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624B1 -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624B1
KR102026624B1 KR1020170170275A KR20170170275A KR102026624B1 KR 102026624 B1 KR102026624 B1 KR 102026624B1 KR 1020170170275 A KR1020170170275 A KR 1020170170275A KR 20170170275 A KR20170170275 A KR 20170170275A KR 102026624 B1 KR102026624 B1 KR 10202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terminal
electronic
registration
short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915A (ko
Inventor
도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스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스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스올
Priority to KR102017017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약물을 수납하여 복약자에게 복약을 요하는 시간에 복약을 알림하여 설정된 복약시간에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Remote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med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약물을 수납하여 복약자에게 복약을 요하는 시간에 복약을 알림하여 설정된 복약시간에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진료를 받은 후 약제 처방이 요구되면 병원에서 처방한 진료내역에 따라 약제를 처방받아 복약하며, 상기 처방된 약제는 일정한 복약 시간과 주기가 정해진다.
통상 1일 1회, 1일 3회(아침, 점심, 저녁), 1일 4회(아침, 점심, 저녁, 취침전), 또는 특정 시점(특정일, 특정시각)에 복약하게 되는데, 정해진 복약시간을 준수하여 약제를 복약하는 것이 최적의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환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약제를 복약하는 관계로, 복약시간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약제 치료가 중요한 중증질환 환자 3명 중 1명(35.1%)은 복약을 임의로 1회 이상 중단했던 경험이 있고, 환자 4명 중 1명(24.7%)은 약을 정해진 시각에 규칙적으로 먹지 않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환자들이 정해진 복약시각에 약제를 복약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전자복약 알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627호에서는 복약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동작 설정부, 입력된 복약조건에 해당하는 복약 조건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복약안내를 시각적으로 행하기 위한 램프부, 복약 안내를 청각적으로 행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현재 시각을 제공하는 타이머, 및 현재 시각이 복약조건을 만족하면 램프부와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여 시청각적으로 복약안내가 행해지도록 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복약 알림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복약 알림 장치를 통해 설정된 복약시점을 안내받아 복약하면, 복약시점을 놓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복약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복약자와 함께 위치하지 아니한 보호자가 해당 복약자의 복약 사실을 인지하기는 어렵고, 또 복약상태나 전자 복약기의 복약 설정을 원격으로 확인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보호자는 매번 복약자가 위치한 현장을 방문하여 전자 복약기의 설정값 등을 변경하거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야기될 수 있다.
KR 10-2016-0097625 A KR 10-2014-0139998 A KR 10-2017-0091494 A KR 10-1642599 B1 KR 10-2015-0005339 A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약물을 수납하여 복약자에게 복약을 요하는 시간에 복약을 알림하여 설정된 복약시간에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용서버의 구축없이 등록 보호자가 통신사에서 범용화되게 제공되는 SMS 서비스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전자 복약기 내에 등재된 투약정보와 투약여부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값의 확인이 가능하고, 또 원격으로 투약 정보값 등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한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은,
제어모듈이 탑재된 전자 복약기와; 상기 전자 복약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접속되며, SMS 전송기능이 탑재된 복약자 단말기; 및 상기 복약자 단말기와 원거리 통신하며 SMS 전송기능이 탑재된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에 있어서,
등록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입력한 다음, 상기 로드 열람용 단문코드를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자 단말기가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SMS 형태의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자 단말기가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를 통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진위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번호를 통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 판정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 복약기에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전자 복약기가, 제어모듈을 통해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에 따라 로그 정보값을 메모리 유닛에서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복약기가 상기 취득된 로그 정보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자 단말기가 전자 복약기로부터 수신된 로그 정보값을 SMS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된 로그 정보값을 SMS 형태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명령에 의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취득되는 로그 정보값은, 전자 복약기에 설정된 복약시간과, 복약시간에 따른 복약자의 복약여부, 배터리 잔류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로그 정보값을 SMS 서비스를 통해 수득하여 전자 복약기의 로그 정보를 확인한 다음,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모드 전환용 단문코드를 입력하여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하여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을 동작모드에서 설정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보호자 단말기가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입력되는 설정용 단문코드를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의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이 설정용 단문코드에 따라 복약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전용서버의 구축없이 등록 보호자가 통신사에서 범용화되게 제공되는 SMS 서비스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전자 복약기 내에 등재된 투약정보와 투약여부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값의 확인이 가능하고, 또 원격으로 투약 정보값 등의 설정을 변경한다.
따라서, 등록 보호자는 각 통신사를 통해 SMS 서비스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기록된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복약자의 복약여부와 전자 복약기의 상태를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복약자가 알림된 복약시간에 복약을 하지 아니한 경우에 설정을 변경하여 복약시간을 재 알림하거나 횟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서버를 구축하는 등 많은 비용을 투자하지 아니하고, 통신사에서 범용화되게 제공되는 SMS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자 복약기와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로그 정보값과 복약 설정값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복약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약품 수납통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복약기에 있어, 서랍형 약품 수납통의 인출여부를 감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에 있어,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SMS 형태로 전송된 로그정보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복약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약품 수납통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복약기에 있어, 서랍형 약품 수납통의 인출여부를 감지하는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에 있어,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SMS 형태로 전송된 로그정보를 예시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은, 제어모듈(111)이 탑재된 전자 복약기(100)와; 상기 전자 복약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복약자 단말기; 및 등록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에 구현되어, 원거리에 위치한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전자 복약기의 상태를 열람하거나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복약자 단말기와 등록 보호자 단말기는 CDMA 방식을 통해 통화와 데이터 전송, 및 SMS(단문 문자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범용의 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 등이 채택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자 복약기와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복약자 단말기에는 별도의 앱이 탑재되어, 앱을 통해 전자 복약기와 등록 보호자 단말기는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복약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모듈을 탑재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조립되며 약품들을 단위 수납한 하나 이상의 약품 수납통(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에 트레이 브라켓들을 직렬로 적층되게 연결시켜 복수의 서랍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각 서랍슬롯에 1회 복용을 요하는 약품을 수납한 약품 수납통을 진입하여 약품 수납통의 간편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10)의 좌우 양편에 견착홈(110a)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 브라켓(120)의 양편에 견착단(122)을 형성하여서, 상기 트레이 브라켓(122)은 본체(110)에 형성된 견착홈(110a)에 견착단(122)을 견착시켜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트레이 브라켓(120)의 양편에도 견착홈(121)이 형성되어 조립을 요하는 트레이 브라켓(120)은 견착단(122)을 인접한 트레이 브라켓(120)의 견착홈(121)에 견착하여서, 본체(110)의 일측에 직렬로 연결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 브라켓(120)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서랍슬롯(120a)이 형성되어 약품 수납통(130)은 각 트레이 브라켓(120)에 형성된 서랍슬롯(120a)에 서랍형태로 진입되어서, 본체(110)의 일측에 직렬로 배열된 상태로 수납된다.
따라서, 복약자나 보호자는 복약을 요하는 횟수에 따라 트레이 브라켓(120)의 조립 개수를 증감시켜, 요하는 개수의 약품 수납통(130)을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약품 수납통(130)은 본체(110)나 자체적으로 직접 조립되어 고정되지 아니하고, 본체(110)의 일측에 조립된 트레이 브라켓(120)에 형성된 서랍슬롯에 서랍형태로 진입되어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알림된 복약시간에 약품을 복용함에 있어 약품 수납통(130)을 본체(110)에서 해체하거나, 트레이 브라켓(120)에서 해체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즉, 복약자는 트레이 브라켓(120)에서 약품 수납통(130)을 서랍형태로 단순 인출시켜 수납된 약품을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복약자는 약품 수납통(130)을 서랍형태로 인출하여 수납된 약품을 간편하게 복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상기 약품 수납통(130)에는 도 4와 같이 간막(131)에 의해 구획된 구획공간이 형성되어 각 구획공간에 종류에 따라 약품을 구획하여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약자에서 복약시간을 알림하는 제어모듈(111)에는 제어유닛과, 메모리 유닛과, 배터리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조작유닛, 근거리 통신유닛, 및 알림유닛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근거리 통신유닛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상기 알림유닛으로는 시각, 청각, 또는 진동신호 등을 채택한다.
따라서, 상기 복약 제어모듈은 알림유닛을 통해 설정된 복약시간에 복약자에게 복약을 알림하고, 복약자는 알림유닛에 의한 알림에 의해 약품 수납통에 수납된 약품을 복용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알림에도 불구하고 조작유닛에 마련된 복약 확인버튼의 누름이나 터치 등의 조작 등 복약 확인 조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면, 제어모듈은 복약자가 약품을 미복용한 것으로 간주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상기 적층하여 조립되는 각 트레이 브라켓(120)에 상호 연통하며 서랍슬롯(120a)과 연통하는 통기관(123)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10)에는 통기관(123)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센서(112)를 배치하여, 제어모듈(111)은 약품 수납통(130)의 인출에 따른 통기관(123)의 순간적인 감압을 감지하여 복약자의 복약 사실을 인지하도록 한다.
즉, 어느 하나의 트레이 브라켓(120)에 형성된 서랍슬롯(120a) 내에서 약품 수납통(130)이 인출되어 통기관(123) 내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지면, 압력 감지센서(112)를 통해 순간적인 감압을 감지한 제어모듈(111)은 복약자가 약품을 복용하기 위해 약품 수납통(130)을 서랍슬롯(120a) 내에서 인출한 것으로 간주하여 인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약품 수납통에 별도의 센서나 기구물 등을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지 아니하고, 또 트레이 브라켓의 증감과 상관없이 약품 수납통의 인출을 간편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자 복약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마트 복약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외부에 위치한 보호자가 복약자의 복약여부를 원격으로 확인하거나, 전자 복약기의 설정을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각 통신사에서 제공되는 SMS 서비스를 활용하여 소지한 전자 복약기로부터 제공되는 로그 정보값을 원격으로 수신하거나, 전자 복약기의 설정을 원격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보호자가 SMS 서비스를 통해 설정용 단문코드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복약자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는 전자 복약기는 SMS 형태로 전송된 단문코드에 따라 메모리 유닛에 기록된 로그 정보값을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로그 정보값을 복약자 단말기를 매개로 하여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SMS 형태로 제공하거나, 전송된 단문코드에 의해 복약 설정을 변경하도록 한다.
먼저, 로그 정보값의 원격 열람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자면, 최초 등록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SMS 입력창에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입력한 다음, 상기 SMS 형태의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복약자의 단말기를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하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 복약기에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전송한다.
예컨대, 보호자가 SMS 입력창에 "복약 알림시간 확인", 또는 "복약 여부 확인"이라는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입력한 다음 복약자의 호출번호로 SMS 형태의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SMS 형태의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복약자 단말기는, 수신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를 통해 등록 보호자의 진위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가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등록된 호출번호로 3자에 의한 접근경고를 SMS형태로 호출하여 알림하여, 등록 보호자가 적극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번호를 통해 1차적인 진위여부가 판정되면, 전자 복약기는 복약자 단말기를 통해 사전 저장된 인증 단문코드를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SMS 서비스를 통해 요청하고, 등록 보호자는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요청된 인증 단문코드를 SMS 입력창에 입력하여 복약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한다.
이후, 수신된 인증 단문코드와 사전 저장된 인증 단문코드의 일치 여부를 통해서 등록 보호자의 2차적인 진위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은,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에 따라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로그 정보값을 취득한 다음, 상기 취득된 로그 정보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복약자의 단말기는 전자 복약기로부터 수신된 로그 정보값을 SMS형태로 변환한 다음, 상기 로그 정보값을 변환한 SMS를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명령에 의해 원격으로 스마트 단말기에서 취득되는 로그 정보값은, 전자 복약기에 설정된 복약시간과, 복약시간에 따른 복약자의 복약여부, 그리고 배터리 잔류량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자 단말기는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나, 후술되는 모드 전환용 단문명령, 또는 설정용 단문명령이 수신된 다음, 전자 복약기와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경우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접속 불능 사실을 SMS 형태로 자동 전송하여 보호자에게 알림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으로 로그 정보값을 SMS를 통해 수득하여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로그 정보를 확인한 보호자는 전자 복약기와 원격으로 접속하여, 복약시간이나 복약횟수, 알림형태 등 전자 복약기의 설정값을 원격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자면, 상기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로그 정보값을 SMS를 통해 수득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로그 정보를 확인한 보호자는 SMS 입력창에 모드 전환용 단문코드를 입력한 다음,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을 동작모드에서 설정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보호자가 설정 단문코드를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SMS 입력창에 입력하여 복약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의 설정용 단문코드를 전송하면, 설정모드로 전환된 제어모듈은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설정용 단문명령에 따른 설정값을 변경한다.
예컨대, 모드 전환용 단문코드를 SMS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하여 동작모드에서 설정모드로 전환한 다음, 복약자가 활성화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SMS 입력창에 "1. 6시 30분, 2. 12시 30분, 3. 5시 30분"의 설정용 단문코드를 입력하여 복약자 단말기에 단문 전송하면, 복약자 단말기는 설정용 단문코드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용 단문코드를 수신받은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은 상기 설정용 단문코드에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약품의 투약시간을 재 설정한다.
또한, 상기 복약자 단말기는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단문명령이 수신한 다음 전자 복약기와 근거리 통신망이 인가되지 아니할 경우, SMS를 통해 접속불능 상태값을 보호자 단말기로 자동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복약자 단말기는 전자 복약기를 설정모드로 전환된 다음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설정시간 동안 설정 단문명령이 수신되지 아니하면, 등록 보호자 단말기는 전자 복약기에 설정모드 해제명령을 생성 및 전자 복약기에 전송함으로써,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이 설정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복약자 단말기는 시간 초과에 의해 설정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된 사실을 SMS 서비스를 통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통지함으로써, 등록 보호자가 전자 복약기의 원격 설정과정을 종료하거나 재시도하도록 한다.
그리고, 등록 보호자가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제공하여야 할 단문코드가 기억나지 아니할 경우에는,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안내", 또는 "도움"이라는 단문코드를 입력하고 입력된 단문코드를 복약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하면, 전자 복약기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 단문코드를 복약자 단말기를 통해서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 원격 전송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용방법을 완전히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각 통신사에서 제공되는 SMS 서비스를 활용하여 전자 복약기로부터 제공되는 로그 정보값을 원격으로 수신하거나, 전자 복약기의 설정을 원격으로 변경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
100. 전자 복약기 110. 본체
110a. 견착홈 111. 제어모듈
112. 압력 감지센서
120. 트레이 브라켓 120a. 서랍슬롯
121. 견착단 122. 견착홈
123. 통기관 130. 약품 수납통
200. 복약자 단말기 300. 등록 보호자 단말기

Claims (3)

  1. 등록 보호자가 소지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로드 열람용 단문코드를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자 단말기에서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SMS 형태의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자 단말기에서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를 통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진위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호출번호를 통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로 판정되면, 복약자 단말기에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 복약기로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를 수신한 전자 복약기에서, 제어모듈을 통해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에 대응하여 로그 정보값을 메모리 유닛에서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 복약기에서 상기 취득된 로그 정보값을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약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자 단말기에서 전자 복약기로부터 수신된 로그 정보값을 SMS로 변환한 다음, 상기 변환된 로그 정보값을 SMS 형태로 등록 보호자 단말기의 호출번호로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열람용 단문코드에 의해 등록 보호자 단말기에 취득되는 로그 정보값은, 전자 복약기에 설정된 복약시간과, 복약시간에 따른 복약자의 복약여부, 배터리 잔류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로그 정보값을 SMS 서비스를 통해 수득하여 전자 복약기의 로그 정보값을 확인한 다음,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모드 전환용 단문코드를 입력하여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에 전송하여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을 동작모드에서 설정모드로 모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등록 보호자 단말기가 활성화된 SMS 입력창에 입력되는 설정용 단문코드를 등록 보호자 단말기를 통해 전자 복약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복약기의 제어모듈이 설정용 단문코드에 따라 복약 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KR1020170170275A 2017-12-12 2017-12-12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KR10202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275A KR102026624B1 (ko) 2017-12-12 2017-12-12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275A KR102026624B1 (ko) 2017-12-12 2017-12-12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15A KR20190069915A (ko) 2019-06-20
KR102026624B1 true KR102026624B1 (ko) 2019-09-30

Family

ID=6710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275A KR102026624B1 (ko) 2017-12-12 2017-12-12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210B1 (ko) 2021-02-26 2022-02-08 주식회사 디엔엑스 스마트 약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629B1 (ko) * 2020-04-21 2022-04-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약 시기에 따라 설정된 약재를 배출하는 투약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23096300A1 (ko) * 2021-11-26 2023-06-01 카멜로테크 주식회사 한약 자동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54B1 (ko) 2016-06-13 2016-12-09 아이오틴 주식회사 보호자 알림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스마트약통 및 이를 포함하는 복용시간 알림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339A (ko) 2013-07-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약 관리 장치
KR20140139998A (ko) 2014-10-23 2014-12-08 (주)제이브이엠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42599B1 (ko) 2014-11-27 2016-08-25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60097625A (ko) 2015-02-09 2016-08-18 지현구 스마트 약통을 이용한 직접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1494A (ko) 2016-02-01 2017-08-09 박서준 복약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854B1 (ko) 2016-06-13 2016-12-09 아이오틴 주식회사 보호자 알림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스마트약통 및 이를 포함하는 복용시간 알림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tube 동영상(메디알람S 사용법 FUll 버전, 2017.11.02) 1부*
Yutube 동영상(헬스올 스마트복약기 캐비넷(Cabinet) 사용설명서, 2017.04.20)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210B1 (ko) 2021-02-26 2022-02-08 주식회사 디엔엑스 스마트 약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15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624B1 (ko) 스마트 복약 알림 시스템의 원격 제어방법
JP6689822B2 (ja) 薬剤情報システム及び方法
US9968734B2 (en) Patient programmer for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
EP2142161B1 (en) Tablet dispenser system
KR101281039B1 (ko) 환자의 약 복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 및 약 복용 관리 방법
AU2018200224A1 (en) Medica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80350178A1 (en) Locking medication contain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9520907A (ja) 複数の透析装置の専用遠隔制御
KR101732631B1 (ko) 모바일 기기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KR20090121265A (ko)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JP6021105B2 (ja) 服薬管理システム
KR101642599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JP2012110586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100005967U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JP2012165800A (ja) 在宅服薬コンプライアンス支援装置とプログラム及び服薬コンプライアンス確認方法
US20160125163A1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management of the intake of drugs by a patient
WO2016185080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medication
KR101635743B1 (ko) 약물 복용 관리 방법 및 이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관리 방법
KR20200019511A (ko) 약 복용 리마인더 iot시스템
KR20220095570A (ko) IoT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KR20240031349A (ko) 스마트 알약 디스펜서 처방 처리 시스템
CN114120596A (zh) 输液监测装置和方法
KR20110085008A (ko) 약봉지 자동 배출 제어 방법
KR20200136211A (ko) 탁상형 스마트 약재함
TW201914568A (zh) 智慧型藥品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