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홀(132)을 통과한 내용물이 개방부(122)로 통과되고, 개방부(122)를 막음부재(127)가 회전하여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막은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가이드홀(132)을 통과하지 않도록, 이동 안내부(130)는 막음부재(127)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즉, 이동 안내부(130)는 세워진 상태의 막음부재(127) 및 측판부재(104)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되지 않고 이동 안내부(130)와 고정부재(121)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지거나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한 쌍의 개방부재(124)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측판부재(104) 또는 개방부(122)의 내측면에는 개방부재(124)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해 서포트블록(302)이 형성된다. 서포트블록(302)은 개방부재(124) 각각을 지지함으로써 개방부재(124)가 초기 상태에서 하측으로 임의적으로 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포트블록(302)은 측판부재(104)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내용물 이동 기구, 수용 기구(1)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거꾸로 세워져 내용물을 통과하는 상태일 때, 개방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개방부재(124)가 너무 젖혀지면,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방부재(124)는 초기 상태로 미복귀하거나 복귀 응답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 각각은 개방부(122) 개방을 위해 젖혀지는 각도가 제한되어야 한다. 즉, 개방부재(124)가 고정부재(121)에 대해 예각 범위 내에서 운동되며 젖혀지도록, 개방부(122)의 크기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서, 개방부재(124)는 서포트블록(302)에서 개방부(122)의 개방을 위해 예각만큼 운동 후 개방부(12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접하여 정지된다.
이에 따라, 보관부(113)가 초기 상태로 세워지게 되면,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막음부재(127)가 자중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응답성이 향상된다. 특히, 개방부재(124)가 서포트블록(302)에 접할 때까지, 운동부재(125)는 회전된다.
특히, 보관부(113)가 뒤집혀지거나 기울여질 경우, 내용물은 고정부재(121)의 통과 공간(112c)을 통과 후 대기 수납부(115)로 이동(유입)된다. 이때, 대기 수납부(115)의 내측 공간이 통과 공간(112c)보다 넓기 때문에, 내용물이 대기 수납부(115) 측으로 많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 수납부(115)는 통과 공간(112c)에 대응되게 수취부(181)를 구비한다.
수취부(181)는 통과 공간(112c)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통과 공간(112c)을 통과하는 내용물이 집중적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은 수취부(181)의 협소해진 내부 공간에 의해 내용물의 과다 유입이 방지된다. 물론, 수취부(181)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보관부(113)를 기울이거나, 반대로 세우는 등 사용 상태로 하게 되면, 보관부(113) 내부의 내용물은 하우징(110)의 이동 안내부(130)의 경사면(134)을 따라 가이드홀(132)을 통과해서 가이드판부재(102)와 개방부재(124)에 접하게 된다.
이때,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를 막고 있고, 막음부재(127)는 개방부(122)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이며, 가이드판부재(102)가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 사이에 위치한다.
내용물은 단부가 소정 유격된 가이드판부재(102)에 부딪히거나 가압하면서 가이드판부재(102) 사이를 통해 일정량(일정개수)만이 개방부재(12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내용물이 가이드판부재(102)를 먼저 밀기 때문에, 개방부재(124)는 개방 응답성이 향상된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가이드판부재(102) 및 개방부재(124)를 누르게 되면, 개방부재(124)가 젖혀지며 개방부(122)가 개방된다.
이때, 복원부재(304)가 고정부재(121)에 탄성적으로 저항하면서, 운동부재(12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부재(124)는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특히, 막음부재(127)가 개방되어 내용물을 받은 상태에서, 막음부재(127)가,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닫힘에 연동되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한다. 그래서, 더 이상의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해 통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사용자가 보관부(113)를 초기 상태로 세우게 되면,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막음부재(127)가 자중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보관부(113)를 세우지 않는 경우에도 개방부재(124)는 복원부재(304)의 탄성 복원에 의해 운동부재(125)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특히, 개방부재(124)가 서포트블록(302)에 접할 때까지, 운동부재(125)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복원부재(304)의 탄성 복원이 작동하는 구성과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제 5실시예에 설명되는 운동제어부재(123a)를 이용한 무게 중심 조절을 통해, 개방부재(124) 또는 막음부재(127)의 자중에 의한 초기 상태의 복귀 위치가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를 통과한 내용물을 수취하거나,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를 통과한 내용물을 관찰하거나 커버(30)를 열고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5 내지 도 4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본체(113)를 포함한다.
물론, 하우징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 본체와 분리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통과 장치(100)의 구성 요소로서, 통과 장치(100)는 통과작동부(120)와, 기구 본체(113)로부터 분리 가능한 하우징(1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 내용물 통과수단(123), 이동 안내부(180) 및 가이드부재(19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에서 고정부재(121)의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10)은 양측이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커넥터(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용물(5)을 담아 보관하는 보관부(113)에 결합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커넥터(3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물론, 통과작동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커넥터(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한 커넥터(300)는 다양한 보관부(113)에 호환성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커넥터(300)만 또는 커넥터(300)와 하우징(110)을 교환함으로써 통과 장치(100)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하우징(100)은 커넥터(300)와 하나로 일체로서 직접 보관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21)는 개방부(122)를 통공한다. 개방부(122)는 하우징(110)의 수취부(115)와 보관부(113)를 연결하여 내용물(5)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나씩(한 알씩) 또는 설정량의 내용물(5)을 수취부(115)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개방부(122) 내측과 이동 안내부(180)에 구비된다.
아울러,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5)을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동 안내부(18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5)의 자중 또는 관성에 의해 이동 안내부(180)의 면을 따라 안내하며 내용물(5)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 내측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개방부(122)에 대응되도록 고정부재(121)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이동 안내부(18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 자체일 수도 있고, 또는 하우징(110)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안내 부재일 수도 있다.
물론, 이동 안내부(18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재(190)는 보관부(113)에 보관된 내용물(5)이 개방부(122) 측으로 집중 이동되도록 이동 안내부(180)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9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내용물(5)의 인출을 허용하고, 개방부(122)를 막아 내용물(5)의 인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자체 하중, 내용물(5)의 자중, 내용물(5)의 누르는 힘 및 관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하게 된다. 즉,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반대로 세워질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자체 하중 및 인출되려는 내용물(5)의 누르는 힘에 의해 운동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 수용부재(127a), 바닥부(146), 운동제어부재(123a), 운동가중제어부재(123c) 및 스토퍼(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히,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데, 단수 또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개방부재(142)는 자중 및 내용물(5)의 누르는 힘 여부에 의해 개방부(122)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개방부재(142)는 통과되는 내용물(5)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5)의 통과를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용부재(127a)는 개방부재(142)에서 연장되어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재(142)에 연동되어 정량의 내용물(5)을 수용(收容)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수용부재(127a)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가 일방향으로 운동됨에 연동되어 보관부(113)의 내용물(5)이 수용부재(127a)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27a)가 더 운동되며 후행하는 내용물(5)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선행하는 내용물(5)은 개방부재(142)를 통과하거나, 또는 개방부재(142) 상에 위치한 내용물(5)은 꺼낼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하우징(110)이 초기 상태로 세워질 경우,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가 타방향으로 운동되고, 개방부재(142)는 개방부(122)를 막는다.
아울러, 바닥부(146)는 수용부재(127a)를 통과하는 내용물(5)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부재(142)와 수용부재(127a)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통과 운동부(140) 내의 내용물(5)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바닥부(146)는 수용부재(127a)와 개방부재(142)를 연결하며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닥부(146)는 장방향 길이의 내용물(5)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토퍼(129)는 개방부재(14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중심 부위에서 연장되어 이동 안내부(180) 또는 가이드부재(190) 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개방부재(142)가 개방부(122)를 완전히 개방 후 더 이상 운동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통과 장치는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기 위한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하고,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에 의해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되는 내용물과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며 내용물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부재(142)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42)는 자중 또는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개방되도록 운동하고, 상기 통과 운동부의 개방으로 형성되는 통과 공간을 통해 내용물을 통과 유도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져 개방부재(142)의 자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려 하는 경우, 개방부재(142), 막음부재(127) 및 운동부재(125)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무게와 무게 중심의 위치에 의해 개방부재(142)의 회전이 억지되어, 내용물의 수요량이 통과하기 전에 내용물의 통과를 막지 않고 내용물의 통과와 함께 개방부재(14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었을 때,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이상으로 기울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평형부(123b)가 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운동제어부재(123a)가 통과 운동부(140)에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다.
운동부재(125)는 수용부재(127a) 또는 운동제어부재(123a)를 포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을 이동 안내하는 이동 안내부(180)를 포함하고, 이동 안내부(18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내용물의 자중 또는 관성에 의해 내용물이 이동 안내부(180)의 중력 방향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중력 작용에 의한 운동에 대응하여 운동하며,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통과작동부(120)를 개방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 통과 운동부(140)의 관성,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누르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에 의한, 내용물의 중력 운동 또는 통과 운동부(140)에 대한 내용물의 운동력 전달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은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내용물의 자중으로 누름에 따른 운동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42)와 별도로 통과 통로부(139) 또는 고정부재(121)에 근접하여 이동 안내부(180)의 개방 측을 막아 정량 또는 설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122) 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설정량 초과분의 내용물(5)이 한꺼번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통과 후 필요한 양의 내용물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와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 중심인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가,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후방인, 통과 장치의 외부 통과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어지는 경우, 운동부 무게중심(215) 위치와 운동부 회전중심(210) 위치의 차이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의 회전 운동이 억지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만의 자중에 의해서는,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과 가능한 개방이 되는 회전 운동을 하지 않거나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저항하며 개방부(122)를 개방하기 전에,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서는 개방부(122)를 내용물이 통과되는 정도로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생기는 회전 변형시 나타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과 운동부 무게중심(215)에 의해, 내용물의 접촉 이전에 발생하지 않거나 접촉 이전의 근접한 시점까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접촉 이전에 발생하지 않고,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접촉과 함께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이 동작되며 발생할 수 있다.
물론,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를 모두 동일한 밀도의 재료로 제작하면,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의 위치를 평형부(123b)의 형상과 크기로 정하고,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밀도의 재료로 제작하는 경우,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의 위치를 평형부(123b)의 형상과 크기 및 밀도의 구성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수용부재(127a)는, 개방부재(142)와 연동되어 개방부재(142)와 동일 방향으로 운동되며, 개방부재(142)와 연동되어 수요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며 운동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수용을 위한 바닥부(146)를 포함하고, 바닥부(146)는 통과 운동부(140) 내의 내용물의 중력 방향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통과 장치(100)의 개방 방향으로 작동하고,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의 통과작동부(120) 측에서 하우징(110)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 또는 커버(30)가 없거나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한 통과 공간 형성에 의해서 개방된 방향으로 내용물을 통과 유도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의 통과작동부(120) 측 개폐 기구 또는 개폐 기구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에, 접촉 또는 저항받지 않고, 내용물과의 저항에 의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서 내용물을 통과 유도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하우징(110)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통과 유도가 가능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만으로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에 의해, 필요한 내용물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막을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히거나 또는 흔들어지는 동작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 변형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누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은 이동부의 운동에 의한 변형일 수 있다.
내용물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면 또는 통과 수단에 접촉하여 미끄러지며 이동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 또는 흔릴림 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자중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연결된 통과작동부(120)의 적어도 한 부위의 자중에 의해 통과작동부(120)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중력 방향으로 회전하고, 중력 방향으로 이동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중력 방향에서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하우징(110)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회전은 하우징(110)과 내측 면과 접하여 이루어지거나, 운동 고정부(125a)의 축부재에 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진입하는 경우, 수요량을 초과하는 수요량 이외의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를 완전히 통과 하지 못하도록 저항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는,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진입하는 경우,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 또는 수요량을 포함한 모든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를 통과하지 않도록 저항하는 저항 부재 또는 저항 형상을 구비하여,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에 구비되는 저항 부재 또는 저항 형상에 의하여, 통과 통로부(139)에 진입한 내용물을 접촉 또는 저항하여 수요량을 초과한 내용물의 통과가 방해될 수 있다.
개방부재(142)는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폐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액상 내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고형물은, 고형 상태의 약품, 식품, 기구, 공구, 재료, 식자재, 산업용 자재, 일반 자재 중 적어도 하나이고, 분말은, 분말 상태의 약품, 식품, 기구, 공구, 재료, 식자재, 산업용 자재, 일반 자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9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0은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8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 및 통과작동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과 통과작동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여기서, 통과작동부(120)는 고정부재(121), 내용물 통과수단(123), 이동 안내부(180) 및 가이드부재(19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21), 내용물 통과수단(123), 이동 안내부(180) 및 가이드부재(19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한편,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42), 수용부재(127a), 바닥부(146), 운동제어부재(123a), 운동가중제어부재(123c) 및 스토퍼(12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42), 수용부재(127a), 바닥부(146) 및 스토퍼(129)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운동부재(125)의 바닥부(146)는 높아지거나 돌출되는 부위인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에 의해 통과 이동 중에 있는 내용물의 위치가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좁아진 개방부(122) 공간으로 인해, 수용량을 초과한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통과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통과 운동부(140)가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를 포함하여, 바닥부(146)가 곡면과 같은 돌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내용물이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저항으로 바닥높이 변화부재(147)가 바닥부(146)를 따라 내용물의 이동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이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운동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를 모두 동일한 밀도의 재료로 제작하면,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의 위치를 평형부(123b)의 형상과 크기로 정하고,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구성 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밀도의 재료로 제작하는 경우,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운동부 무게중심(215)의 위치를 평형부(123b)의 형상과 크기 및 밀도의 구성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이때,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통과 운동부(140)의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중시키는 운동가중제어부재(123c)로서, 이를 통하여 내용물이 신속하게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다양한 마찰 재질 또는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안내부(180)는 내용물(5)의 유입 측에 높이유도부재(188)를 형성한다. 높이유도부재(188)는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중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복수 이상의 단으로 나누거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높이차가 내용물의 이동을 막지 않으며 내용물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하여 보관부(113)의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높이유도부재(18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2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1 내지 도 53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특히, 통과 장치(100) 중 고정부재(121)는 보관부(113)의 내용물(5) 토출측 내부에 고정 결합된다.
운동부재(125)의 바닥부(146)는 높아지거나 돌출되는 부위인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에 의해 통과되는 내용물의 위치가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이 통과되어지도록 개방되는 개방부(122) 공간이 좁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운동부재(125)가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를 포함하여, 바닥부(146)가 곡면과 같은 돌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내용물이 바닥높이 변화부재(147)의 표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한 저항으로 바닥높이 변화부재(147)가 바닥부(146)를 따라 내용물의 이동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이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 운동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통과 운동부(140)의 내용물 통과 방향으로의 운동을 가중시키는 운동가중제어부재(123c)이며, 이를 통하여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를 신속히 개방함으로써 내용물이 신속하게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바닥높이 변화부재(147)는 다양한 마찰 재질 또는 굴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안내부(180)는 내용물(5)의 유입 측에 높이유도부재(188)를 형성한다. 높이유도부재(188)는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중에 발생하는 높이 차이를 복수 이상의 단으로 나누거나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내용물의 이동을 막지 않으며 유도하도록 하여 보관부(113)의 내용물이 통과 통로부(139)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높이유도부재(18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4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5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6은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특히, 통과 장치(100) 중 하우징(110)은 보관부(113)의 내용물(5) 토출 측에 결합된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토출 안내를 위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350)를 형성한다. 이때, 내용물은 플랜지(350)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의 외측으로 누출 방지되는 분말을 적용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8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9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60은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또는 내용물 이동 기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7 내지 도 6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는 보관부(113), 하우징(110), 수취부(181) 및 통과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과 보관부(113) 및 통과부(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개방된 일측이 커버(30)의 개폐에 의해 실질적으로 밀폐되거나, 커버(30) 없이 수취부(181)만 구비되어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통과부(120)는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을 보관부(113)의 외측으로 통과 유도하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포함한다.
통과 장치(10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과 별개로 수취부(141)를 포함한다. 수취부(141)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이 필요한 수요량을 초과해서 대기 수납부(115)로 유입되는 것을 저항하여, 결과적으로 잔류하는 내용물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요량이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이 개폐 기구(110)의 하우징인 경우, 하우징(110)은 개폐 기구(110)로서, 보관부(113)의 내용물 통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용기 기구 본체의 보관부(113)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 기구(110)는 내부 안쪽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대기 수납부(115)를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 기구(1)의 저장된 내용물을 나누어 수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30)는 개폐 기구(1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마감되는 개폐 기구 캡(30)으로 기능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이 구비되는 통과부(120)는 개폐 기구(110) 내부에 설치되거나, 보관부(1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10)은 개폐 기구가 아니고, 용기 기구 본체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용기 기구 본체와 분리되는 용기 기구(1)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수취부(181)는 저항상판부재(182), 저항측판부재(183), 구획부재(184), 차단부재(185), 유입부재(186), 대기턱(187) 및 대기부(188)를 포함한다.
내용물은 수취부(181)에 구비되는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며, 개방부(122)를 통과한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한다.
저항상판부재(182)는 하우징(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저항측판부재(183)는 하우징(110), 저항상판부재(182), 고정부재(121)나 커버(30)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저항측판부재(183)가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개방되는 커버(30)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30)를 개방시에 함께 이동해서 내용물을 집을 때 간섭이 되지 않도록 커버(3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저항상판부재(182)와 저항측판부재(183)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과 통과 측면 방향에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구획부재(184)는 수취부(181)의 공간을 구획하여 개방부(122)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잔류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부재(184)는 구획되어지는 상기 수취부(181)의 실질적인 내용물 수취 공간을 조절하여 수취부(181)에 수취되는 내용물의 양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부재(184)는 커버(30) 측에서 고정부재(121)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수취부를 구획하는 다양한 방향과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차단부재(185)는 고정부재(121)의 상면 방향에서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차단부재(185)는 내용물 통과 방향을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돌출된다. 이때, 차단부재(185)는 내용물이 개방부(122)를 통과 후 수취부(181)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대기부(188)는 대기 수납부(115)의 일부분에 해당된다.
또한, 수취부(181)는 유입부재(186)를 포함한다.
유입부재(186)는 개방부(122)를 통과한 내용물이 수취부(181)로 유도되고, 유도 부위를 제외한 부위로 유입 방지되도록, 수취부(181)에 포함된다. 유입부재(186)는 구획부재(184)와 유격되도록 커버(3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유입부재(18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재(121)의 상부면 즉, 커버(30)를 향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은 내용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면에 구비되는 대기턱(187)은 내용물을 대기부(188)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대기 수납부(115) 내부에서 내용물은 대기부(188)에 위치하며 인출 대기한다.
대기턱(187)은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 가장자리를 따라 커버(30) 방향으로 돌출된다. 물론, 대기턱(18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 및 운동부재(125)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의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는 자중 및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방한다. 반대로, 하우징(110)이 똑바로 세워지면, 개방부재(124)는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닫는다.
또한,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운동부재(12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일부가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토퍼(129)를 구비한다. 스토퍼(129)에 대응하여 운동부재(125)의 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하여 운동부재(125)가 운동시 일정 부위에서 스토퍼(129)에 저항되도록 운동부재(125)의 형태가 구성되거나 운동부재(125)의 일부가 돌출되는 운동부재 돌출부(125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개방부재(124)는 자중 및 내용물의 누르는 힘에 의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개방부(122)를 개방한다.
반대로, 개방부재(124)는 자중에 의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부(122)를 막는다. 이때, 운동부재 돌출부(125b)가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121)의 표면에 접함으로써, 개방부재(124)는 타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토출되는 약품의 개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복약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가 복약 스케쥴에 따라 정확하게 복약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의 내용물 통과 측을 개방하는 개방부재의 운동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개폐 반응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통과 공간을 가변시키며 내용물의 수취부를 확보함으로써 내용물의 정량 통과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의 통과 공간을 확보하여 내용물을 정량 통과함에 연동되어 통과 공간을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폐쇄하여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통과 운동부의 무게와 무게 중심 위치를 통한 평형 작용에 의해 자중에 의한 운동을 제어하여, 필요량의 내용물이 통과하기 이전에 통과 공간이 폐쇄되지 않도록 하여 필요량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내용물 이동 기구, 용기 기구, 수용 기구, 내용물 기구
30: 커버 100: 통과 장치, 밸브
110: 하우징 113: 본체, 보관부
115, 181: 수취부 120: 통과작동부
121: 고정부재 122: 개방부
122a: 브라켓 123: 내용물 통과수단
123a: 운동제어부재 123c: 운동가중제어부재
123b: 평형부 124, 142: 개방부재
124a: 통과 격실부 124b: 개방부재 절곡부
125: 운동부재 125a: 운동 고정부
125b: 운동부재 돌출부 127: 막음부재
127a: 수용부재 127b: 막음부재 절곡부
129: 스토퍼 130, 180: 이동 안내부
132: 가이드홀 135: 분리판
139: 통과 통로부 140: 통과 운동부
142: 개방부재 146: 바닥부
147: 바닥높이 변화부재 180: 이동 안내부
187: 대기턱 188: 높이유도부재
190: 가이드부재 210: 운동부 회전중심
215: 운동부 무게중심 220: 감지부
230: 표시부 300: 커넥터
500: 센서 모듈 510: 센서
520: 센싱 제어부 600: 복약 안내 단말
610: 입력부 620: 출력부
630: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 610: 입력부
620: 출력부 630: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
700: 복약 관리 서버 710: 처방전 정보 수집부
720: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730: 제어 서버

Claims (17)

  1. 수용 기구의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통과 공간을 통해 배출시키는 통과 작동부; 및
    상기 통과 작동부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작동부는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는 내용물 통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통과수단은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 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운동부는 내용물의 통과 방향으로 운동되어 내용물의 상기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통과하는 내용물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로 전달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통과 공간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광을 바탕으로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광이 방출된 시각과 수광된 시각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 공간을 통해 내용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시간차가 기 설정된 설정값 이내이면 내용물이 상기 통과 공간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9. 출력부; 및
    센서 모듈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상태 정보는 내용물 정보, 내용물 감지 여부 및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시각 및 상기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 정보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오복용을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는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5.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복약 관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는 내용물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는 사용자의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092326A 2016-02-01 2016-07-20 복약 관리 장치 KR20170091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07A KR101874328B1 (ko) 2016-02-01 2017-01-26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20170012914A KR20170091524A (ko) 2016-02-01 2017-01-26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PCT/KR2017/001023 WO2017135654A1 (ko) 2016-02-01 2017-01-31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CN201780007684.XA CN108602610B (zh) 2016-02-01 2017-01-31 通过装置、阀、具备其的容纳器具、内容物移动器具及内容物器具
JP2018540154A JP6765029B2 (ja) 2016-02-01 2017-01-31 通過装置
EP17747699.1A EP3412600A1 (en) 2016-02-01 2017-01-31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US16/071,375 US11033460B2 (en) 2016-02-01 2017-01-31 Passage device, valve, reception device including same, content movement device, and cont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12597 2016-02-01
KR1020160012597 2016-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493A true KR20170091493A (ko) 2017-08-09

Family

ID=59652466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26A KR20170091493A (ko) 2016-02-01 2016-07-20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092327A KR20170091494A (ko) 2016-02-01 2016-07-20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27190A KR20170091497A (ko) 2016-02-01 2016-10-02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27193A KR20170091498A (ko) 2016-02-01 2016-10-02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60800A KR20170091503A (ko) 2016-02-01 2016-11-29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20160166241A KR20170091504A (ko) 2016-02-01 2016-12-07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327A KR20170091494A (ko) 2016-02-01 2016-07-20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27190A KR20170091497A (ko) 2016-02-01 2016-10-02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27193A KR20170091498A (ko) 2016-02-01 2016-10-02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0160160800A KR20170091503A (ko) 2016-02-01 2016-11-29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20160166241A KR20170091504A (ko) 2016-02-01 2016-12-07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1700914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624B1 (ko) 2017-12-12 2019-09-30 주식회사 헬스올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KR102230731B1 (ko) 2018-11-28 2021-03-22 주식회사 포스코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494A (ko) 2017-08-09
KR20170091497A (ko) 2017-08-09
KR20170091498A (ko) 2017-08-09
KR20170091503A (ko) 2017-08-09
KR20170091504A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328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1020316B2 (en)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EP3656368B1 (en)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KR102157435B1 (ko) 복약 관리 장치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2241567B1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10157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20170091493A (ko)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09995A (ko) 복약 관리 장치
KR101801603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0193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106284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111006A (ko) 통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KR20160104529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10164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TWI675785B (zh) 分配裝置及內容物移動設備
KR20200106375A (ko) 복약 관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