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374A -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374A
KR20170091374A KR1020160012290A KR20160012290A KR20170091374A KR 20170091374 A KR20170091374 A KR 20170091374A KR 1020160012290 A KR1020160012290 A KR 1020160012290A KR 20160012290 A KR20160012290 A KR 20160012290A KR 20170091374 A KR20170091374 A KR 2017009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ezoelectric layer
cover substrate
touc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374A/ko
Publication of KR2017009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의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 상의 제 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실시예는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에 따른 위치 검출뿐만 아니라, 터치의 힘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거나 또는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압력 센서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와함께 촉각, 질감 등을 인식하는 햅틱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도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햅틱 센서, 압력 센서와 터치 패널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터치 패널과 압력 센서의 구성에 의해 두께가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터치 감지, 압력 감지와 함께 질감 등의 햅틱 기능을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의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 상의 제 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에 의해 진동이 발생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을 통해, 하나의 층에서 위치, 압력 및 촉감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전극을 통해 표시 패널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 신호들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들을 각각 배치하지 않고, 하나의 층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디바이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들을 압전층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위치 감지 전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슬림한 두께를 가지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0), 제 1 전극(210), 제 2 전극(220), 제 3 전극(230) 및 압전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은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유리를 포함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은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기판(100)은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파이어는 유전율 등 전기 특성이 매우 뛰어나 터치 반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올릴수 있을 뿐 아니라 호버링(Hovering) 등 공간 터치를 쉽게 구현 할 수 있고 표면 강도가 높아 커버 기판으로도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호버링이란 디스플레이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도 좌표를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은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은(100) 부분적으로는 평면을 가지고, 부분적으로는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의 끝단이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지거나 랜덤한 곡률을 포함한 표면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기판(100)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에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영역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비유효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위치, 압력 및/또는 촉감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는 외곽 더미층(도면에 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곽 더미층은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또는 흰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 또는 흰색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칼라 필름 등을 사용하여 빨강색, 파란색 등의 다양한 칼라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 더미층은 적어도 1층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곽 더미층은 하나의 층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폭이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 더미층은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100)이 플렉서블하거나 곡률을 가지는 경우, 커버 기판에 용이하게 외곽 더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곽 더미층은 커버 기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 상에는 제 1 전극(2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제 1 서브 제 1 전극 및 제 2 서브 제 1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전극(21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및/또는 벤딩이 구현된 터치 윈도우를 제조할 때,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및/또는 벤딩이 구현된 터치 윈도우를 제조할 때,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나노 합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흑색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나노 파우더의 함량제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확보 하면서 색과 반사율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튬(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및/또는 벤딩이 구현된 터치 윈도우를 제조할 때,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전극(210)은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서로 교차하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서브 전극들에 의해 상기 감지 전극은 전체적으로 메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 상에서 상기 감지 전극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이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이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210)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서브 전극들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선 및 상기 메쉬선 사이의 메쉬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선폭은 약 0.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선폭이 약 0.1㎛ 미만인 메쉬 선은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할 수 있고, 약 10㎛를 초과하는 경우, 감지 전극 패턴이 외부에서 시인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는, 메쉬선의 선폭은 약 1㎛ 내지 약 5㎛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쉬선의 선폭은 약 1.5㎛ 내지 약 3㎛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선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500㎚ 일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두께가 약 100㎚ 미만인 경우, 전극 저항이 높아져서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약 500㎚을 초과하는 경우,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고,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전극 메쉬선의 두께는 약 15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선의 두깨는 약 18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다양한 구동 방식에 의해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은 셀프 캡(self-Cap) 방식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제 1 서브 제 1 전극 및 제 2 서브 제 1 전극에 의해 뮤추얼캡(Mutual-Cap) 방식으로 구동하여 정전 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고, 커버 기판의 일면 상에 접촉되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전극(210)에는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를 구동칩으로 전달하는 배선 전극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선 전극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전극의 물질과 동일 또는 상이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은 상기 커버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과 상기 압전층(300)은 접착층(4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400)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또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은 압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층(30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은 다양한 압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층(300)은 단결정 세라믹스, 다결정 세라믹스, 고분자 재료, 박막 재료 또는 다결정재료와 고분자 재료를 복합한 복합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세라믹스의 압전 소재로는 α-AlPO4, α-SiO2, LiTiO3, LiNbO3, SrxBayNb2O3, Pb5-Ge3O11, Tb2(MnO4)3, Li2B4O7, CdS, ZnO, Bi12SiO20 또는 Bi12GeO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결정 세라믹스의 압전 소재로는 PZT계, PT계, PZT-Complex Perovskite계 또는 BaTiO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재료의 압전 소재로는, PVDF, P(VDF-TrFe), P(VDFTeFE) 또는 TG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막 재료의 압전 소재로는, ZnO, CdS 또는 Al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재료의 압전 소재로는, PZT-PVDF, PZT-Silicon Rubber, PZT-Epoxy, PZT-발포 polymer 또는 PZT-발포 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전층(300)은 고분자 재료의 압전 소재를 포함할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400)은 PVDF, P(VDF-TrFe), P(VDFTeFE), P(VDF-TrFE-cfe) 및 P(VDF-TrFE-ctfe) 중 적어도 하나의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압전층(300)은 전기적 인가에 의해 물리적 진동이 발생하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의 두께는 약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압전층(300)의 두께가 약 50㎛를 초과하는 경우, 터치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되어 슬림한 두께의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없다.
상기 압전층(300) 상에는 제 2 전극(220) 및 제 3 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은 상기 커버 기판(100)과 마주보는 일면 및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압전층(3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압전층의 일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전극(230)은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전극(230)은 상기 압전층의 타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1 전극의 물질과 동일 또는 상이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은 입력 장치의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은 입력 장치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300)과 함께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자세하게, 상기 압전층의 두께 변화량에 따라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압전층의 폭이 변화되는 변화량 및 상기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는 전극들의 변위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접촉 영역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접촉 영역에서 압전층의 폭이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력 장치가 접촉된 영역에서 압력의 변화 및 세기를 감지하여 압력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220), 상기 제 3 전극(230) 및 상기 압전층(300)에 의해 입력 장치에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입력 장치에 따른 촉감을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동칩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을 시분할하여,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에 의해 압력 인식 및 촉감 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동칩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을 압력을 인식하는 전극 및 촉감을 제공하는 전극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에 의해 압력 인식 및 촉감 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압력 감지에 따른 출력 전압은 약 1V 내지 약 6V이고, 압력 감지에 따른 출력 전류는 약 0.1mA 내지 0.5mA 이고, 압력이 인가될 때 캐패시턴스의 값은 약 10nF 내지 약 50nF일 수 있다.
또한, 촉감 제공에 따른 교류 전압은 약 100V 내지 약 250V이고, 교류 주파수는 약 50Hz 내지 약 250Hz이고, 진동 가속도는 약 0.5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압전층의 하부에는 제 1 기판(510) 및 제 2 기판(520)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을 통해, 하나의 층에서 압력 감지 및 촉감 제공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를 배치하지 않고, 하나의 층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디바이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슬림한 두께의 터치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0) 상의 기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10)은 상기 커버 기판(100)과 압전층(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과 상기 기판(110)은 제 1 접착층(410)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210)은 상기 기판(11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210)은 상기 기판(110)의 일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과 상기 압전층(300)은 제 2 접착층(420)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위치를 감지하는 제 1 전극이 커버 기판 상의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제 1 전극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커버 기판(100), 제 1 전극(210), 제 2 전극(220), 압전층(300) 및 표시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과 상기 압전층(300)은 접착층(4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압전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210)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는 상기 제 2 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의 위치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사에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에 의해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뮤츄얼캡 방식으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상기 압전층의 두께 변화량에 따라 압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압력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압전층의 폭이 변화되는 변화량 및 상기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는 전극들의 변위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접촉 영역에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접촉 영역에서 압전층의 폭이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력 장치가 접촉된 영역에서 압력의 변화 및 세기를 감지하여 압력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압전층(300)에 의해 입력 장치의 촉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상기 압전층의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압전층에 전기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압전층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진동 즉, 물리적인 진동이 발생하여, 액츄애이터(Actuator)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입력 장치에 따른 촉감을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을 통해, 하나의 층에서 위치, 압력 및 촉감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들을 각각 배치하지 않고, 하나의 층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디바이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들을 압전층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위치 감지 전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슬림한 두께를 가지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커버 기판(100), 제 1 전극(210), 제 2 전극(220), 제 3 전극(230) 압전층(300) 및 표시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과 상기 압전층(300)은 접착층(4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50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500)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제 3 전극(230)은 상기 압전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는 상기 제 3 전극(23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압전층(300)의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에 의해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뮤츄얼캡 방식으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상기 제 2 전극(220), 상기 압전층(300)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의 에어 갭에 의해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의 일면 상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입력 장치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에어 갭의 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에어 갭의 폭의 변화 값의 차이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압력을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압력 차이에 따른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5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70㎛ 내지 약 200㎛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100㎛ 내지 약 200㎛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AG)의 폭이 약 50㎛ 미만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30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작아져서, 입력 장치의 접촉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갭(AG)의 폭이 약 200㎛을 초과하는 크기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에어 갭의 크기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여 슬림한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상기 제 2 전극(220) 및 상기 압전층(300)에 의해 입력 장치의 촉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상기 압전층의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압전층에 전기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압전층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진동 즉, 물리적인 진동이 발생하여, 액츄애이터(Actuator)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입력 장치에 따른 촉감을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전극(230)은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전극(230)은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전극(230)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을 통해, 하나의 층에서 위치, 압력 및 촉감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전극을 통해 표시 패널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 신호들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들을 각각 배치하지 않고, 하나의 층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디바이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들을 압전층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위치 감지 전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슬림한 두께를 가지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 1, 2, 3, 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커버 기판(100), 제 1 전극(210), 제 2 전극(220), 압전층(300) 및 표시 패널(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기판(100)과 상기 압전층(300)은 접착층(4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50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500) 사이에는 에어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압전층(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압전층(300)의 일면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210)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는 상기 제 2 전극(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210)은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상기 제 1 전극(210)에 의해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210)은 셀프캡 방식으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상기 압전층(300)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의 에어 갭에 의해 커버 기판(100)의 일면 상에 접촉하는 입력 장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의 일면 상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입력 장치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에어 갭의 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에어 갭의 폭의 변화 값의 차이를 감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압력을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압력 차이에 따른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5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70㎛ 내지 약 200㎛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에어 갭(AG)의 폭은 약 100㎛ 내지 약 200㎛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AG)의 폭이 약 50㎛ 미만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압전층(300)과 상기 표시 패널(30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작아져서, 입력 장치의 접촉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갭(AG)의 폭이 약 200㎛을 초과하는 크기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에어 갭의 크기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여 슬림한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하는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10) 및 상기 압전층(300)에 의해 입력 장치의 촉감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할 때, 상기 압전층의 형상이 변화되고, 상기 압전층의 일면 또는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에너지에 의해, 상기 압전층에 전기가 인가될 수 있고, 상기 압전층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진동 즉, 물리적인 진동이 발생하여, 액츄애이터(Actuator)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의 일면에 입력 장치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입력 장치에 따른 촉감을 감지하여 햅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층(300)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전극(220)은 상기 표시 패널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극(220)은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220)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압전층 및 압전층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들을 통해, 하나의 층에서 위치, 압력 및 촉감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전극을 통해 표시 패널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 신호들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압력 및 촉감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들을 각각 배치하지 않고, 하나의 층에서 이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터치 디바이스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들을 압전층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위치 감지 전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터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슬림한 두께를 가지고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1000) 등의 웨어러블 터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터치 디바이스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네비게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는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서 터치 윈도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의 제 2 전극;
    상기 제 2 전극 상의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 상의 제 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터치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폴리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의 압력 감지에 따른 출력 전압은 1V 내지 6V이고,
    상기 압전층의 압력 감지에 따른 출력 전류는 0.1mA 내지 0.5mA이고,
    상기 압전층에 압력 감지시 캐패시턴스 값은 10nF 내지 50nF인 터치 디바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의 진동 발생에 따른 교류 전압은 100V 내지 250V이고,
    상기 압전층의 진동 발생에 따른 주파수는 50Hz 내지 250Hz이고,
    상기 압전층에 진동 발생에 따른 진동 가속도는 0.5G 이상인 터치 윈도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커버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압전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압전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기판 상의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압전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압전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서브 제 1 전극 및 제 2 서브 제 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 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뮤추얼캡(Mutual-Cap) 방식 또는 셀프 캡(self-Cap)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윈도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의 두께는 50㎛ 이하인 터치 윈도우.
  9.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압전층;
    상기 압전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및
    상기 압전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위치 및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터치 윈도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폴리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제 1 서브 제 1 전극 및 제 2 서브 제 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 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뮤추얼캡(Mutual-Cap)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윈도우.
  12.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의 압전층;
    상기 압전층 상의 표시 패널;
    상기 압전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압전층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 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압전층은 상기 제 1 전극, 상기 제 2 전극 및 상기 제 3 전극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상기 압전층과 표시 패널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터치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은 폴리바이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극은 그라운드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과 상기 표시 패널은 50㎛ 내지 200㎛의 거리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터치 디바이스.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뮤추얼캡(Mutual-Cap) 방식 또는 셀프 캡(self-Cap) 방식으로 구동되는 터치 디바이스.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층의 두께는 50㎛ 이하인 터치 디바이스.
KR1020160012290A 2016-02-01 2016-02-01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091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290A KR20170091374A (ko) 2016-02-01 2016-02-01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290A KR20170091374A (ko) 2016-02-01 2016-02-01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374A true KR20170091374A (ko) 2017-08-09

Family

ID=5965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90A KR20170091374A (ko) 2016-02-01 2016-02-01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3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2195A (zh) * 2020-02-18 2021-09-03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式触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2195A (zh) * 2020-02-18 2021-09-03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式触控装置
CN113342195B (zh) * 2020-02-18 2023-08-04 凌巨科技股份有限公司 整合式触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386B2 (en) Touch device
KR102316212B1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1881B1 (ko) 터치 디바이스
US10061414B2 (en) Touch panel
US10209840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KR20130109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EP2833235B1 (en) Flexible touch panel with bendable active area
KR101966227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0515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091374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80113081A (ko) 터치 패널
KR20170006153A (ko) 터치 윈도우
KR20180113074A (ko) 터치 패널
KR20170129530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120007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80081284A (ko)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80081298A (ko)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119868A (ko) 터치 윈도우
KR20170014658A (ko) 터치 윈도우
KR20170032029A (ko) 터치 윈도우
KR20180089823A (ko) 터치 디바이스
KR20170053395A (ko) 터치 디바이스
KR20170068925A (ko) 터치 디바이스
KR20170118475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20170100374A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